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인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인방송은 1997년 인천방송으로 개국하여 2000년 경인방송으로 사명을 변경한 라디오 방송국이다. 메이저 리그 중계 등 스포츠 중계로 주목받았으나, 경영난과 노사 갈등으로 2005년 TV 방송이 폐지되었다. 이후 FM 라디오 방송을 재개하여 현재까지 운영 중이며, 2016년 경인방송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폐지된 라디오 방송국 - 자유의 소리
    자유의 소리는 대한민국에서 대북 심리전을 위해 1962년에 시작되어 여러 차례 중단과 재개를 거쳐 2024년 북한의 오물 풍선에 대응하여 확성기 방송으로 다시 시작되었다.
  • OCI의 이전 자회사 - 옥시레킷벤키저
    옥시레킷벤키저는 가습기 살균제 사건으로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키고, 로비를 통해 연구 결과를 조작하여 재판을 받았으며, 전 대표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 OCI의 이전 자회사 - SK스페셜티
    SK스페셜티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 사용되는 특수가스와 전구체를 생산, 판매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대백물산주식회사로 설립되어 대백신소재를 거쳐 SK그룹에 인수된 후 SK머티리얼즈 홀딩스로 사명을 변경했다가 2022년 현재의 이름으로 출범했으며, 산업용 가스, 특수가스, 전구체 사업을 통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2004년 폐지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ETN 드라마
  • 2004년 폐지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제3영화채널
경인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국어명경인방송
한자京仁放送
영문명Kyung-In Broadcasting Co. Ltd
약칭iFM
구분민영방송
방송 영역지상파 라디오 방송
창립일1997년 1월 7일
개국일1997년 10월 11일(iTV)
2003년 6월 30일(iTV iFM)
2005년 3월 1일(경인방송)
폐국일2004년 12월 31일(iTV)/(iTV iFM)
해체일2004년 12월 31일
이후OBS경인TV
직원 수100여명
본사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아암대로287번길 7 (학익동)
사장이기우 (대표이사 사장)
웹사이트경인방송
사옥
경인방송 사옥
기타
다른 뜻OBS경인TV

2. 연혁

1997년 10월 11일 인천방송(仁川放送)으로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고, 2000년 경기도 남부 지역으로 방송을 확장하면서 경인방송(京仁放送)으로 이름을 변경했다.[1] 2001년에는 FM 방송(iFM)을 개국했다.

한국방송공사(KBS), 문화방송(MBC), SBS(SBS) 등 3대 방송사보다 먼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텔레비전 독점 중계권을 획득, 박찬호 투수의 경기를 독점 중계하여 주목받았다. KBO 리그와 한국프로농구 생중계, 해외 축구, WWE, WCW 등을 방영하며 스포츠 중계로 인기를 얻었다.

개국 초기에는 케이블TV를 통해서도 방송되었으나, 방송통신위원회의 권고로 재송신이 중단되는 등 여러 제약이 있었다. YTN에서 뉴스 보도 일부를 제공받는 등, SBS 계열에 속하지 않은 독립 방송국이었다. 방만 경영, 부채, 잦은 파업으로 인해 2004년 12월 31일 TV 방송 허가가 갱신되지 않아 폐업했다.[1]

2005년 3월 15일 전 직원과 시민 자원봉사자들이 FM 라디오 방송을 재개하고, TV 방송 허가 재발급을 위한 활동을 시작했다. 2006년 4월 1일 사명을 라디오인천 (Sunny FM)으로 변경했다가 2007년 10월 11일 다시 경인방송으로 돌아왔다.

2008년 12월 26일 iTV경인방송(채널명 iTV)으로 2009년 개국을 위해 비즈니스 정보 전문 채널 등록을 신청했으나, 경영난으로 무산되었다. 2013년 11월 19일 OBS경인TV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2]

2021년 9월 28일, 인천일보, 인천신문, 경인방송 등 인천지역 3개 언론사가 상호통합을 전제로 하는 업무협조를 한다는 전제하에 통합을 합의하기로 발표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미국 MKTV와 업무협정을 체결했다. 2024년 1월 iHQ와 MOU를 체결하였다.[10]

2. 1. 1990년대

1997년 10월 11일 인천방송(仁川放送)으로 인천(21채널)에서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하였다. 한국방송공사(KBS), 문화방송(MBC), SBS(SBS) 3사에 앞서 메이저리그(MLB) 텔레비전 독점 중계권을 획득하여, 박찬호 투수의 경기를 독점 중계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그 외에도 3대 방송사의 방영 횟수가 적은 KBO리그한국농구리그의 생중계를 자주 진행하고, 해외 축구와 WWE, WCW를 방영하는 등 스포츠 중계를 하였다.[1]

2. 1. 1. 1997년

1997년 10월 11일, 인천광역시OCI(당시 동양화학공업)의 노력으로 UHF 채널 21번으로 TV 방송인 '''인천방송'''(仁川放送)으로 개국되었다.[1] 메이저 리그 독점 중계권을 획득하였고 때마침 박찬호 신드롬 때문에 전국에서 불법으로 재송신을 하는 것이 유행일 정도로 한때 국내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차지했었다.

2. 1. 2. 1998년

경인방송의 1998년과 관련된 내용은 제공된 소스에 없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다.

2. 2. 2000년대

2000년 3월 20일 경기도 남부까지 방송 권역을 넓히면서, '''인천방송'''에서 '''경인방송'''으로 이름을 바꾸고 VHF 채널 4번을 획득했다.[1] 2003년 6월 30일에는 FM 방송국(iFM)을 개국하여 경인 지역의 대표적인 민영방송으로 성장했다.

개국 초기에는 박찬호 신드롬과 함께 메이저 리그 독점 중계권을 따내면서 전국적인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방송통신위원회의 권고로 케이블TV 재송신이 중단되는 등 여러 제약이 경영난을 불러왔다.

결국, 방만 경영, 부채, 잦은 파업으로 2004년 12월 31일 TV 방송 허가가 갱신되지 않아 폐업했다.[1] 2005년 3월 15일 전 직원과 시민 자원봉사자들은 FM 라디오 방송을 다시 시작했고, 2006년 4월 1일 사명을 라디오인천 (Sunny FM)으로 변경했다가 2007년 10월 11일 다시 경인방송으로 돌아왔다.

2008년 12월 26일 iTV경인방송(채널명 iTV)으로 2009년 개국을 위해 비즈니스 정보 전문 채널 등록을 신청했으나, 경영난으로 실현되지 못했다.

2. 2. 1. 2000년

2000년 3월 20일 경기도 남부까지 방송 권역이 확대되면서 사명을 '''경인방송'''으로 변경하고, 그 해 VHF 채널 4번을 획득하였다.[1]

2. 2. 2. 2001년

2001년 FM 방송(인천 90.7MHz, 애칭: iFM)을 개시하였다.[1] 이 무렵, 후쿠오카시RKB 마이니치 방송과 자매국 관계를 맺었다. 한국방송공사(KBS), 문화방송(MBC), SBS 3대 방송사에 앞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텔레비전 독점 중계권을 획득하여, 미국에서 활약하는 박찬호 투수의 경기를 독점 중계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그 외에도 3대 방송사의 방영 횟수가 적은 KBO 리그한국프로농구의 생중계를 자주 진행하고, 해외 축구와 WWE, WCW를 방영하는 등 스포츠 중계가 간판 프로그램이었다.

2. 2. 3. 2003년

2000년, 수원시경기도(京畿道) 남부 지역으로 방송 지역을 확장(4채널)하면서 사명을 경인방송(京仁放送)으로 변경하였다.[1] 2001년에는 FM 방송(인천 90.7MHz, 애칭: iFM)을 개시하였다. 이 무렵, 후쿠오카시(福岡市)의 RKB매일방송(RKB毎日放送)과 자매국 관계를 맺었다.

한국방송공사(KBS), 문화방송(MBC), SBS 3대 방송사에 앞서 메이저리그(MLB) 텔레비전 독점 중계권을 획득하여, 미국에서 활약하는 박찬호 투수의 경기를 독점 중계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그 외에도 3대 방송사의 방영 횟수가 적은 KBO 리그와 한국농구리그의 생중계를 자주 진행하고, 해외 축구와 WWE, WCW를 방영하는 등 스포츠 중계가 간판 프로그램이었다.

2. 2. 4. 2004년

2004년 1월, 전 iTV 회장이었던 박상은 (전 새누리당 의원, 전 인천시 경제부시장)이 iTV를 자신의 인천광역시장 선거 출마를 위한 도구로 이용하려 했다는 문건이 폭로되었다.[4] 당시 대주주였던 OCI와 대한제당의 증자 및 경영 개선 약속 이행 거부로 인한 노조 파업이 2004년 10월부터 1달여간 지속되었고 방송 역시 파행에 이르게 되었다.[4]

이 과정에서 간접광고 관련 조항 위반이 90회 정도 상습적으로 적발되었고, 회사 자금에 대한 사회 환원 조건 역시 위반되면서 첨예한 갈등과 분쟁이 심화되었다.[4]

결국 노조 파업 끝에 2004년 12월 13일에 방송사 사상 초유의 직장 폐쇄 조치를 내리게 되면서, 그 해 12월 21일에 방송위원회의 재허가 추천 거부 결정으로 10일 후인 12월 31일 오전 11시 10분을 기하여 애국가 송출을 끝으로 TV(iTV), 라디오(iTV iFM) 마지막 방송이 종료되었다. 이는 1980년 언론통폐합 이후 정부기관에 의해 결국 폐국의 비운을 맞았던 가장 이례적인 사례로 꼽히게 되었다.[4]

2. 2. 5. 2005년


  • 3월 1일: iFM 90.7㎒ 라디오 FM 방송 재개 및 경인방송 살리미 발족식이 있었다.[1]
  • 4월: iTV 법인영업을 재개하였다.[1]
  • 5월: OCI가 지배주주 포기선언을 하고 신규 투자자 영입 관련 발표를 하였다. iTV 재개 10만인 청원 서명운동은 16만명을 돌파하였다.[1]
  • 6월: New iTV 시민운동본부가 발족되었다.[1]
  • 9월: iTV 이사회는 행정소송 취하 및 신규사업자 공모 참여 결의를 발표하였다.[1]
  • 12월: iFM은 라디오 방송사로서 방송국 재허가를 받았다.[1]
  • 2005년 3월 15일, 전 직원과 시민 자원봉사자들은 방송 허가가 아직 유효한 FM 라디오 방송을 재개하였다. 형식적으로는 24시간 방송을 유지하고 있으며, 시민들에 의해 텔레비전 방송 허가 재발급을 요구하는 활동도 시작되었다.[1]

2. 2. 6. 2006년

2006년 4월 1일, 사명을 경인방송에서 라디오인천으로, 애칭을 iFM에서 Sunny FM으로 변경하였다. 주파수는 변경되지 않았다.[1]

2. 2. 7. 2007년

2006년 FM 방송은 방송위원회로부터 조건부 재허가 추천을 받으면서 그해 4월 3일 사명을 경인방송에서 라디오 인천으로 바꾸고, 애칭을 iFM에서 SUNNY FM으로 변경하였다. 2007년 10월 11일부터 SUNNY FM 라디오 인천에서 경인방송으로 환원하였다.[4] 사명 환원의 배경은 "경인방송이라는 회사명이 인천 시민들과 청취자들에게 지난 10년 동안 친숙하게 불려 왔고, 인천보다 훨씬 넓은 지역까지 경인방송 전파를 통해 청취자들이 방송을 들어왔기 때문에 원래의 회사 이름을 다시 사용하게 됐다"는 것이었다.[4] 법원으로부터 2007년 10월 8일 회생계획 인가 결정을 받은 후 4년 연속 흑자 경영을 해왔다.[4]

2007년 당시 사옥 전경

2. 2. 8. 2008년

2008년 12월 26일 방송통신위원회는 iTV 경인방송(채널명: iTV)의 비즈니스 정보 전문 채널 PP 등록 신청을 허가하였다.[1] iTV는 경제자유구역 관련 비즈니스 정보를 주로 방송할 예정이었다. 2010년 종합편성채널 선정에도 관심을 보였다.

2008년 당시 사옥 전경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2008년도 방송평가에서 경인방송은 ‘내용 및 편성’ 평가에서 250점 만점에 216.25점을 받아 전국 149개 라디오 방송사에서 공동 1위(CBS AM·FM)를 기록했다.[2]

2. 3. 2010년대

2008년 12월 26일, iTV경인방송(채널명 iTV)은 2009년 개국을 목표로 비즈니스 정보 전문 텔레비전 채널 등록을 신청했고, 경제자유구역 관련 비즈니스 정보를 중심으로 방송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경영난으로 인해 2010년에 계획했던 위성 및 케이블 텔레비전을 위한 종합 편성 채널 진출은 실현되지 못하였다.

2013년 11월 19일, OBS경인TV와 업무 제휴 협정을 체결하여 콘텐츠 교류 및 공동 취재 등을 진행하기로 하였다.[2]

2. 3. 1. 2010년

2008년 12월 26일, iTV경인방송(채널명 iTV)은 2009년 개국을 목표로 비즈니스 정보 전문 텔레비전 채널 등록을 신청했다. 경제자유구역 관련 비즈니스 정보를 중심으로 방송할 예정이었다. 2010년에는 위성 및 케이블 텔레비전을 위한 종합 편성 채널 진출 의향도 있었으나, 모두 경영난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하였다.[2]

2. 3. 2. 2011년


  • 7월: 방송위원회(현재 방송통신위원회)는 채널 운용 정책을 발표하고, 서울 지역 역외 재송신 허용 방침을 발표하였다.
  • 대한민국 최초의 아웃도어 대형 맥주축제로 시작한 '''송도맥주축제'''는 전국 각지에 수많은 아류 축제를 낳으며 맥주축제의 선풍을 일으켰다.
  • 2011년 송도컨벤시아에서 처음 시작된 후 2016년부터 인천 연수구 송도달빛축제공원에서 매년 8월 마지막 주 금요일부터 9일 동안 행사가 열린다.

418x418픽셀

  • 2011년 약 15만 명, 2014년 30만 명, 2017년 70만 명, 2019년 80만 명이라는 관람객 기록을 세우며 국내 최대 규모의 축제가 됐다.
  • 경인방송은 2011년 7월에 인천광역시의 재난 방송 주관 방송사로 지정되었음에도 서해 5도 지역에 방송이 제대로 수신되지 않는다는 문제를 들어 방송국을 비롯한 각계 인사들이 방송통신위원회 측에 지속적인 건의하였고, 이것이 받아들여져 출력을 5㎾로 증강하였다.
  • 개국 당시부터 2011년 10월 10일까지 1㎾의 출력으로 송신하였다.

2. 3. 3. 2013년


  • 3월 1일: 경인방송 iFM 90.7㎒ 라디오 FM 방송 재개 및 경인방송 살리미 발족식이 열렸다.
  • 4월: iTV 법인영업이 재개되었다.
  • 5월: OCI가 지배주주 포기선언을 하고 신규 투자자 영입 관련 발표를 했다. iTV 재개 10만인 청원 서명운동은 16만 명을 돌파했다.
  • 6월: New iTV 시민운동본부가 발족되었다.
  • 9월: iTV 이사회는 행정소송 취하 및 신규사업자 공모 참여 결의를 발표했다.
  • 12월: iFM은 라디오 방송사로서 방송국 재허가를 받았다.[2]

2. 3. 4. 2016년

Sunny FM영어 라디오 인천에서 경인방송으로 사명을 환원하였다. 사명 환원의 배경은 "경인방송이라는 회사명이 인천 시민들과 청취자들에게 지난 10년 동안 친숙하게 불려 왔고, 인천보다 훨씬 넓은 지역까지 경인방송 전파를 통해 청취자들이 방송을 들어왔기 때문에 원래의 회사 이름을 다시 사용하게 됐다"는 것이었다.[1]

2. 4. 2020년대

2021년 9월 28일, 인천일보, 인천신문, 경인방송 등 인천지역 3개 언론사가 상호통합을 전제로 하는 업무협조를 한다는 전제하에 통합을 합의하기로 발표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미국 MKTV와 업무협정을 체결했다. 11월에는 2020년 3월 30일에 폐업한 경기방송을 대체하는 경기지역 지상파 라디오방송사 사업자에 신청했고,[10] 12월에는 FM 방송국 재허가를 받았으며, 인천교통공사, 판도라TV, 두원공과대학과 업무협정을 체결했다.

2024년 1월 iHQ와 MOU를 체결하였고,[10] 3월에는 강효상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1] 4월에는 권영만 회장이 사임하였다.[11] 7월에는 영어 뉴스 송출을 개시하였으며, 9월에는 강효상 대표이사가 사퇴하였다.[2] 11월에는 이기우 대표이사가 취임하였고,[3] 가수 태진아와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MOU를 체결하였다.[4] 또한 심형래와 '코미디 가요쇼' 제작 방송 MOU를 체결하고,[5] (사)K-W문화예술인협회와 상호발전 협력 MOU를 체결하였다.[6] 12월에는 대한민국재향경우회와 사회봉사 및 발전 협력 MOU를 체결하고,[7] 사회안전예방중앙회와 상호 협력 MOU를 체결하였으며,[8] 같은 달 권영만 회장이 취임하였다.[9]

2. 4. 1. 2021년


  • 9월 28일: 인천일보, 인천신문, 경인방송 등 인천지역 3개 언론사가 상호통합을 전제로 하는 업무협조를 한다는 전제하에 통합을 합의하기로 발표했다.
  • 10월: 미국 MKTV와 업무협정을 체결했다.
  • 11월: 2020년 3월 30일에 폐업한 경기방송을 대체하는 경기지역 지상파 라디오방송사 사업자에 신청했다.[10]
  • 12월: FM 방송국 재허가를 받았고, 인천교통공사, 판도라TV, 두원공과대학과 업무협정을 체결했다.

2. 4. 2. 2024년


  • 1월 : iHQ와 MOU를 체결하였다.[10]
  • 3월 : 강효상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1]
  • 4월 : 권영만 회장이 사임하였다.[11]
  • 7월 : 영어 뉴스 송출을 개시하였다.
  • 9월 : 강효상 대표이사가 사퇴하였다.[2]
  • 11월 : 이기우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3]
  • 11월 : 가수 태진아와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MOU를 체결하였다.[4]
  • 11월 : 심형래와 '코미디 가요쇼' 제작 방송 MOU를 체결하였다.[5]
  • 11월 : (사)K-W문화예술인협회와 상호발전 협력 MOU를 체결하였다.[6]
  • 12월 : 대한민국재향경우회와 사회봉사 및 발전 협력 MOU를 체결하였다.[7]
  • 12월 : 사회안전예방중앙회와 상호 협력 MOU를 체결하였다.[8]
  • 12월 : 권영만 회장이 취임하였다.[9]

3. 방송 프로그램

경인방송은 뉴스, 시사, 음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성남FM, 인천광역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을 비롯한 여러 기관과 업무 협정을 맺어 방송 영역을 넓히고 있다.

3. 1. 라디오 (FM 90.7㎒)

(평일),
12:05 ~ 14:00
(주말)박현준의 라디오 가가매일14:05 ~ 16:00언제나 좋은날 채리입니다매일16:05 ~ 18:00Always 인천 배칠수입니다매일18:05 ~ 20:00박성용의 시선공감평일18:05 ~ 19:00[http://www.ifm.kr/program/icport 여기는 인천항 유동현입니다]토19:00 ~ 20:00[http://www.ifm.kr/program/sky907 최희선의 SKY 907]토18:05 ~ 19:00[http://www.ifm.kr/program/ky_dinnershow 김양의 디너쇼]일19:00 ~ 20:00[http://www.ifm.kr/program/my_playlist 나의 플레이리스트]일20:00 ~ 22:00포근한 밤 김경옥입니다매일22:00 ~ 00:00델리스파이스의 뮤직시티매일00:00 ~ 05:00[http://www.ifm.kr/program/yourbgm 당신의 BGM]매일



2012년 4월 2일, 경인방송 iTVFM은 남인천방송과 함께 뉴스 프로그램 '경인방송 NIB 뉴스'를 첫 방송했다. 2012년 10월 11일에는 iTVFM의 전파 출력을 1㎾에서 5㎾로 확대했다.[1]

경인방송은 성남FM, 인천광역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중국 대련 개발구TV, 중국 흑룡강신문사, 인천교통공사, 인천사회복지공동모금회,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등 다양한 기관과 업무협정을 체결했다.[1] 2012년 7월 1일에는 인천시와 지역 라디오 재난 주관 방송 협약을 맺었다.[1]

4. 방송 송출 시설망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
수봉산 송신소FM 90.7㎒5kWHLDO-FM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2동 산21-1한국어



경기 서북부·경기 서남부 일부, 인천, 서울 일부

5. 주요 사업

경인방송은 라디오 방송 사업을 주력으로 하며, 송도세계문화축제 개최 등 다양한 문화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5. 1. 송도맥주축제

경인방송은 2013년 8월 26일부터 8월 31일까지 제3회 송도세계문화축제를 개최하였다.[7] 2014년 9월 12일부터 9월 20일까지는 제4회 송도세계문화축제를 개최하였다.[7]

5. 2. 청라와인페스티벌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경인방송의 청라와인페스티벌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 결과와 동일합니다.

6. 비판 및 논란

경인방송은 여러 비판과 논란에 직면해 왔다. 주요 문제는 다음과 같다.

문제내용
경영진 문제2017년 3월, 박민서 회장과 38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경인방송 방송위원회가 발족했다.[8]
노사 갈등 및 방송 파행2004년 12월 13일, iTV iTV는 계속되는 파업으로 인해 용역을 동원하여 직장을 폐쇄했다.[8]
재허가 추천 거부2004년 12월 21일, 방송위원회(현재 방송통신위원회)는 iTV에 대한 재허가 추천을 거부하였다.[8] 결국 같은 해 12월 31일, TV와 라디오 방송은 정파 및 폐국되었다.[8]


6. 1. 경영진 문제

2017년 3월, 경인방송은 박민서 회장과 38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방송위원회를 발족했다.[8]

6. 2. 노사 갈등 및 방송 파행

2004년 12월 13일, iTV iTV는 계속되는 파업으로 인해 용역을 동원하여 직장을 폐쇄했다.[8] 같은 해 12월 21일, 방송위원회는 iTV의 재허가 추천을 거부했다.[8] 결국 2004년 12월 31일 오전 11시 10분, TV와 라디오 방송은 정파 및 폐국되었다.[8]

6. 3. 재허가 추천 거부

2004년 12월 21일, 방송위원회(현재 방송통신위원회)는 iTV에 대한 재허가 추천을 거부하였다.[8] iTV는 계속되는 파업으로 인해 용역을 동원하여 직장을 폐쇄했고, 결국 12월 31일 오전 11시 10분을 기해 TV와 라디오 방송이 정파되면서 폐국되었다.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http://www.pdjournal[...]
[3] 문서
[4] 문서
[5] 뉴스 경인방송, 중국 칭다오방송과 우호협력 체결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9-08-20
[6] 문서
[7] 뉴스 OBS·iFM, 업무 제휴 체결 "경인지역 방송 위상 새롭게 정립할 것" http://www.obsnews.c[...] OBS 플러스 (OBS 뉴스) 2013-11-19
[8] 문서
[9] 뉴스 OBS·iFM, 30일 MOU체결…'경인방송' 상호 공동 사용 http://www.obsnews.c[...] OBS 플러스 (OBS 뉴스) 2018-01-30
[10] 뉴스 경기지역 신규 라디오방송사업자 선정 절차 돌입...11월 12일까지 접수 https://www.pdjourna[...] PD저널 2021-10-01
[1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