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안 (회남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안(회남왕)은 전한 고제의 서손이자 회남여왕 유장의 아들로, 회남왕에 봉해진 인물이다. 그는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학문을 장려하여 《회남자》를 편찬했다. 유안은 무제의 중앙집권 정책에 반발하여 모반 혐의로 자결했으며, 두부 발명과 신선 사상에 관련된 전설의 주인공으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79년 출생 - 사마상여
    전한 시대의 문인 사마상여는 부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양효왕의 객경으로 활동하며 이름을 알렸고, 탁문군과의 사랑 이야기와 무제의 총애를 받아 조정에 복귀하여 문학적 업적을 남겼다.
  • 전한의 학자 - 장창 (전한 초기)
    장창은 전한 초기의 관료이자 학자로, 순자에게서 좌전을 배우고 진나라 관리를 거쳐 유방을 섬겨 항산태수, 대나라 승상 등을 역임하고 북평후에 봉해졌으며, 소하의 천거로 어사대부를 지낸 후 승상이 되어 한나라의 역법과 음률을 정비하는 데 기여했고, 만년에는 오행설 논쟁 후 관직에서 물러나 100세 넘게 살았다.
  • 전한의 학자 - 복식
    복식은 전한 무제 시대에 재산을 기부하고 관직에 나아가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쳤으며, 염철 전매 정책 폐지를 주장하다가 좌천되었다.
유안 (회남왕)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유안
한자劉安
로마자 표기pinyin: Liú Ān
mi: liú án
광동어: Lau4 On1
객가어: Làuh Ōn
민난어: Lâu An
중고한어: Ljuw 'An
상고한어: mə-ru ʔˤan (or ʔˤar)
기본 정보
출생기원전 179년
사망기원전 122년 (57세)
아버지유장, 회남여왕
어머니옹씨 부인
배우자알려진 바 없음
자녀유불해 (劉不害), 태자
유천 (劉遷)
유릉 공주
왕족 정보
작위회남왕
재위 기간기원전 164년 ~ 기원전 122년
이전 통치자유희
후임(폐지)
기타 정보
직업지도 제작자, 군주, 철학자

2. 생애

유안은 고제의 서자인 회남여왕 유장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유장이 문제에게 반역을 일으켰다가 실패하고 자결한 후, 문제는 유장을 불쌍히 여겨 유안을 비롯한 그의 아들들을 모두 후작에 봉했다. 이후 회남국이 셋으로 나뉘면서 유안은 회남왕이 되었다.[12][13][14]

경제 시기 오초칠국의 난이 발발하자 유안은 이에 가담하려 했다. 그러나 회남국의 승상이 스스로 장수가 되기를 청하며 왕의 뜻을 거스르고 한나라 편을 들었고, 한나라 조정에서도 회남국에 구원군을 보내 반란 가담을 막았다. 이로써 유안은 반란에 가담하지 못하고 회남국을 보전할 수 있었다.[12]

무제 즉위 후, 유안은 태위 무안후 전분과 친분을 맺었다. 당시 황제에게 태자가 없었기에 전분은 다음 황제가 될 사람은 유안이라고 추켜세웠다. 유안은 이 말에 기뻐하며 전분에게 뇌물을 주고, 장강화이허 사이에서 사람들을 모으는 등 세력을 키웠다.[12] 또한 무기를 준비하며 군과 국에 뇌물을 뿌렸다.[12] 당시 한나라 조정은 제후왕의 권력을 줄이고 중앙집권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었는데, 무제 즉위 후 그 정책은 더욱 강력하게 추진되었다.

기원전 122년, 한나라 조정은 중앙집권정책을 유교 이념으로 추진하려 했다. 그러나 문학을 애호하던 회남왕 유안의 궁정에는 한나라 조정의 정책에 반발하는 빈객과 학자들이 많았다. 결국 유안은 모반 혐의를 받아 자살하고 봉지는 몰수되었다. 그는 추은령에도 불구하고 아들 유불해에게 봉토를 나눠주지 않아, 유불해와 그의 아들 유건의 원한을 샀다. 결국 유건의 고발과 더불어 여러 사건이 겹치면서 유안은 자결했고, 그의 일족과 신하들은 처형당했다.

2. 1. 초기 생애와 회남왕 즉위

고제의 서자인 회남여왕 유장의 아들로 태어났다.[12][13] 문제 8년(기원전 172년) 5월, 유장은 자기 형 문제에게 반역했다가 사로잡혀 유배 길에 자결했는데, 문제가 유장을 불쌍히 여겨 동생들인 유발, 유사, 유량과 함께 후작에 봉하면서 부릉후(阜陵侯)가 되었다.[12][14]

문제 16년(기원전 164년), 회남국을 셋으로 나누어, 유장의 아들들 중 죽은 유량을 제외하고 모두 왕으로 봉하면서 이때 회남왕으로 봉해졌다.[12][13][14]

기원전 174년, 아버지 유장은 시무의 아들 시기(柴奇)와 함께 모반을 계획했지만, 사전에 발각되어 유배지인 촉군으로 이송되는 도중에 단식하여 사망했다. 유죄가 된 유장에게는 아내들과 유안 등 4명의 자녀, 그리고 소수의 사용인만이 따르는 것이 허락되었다. 기원전 164년 유장이 봉해졌던 회남국이 셋으로 나뉘어, 요절한 유량을 제외한 유장의 자녀들에게 분할된 땅이 주어져 왕이 되었다. 유안은 수춘을 도읍으로 하는 회남왕에 봉해졌으며, 이 땅에서 초의 문화를 접했다.

2. 2. 오초칠국의 난과 유안

경제 3년(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이 일어나자 유안은 이에 가담하려 했다. 그러나 승상[15]이 스스로 장수가 되기를 청하고는 왕의 뜻을 거스르고 한나라 편을 들어 가담하지 못했다. 게다가 한나라에서 또 회남국에 구원군을 보내, 회남국은 반란 후에도 온전할 수 있었다.[12]

이후 유안은 오피의 간언을 뿌리치고 거병 계획을 추진했지만 실행은 미뤄졌고, 유안과 유천의 결의는 둔해져 갔다. 결국 오피의 밀고로 계획이 발각되어, 유안은 자결했고, 일족 외에도 계획에 가담한 신하들도 주살되었으며, 수만 명에 달하는 관계자들이 형사(刑死)했다.

2. 3. 한 무제와의 갈등과 죽음

유안은 처음 입조했을 때 태위 무안후 전분과 친교를 맺었다. 당시 황제에게 태자가 없었기에 전분은 다음 황제가 될 것은 유안이라고 하였고, 유안은 이 말을 매우 기뻐하여 무안후에게 뇌물을 주는 한편 장강화이허 사이의 지역에서 사람들을 모았다.[12] 또한 무기를 준비하며 군과 국에 뇌물을 뿌렸다.[12]

당시 한나라 조정은 제후왕의 권력을 줄여 중앙으로 집중시키고 있었다. 무제가 즉위하면서 그러한 정책은 더욱 강력하게 추진되었다. 기원전 139년, 유안은 입조하여 무제에게 『회남자』등의 저서를 헌상했다. 이때 무안후 전분은 유안을 맞이하며, 태자가 없는 무제에게 만약의 사태가 발생하면 유안 외에 누가 새로운 황제가 될 것이냐고 말했고, 유안은 그의 말을 기뻐하며 많은 재물을 선물했다. 이후 15년 동안 유안은 군비를 강화하고, 금전을 군국에 보내 지지를 얻었다. 기원전 135년에는 회남에서 혜성이 관측되었고, 유안은 이를 전란의 전조로 여겨 군비 증강을 추진해 갔다.

기원전 122년, 한나라 조정은 중앙집권정책을 군신 질서를 존중하는 유교 이념으로 추진하려고 하였다. 문학을 애호하는 회남왕의 궁정에 기거하였던 빈객과 학자 중에는 이와 같은 한나라 조정의 정책에 반발하는 자가 많았으며, 그 때문에 유안도 모반 혐의를 받아 자살하고 그의 봉지는 몰수되었다.

추은령에 따르면, 유안이 유불해를 위해 회남의 일부를 봉토로 떼어주면 유불해는 제후가 될 수 있었지만, 유안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유불해의 아들 유건은 자신과 아버지 모두 제후가 될 기회가 거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유안과 유천을 쿠데타 시도로 비난할 정도로 원한을 품게 되었다. 결국, 기원전 122년에 유건의 음모가 드러난 후, 유안은 아버지와 비슷한 운명으로 자살했다.

기원전 124년, 식객 중 한 명인 뢰피가 장안으로 도망쳐 조정에 태자 유천의 횡포와 회남의 내정 혼란을 고발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회남에서는 거병 준비가 진행되었지만, 조정의 처벌은 유안의 영지에서 두 개의 현을 삭감하는 가벼운 수준에 그쳤기 때문에 계획은 중단되었다. 그러나 처벌에 불만을 품은 유안의 반역 의사는 변하지 않았다. 기원전 123년, 서자(庶子)인 유불해의 아들 유건이 조정에 회남왕가의 음모를 고발했고, 더 나아가 유장에게 살해당한 심이기의 손자 심경, 승상 공손홍이 유안을 규탄했다. 유안은 식객 오피의 간언을 뿌리치고 거병 계획을 진행했지만, 실행은 미뤄졌고, 유안과 유천의 결의는 둔해져 갔다. 오피의 밀고로 계획이 발각되어 유안은 자결했고, 일족 외에도 계획에 가담한 신하들도 주살되었으며, 수만 명에 달하는 관계자들이 처형되었다.

3. 사상과 저술 활동

유안은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바탕으로 활발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자신의 저택에 여러 학자들을 초대하여 함께 학문을 논하고 작품을 창작했는데, 이들 중 여덟 명은 회남팔선(淮南八仙)으로 불렸다.

초사는 고대 중국의 2대 시가집 중 하나로 '남쪽의 노래' 또는 '초나라의 노래'로 불린다. 대표적인 시로는 굴원이소가 있다. 유안은 이소의 서문과 최초의 주석을 썼으며,[2] 초사의 초기 편집자이자 편찬자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2] 초은사(은자를 부르는 노래)는 유안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으며,[2] 원유("아득한 여행")는 유안 주변 문학 서클의 작품들과 유사성을 보인다.[2]

3. 1. 《회남자》 편찬

유안은 회남 8선 및 그의 문학 서클의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기원전 139년에 《회남자》를 편찬했다. 《회남자》는 "회남왕의 책" 또는 "회남 철학자들"로 번역되는 논문이다. 이 책은 노자장자의 작품과 함께 도가 철학의 초석 중 하나로 여겨진다. 기원전 5세기 춘추 전국 시대의 초기 서경과 함께 이 책은 중국의 지리에 대한 추가적인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했으며, 중국의 지형에 대한 묘사가 포함되어 있다. 그의 책은 또한 수학과 음악에 관한 것으로, "피타고라스 콤마"를 사용하고 최초의 알려진 중국 12음조 튜닝을 열거했다.

3. 2. 문학적 재능

유안은 문학적 재능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잠에서 깨어 아침 식사를 마치는 사이에 정교한 산문을 지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그는 직접 문학 작품을 창작하는 것 외에도, 자신의 저택에 다른 학자들을 빈번하게 초대했다. 특히 이들 중 여덟 명의 학자들은 회남팔선(淮南八仙)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고대 중국의 2대 시가집 중 하나는 ''초사''로, ''남쪽의 노래'' 또는 ''초나라의 노래''라고도 불린다. (다른 하나는 ''시경''이다.) 이 시집의 대표적인 시는 "이소"로, 일반적으로 굴원이 지은 것으로 여겨진다. 유안은 "이소"의 서문과 최초의 주석을 썼다.[2] 또한 유안이 최초의 편집자이자 초사 초본의 편찬자였을 가능성도 높다.[2] "초은사(은자를 부르는 노래)"는 유안이 지은 것으로 여겨진다.[2] "원유" ("아득한 여행")는 유안 주변의 문학 서클의 작품과 많은 유사점을 보인다.[2]

4. 전설

유안두부두유의 발명자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에 대한 역사적 증거는 부족하다. 전설에 따르면, 유안은 늙고 병든 어머니를 위해 두유를 개발했다. 어머니가 을 먹고 싶어했지만 씹을 수 없었기 때문에, 유안은 콩을 갈아 두유를 만들었다고 한다.[3] 명나라이시진이 저술한 《본초강목》에는 두부 개발에 대한 설명이 나오지만, 발명자를 명확히 언급하지는 않았다. 유안을 두부 발명자로 처음 지칭한 사람은 명나라 작가 이익(李翊)이었다.[4] 송나라 주희는 "두부시"에서 회남의 방법을 언급했고,[5] 한나라 시대 문헌에는 두부를 "래기"라고 불렀다는 기록이 있다.[6]

그러나 다른 중국 자료에서는 유안이 많은 채식주의 승려들과 함께 살았고 그들에게서 두부 만드는 법을 배웠다고 주장하며, 유안의 발명설에 의문을 제기한다. 유안이 모집한 도교 신자들은 두유와 두부를 만들 때 "연금술"적인 방법을 사용했는데, 이는 영생을 위한 약으로 여겨졌을 가능성이 있다. 당시 강력한 귀족이었던 유안은 이러한 식품의 대량 생산을 명령하고 퍼뜨려 유명해졌을 수 있다.[7] 《금화지방풍속지》와 《중국풍속고사집》은 두유와 두부가 한나라 이전에 전국 시대 연나라 장군 악의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구전으로 전해지는 전설일 뿐 기록된 것은 아니다.[9]

유안은 "한 사람이 도를 얻으면 닭과 개도 하늘로 오른다"는 중국 속담의 출처로도 알려져 있다. 왕충의 『논형』 도허편에 따르면, 유안이 신선의 술법으로 영약을 만들어 복용하자 몸이 하늘로 떠올랐고, 집에서 기르던 닭과 개까지 하늘로 올라갔다고 한다. 합리주의자인 왕충은 이를 허언으로 부정했다. 이 속담은 현재 "일족 중 한 사람이라도 출세하면 능력 없는 친척이나 측근까지 지위가 오른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수신기』에 따르면, 유안은 신선을 초대하여 연회를 열곤 했다. 한번은 여덟 노인이 유안을 만나고 싶어했지만, 유안은 그들의 외모를 보고 "불로장수의 술법조차 익히지 못한 것 같다"며 거절했다. 그러자 노인들은 순식간에 14~15세의 아이들로 변했고, 유안은 당황하여 그들을 초대해 대접하고 거문고를 연주하며 노래했다고 한다.

현재 유안의 묘로 여겨지는 육안 유적은 팔공산 산록에 있다.

4. 1. 두부 발명

명나라이시진이 저술한 《본초강목》에는 두부 개발에 대한 설명이 나오지만, 누가 두부를 발명했는지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유안을 두부 발명자로 처음 지칭한 사람은 또 다른 명나라 작가인 이익(李翊)이었다.[4] 송나라 시대인 10세기에는 주희가 "두부시"("豆腐詩")에서 회남의 방법에 대해 썼다.[5]

전설에 따르면, 유안은 늙고 병든 어머니를 위해 두유를 개발했다. 어머니가 을 드시고 싶어했지만 씹을 수 없었기 때문에, 유안은 어머니의 제안에 따라 콩을 갈아 두유를 만들었다고 한다.[3] 그러나 이 전설을 뒷받침하는 역사적 증거는 없다.

다른 중국 자료에서는 유안이 두부를 발명했다는 이론에 의문을 제기하며, 유안이 많은 채식주의 승려들과 함께 살았고 그들에게서 두부 만드는 방법을 배웠다고 주장한다. 유안이 모집한 중국 도교 신자들은 두유와 두부를 만들 때 "연금술"적인 방법을 사용했는데, 아마도 영생을 위한 약으로 여겼을 것이다. 당시 유일하게 강력한 귀족이었던 유안은 이러한 식품의 (상대적인) 대량 생산을 명령하고 이를 퍼뜨려 두유와 두부로 유명해졌을 수 있다.[7]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유안을 두부와 두유의 발명자로 여긴다.[8]

주자의 두부시에는 회남왕이 두부를 만들었다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으며[10], 명나라이시진이 쓴 『본초강목』에서도 두부를 유안의 발명품으로 기록하고 있다.[11]

4. 2. 신선 사상

유안은 "한 사람이 도를 얻으면 닭과 개도 하늘로 오른다"는 중국 속담의 출처로도 알려져 있다.[1] 왕충의 『논형』 도허편에 따르면, 유안은 신선의 술법을 구하여 영약을 직접 조제하여 복용하니 몸이 하늘로 떠올랐다고 한다.[1] 뿐만 아니라, 집에서 기르던 닭과 개까지 하늘로 올라갔다고 한다.[1] (자결한 유안은 닭과 개를 데리고 선인이 되어 승천했다고 전해진다).[1] 한편, 합리주의자인 왕충은 이를 허언으로 부정했다.[1]

오늘날에는 "일족 중 한 사람이라도 출세하면 능력 없는 친척이나 측근까지 지위가 오른다"는 의미로 사용된다.[1]

유안은 신선을 초대하여 연회를 여는 것을 좋아했다. 『수신기』에 따르면, 어느 날 여덟 명의 노인이 나타나 유안을 만나고 싶다고 했지만, 유안은 그들의 외모를 보고 "불로장수의 술법조차 몸에 익히지 못한 것 같다"고 판단하여 거절했다. 그러자 여덟 명의 노인은 순식간에 14~15세의 검은 머리에 복숭아빛 뺨을 가진 아이로 모습을 바꾸었다. 이에 유안은 당황하여 8명을 초대하여 요리를 대접하고, 스스로 거문고를 연주하며 노래로 즐겁게 했다고 한다.[2]

현재 유안의 묘로 여겨지는 육안 유적은 팔공산 산록에 있다.[3]

5. 관련 사료

참조

[1] 문서 Wallacker
[2] 문서 Hawkes
[3] 웹사이트 Soymilk and you tiao, the most popular breakfast in China http://kaleidoscope.[...] 2016-07-28
[4] 문서 戒庵老人漫筆「豆腐起於淮南王劉安之術。」
[5] 문서 「種豆豆苗稀,力竭心已腐,早知淮南術,安坐獲泉布。」 "Planting soybeans but the harvest was little, the body is tired and the mind is rotted, if the method of Huainan was known earlier (by me), (I) would be able to get a lot with just relaxing and sitting there."
[6] 문서 《行神研究》引 《綺翁憶梅庵雜記》記豆腐業淮南王劉安云:「 相傳農曆九月十五日,為淮南王劉安誕辰,內地豆腐業者均於本日舉行之公祭,祭畢聚餐。」劉安為西漢人,具辯才,善屬文,好讀書鼓琴,天下方術之士多歸之,在其在發明豆腐時,蜀人名曰「黎祈」,故陸游詩有「洗釜煮黎祈」句,惟何時名為豆腐,則不可考。
[7] 서적 《中國行業神》
[8] 서적 《中國民間神像》
[9] 문서 樂毅因父母年老嚼不動黃豆,樂毅就把黃豆磨成豆漿,把鹽鹵灑進豆漿,結果成了豆腐。又說醫生開了石膏,樂毅把石膏放進豆漿,結果做出的豆腐比放鹽鹵更好。
[10] 서적 晦庵集 https://archive.org/[...]
[11] 문서 『本草綱目』穀之四・豆腐 https://s:zh:本草綱目/穀之[...]
[12] 한서 한서 권44 회남형산제북왕전제14 https://zh:漢書/卷044
[13] 한서 위와 같음, 권14 제후왕표제2 https://zh:漢書/卷014
[14] 한서 위와 같음, 권15 왕자후표제3상
[15] 문서 주수창은 경제 초기에 회남상으로 부임한 장석지로 추정하였다.
[16] 문서 여나라가 도중에 제천나라로 이름이 바뀐 것으로, 유명 (제천왕)|유명]]이 봉해진 진류군|제천나라와는 연관이 없다.
[17] 문서 작위만 추증된 것으로, 봉지는 없다.
[18] 문서 한서에서는 씨병(氏兵), 사기에서는 과구(瓜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