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군군수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군수사령부는 육군의 군수 보급을 총괄하는 대한민국 육군 소속 부대이다. 1960년 군수기지사령부로 재창설되어, 1970년 군수사령부로 개편되었다. 전군 통합 물자 지원, 탄약 관리 및 보급, 정비창을 통한 창정비 임무를 수행하며, 예하 부대로 1, 5군수지원사령부, 탄약지원사령부, 종합보급창, 종합정비창 등을 두고 있다. 2007년 대전광역시 유성구로 이전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군수사령부 - 해군군수사령부
    해군군수사령부는 1974년 창설되어 해군의 군수 지원을 수행하며 보급창, 병기탄약창, 정비창, 정보통신전대 등을 예하에 두고 각 부대는 해군의 보급, 병기 및 탄약 관리, 장비 정비, 정보통신망 운영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군수사령부 - 공군군수사령부 (대한민국)
    대한민국 공군의 군수 지원을 담당하는 공군군수사령부는 1966년 창설되어 항공자원관리단, 종합보급창, 항공정비창 등의 예하 부대를 통해 항공기 정비, 군수 물자 보급, 정보통신 및 전자 장비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항공기술연구소, 군수전산소, 항공소프트웨어지원소를 운영하여 공군 전력 유지와 작전 수행 능력을 지원한다.
  • 대한민국 육군의 사령부 - 육군제2작전사령부
    육군 제2작전사령부는 1954년 창설된 제2야전군사령부에서 개편되어 전라, 충청, 경상 지역의 후방 작전, 경비, 예비군 훈련, 재해·재난 구호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작전사령부이다.
  • 대한민국 육군의 사령부 - 지상작전사령부
    지상작전사령부는 대한민국 육군의 작전사령부로, 과거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을 통합하여 2019년 1월 1일에 창설되었으며, 평시에는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전시에는 한미 연합사령부 예하 지상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한다.
  • 1960년 설립된 단체 - 유럽 자유 무역 연합
    유럽 자유 무역 연합(EFTA)은 1960년 유럽 경제 공동체(EEC)에 대한 대안으로 7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현재는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위스, 리히텐슈타인이 회원국이며 EU와 다수의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하여 국제 무역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1960년 설립된 단체 - 대한반공청년단
육군군수사령부
기본 정보
육군군수사령부 휘장
육군군수사령부 휘장
원어 이름陸軍軍需司令部
활동 기간1960년 1월 15일 - 현재
소속육군
병과군수
종류기능 사령부
역할군수
규모3개 사령부, 3개 보급단, 4개 정비단 등
명령 체계육군본부
본부대전광역시 유성구
별명칠성대(七星臺)
웹사이트공식 URL
지휘관[[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Lieutenant General (OF-8).svg|30px]] 중장 손대권 (육사 47기)
지휘관 명칭사령관
영어 이름ROK Army Logistics Command

2. 역사

1954년 부산광역시에서 제2관구사령부로 창설되었으나, 군수사령부 측에서는 2관구사를 부대의 전신으로 삼지 않는다. 1960년 군수보급 조정 및 통제를 위해 '군수기지사령부'라는 이름으로 재창설되었고, 군수사령부 측에서는 부대 역사의 시작으로 삼고 있다.

1970년 12월 15일, 군수사령부로 개편되었다.[1]

1982년 8월 16일, 제53사단이 창설되자, 부산지역 위수임무를 53사단에 인계하였다. 과거 군수사 예하로 있던 항만단이 국군수송사령부로 넘어가고 여러 정비창, 보급창이 통폐합되는 등 개편을 거쳤다.

2007년 2월부로 부산 남구 대연동에서 대전광역시 유성구 소재 육군교육사령부(2004년 대전 자운대로 이전) 옛 부지로 이전하였다. 이때 부산 구 사령부 부지에 심어졌던 박정희의 기념식수도 같이 이전하였다.

2. 1. 창설과 발전

1954년 부산광역시에서 제2관구사령부로 창설되었으나, 군수사령부 측에서는 2관구사를 부대의 전신으로 삼지 않는다. 1960년 군수보급 조정 및 통제를 위해 '군수기지사령부'라는 이름으로 재창설되었고, 군수사령부 측에서는 부대 역사의 시작으로 삼고 있다.

1970년 12월 15일, 군수사령부로 개편되었다.[1]

1982년 8월 16일, 제53사단이 창설되자, 부산지역 위수임무를 53사단에 인계하였다. 과거 군수사 예하로 있던 항만단이 국군수송사령부로 넘어가고 여러 정비창, 보급창이 통폐합되는 등 개편을 거쳤다.

2007년 2월부로 부산 남구 대연동에서 대전광역시 유성구 소재 육군교육사령부(2004년 대전 자운대로 이전) 옛 부지로 이전하였다. 이때 부산 구 사령부 부지에 심어졌던 박정희의 기념식수도 같이 이전하였다.

2. 2. 대전 이전

1954년 부산광역시에서 제2관구사령부로 창설되었으나, 군수사령부 측에서는 2관구사를 부대의 전신으로 삼지 않았다. 1960년 군수보급 조정 및 통제를 위해 '군수기지사령부'라는 이름으로 재창설되었고, 군수사령부 측에서는 부대 역사의 시작으로 삼고 있다.

1970년 12월 15일, 군수사령부로 개편되었다.[1]

1982년 8월 16일, 제53사단이 창설되자, 부산지역 위수임무를 53사단에 인계하였다. 과거 군수사 예하로 있던 항만단이 국군수송사령부로 넘어가고 여러 정비창, 보급창이 통폐합되는 등 개편을 거쳤다.

2007년 2월부로 부산 남구 대연동에서 대전광역시 유성구 소재 육군교육사령부(2004년 대전 자운대로 이전) 옛 부지로 이전하였다. 이때 부산 구 사령부 부지에 심어졌던 박정희의 기념식수도 같이 이전하였다.

3. 역할 및 기능

군수사령부는 종합보급창을 통해 전군 통합 물자 지원, 탄약지원사령부를 통해 탄약 관리 및 보급, 종합정비창을 통해 창정비를 담당한다. 지상작전사령부, 제2작전사령부 예하에는 군수지원사령부가 소속되어 식품, 군복, 간단한 정비 등을 담당한다.[2]

3. 1. 주요 임무

군수사령부는 보급창을 통해 전군에 통합 물자 지원을, 탄약지원사령부를 통해 탄약 관리 및 보급을, 정비창을 통해 창정비를 담당한다. 군수지원사령부는 군수사령부가 아닌 지상작전사령부, 제2작전사령부 예하에 소속되어 식품, 군복 및 간단한 정비를 담당한다는 차이가 있다. 각 군수지원여단은 해당 전방 군단 예하이다.[2]

3. 2. 타 부대와의 관계

군수사령부는 보급창을 통해 전군 통합 물자 지원, 탄약지원사령부를 통해 탄약 관리 및 보급, 정비창을 통해 창정비 등을 담당한다. 지상작전사령부, 제2작전사령부 예하에는 군수사령부가 아닌 군수지원사령부가 소속되어 식품, 군복, 간단한 정비 등을 담당하는 차이가 있다. 각 군수지원여단은 해당 전방 군단 예하에 있다.[2]

4. 부대 구조

군수사령부는 보급창을 통해 전군 통합 물자 지원, 탄약지원사령부를 통해 탄약 관리 및 보급, 정비창을 통한 창정비 등을 담당한다. 지상작전사령부, 제2작전사령부 예하의 군수지원사령부는 군수사령부와 달리 식품, 군복 , 간단한 정비 등을 담당한다. 각 군수지원여단은 해당 전방 군단 예하 부대이다.[2]

4. 1. 예하 부대

5. 역대 지휘관

역대 육군군수사령부 지휘관으로는 초대 박정희 소장을 포함하여 2024년 4월 29일 기준, 41대 사령관인 손대권 육군 중장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3]

5. 1. 역대 지휘관 목록

대수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
1육군 소장박정희1960년 1월 20일1960년 7월 27일
2육군 소장박현수1960년 7월 28일1961년 8월 25일
3육군 소장김용순1961년 8월 26일1962년 7월 17일
4육군 소장신재식1962년 7월 18일1964년 8월 12일
5육군 소장노재현1964년 8월 13일1965년 8월 5일
6육군 소장최수종1965년 8월 6일1967년 8월 28일
7육군 소장이규학1967년 8월 29일1968년 3월 11일
8육군 소장이동화1968년 3월 12일1970년 1월 20일
9육군 중장고광도1970년 1월 21일1972년 7월 31일
10육군 중장임지순1972년 8월 1일1975년 9월 14일
11육군 중장김용휴1975년 9월 15일1977년 5월 3일
12육군 중장이범준1977년 5월 4일1977년 9월 1일
13육군 중장김학원1977년 9월 2일1979년 2월 2일
14육군 중장박찬긍1979년 2월 3일1980년 3월 2일
15육군 중장안종훈1980년 3월 3일1980년 8월 19일
16육군 중장최영구1980년 8월 20일1981년 6월 1일
17육군 중장문응식1981년 6월 2일1983년 6월 1일
18육군 중장김용진1983년 6월 2일1985년 6월 4일
19육군 중장류근무1985년 6월 5일1987년 6월 16일
20육군 중장정숭열1987년 6월 17일1989년 6월 15일
21육군 중장김상호1989년 6월 16일1991년 6월 23일
22육군 중장배일성1991년 6월 24일1992년 11월 23일
직무대리육군 소장이중환1992년 11월 23일1992년 12월 26일
23육군 소장이중환1992년 12월 26일1993년 4월 26일
24육군 중장최경근1993년 4월 26일1995년 10월 19일
25육군 중장유재열1995년 10월 20일1996년 10월 17일
26육군 중장김석원1996년 10월 30일1998년 4월 12일
27육군 중장안성용1998년 4월 13일2000년 5월 26일
직무대리육군 소장김세환2000년 5월 27일2000년 11월 9일
28육군 중장정중민2000년 11월 10일2002년 10월 29일
29육군 중장김기성2002년 10월 30일2005년 5월 3일
30육군 중장류우식2005년 5월 4일2006년 11월 29일
31육군 중장양원모2006년 12월 4일2008년 4월 4일
32육군 중장이봉원2008년 4월 4일2009년 11월 4일
33육군 중장이상돈2009년 11월 4일2012년 2월 2일
직무대리육군 중장전동운2012년 2월 2일2012년 5월 2일
34육군 중장전동운2012년 5월 2일2014년 4월 24일
35육군 중장정항래2014년 4월 24일2016년 10월 27일
36육군 중장이정근2016년 10월 27일2019년 5월 10일
37육군 중장박주경2019년 5월 10일2020년 12월 8일
38육군 중장황대일2020년 12월 8일2021년 6월 2일
39육군 중장박양동[3]2021년 6월 3일2022년 6월 8일
40육군 중장엄용진2022년 6월 9일2024년 4월 28일
41육군 중장손대권2024년 4월 29일임기중


참조

[1] 웹인용 군수기지사령부 https://web.archive.[...] 국가기록원 2012-02-09
[2] 뉴스 <‘암덩어리 규제’ 혁파>전국 9곳 탄약창 중 6곳 충청권 집중…개발 ‘발목’ https://n.news.naver[...] 2021-08-29
[3] 뉴스 육군 군수사령관에 박양동 중장 취임 http://www.chungnami[...] 2021-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