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칸은 튀르크어로 우두머리를 뜻하는 칭호로, 기원전부터 부여에서 사용되었으며 선비족에서도 나타났다. 유연에서 처음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흉노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몽골 제국 시대에 카간은 칸 중의 칸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몽골 및 튀르크 민족에게 널리 사용되었다. 칸은 통치자를 지칭하는 칭호로, 칸이 통치하는 국가나 영토를 칸국이라고 부르며 다양한 칸국들이 존재했다. 칸은 또한 다양한 칭호와 결합하여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성씨로도 사용된다.

2. 어원

칸(한)이라는 칭호의 기원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 튀르크어 및 파라몽골어 기원설: 람스테트, 시라토리, 시노어, 뙤르퍼 등 여러 학자들이 튀르크어나 파라몽골어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하며, 선비족이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 이란어 기원설: 디보(2007)는 중부 이란어 '*''hva-kama-'' '자기 통치자, 황제'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사벨리에프와 정(2020)은 동부 이란어, 특히 초기 사카어 '*''hvatuñ''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6]
  • 한국어 기원설: 부여에서 사용된 '가(加)'와 같은 호칭이 튀르크어 '칸'의 기원이라는 주장이 있다.[24][25] 다만, 이는 주류 학설은 아니다.

3. 역사

칸(한)은 튀르크어로 우두머리를 뜻하며, 기원전부터 부여에서 가(加)와 같은 호칭이 사용되었고, AD 283년, 289년에 선비족 또한 호칭 사용 기록이 사서에 기록되어 있다.[24][25] 카간은 ''칸 중의 칸''이라는 뜻으로, 몽골 제국 시대(1206–1368) 이후 중앙아시아의 다양한 몽골 및 튀르크 민족이 이 칭호를 새롭게 부각시켰고, 이후 북아시아로 전해져 현지인들이 이를 채택했다.

3. 1. 초기 역사

칸(한)은 튀르크어로 우두머리를 뜻하며, 기원전부터 부여에서 가(加)와 같은 호칭이 사용되었으며, AD 283년, 289년에 선비족 또한 호칭 사용 기록이 사서에 기록되어 있다.[24][25] 283년에서 289년 사이에 선비족 연맹에서 그들의 수장을 지칭하는 용어로 "칸"이 처음 나타났다.[7][8] 유연은 황제에게 ''카간''과 ''칸''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민족일 수 있다.[9] 그러나 러시아 언어학자 알렉산드르 보빈(2007)[10]은 ''카간''이라는 용어가 흉노에서 유래했으며, 흉노는 (보빈에 따르면) 예니세이어족 언어를 사용했고, 이후 언어 계열 전반으로 확산되었다고 주장한다. 그 후 돌궐이 이 칭호를 채택하여 아시아의 다른 지역으로 가져갔다. 6세기 중반에 이란 민족은 "카간 - 투르크의 왕"을 알았다.[7]

3. 2. 몽골 제국 시대

몽골 제국 시대(1206–1368) 이후 중앙아시아의 다양한 몽골 및 튀르크 민족이 "칸" 칭호를 새롭게 부각시켰고, 이후 "칸"이라는 칭호는 북아시아로 전해져 현지인들이 이를 채택했다. 카간은 ''칸 중의 칸''으로 번역된다.[12] 이는 중국 황제인 당 태종(''천가한'', 재위 626-649)의 칭호였으며,[11] 1229년부터 몽골 제국을 통치하기 위해 선택된 칭기즈 칸의 후계자들의 칭호였다. 칭기즈 칸 자신은 사후에만 ''카안''(카간)으로 불렸다.[12] 예를 들어 몽케 칸(재위 1251–1259)과 오고타이 칸(재위 1229–1241)은 "카간"이었지만, 쿠릴타이에 의해 몽골 제국의 통치자로 선포되지 않은 차카타이 칸은 그렇지 않았다.

12세기의 몽골 고원에서는 "칸(Qan)"은 몽골, 케레이트, 나이만부족의 장이 칭하는 칭호 (군주호)였으며, 몽골 제국을 건설한 칭기즈 칸도 생전에는 칭기즈 칸(Čingγis Qan/Činggiz Qan)이라고 칭했다. 그러나 칭기즈 칸을 계승하여 몽골 제국 제2대 군주가 된 오고타이 칸은 몽골 제국의 최고 군주가 다른 칸들과는 격이 다른 존재임을 나타내기 위해, 옛 "카간"을 부활시킨 "'''카안'''('''qa'an''', qaγan)"이라는 칭호를 채용했고, 이후 몽골 제국의 최고 군주가 세운 원 왕조도 "카안"의 칭호를 계승했다. 제국 서부에 위치한 튀르크계 국가나 서요 등의 구 영토에서는 최고 지도자를 "칸(khaqan, qa'an)"이라고 부르는 관습이 있었기 때문에, 화폐 발행 등의 사례로 인해 1220년대 무렵부터 "칸"과 "카안"의 구분이 점차 나타났다. 제국 동부에서도 1254년과 1257년에 새겨진 『소림사 몽한합벽성지비』의 위구르 문 몽골어 문/한문이 각각 "칸/罕"에서 "카안/合罕"으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정식으로 대몽골국의 최고 지도자의 호칭을 "카안"으로 정한 것은 1250년대라고 생각된다.

이에 반해, 몽골 제국 서부의 차카타이 울루스 (차카타이 한국), 조치 울루스 (킵차크 한국), 훌레구 울루스 (일 칸국) 계열의 지방 제왕에게는 "칸(한)"호가 사용되었다. 이윽고 이러한 몽골 제국의 제 왕국 (한국)의 "칸(한)" 호가 페르시아어에서는 "하안 خان khān" (페르시아어에서는 장모음이 됨)으로 표기·발음되었기 때문에, 아라비아 문자 사용권에서는 "하안(khān)"과 "한(χan)"이라는 두 가지 표기가 생겨났고, 현대의 서적에서도 몽골 제국 중앙의 "하안"과 타 지방의 "한/하안"의 혼동이 보이는 경우가 있다.

페르시아어에서는 몽골 제국 황제의 칭호인 "카안"을 "'''카아안'''( قاآن '''qā'ān''')" 또는 "'''칸'''( قآن '''qān'''/qa'ān)"으로 표기하고 있으며, 몽골어의 "칸(qan)"에서 유래한 "하안( خان khān)"의 표기와는 확실히 구분되었다. 티무르 왕조의 사료에서는 예외적으로 "하칸"이라는 명칭을 차카타이 울루스 등의 칭기스 가의 군주들, 혹은 티무르 왕조의 군주의 존칭으로 형용적으로 사용하지만, 오고타이 이하의 몽골 황제인 카안에 대해서는 "카아안"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예외를 제외하고, 조치 울루스 계열의 군주를 비롯하여, 서방의 튀르크어·페르시아어권의 군주에 대해서는 "카아안"은 사용되지 않았다.

3. 3. 몽골 제국 이후

원나라 붕괴 이후에도 몽골 고원에서는 칭기즈 칸의 후손만이 칸(카안)이 될 수 있다는 칭기스 계승 원칙이 금기시되었다.[12] 15세기에 이 원칙을 무시하고 칸위에 오른 오이라트의 에센 칸은 곧 살해되었다.[12]

차카타이 칸국 분열 이후 중앙아시아, 조치 울루스 분열 후 킵차크 초원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났다.[12] 반면, 아나톨리아 반도에서는 오스만 가문이 칭기스 가문 혈통 없이 칸 칭호를 사용했다.[12] 이란이나 인도에서는 지방 총독이나 소부족장이 칸을 칭하는 관행이 재개되었다.[12]

17세기 초, 여진족 누르하치가 만주족의 칸으로 즉위하여 후금을 세웠다.[12] 후금은 홍타이지 대에 몽골의 칭기스 계통 칸을 복속시키고 으로 발전했다.[12]

3. 4. 불가리아

7세기부터 9세기까지 칸 또는 카간은 다뉴브 불가리아(아마도 고대 대불가리아)의 통치자를 칭하는 말이었다.[13] "칸"이라는 칭호는 불가리아 통치자를 언급하는 비문과 텍스트에서 직접적으로 증명되지 않지만, 카나수비기라는 유사한 칭호가 크룸, 오무르타그를 포함한 세 명의 불가리아 통치자의 비문에서 발견되었다.[13] 불가리아 귀족 계급에서 증명된 ''카브칸''(부칸), ''타르칸'', ''보리타르칸''과 같은 복합적인 비 통치자 칭호에서 학자들은 초기 불가리아 지도자에 대한 ''칸'' 또는 ''칸'' 칭호를 도출하기도 한다.[13]

4. 칸의 통치 영역

칸국은 칸이 통치하는 국가 또는 영토를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칸국이 존재했는데, 주로 중앙아시아 지역에 분포했다.


  • 카자흐 칸국: 1465년에 건국되었으며, 1601년부터는 미르자, 베이 등의 하위 칸들이 통치하는 세 개의 주즈로 나뉘었다. 아불 하이르 칸과 타우케 칸과 같은 통치자들에 의해 잠시 통일되기도 했으나, 1748년 이후 다시 분열되어 1847년 러시아 제국에 의해 사라졌다.
  • 키르기스 칸국: 현재 키르기스스탄 지역에 1842년 오르몬 칸이 카라-키르기즈 칸국을 세웠으나, 1854년 그의 사망 이후 붕괴되었다.
  • 우즈베키스탄 지역의 칸국:
  • 부하라 칸국: 1500년에 건국되어 1753년에 에미리트로 개칭되었다.
  • 코칸드 칸국: 페르가나 계곡에서 1694년경 분리되어 1732년 건국 이후 수도 코칸드의 이름을 따서 코칸드 칸국으로 불렸다.
  • 히바 칸국: 호레즘 칸국이 1804년에 히바 칸국이 되었으나, 곧 러시아의 보호령이 되었다.
  • 카라칼파크스탄 지역은 1600년경부터 자체적인 통치자(칸)를 두었다.
  • 바다흐샨 칸국: 1697년부터 아프가니스탄에 존재했던 민족 우즈베크족의 칸국이다.


이 외에도 페르시아와 캅카스 지역에 다양한 소규모 칸국들이 존재했다.

5. 칸의 다른 용례

'칸'이라는 칭호는 다양한 의미와 형태로 사용되었다.


  • 복합 및 파생 칭호:
  • 카간(Qaγan): 칸 중의 칸, 즉 황제에 해당한다. 당 태종천가한(天可汗), 몽골 제국의 대칸 등이 이에 해당한다.[3]
  • 구르 칸: 카라 키타이 통치자의 칭호이다.
  • 일 칸: 일 칸국 통치자의 칭호이다.[4][5]
  • 카툰(Qatun): 칸의 정실 부인을 가리킨다.[6]
  • 카눔(Hanım): 튀르크어권에서 칸의 왕비 또는 귀부인을 가리킨다.
  • 칸 바하두르: 영국령 인도 제국에서 무슬림에게 수여한 명예 칭호였다.
  • 카나수비기: 불가리아인 군주의 칭호였다.
  • 귀족 및 명예 칭호:
  • 페르시아에서 칸(여성형은 Khanum|하눔fa)은 Beg (또는 bey)보다 높은 귀족 칭호였으며, 보통 이름 뒤에 사용되었다. 카자르 궁정에서는 왕조에 속하지 않은 사람들의 우선 순위는 주로 8개 계급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중 네 번째는 칸이었다.[1]
  • 칸과 칸 바하두르는 튀르크어의 ''batyr'' 또는 ''batur''와 몽골어의 ''baatar'' ("용감한, 영웅")에서 유래되었으며, 무굴 제국에 의해 봉건적 인도에서도 수여되었다.[1]
  •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는 칸은 통치자 니잠이 무슬림 측근에게 하사한 귀족 칭호 중 가장 낮은 계급이었다.[1]
  • 스와트에서는 세속 엘리트의 칭호였다.[1]
  • 벵골 술탄국에서 알려진 일련의 칭호가 단순한 명예 칭호인지 아니면 군사 계층과 관련이 있는지는 불분명하다.[1]
  • 성씨:
  • 남아시아 국가와 중앙아시아 국가에서 흔한 성씨가 되었다.[19]
  • 특히 남아시아에서는 많은 남아시아 무슬림 이름의 일부가 되었으며,[19] 특히 파슈툰(일명 아프간인) 혈통을 주장할 때 그렇다.
  • 무슬림 라지푸트[20]무굴 제국으로부터 용맹함으로 이 성씨를 수여받아 널리 사용하며,[21] 발루치족과 아완족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5. 1. 복합 및 파생 칭호

카간(Qaγan)은 칸 중의 칸, 즉 황제에 해당하는 칭호이다. 당 태종천가한(天可汗), 몽골 제국의 대칸 등이 이에 해당한다.[3] 구르 칸은 카라 키타이의 통치자가 사용한 칭호이다. 일 칸은 몽골 제국의 4개 칸국 중 하나인 일 칸국의 통치자 칭호이다.[4][5]

카툰(Qatun)은 칸의 정실 부인을 가리키는 칭호이다.[6] 카눔(Hanım)은 특히 튀르크어권에서 칸의 왕비 또는 귀부인을 가리키는 칭호로 사용된다. 칸 바하두르는 영국령 인도 제국에서 무슬림에게 수여한 명예 칭호였다. 카나수비기불가리아인 군주의 칭호였다.

5. 2. 귀족 및 명예 칭호

페르시아에서 칸(여성형은 Khanum|하눔fa)은 Beg (또는 bey)보다 높은 귀족 칭호였으며, 보통 이름 뒤에 사용되었다. 카자르 궁정에서 왕조에 속하지 않은 사람들의 우선 순위는 주로 8개 계급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계급에는 명예 직함이 부여되었다. 그 중 네 번째는 칸 또는 이 맥락에서 동의어로 아미르(Amir)로, 군대 지휘관, 지방 부족 지도자에게 순서대로 하사되었다.[1]

칸과 칸 바하두르(Khan Bahadur)라는 칭호는 튀르크어의 ''batyr'' 또는 ''batur''와 몽골어의 ''baatar'' ("용감한, 영웅")에서 유래되었으며, 무굴 제국에 의해 봉건적 인도에서도 수여되었다. 무굴 제국은 무슬림이었지만 튀르크 출신이었으며, 특히 무슬림 통치 기간 동안 고드(Gaud) 또는 벵골 지역의 힌두교 장군들에게 이 칭호를 수여했다. 이후 영국령 인도 제국에서도 왕관에 대한 충성에 대한 명예로 귀족 계급과 유사하게 수여되었다.[1] 칸 사히브 역시 명예로운 칭호였다.[1]

인도의 주요 무슬림 국가인 하이데라바드에서는 칸은 통치자 니잠이 무슬림 측근에게 하사한 귀족 칭호 중 가장 낮은 계급이었으며, ''칸 바하두르'', 나와브 (고위 무슬림 통치자의 칭호와 동음이의어), 장(Jang), 다울라, 물크, Umara, Jah 아래에 속했다.[1] 궁정 힌두교 측근에 대한 동등한 칭호는 라이였다.[1] 스와트, 파키스탄 변경 주에서는 세속 엘리트의 칭호였으며, 이들은 물라 (무슬림 성직자)와 함께 1914년에 새로운 Amir-i-Shariyat를 선출했다.[1] 벵골 술탄국에서 알려진 일련의 칭호가 단순한 명예 칭호인지 아니면 군사 계층과 관련이 있는지는 불분명하다.[1]

5. 3. 성씨

다른 많은 칭호처럼, 이 용어의 의미는 남아시아 국가와 중앙아시아 국가로 확장되었으며, 그곳에서 흔한 성씨가 되었다.[19]

칸과 그 여성형은 많은 인명에서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귀족이나 정치적 관련성은 없지만, 여전히 귀족 이름의 흔한 일부로 남아있다. 특히 남아시아에서는 많은 남아시아 무슬림 이름의 일부가 되었으며,[19] 특히 파슈툰(일명 아프간인) 혈통을 주장할 때 그렇다. 또한 무슬림 라지푸트[20]무굴 제국으로부터 용맹함으로 이 성씨를 수여받아 널리 사용하며,[21] 발루치족과 아완족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참조

[1] 간행물 Khāḳān
[2] 간행물 Khān
[3] 논문 Once Again on the Ruan-ruan Language. Ötüken’den İstanbul’a Türkçenin 1290 Yılı (720–2010) Sempozyumu From Ötüken to Istanbul, 1290 Years of Turkish (720–2010) 3–5 Aralık 2010, İstanbul / 3–5 December 2010, İstanbul 2010
[4] 논문 On the Titles KHAN and KAGHAN 1926
[5] 논문 QAN-QAγAN AND THE BEGINNINGS OF MONGOL KINGSHIP 1955
[6] 논문 Early nomads of the Eastern Steppe and their tentative connections in the West 2020
[7] 간행물 'A Farewell to the Khagan of the Aq-Aqataran'
[8] 문서 1985
[9]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A History of Central Asia now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10] 논문 "ONCE AGAIN ON THE ETYMOLOGY OF THE TITLE qaγan" http://ejournals.eu/[...] Kraków 2007
[1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Documenta Barbarorum http://altaica.ru/LI[...]
[13] 문서 Източници за българската история – Fontes historiae bulgaricae. VI. Fontes graeci historiae Bulgaricae http://kroraina.com/[...] БАН, София
[14] 서적 "Turks in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Forgotten Queens of Islam"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6] 서적 "The Imperial Harem: Women and Sovereignty in the Ottoman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V. Beshevliev - Prabylgarski epigrafski pametnici - 5 http://www.promacedo[...] 2023-05-22
[18] 서적 Byzantinoturcica II. Sprachreste der Türkvölker in den byzantinischen Quellen Leiden 1983
[19] 간행물 Khan
[20] 웹사이트 About the Great Rajput's - Welcome 2 Wajahat's World http://www.werajput.[...]
[21] 웹사이트 Study of the Pathan Communities in Four States of India :: Khyber.ORG http://www.khyber.or[...] 2007-06-07
[22] 문서 1970
[23] 문서 1968
[24] 간행물 'A Farewell to the Khagan of the Aq-Aqataran'
[25] 문서 198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