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영 (초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영(초왕)은 후한의 초왕으로, 건무 15년(39년) 초공에 봉해졌다가 2년 후 초왕이 되었다. 생모가 광무제의 총애를 받지 못해 봉국이 작았으나, 명제의 총애를 받아 영평 8년(65년)에는 비단을 바쳐 속죄하고 불교를 숭상했다. 영평 13년(70년) 반란 모의 혐의로 유배를 갔고, 이듬해 자결했다. 장제 때 팽성현으로 이장되고 초여후로 추증되었다. 자녀로는 유종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나라의 황자 - 유안 (회남왕)
    유안(회남왕)은 전한 고제의 서손으로 회남왕에 봉해졌으며, 오초칠국의 난 가담 실패 후 학문을 장려하여 《회남자》를 편찬했고, 무제의 중앙집권 정책에 반발하여 자결했으며, 두부 발명과 신선 사상 관련 전설의 주인공으로 알려져 있다.
  • 한나라의 황자 - 유팽리
    유팽리는 전한의 제후왕인 양 효왕의 아들이자 경제의 조카로, 제동왕에 봉해졌으나 포악한 성정으로 백성을 괴롭혀 무제에 의해 폐서인되어 유배되었고, 제동나라는 폐지되었다.
  • 후한 광무제 - 한 경시제
    한 경시제 유현은 왕망의 신나라에 저항하는 과정에서 녹림군의 지지를 받아 잠시 한나라를 재건했으나, 유약한 성격과 지도력 부재로 빠르게 몰락한 황제이다.
  • 후한 광무제 - 적미의 난
유영 (초왕)
기본 정보
영 (英)
시호사 (思)
작위초왕 (楚王)
성씨유 (劉)
생몰년서기 1세기
시대후한
아버지광무제
인물 정보
종교적 성향황로
믿음불교
죄목대역죄

2. 생애

유영후한 광무제의 아들로, 건무 15년(39년) 에 봉해졌고, 2년 후 초왕으로 승격되어, 28년(52년)에 봉국에 부임하였다. 생모 허미인이 광무제의 총애를 받지 못하여, 유영의 봉국은 다른 형제들에 비해 작고 궁핍했다.

건무 30년(54년), 임회군의 취려(取慮)·수창(須昌) 두 현을 더 받았다. 유영은 배다른 동생 명제가 태자였을 때부터 그에게 의탁하여 환심을 샀고, 명제는 즉위 후 유영에게 자주 포상을 내렸으며, 유영의 처남 허창(許昌)을 열후에 봉하기도 하였다.

2. 1. 불교 신앙과 황로학

유영은 젊어서는 유협(遊俠)을 좋아했고, 나이가 들어서는 황로학(黃老學)을 좋아하면서 불교를 익혔다. 영평 8년(65년) 조서로 죽을 죄를 지은 사람은 비단으로 속죄하게 해 준다고 하자, 낭중령에게 비단 30필을 주어 국상에게 속죄를 청하게 했다.[1] 명제는 조서를 내려 초왕의 신심을 가상히 여겨 바친 비단을 돌려주고 우바새와 사문에게 성찬을 베풀게 했다.[1]

이는 조정에서 황로학과 외래 불교 신앙을 공인한 것이다. 당시 유영의 봉지인 팽성에 서역에서 온 외국 승려와 우바새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수도 낙양과 장안에는 더 많은 승려와 신자들이 선교에 힘썼을 것으로 짐작된다.[1]

유영은 황로와 부도를 동렬로 취급하고, 부처를 신으로 제사지냈다.[1] 이는 현세이익적인 신앙 형태였다.[1]

2. 2. 모반 혐의와 죽음

영평 13년(70년), 연광(燕廣)이라는 자가 유영이 왕평, 안충과 함께 반란을 모의했다고 고발하였다. 이 사건을 심리한 대신들은 유영을 대역죄로 주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명제는 차마 죽이지 못하고 경현(涇縣)으로 유배시켰다.

이듬해 유배지에 도착한 유영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명제는 광록대부를 보내 조의를 표하고, 열후의 인수를 내려주었다. 또 유영의 아들 유종(劉种)을 초후(楚侯)에 봉했다.

2. 3. 사후

劉英|유영중국어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후, 명제광록대부를 보내 조의를 표하고 열후의 인수를 내렸다. 또한 유영의 아들 유충(劉种)을 초후(楚侯)에 봉하였다.[1]

원화 3년(86년), 허태후가 죽자 장제는 광록대부를 보내 조의를 표하고 장례를 돕게 하는 한편, 유영을 팽성현으로 이장시키고 의례를 왕과 같게 하였으며, 초후(楚厲侯)로 추증하였다.[1]

3. 가계

관계이름
아버지유교
어머니사마씨
형제유무, 유례, 유복, 유연년, 유영


3. 1. 자녀


  • 유종
  • 유도
  • ** 유구
  • 경향공주

4. 평가

유영은 초기 불교 수용과 관련된 중요한 인물로 평가된다. 그의 불교 신앙은 단순한 개인적 차원을 넘어, 조정의 공인을 받았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후한서에 따르면, 유영은 황제노자의 가르침(황로)과 불교(부도)를 함께 숭상했으며, 3개월간 재계하고 신과 맹세하는 등 신앙심이 깊었다. 조정에서는 이러한 유영의 신앙을 공인하고, 속죄를 통해 받은 비단을 불교 행사에 사용하도록 허락했다.

이는 당시 팽성에 외국 승려와 우바새(재가 신자)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자료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수도 낙양과 장안에는 더 많은 승려와 신자들이 선교 활동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영은 황로와 부도를 동등하게 취급하고, 부처를 신으로 제사 지내는 등 현세이익적인 신앙 형태를 보였다.

65년(영평 8년), 유영은 모반 혐의로 무고를 당했으나, 비단을 헌상하여 죄를 사면받았다. 그러나 70년 겨울 11월, 반란 계획이 발각되어 단양군 경현으로 쫓겨났고, 이듬해 71년 여름 4월에 자살했다. 이러한 유영의 모반 혐의와 죽음은 권력 투쟁의 비극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역사적 교훈을 제공한다.

참조

[1] 서적 Houhanshu
[2] 웹사이트 Life of Laozi http://www.eng.taois[...] taoism.org 2008-04-17
[3] 서적 Houhanshu
[4] 서적 Houhanshu
[5]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6] 서적 Taoism and Chinese Relig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81
[7] 서적 Houhansh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