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양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양방송은 삼성그룹의 투자를 받아 1964년 라디오서울로 개국하여, 이후 동양텔레비전을 개국하며 대한민국 최초의 민영 방송사 중 하나로 성장했다. 초기에는 MBC와 경쟁하며 시청률 경쟁을 시작하게 했으며, 일본 애니메이션을 방영하고 쇼 프로그램, 드라마, 라디오 프로그램을 통해 인기를 누렸다. 그러나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KBS에 강제 통폐합되었고, TBC TV는 KBS 2TV로, TBC 라디오는 KBS 제3라디오와 KBS 2FM으로 각각 흡수되었다. 이후 2011년 중앙일보가 TBC를 계승한다는 의미로 JTBC를 개국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튀르키예 라디오 텔레비전 공사
    튀르키예 라디오 텔레비전 공사(TRT)는 튀르키예의 공영 방송사로, 국내외 시청자를 위해 다양한 텔레비전 및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며 뉴스, 드라마, 스포츠, 어린이 프로그램,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 1964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몽골의 소리
    몽골의 소리는 1964년 몽골에서 몽골어와 중국어 방송을 시작하여 현재 몽골어, 중국어, 일본어, 영어, 러시아어로 방송하는 몽골의 국제 방송으로, 울란바토르 인근 송신소에서 다양한 주파수를 통해 전 세계로 송출되며 2010년대에는 일본어 방송이 가장 많은 청취자를 확보했다.
  • 동양방송 - 전일방송
    전일방송은 1971년 개국하여 전남일보가 프로그램 제작에 관여했던 대한민국의 중파 방송국이었으나, 1980년 언론 통폐합으로 폐국되어 KBS 광주방송총국에 통합되었고, 이는 권위주의 정권의 언론 탄압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 동양방송 - 서해방송
    서해방송은 1969년부터 1980년까지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AM 680kHz(후에 675kHz)로 방송되었던 라디오 방송국으로, 동양방송과 제휴하여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보도 기능을 강화했으나, 언론 통폐합으로 KBS에 통합되어 현재는 KBS 제3라디오 중계국으로 사용되고 있다.
  • 1980년 폐지된 라디오 방송국 - 동아방송
    동아방송은 1963년 동아일보 자회사로 개국하여 높은 인기를 누렸으나, 언론통폐합으로 KBS에 강제 통폐합되어 폐국 후 주파수는 SBS 러브FM에 이관되었으며, 동아일보는 채널A를 통해 방송에 재진출했다.
  • 1980년 폐지된 라디오 방송국 - 전일방송
    전일방송은 1971년 개국하여 전남일보가 프로그램 제작에 관여했던 대한민국의 중파 방송국이었으나, 1980년 언론 통폐합으로 폐국되어 KBS 광주방송총국에 통합되었고, 이는 권위주의 정권의 언론 탄압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동양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동양방송 로고
방송국 명칭동양방송
영문 명칭Tongyang Broadcasting Company
호출 부호HLKC
약칭TBC
방송 브랜드TBC-TV 7 서울
설립일1964년 5월 9일
개국일1964년 12월 7일
폐국일1980년 11월 30일
방송 형태민영방송, 주식회사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6
부산 지국 위치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4가 19
소유주삼성그룹
슬로건보다 빨리, 보다 널리, 보다 풍부하게
방송 정보
아날로그 채널7 (VHF)
디지털 채널(정보 없음)
가맹 방송국(폐국)
호출 부호 의미(정보 없음)
이전 호출 부호(정보 없음)
무선 출력(정보 없음)
웹사이트(정보 없음)
관련 인물
사장 (서울 본사)김덕보, 홍두표
부산 지국장김한기
역사
폐국 사유전두환 정권의 언론 통폐합으로 인해 폐국, 사업은 한국방송공사에 인수됨
기타
외부 링크Papers of the British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2. 역사

1964년 5월 9일 중앙일보사에서 경영했던 민영 방송사로, 최대 주주는 삼성그룹 회장 이병철이었다. 라디오 방송은 1964년 5월 '''라디오 서울'''을 시작으로, 1965년 '''중앙방송(JSB)''', 1966년 '''동양방송(TBC)'''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TV 방송은 그해 12월 7일 '''DTV'''라는 채널명으로 서울특별시(채널 7번)과 부산광역시(채널 9번)에서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하였다.[35][36]

1966년 8월 15일에는 한국 최초로 FM 방송을 개국하였는데, 당시 광고방송도 함께 시작하였다. 1974년에는 중앙일보에 인수되어 주식회사 동양방송·중앙일보라는 이름으로 존속하기도 했다.

1979년 12월 1일에는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했으며, 1980년 4월 14일에 개관식을 열었다.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동양방송은 한국방송공사(KBS)에 강제 통폐합되어 KBS 2TV로 개국하게 되었고, 이후 해당 채널 번호는 KBS 2TV 채널 번호로 승계되었다.

당시 심벌마크는 중앙일보의 옛 마크를 함께 사용하였으며, 깃발에는 한자로 '東洋放送'이라는 문자와 중앙일보 옛 마크가 중간에 있고 아래에 'TV - 라디오 - FM'이라는 문자가 새겨져 있었다. 이 깃발은 1980년 11월 30일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동양방송이 폐국되면서 폐지되었다.

폐국 직전 동양방송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있었고, 부산지국은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에 있었다. 1980년 11월 30일에 동양방송의 서울본사와 부산지국이 언론통폐합으로 폐국되면서, 동양방송 서울 본사의 여의도 사옥은 현재 한국방송공사 별관으로 사용하고 있고, 부산 중구 중앙동에 있었던 동양방송 부산지국은 KBS부산방송총국으로 사용했다가 1988년 5월 지금의 수영구 남천동으로 사옥을 옮겼다.

초기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민영 방송으로 문화방송과 경쟁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한국 방송계에서 시청률 경쟁을 시작하게 했다는 비판도 있다. 텔레비전 방송은 서울 시민들로부터 '''TBC''' 또는 '''칠번(7번)'''이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문화방송미국 제작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방송한 반면, 동양방송은 일본텔레비전방송망(닛테레)과 제휴 관계였던[23] 영향으로 일본 제작 애니메이션 방송이 많았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쿠데타로 집권하면서 언론통폐합이 단행되었고, 동양방송도 같은 해 11월 30일에 폐국되었다.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은 한국방송공사(KBS)가 이어받아 KBS 2TV, KBS 제3라디오(현 KBS 제2라디오(해피FM)), KBS 2FM이 되었다.

언론 통폐합으로 실직한 직원 대부분은 KBS로 옮겨 방송 사업에 계속 종사했지만, 일부는 다른 길을 택하여 “TBCi.co.kr”이라는 웹사이트를 개설하는 등 TBC 부활을 위해 활동을 이어갔다.[28] 이후 2011년 12월 1일, JTBC(중앙동양방송)으로 다시 개국했다.

2. 1. 설립 배경 및 초기 과정 (1962-1964)

1964년 5월 9일, 중앙일보사가 경영했던 민영 방송사로, 최고 지주는 삼성그룹의 회장 이병철이었다. '온 국민에게 보다 잘 살 수 있는 내일에 대한 희망을 주고, 그를 위해서 스스로 땀흘려 일할 수 있는 의지와 용기를 일깨우며, 이 나라 모든 개인과 가정과 촌락 그리고 국가사회 구석구석에 맑게 샘솟는 도의심이 충만하도록 하자'는 창업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되었다.

1962년 9월, 한국 최초의 TV 광고 방송 준비가 진행 중이라는 보도가 있었다.[31] 기사에 따르면, 동양텔레비죤방송주식회사가 순수 국내 기술로 전파 송출 준비를 마치고 카메라 3대와 중계차 1대를 확보, 대한민국 정부에 채널 허가를 신청하고 대기 중이었다. 이듬해 1월에는 당국의 허가와 함께 채널 7번을 배정받아 5월 개국 예정이라고 보도되었으나,[32] 개국은 연기되었다. 그해 7월, 방송국 회장 이재형과 이사 이병철은 도쿄 닛폰 테레비 회장을 방문, 기술 지원 등의 원조를 요청하였다.[33] 당시 정부는 TV 수상기와 송신기를 제작이 불가능한 부품 외에는 국내에서 생산하려는 의지를 보였고, 동양방송국의 텔레비전 카메라는 영화 카메라와 중고 기기를 결합, 자체 제작하기도 했다.[34]

중앙텔레비전 스튜디오(1965년-66년경)


동양방송의 뿌리는 삼성의 투자로 1964년 5월 9일에 개국한 '''라디오서울'''(약칭 RSB)이었다.[21] 서울에서는 문화방송, 동아방송에 이은 세 번째 민영 AM 라디오 방송국이었다.

같은 해 12월 7일, '''동양텔레비전'''(당시 약칭은 DTV)이 서울 7채널에서 방송을 개시했다. 5일 후에는 부산에서도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1965년 6월 25일, 서울FM방송주식회사(호출 부호: HLCD-FM)가 FM 라디오 방송을 89.1MHz로 개시했다.[22] 같은 해 8월 16일, 라디오서울은 '''중앙라디오'''(약칭: JBS)로, 동양텔레비전은 '''중앙텔레비전'''(약칭: JBS TV)으로 명칭이 통일되었다.

1966년 8월 15일, '''동양라디오'''(약칭: TBC), '''동양텔레비전'''(약칭: TBC TV)으로 명칭을 다시 바꾸었다. 같은 해, 이 두 회사와 서울FM이 합병하여 '''동양방송'''(약칭: TBC)이 되었다. 1974년에는 중앙일보와 합병하여 '''주식회사 중앙일보·동양방송'''이 되었다.

2. 2. 개국과 성장 (1964-1980)

1964년 5월 9일 중앙일보사가 운영했던 민영 방송사로, 최대 주주는 삼성그룹 회장 이병철이었다. 라디오 방송은 1964년 5월 '''라디오 서울'''로 시작하여, 1966년 '''동양방송(TBC)'''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TV 방송은 그해 12월 7일 '''DTV'''라는 채널명으로 서울(채널 7번)과 부산(채널 9번)에서 개시되었다.[35][36]

1966년 8월 15일, 한국 최초로 FM 방송을 개국하였고, 당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도 시작하였다. 1974년에는 중앙일보에 인수된 후 주식회사 동양방송·중앙일보라는 사명으로 존속한 적도 있었다.

동양방송은 TV 개국 이후 쇼쇼쇼를 비롯한 쇼 프로그램과 다양한 연속극으로 인기를 얻었다. 당시 국영방송이었던 KBS의 시청률을 능가했으며, 민영방송 MBC1969년 8월에 TV 방송을 개국할 당시에는 동양방송이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었다. 그러나 MBC가 여러 드라마를 히트시키면서 MBC와 TBC 간 시청률 경쟁이 심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는 동양방송이 문화방송을 근소하게 앞섰다. (예능 제외)

1960년대 후반에는 시설 확장을 위해 약 870000USD의 외국 차관을 도입하기도 했다.[37] 1969년 7월에는 아폴로 11호 달 착륙 특집 방송을 텔레비전과 라디오를 통해 중계 방송하였다.[38] 1971년 동양방송의 공칭자본금은 4억으로 평가되었다.[39] 1970년대 초에는 동아방송, 문화방송과 합자하여 방송 송신탑을 건립하였다.[40] 1978년부터는 컬러 텔레비전 방송을 추진하는 등 크게 성장하였다.

동양텔레비전 부산지국의 경우, 마이크로웨이브 미설치로 인해 동시 송출이 불가능하여 부산, 울산, 경상남도 지역의 로컬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자체 방송하였다. '쇼쇼쇼' 등의 서울본사 프로그램은 동양방송 본사로부터 직접 녹화본 영상 필름을 공수하여 서울보다 약 일주일 늦게 방송되었기 때문에, 지역 방송의 독립성 강화에 기여하였다.

1966년 5월 중앙방송 (JSB) 당시 스튜디오 풍경


동양방송은 일본 일본텔레비전방송망(닛테레)과 제휴 관계였던[23] 영향으로 일본 제작 애니메이션 방송이 많았다. 황금박쥐, 요괴인간 빔은 동양방송의 자회사인 동양동화가 애니메이션 제작을 담당했다.[24] 또한 1972년에는 닛테레의 오디션 프로그램 『스타탄생!』이 최초의 해외 특집으로 동국에서 공개 녹화를 진행하기도 했다.

라디오에서는 밤 시간대에 『형사』 등의 라디오 드라마, 평일 저녁 8시부터의 스튜디오 공개 프로그램, 당시 서울의 젊은 청취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디스크자키 프로그램 『밤을 잊은 당신에게』, FM에서는 아침 와이드 프로그램 『FM대행진』, 『정오의 팝송』 등 인기 프로그램을 방송하여 한때 서울에서 최고의 청취율·시청률을 자랑했다.

2. 3. 언론통폐합과 폐국 (1980)

12.12 사태 이후 허문도가 주도한 언론통폐합 조치로 1980년 11월 30일 동양방송은 한국방송공사(KBS)에 강제로 통폐합되었다.[41] 이로써 1980년 12월 1일 0시를 기해 동양방송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당시 동양방송의 재산 규모는 3400억이었고, 동아방송은 약 420억, 기타 방송사들은 100억 미만이었다.[41] 중앙일보는 훗날 동양방송의 자산 규모를 7000억으로 추산하기도 했다.[16]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TBC 라디오는 AM 주파수는 KBS 제3라디오, FM 주파수는 KBS 2FM으로, TBC TV는 KBS 2TV로 변경되었다. 폐국을 앞두고 동양방송 TV 프로그램은 KBS 1TV에 흡수되었고,[18] 마지막 라디오 뉴스는 11월 30일 저녁 7시에 방송되었다. AM은 ''밤을 잊은 그대에게'', FM은 ''밤하늘의 메들리'' 방송 중 자정에 방송이 종료되었으며, TBC TV는 ''TBC 가족 여러분께 드리는 작별 인사'' 방송을 끝으로 밤 11시 30분에 송출을 마감했다.[19]

1980년 전두환 정권의 언론통폐합으로 동양방송은 11월 30일 폐국되었다.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은 KBS가 이어받아 KBS 제2텔레비전, KBS 제3라디오(현 KBS 제2라디오(해피FM)), KBS 2FM이 되었다. 마지막 방송일 밤, 동양방송 TV는 작별 특별 프로그램을 방영했고, 라디오는 밤 11시[25] 밤을 잊은 그대에게에서 진행자 황인용이 눈물로 작별 인사를 전했다. 이는 강제 통폐합이었지만, 형식상 자발적 통합이었기에 정부는 “비장하거나 눈물짓는 내용이 되지 않도록” 지시했다고 한다.[26]

허참은 2008년 3월 12일 MBC 라디오스타와 무릎팍도사에서 "동양방송 마지막 방송 때 많은 가수들이 울었고, 특히 이은하는 이 방송에서 운 것 때문에 한동안 방송 출연이 정지되기도 했다"고 회고했다.[17][27]

폐국 당시 동양방송의 마지막 방송 내용은 다음과 같다.

5분 남았습니다, 5분 남았습니다… 남은 5분이 너무 가혹합니다. 10분이었으면 좋았을 텐데. 5분이 10분이 될 수는 없을까요? 여러분이 소중히 여기셨던 동양방송이 사라진다 해도… 오랫동안 여러분의 마음속에 동양방송의 추억을 간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 4분 남았네요. 안녕히 계십시오. 안녕히 계십시오. 여기는 TBC 동양방송입니다. 여기는 여러분의 방송국, TBC 동양방송입니다. 다시 만날 때까지 건강하고 안전하게 지내시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일이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고, 하나님의 보호가 항상 TBC 가족 여러분과 함께 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떠납니다. 저도 이제 헤드폰을 벗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이제 제가 애착을 가지게 된 7스튜디오와 작별하며 동양방송을 떠납니다. 동양방송 방송 시간이 이제 3분 남았습니다. 마지막으로 동양방송의 호출 부호를 다시 한번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로… 630… 구킬로헤르츠… HLKC… 여기는… 동양방송입니다…
[14]

2. 4. 언론통폐합 이후

12.12 사태 이후 신군부 세력이 집권하여 허문도가 단행한 언론통폐합 조치에 따라 1980년 11월 30일 동양방송은 한국방송공사1980년 12월 1일 새벽 0시를 기해 강제 통폐합되어 없어졌다. 인수 합병 당시 동양방송의 재산 규모는 3400억에 달했다. 동아방송은 약 420억, 기타 방송들은 100억 미만이었다.[41]

노태우 정부 주도의 5공비리 수사 도중이자 제5공화국 청문회 직전인 1988년 10월, ‘동양방송부활 추진위’가 구성되어 방송 부활을 호소하는 결의문을 채택하였다.[42]

1990년 11월 26일, 중앙일보는 한국방송공사와 국가를 상대로 동양방송 강제 양도로 입은 손해에 대한 배상액 8600억을 지급하라는 배상금 지급신청을 서울지검 서울지구국가배상심의회에 제출하였으나, 위원회에서는 소멸 시효 3년이 경과했다는 이유로 중앙일보를 포함한 14개사의 손해배상 신청을 기각하였다.[43][44]

폐국 당시 동양방송 AM 라디오는 1980년 12월 1일에 동양라디오에서 KBS 제3방송으로 개칭되어 방송되다가, 1981년 9월 7일 KBS 제2라디오와 통합되어 KBS 제3방송은 폐국되었고, 이후 제3라디오라는 채널명은 2000년 1월 1일에 장애인 대상 채널인 사랑의 소리 방송으로 재개국했다. 1980년 12월 한국방송공사에 인수된 후, 당시 동양텔레비전은 KBS 2TV, 동양FM방송은 KBS 제2FM으로 채널명을 재개편했다. 당시 동양텔레비전 부산지국의 TV 호출부호는 KBS부산방송총국에 불하된 상태 KBS부산 2TV로 개편되었다. 당시 동양방송의 지역 계열사 네트워크였던 한국FMKBS대구방송총국에 인수되어 KBS대구FM으로, 전일방송KBS광주방송총국에 인수된 후 KBS광주 제3방송을 거쳐 1981년에 KBS 광주 제2라디오로 변경되었고, 서해방송은 KBS군산방송국에 인수, 당시 기준 군산방송국 제3방송 채널(1981년 KBS 군산 제2라디오로 개편됨)로 변경되었다.

19년 후인 2009년 11월 30일, 전 동양방송 관계자와 연예인 등 약 400명이 ‘동양방송 복원 기원 기도회’를 열고 중앙일보의 종합편성채널 사업 진출을 독려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중앙일보는 종합편성채널 선정 과정에서 한국방송통신위원회에 자사의 장기 프로젝트인 JTBC가 1980년 11월 30일 폐국된 동양방송의 계승자라고 주장했으며, 동양방송 폐국 31주년인 2011년 12월 1일에 개국했다.

동양방송의 FM 주파수인 89.1 MHz는 1980년 12월 1일 KBS 2FM이 되었고, 동양방송 부산지사의 TV 호출 부호는 KBS 부산 2TV로 개편되었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쿠데타로 집권하면서 언론 통폐합이 단행되었고, 동양방송도 같은 해 11월 30일에 폐국되었다.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국 사업은 공영 방송인 한국방송공사(KBS)가 이어받아 KBS 제2텔레비전, KBS 제3라디오(당시. 현재의 제2라디오 “Happy FM”), KBS 제2FM이 되었다. 마지막 방송일이었던 1980년 11월 30일 밤, 동양방송 TV에서는 작별 특별 프로그램이 방영되었고, 라디오에서는 밤 11시[25]의 「밤을 잊은 당신에게」에서 진행자 황인영이 눈물로 작별 방송을 진행했다. 이는 정권의 강제적인 통폐합이었지만, 명분상 자발적인 통폐합이었기에 정부로부터 “비장감이나 눈물 짓는 내용이 되지 않도록” 주문받았다고 한다.[26] 당시 유명 진행자 허참은 토크 프로그램 「무릎팍도사」의 2008년 3월 12일 방송분에서 “동양방송 폐국 방송에서 많은 가수들이 울어서 눈물바다가 되었다. 특히 이은하는 이 방송에서 울었던 일로 한동안 방송 출연이 정지되었다”고 말했다.[27]

언론 통폐합으로 실직한 직원 대부분은 KBS로 옮겨 방송 사업에 계속 종사했지만, 일부는 다른 길을 택하여 “TBCi.co.kr”이라는 웹사이트를 개설하는 등 TBC 부활을 위해 활동을 이어갔다.[28] 그러던 중 2010년, 이명박 정부에 의해 신문사의 방송 사업 진출이 허용되었고, 동양방송을 소유하고 있던 중앙일보는 일본의 스카퍼!에 해당하는 위성방송 및 케이블TV 방송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종합편성채널 진출을 신청했다. 같은 해 12월 31일, 동아일보, 조선일보, 매일경제신문과 함께 허가를 받았다.[29][30]

2011년 12월 1일, JTBC(중앙동양방송)으로 다시 개국했다. JTBC는 “부활 TBC, 탄생 JTBC”를 개국 당시 슬로건으로 내걸었지만, 재벌 계열 신문사의 방송 장악 시도가 아니냐는 비판도 있다.

현재 한국에는 SBS 계열의 지역 민영 방송국으로 대구광역시에 TBC(대구방송)이 있지만, 상술한 동양방송과는 무관하다.

3. 주요 프로그램

동양방송은 TV와 라디오 양쪽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특히 쇼쇼쇼 등의 쇼 프로그램과 드라마는 높은 인기를 얻었다.


  • '''TV 프로그램'''


1964년 12월 7일 동양텔레비전(DTV) 개국 이후 쇼쇼쇼를 비롯한 쇼 프로그램과 다양한 드라마로 인기를 얻었다.[35][36] TBC는 황금박쥐, 요괴인간 등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하기도 했다.[10][24]

  • '''라디오 프로그램'''


1964년 5월 9일 '''라디오 서울(RSB)'''로 최초 개국했으며, 1966년 1월 15일 동양방송(TBC)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5][36] TBC 라디오는 『밤을 잊은 그대에게』, FM에서는 『FM대행진』, 『정오의 팝송』 등의 프로그램을 방송했다.

3. 1. 뉴스 및 시사



1969년 7월에는 아폴로 11호 달 착륙을 TV와 라디오로 생중계했다.[11]

3. 2. 드라마

동양방송은 TV 개국 이후 쇼쇼쇼를 비롯한 쇼 프로그램과 다양한 연속극으로 이목을 끌었다. 당시 공사 출범 이전 상태의 국영방송이었던 KBS의 시청률을 능가했으며, 1969년 8월 민영방송 MBC TV 방송 개국 당시에는 동양방송이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었다. 이후 MBC가 여러 드라마를 히트시키며 MBC와 TBC 간 시청률 접전이 벌어졌지만, 전반적으로는 동양방송이 문화방송을 근소하게 앞섰다. (예능 제외) 국·공영방송인 KBS는 두 민방에 밀려 시청률이 높은 프로그램도 적었다.[35][36]

TBC는 KBS가 당시 달성하지 못했던 녹화 드라마 제작에서 우위를 점했다.[9]

3. 2. 1. 국내 드라마

3. 2. 2. 해외 드라마

3. 3. 예능 및 오락

1964년 12월 7일 동양텔레비전(DTV) 개국 이후 쇼쇼쇼를 비롯한 쇼 프로그램과 다양한 연속극으로 인기를 얻었다. 당시 공사 출범 이전 상태의 국영방송이었던 KBS의 시청률을 능가했으며, 민영방송 MBC가 1969년 8월에 TV 방송을 개국할 당시에는 아직 동양방송이 상대적으로 우위였다.[35][36]

동양방송의 주요 예능 및 오락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살짜기 웃어예
  • 좋았군 좋았어
  • 고전 유머극장
  • 중학생 퀴즈왕 (부산지국 자체 방송 프로그램)
  • 쇼쇼쇼 (뒷날 KBS 2TV로 이동)
  • 장수만세 (뒷날 KBS 1TV로 이동)
  • 가요올림픽
  • 호돌이와 토순이
  • 토요일이다! 전원출발

3. 4. 만화 영화

동양방송은 애니메이션 제작 부서를 운영하여 일본 애니메이션 회사에 하청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러한 계약 덕분에 황금박쥐와 요괴인간 제작에 참여했다.[10] 1960년대 말 일본에서 방송된 황금박쥐, 요괴인간 빔은 동양방송의 자회사인 동양동화가 애니메이션 제작을 담당했다.[24]

동양방송에서 방영한 만화 영화는 다음과 같다.

문화방송이 미국 제작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방송한 것에 반해, 동양방송은 일본 제작 애니메이션 방송이 많았다.

3. 5. TBC FM

1966년 8월 15일에 동양FM이 개국되었다.

  • 새아침의 멜로디
  • FM대행진 (후에 KBS 제2FM에서 방송.)
  • 안녕하세요 한순옥 입니다
  • 정오의 팝송
  • 가요앨범
  • 팝스다이얼
  • 7시의 데이트
  • 밤의 다이얼
  • 영화음악실
  • 밤하늘의 멜로디

3. 6. TBC 라디오

1964년 5월 9일 '''라디오 서울(RSB)'''로 최초 개국했으며, 1966년 1월 15일 주식회사 중앙방송(JSB)에서 동양방송(TBC)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5][36] 1966년 8월 15일에는 동양FM을 개국했다.

동양방송의 뿌리는 1964년 5월 9일에 개국한 '''라디오서울'''(약칭: RSB)에 거슬러 올라간다.[21] 서울에서는 문화방송, 동아방송에 이은 세 번째 민영 AM 라디오 방송국이었다. 주파수는 중파 1380kc/s였으나, 이후 두 차례의 세계적인 중파 재편으로 640kHz⇒639kHz로 변천했다.

1965년 6월 25일, 서울FM방송주식회사(호출 부호: HLCD-FM)가 FM 라디오 방송을 89.1MHz로 개시했다.[22] 1966년 8월 16일, 라디오서울은 중앙라디오(약칭: JBS)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66년 8월 15일, '''동양라디오'''(약칭: TBC)로 명칭을 다시 바꾸었다.

TBC 라디오는 밤 시간대에 『형사』 등의 라디오 드라마, 평일 저녁 8시부터의 스튜디오 공개 프로그램(프로그램명 불명), 그리고 당시 서울의 젊은 청취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KBS 통합 후 40년 이상이 지난 지금도 인기 장수 프로그램으로 존재하는 디스크자키 프로그램 『밤을 잊은 그대에게』를 방송했다. FM에서는 아침 와이드 프로그램 『FM대행진』, 『정오의 팝송』 등 한때 서울에서 최고의 청취율을 자랑했다.

  • '''TBC 라디오 프로그램 목록'''

프로그램명비고
밤을 잊은 그대에게현재 KBS 제2라디오에서 방송 중
가로수를 누비며
가요 대행진
기요 앙코르
목격자
안녕하세요 황인용 강부자입니다
웃으며 삽시다
이브의 연가
밤의 데이트
아차부인 재치부인드라마
이덕화, 임예진의 밤 10시 천방지축 라디오
라디오가 좋아
좋은 아침 행복 터치
음악 데이트
대박! 음악 트렌드
FM 명예의 전당
최신 음악
창인굿 라디오!
오늘의 음악
이슈와 사람들
라디오 신청곡
FM 오늘
TBC 뉴스 모닝
TBC ALL THAT CHART TOP 50
TBC 뉴스라인
FM 최신 인기가요
TBC 뉴스 2
TBC 12 뉴스
TBC 뉴스 7


4. 조직 및 네트워크

1964년 5월 9일 중앙일보사가 경영했던 민영 방송사로, 최고 지주는 삼성그룹 회장 호암 이병철이었다. 라디오 방송은 1964년 5월 라디오 서울을 시작으로 1965년 중앙방송(JSB), 1966년 동양방송(TBC)으로 사명을 변경했고, TV 방송은 그해 12월 7일 DTV라는 채널명으로 서울과 부산에서 개시되었다. 채널 번호는 VHF-HIGH 대역으로 서울 7번, 부산 9번이었다.[4][5][6] 1966년 8월 15일, 한국 최초로 FM 방송(광고방송 포함)을 개국했다.

1974년 중앙일보에 인수되어 주식회사 동양방송·중앙일보라는 사명으로 존속하기도 했다. 1979년 12월 1일 여의도로 본사를 이전했고, 1980년 4월 14일 개관식을 열었다. 이 채널 번호는 1980년 12월 언론통폐합으로 동양방송이 한국방송공사에 강제 통폐합되어 KBS 제2TV로 개국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TBC는 삼성과의 관계로 재정적 성공을 거두었다. 창업주가 방송국을 이끌었고, TV 보급이 적었던 시기에 더 많은 TV를 판매하는 것이 TBC의 숨겨진 목표 중 하나였다. TBC는 KBS가 달성하지 못했던 녹화 드라마 제작에서 우위를 점했다.[9] 또한 애니메이션 제작 부서를 운영하여 일본 애니메이션 회사에 하청 서비스를 제공, '''황금박쥐''', '''고스트 맨''' 제작에 참여했다. 1973년부터는 유니버설 아트(Universal Arts)를 첫 고객으로 미국 주문도 받아 한국 하청 산업의 길을 열었다.[10]

1960년대 후반 시설 확장을 위해 87만 달러 이상의 외채를 도입했고,[11] 1969년 7월 아폴로 11호 달 착륙을 TV와 라디오로 생중계했다. 1971년 동양방송의 명목 자본금은 4억 원으로 평가되었다.[12] 1970년대동아방송, 문화방송과 공동으로 송신탑을 설립했고,[13] 1978년부터 컬러 TV 방송 준비를 포함해 크게 성장했다.

동양TV 부산 지국은 마이크로웨이브가 없어 서울에서 직접 신호를 송출(동시 전송)할 수 없어 부산, 울산, 경상남도 지역 프로그램에 집중했다. '''쇼쇼쇼''' 등 서울 프로그램은 항공 또는 철도(육로)로 받아 방송이 1주일 늦춰져 지역 방송 독립성 강화에 기여했다.

4. 1. 본사 및 지국

폐국 직전 동양방송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있었고, 부산지국은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에 있었다.[35][36] 1980년 11월 30일에 동양방송의 서울본사와 부산지국이 언론통폐합으로 폐국되면서, 동양방송 서울 본사의 여의도 사옥은 현재 서울 여의도의 한국방송공사 별관으로 사용하고 있고, 부산 중구 중앙동에 있었던 동양방송 부산지국은 KBS부산방송총국으로 사용했다가 1988년 5월 지금의 수영구 남천동으로 사옥을 옮겼다.

4. 2. 제휴 및 지역 네트워크

1964년 5월 9일 동양라디오가 개국하고, 같은 해 12월 7일 서울 VHF 7채널(호출부호 '''HLCE-TV'''[4])에 본사를 둔 동양텔레비전(JBS)[5][6]이 개국했다. 부산 9채널 지국은 12월 12일에 개국했다. 1966년 1월 15일에는 중앙방송 주식회사에서 동양방송으로 사명을 변경했고,[7][8] 이듬해 8월 15일에는 동양FM을 개국했다.

지역 네트워크 구축에서는 문화방송에 뒤처졌다. 아래는 모두 폐국 당시 데이터이다.

모두 라디오 방송국이며, AM 방송국 2개의 주파수는 KBS 제3라디오(사랑의 소리 방송) 중계국으로, 한국FM방송은 KBS 대구 FM 방송으로 각각 변경되었다.

호출 부호방송국명주파수출력비고
HLAA전주방송 광주국1224kHz20kWKBS광주 제2라디오로 변경
HLAS서해방송 군산국675kHz10kWKBS전주 제2라디오로 변경
HLCB-FM한국FM방송 대구국89.7MHz1kWKBS대구 FM으로 변경

5. 사가 및 로고송

박두진이 작사하고 장일남이 작곡한 동양방송의 사가는 1975년 9월 22일에 제정되었다. 언론통폐합 이후 일부 가사가 수정되어 중앙일보의 사가로 쓰이고 있다.[1]

동양방송의 로고송은 다음과 같다.[1]

TBC 동양방송 라디오도 텔레비전도
FM도 동양방송 동양방송
뉴스도 교양도 오락도
하늘을 전파로 수놓아
해가 지고 달이 떠도 아~ 아~ 아~
사랑의 TBC 동양방송|TBC 동양방송 라디오도 텔레비전도, FM도 동양방송 동양방송, 뉴스도 교양도 오락도, 하늘을 전파로 수놓아, 해가 지고 달이 떠도 아~ 아~ 아~, 사랑의 TBC 동양방송한국어

5. 1. 사가

작사 박두진, 작곡 장일남. 1975년 9월 22일에 제정되었으며, 1980년 언론통폐합 이후 일부 가사만 바뀐 채 중앙일보의 사가로 쓰이고 있다.[1]

(1절) 겨레를 하나의 마음에 묶어/
뜨겁게 타오르는 우리의 정성/
인류의 고동 가슴에 품고/
자유언론 대도를 우리는 간다|겨레를 하나의 마음에 묶어, 뜨겁게 타오르는 우리의 정성, 인류의 고동 가슴에 품고, 자유언론 대도를 우리는 간다한국어

(2절) 참되고 슬기롭게 오늘을 살며/
드높이 펼쳐가는 우리의 이상/
내일의 번영 다지고 다져/
사회정의 대도를 우리는 간다|(2절) 참되고 슬기롭게 오늘을 살며, 드높이 펼쳐가는 우리의 이상, 내일의 번영 다지고 다져, 사회정의 대도를 우리는 간다한국어

(후렴) 아아 푸른깃발 우리의 기상/
무궁한 내일의 보람을 안고/
나가자 약진하자 중앙일보 동양방송|(후렴) 아아 푸른깃발 우리의 기상, 무궁한 내일의 보람을 안고, 나가자 약진하자 중앙일보 동양방송한국어

5. 2. 로고송



FM도 동양방송 동양방송

뉴스도 교양도 오락도

하늘을 전파로 수놓아

해가 지고 달이 떠도 아~ 아~ 아~

사랑의 TBC 동양방송[1]

참조

[1] 웹사이트 Papers of the British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https://books.google[...] 1992-04-30
[2] 서적 Troubled Tiger: Businessmen, Bureaucrats, and Generals in South Korea (추가 정보 필요) 1998
[3] 서적 Understanding Modern East Asian Politics (추가 정보 필요) 2005
[4] 뉴스 Opening on the 7th, Private Broadcasting Station Tongyang Broadcasting Television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64-12-05
[5] 뉴스 Radio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65-08-10
[6] 뉴스 Radio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66-01-06
[7] 뉴스 JoongAng Broadcasting changed its name to Tongyang Broadcasting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66-07-23
[8] 뉴스 Radio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67-01-06
[9] 서적 K-Drama School https://books.google[...] Running Press 2024-04-30
[10] 서적 K-Animation: Befriending Children All Over the World https://books.google[...] 길잡이미디어 2013-04-30
[11] 뉴스 The TV boom in 1969 경향신문 1969-01-01
[12] 뉴스 Family business and money 매일경제 1971-02-23
[13] 뉴스 Conclusion of unified Namsan tower now operational 동아일보 1971-12-03
[14] 웹사이트 iTV, 방송 중단 앞두고 고별방송 추진 https://m.entertain.[...]
[15] 뉴스 Seoul merger plan to revamp news media https://eresources.n[...] The Straits Times 1980-11-17
[16] 뉴스 신군부, 방송 장악 위해 강제 폐방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0-01-08
[17] 뉴스 허참 "TBC 고별방송 눈물바다, 이은하 너무 울어 방송출연 금지" http://www.newsen.co[...] NEWSEN 2008-03-13
[18] 뉴스 기존TBC-TV프로 최대한 살려 https://www.mk.co.kr[...] 매일경제 1980-11-27
[19] 뉴스 DBS·TBC등 https://www.mk.co.kr[...] 매일경제 1980-12-01
[20] 웹사이트 KBS Song Festival: A History https://snackfever.c[...] 2017-12-30
[21] 웹사이트 (정보 부족, 추가 정보 필요)
[22] 웹사이트 (정보 부족, 추가 정보 필요)
[23] 웹사이트 (정보 부족, 추가 정보 필요)
[24] 웹사이트 (정보 부족, 추가 정보 필요)
[25] 웹사이트 (정보 부족, 추가 정보 필요)
[26] 뉴스 신군부, 방송 장악 위해 강제 폐방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0-01-08
[27] 뉴스 허참 “TBC 고별방송 눈물바다, 이은하 너무 울어 방송출연 금지” http://www.newsen.co[...] NEWSEN 2008-03-13
[28] 웹사이트 (정보 부족, 추가 정보 필요)
[29] 뉴스 報道専門放送チャンネル事業者に聯合ニュース選定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10-12-31
[30] 뉴스 韓国の4新聞社がケーブルテレビ進出 「共倒れ」懸念も http://www.asahi.com[...] 아사히 신문 2010-12-31
[31] 뉴스 商業放送을凖備 동아일보 1962-09-26
[32] 뉴스 民間東洋TV許可 동아일보 1963-01-01
[33] 뉴스 技術援助등要請 東洋TV서日本에 경향신문 1963-06-15
[34] 뉴스 活氣띠게될 TV放送界 경향신문 1964-02-17
[35] 뉴스 7日開局 첫民間放送局 東洋텔레비전 동아일보 1964-12-05
[36] 일반
[37] 뉴스 民間TV붐 경향신문 1969-01-01
[38] 일반
[39] 뉴스 企業家와財閥 매일경제 1971-02-23
[40] 뉴스 「남산綜合送信塔」完工,가동단계 동아일보 1971-12-03
[41] 뉴스 통폐합때 민영방송 재산 방송공사,3백40억 인수 한겨레 1988-10-11
[42] 뉴스 東洋·東亞방송 부활추진 경향신문 1988-10-20
[43] 뉴스 「言論통폐합」損賠신청 기각 경향신문 1991-02-09
[44] 일반
[45] 일반
[46]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