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원미디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원미디어는 2005년 지상파 DMB 방송국 허가를 취득하고, 같은 해 12월 1일 지상파 DMB 6개사와 함께 TV와 라디오 방송을 개국한 대한민국의 DMB 방송사이다. 2006년 프로야구 독점 중계, 서울 지하철 T-DMB 서비스 개시, U1 Radio 서비스 등을 진행했다. 2021년 온라인 스트리밍 열풍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영난으로 DMB 채널 방송을 종료하며 송출을 중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1년 폐지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디즈니 채널 (동남아시아)
    디즈니 채널 (동남아시아)은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텔레비전 채널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디즈니 프로그램과 영화를 방송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2020년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로 콘텐츠를 이전하며 대부분의 지역에서 방송을 중단했다.
  • 2021년 폐지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디즈니 채널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채널)
    디즈니 채널은 2002년 대한민국에 소개된 후 2011년 자체 채널을 개국하여 한국어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디즈니+ 출시 결정으로 2021년 폐국되었고 이후 '더 키즈' 채널로 대체되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영했다.
  • 없어진 방송국 - 동양방송
    동양방송은 삼성의 투자로 개국한 라디오서울을 모태로, 라디오와 TV 방송국을 통합하여 운영되었던 대한민국의 민영 방송사였으나,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KBS에 강제 통폐합되었다.
  • 없어진 방송국 - 경인방송
    경인방송은 인천방송으로 개국하여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남부를 방송권역으로 하는 민영방송이었으나, 경영난으로 TV 방송을 종료하고 현재는 FM 라디오 방송을 운영하며 OBS경인TV와 콘텐츠 교류를 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 - TBS (대한민국의 방송사)
    TBS는 1990년 개국한 대한민국의 방송사로,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로 운영되다가 2024년 민영화될 예정이며, TBS FM, TBS eFM, TBS TV를 통해 교통 정보 제공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한다.
  • 대한민국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국 - 아리랑 라디오
    아리랑 라디오는 한국국제방송재단에서 운영하는 영어 라디오 방송으로, 2003년 제주도에서 개국하여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에 한국 관련 정보와 문화 콘텐츠를 제공하며, 뉴스, 문화, 음악 프로그램 및 심층 인터뷰를 제공한다.
유원미디어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U1 로고
U1 로고
한국명유원
한자해당 사항 없음
영문명해당 사항 없음
약칭해당 사항 없음
개국일2005년 12월 1일
폐국일2021년 1월 1일
구분민영
본사해당 사항 없음
사장해당 사항 없음
모기업해당 사항 없음
슬로건해당 사항 없음

2. 연혁

2. 1. 2000년대

2. 1. 1. 2004년

2004년 3월 29일: K-DMB(주) 컨소시엄 법인이 설립되었다.

2. 1. 2. 2005년

2005년 9월 28일, 정보통신부로부터 지상파 DMB 방송국 허가를 취득했다. 11월 23일에는 임시 주주 총회를 통해 회사명을 유원미디어 주식회사로 변경했다. 12월 1일에는 지상파 DMB 6개사가 공동으로 TV와 라디오 방송을 개국했다. 이는 대한민국 디지털 방송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기록될 만한 사건이다.

2. 1. 3. 2006년

2006년 4월 20일, 2006 프로야구 지상파DMB 독점중계 (KBO)를 실시했다. 당시 프로야구의 인기를 고려했을 때, DMB 중계권 확보는 큰 의미를 가졌다.

2006년 6월 7일, 서울 지하철 T-DMB 서비스를 개시했다.

2006년 7월, 아리랑국제방송 최초 ISO-9001 인증을 획득했다.

2006년 8월, U1 Radio 서비스 잠정 중단했다.

2006년 10월, U1 시청자위원회 1기를 구성했다.

2006년 12월 18일,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했다.

2. 1. 4. 2007년

2007년 3월 5일: U1 Radio 비주얼 라디오 음악방송으로 재개국

2. 1. 5. 2008년

2008년 11월 19일, 지상파 DMB 방송 재허가를 받았다.

2. 1. 6. 2009년

2009년 7월 31일: U1 V-Radio 채널을 KBS 임대채널에서 U1 자체채널로 변경하였고, uMTN DMB 방송을 개시하였다.

2009년 12월: 여의도에서 문래동으로 사옥을 이전하였다.

2. 2. 2010년대

2. 2. 1. 2010년


  • 2010년 2월 1일 : U1 V-Radio 방송 송출 중단, mbn DMB 방송 송출 (채널 임대)
  • 2010년 4월: DMB 2.0 데이터 방송 송출 (U1 Data 방송)
  • 2010년 10월: 임대채널 uMTN채널에서 자체채널 U1 PLUS 채널로 변경되면서 U1 PLUS 채널 개국 (MTN, RTN, U1)

2. 2. 2. 2011년

2011년 3월 주상균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 같은 해 3월 7일 U1 PLUS 채널에서 일부 시간대 MTN, RTN 수중계 방송 송출을 종료하고, 24시간 U1 자체 방송으로 변경하였다. 2011년 4월에는 2011 프로 야구 전 경기 방송 협약 (U1, U1 Plus, QBS, mbn)을 체결하였다. 2011년 12월, 지상파 DMB 방송 재허가를 받았다.

2. 2. 3. 2012년

2012년 12월 순천향대학교와 스마트 환경 DMB 콘텐츠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2. 2. 4. 2013년

2. 2. 5. 2014년

2014년 2월 3일 : U1채널 MBN 방송 송출 개시, 기존 임대채널 MBN에서 홈&쇼핑으로 변경되면서 홈&쇼핑 DMB 방송 송출 개시 (MBN은 24시간 DMB 방송 중단, U1을 통해 일부시간대 MBN 프로그램 방송 송출)

2014년 4월 : 임대채널 롯데홈쇼핑에서 한국경제TV로 채널 변경 (한국경제TV DMB 프로야구 전 경기 중계 방송 개시)

2. 2. 6. 2016년

2016년 8월 : U1 MBN HD DMB 방송 송출 개시

2. 3. 2020년대

2. 3. 1. 2021년

2021년 1월 1일 : 온라인 스트리밍 열풍 및 코로나19 범유행, 경영난으로 인해 DMB 채널 방송을 종료하고 송출을 중단했다. 이는 지상파 DMB 서비스의 종말을 의미하며, 기술 변화와 시장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사례로 볼 수 있다.

3. 평가

4. 영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