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제7기동군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제7기동군단은 대한민국 육군의 기동군단으로, 1969년 동해안경비사령부로 창설되어 동해안 방어를 담당했다. 1982년 제7군단으로 개편된 후, 1983년 기동군단으로 전환되어 수도권 방어 임무를 수행하며,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제20기계화보병사단 등을 예속했다. 현재는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제2신속대응사단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으며, 한국군 최초이자 유일하게 모든 부대가 기계화된 군단이다. 전시에는 한미연합군사령부의 지휘를 받으며, 주한 미군 제2보병사단과 함께 작전을 수행한다. 과거 군단장 헬기 추락 사고와 일부 지휘관의 가혹행위 논란 등의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군단 - 제1군단 (대한민국)
    제1군단은 한국 전쟁 중 창설되어 동해안 방어, 원산 점령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현재 육군지상작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편성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군단 - 수도군단
    수도군단은 1954년 제6관구사령부를 모태로 1975년 군단으로 개편되어 서울 수도권 방위를 주요 임무로 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야전군급 부대이며, 국방개혁 계획에 따라 수도방위사령부와의 통폐합 논의 후 독립 체제를 유지하며 수도권 방위를 위한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육군지상작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운영되고 있다.
  • 이천시 소재의 관공서 - 육군특수전사령부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는 1969년 창설되어 육해공 다양한 경로로 적진에 침투해 특수작전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능사령부이며, 전시에는 연합특수전사령부를 구성하고 국내외 다양한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2016년 경기도 이천시로 이전했다.
  • 이천시 소재의 관공서 - 육군항공사령부 (대한민국)
    육군항공사령부는 대한민국 육군의 항공 작전을 지휘하며, 북한군 기계화 부대 타격, 근접 항공 지원, 특수 작전 등을 수행하고, 육군 항공병과 소장이 사령관을 맡아 AH-64E 아파치 등 다양한 항공기를 운용한다.
  • 1969년 설립 - 스완가드 스타디움
    스완가드 스타디움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버내비에 위치한 육상 경기장으로, 밴쿠버 화이트캡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07 FIFA U-20 월드컵 경기장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 1969년 설립 - 서울중앙성원
    서울중앙성원은 대한민국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 위치한 한국 최초의 이슬람 사원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터키 군인들을 통해 한국 무슬림 공동체가 형성된 후 1976년에 완공되었으며, 한국 이슬람교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제7기동군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7기동군단 휘장
제7기동군단 휘장
명칭제7기동군단
로마자 표기Chil Gidong Gundan
한자 표기七機動軍團
별칭북진선봉부대
로마자 표기Buk-jin Seon-bong
영어 표기Vanguard of Northern advance
창설일1969년 1월 18일
소속대한민국 육군
병과기계화보병
종류기동부대
역할공격
기동전
돌격
신속 지배
규모군단
군단 본부경기도 이천시
별명북진선봉 (Buk-jin Seon-bong)
군가제7군단 군가
현재 지휘관중장 김호복
약칭제7기동군단
통칭호북진선봉부대
지휘 관계
상위 부대지상작전사령부
위치
주둔지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장비
장비기갑전투차량 등

2. 역사

1969년 1월 18일,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 사건을 계기로 동해안 방어 강화를 위해 "동해안경비사령부"가 창설되었다. 같은 해 8월 18일, 제1, 2유격여단이 특수전사령부로 전속되었다.

1982년 8월, 제7군단으로 개편되었고, 이듬해 1983년 작전계획 5027-04와 전두환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공격에만 주력하는 기동군단으로 임무가 변경되어 경기도 이천시로 이동하였으며, 수도기계화보병사단제20기계화보병사단을 예속받았다.[18]

1992년 2월 14일, 육군 제3183부대 204항공대 소속 UH-1H 헬리콥터 추락 사고로 군단장 이현부 중장을 포함한 7명의 군단 간부가 사망했다.

2016년 이후, 제30기계화보병사단 외의 기계화보병사단을 지휘 하에 두어 기동군단으로서의 능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2. 1. 창설 배경

1968년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 사건을 계기로 동해안 방어 강화 필요성이 커졌다. 이에 1969년 1월 18일, 동해안경비사령부(동경사)가 창설되었다. 제1유격여단, 제2유격여단, 56연대, 58연대 등을 예하 부대로 편성하였다.[4] 같은 달 31일, 강원도 삼척시로 이동하여 강원도 동해안부터 경상북도 일부 지역까지 경비하였다.

2. 2. 초기 발전

제7기동군단의 전신은 1969년 1월 18일에 창설된 "동해안경비사령부"이다.[4] 같은 해 1월 31일, 강원도 삼척시로 이동하여 강원도 동해안과 경상북도 일부 지역을 경비하였다. 예하 부대로는 제1유격여단, 56연대, 58연대가 있었으며, 2월 17일에는 제2유격여단이 창설되었다.

1969년 8월 18일, 제1, 2유격여단은 특수전사령부로 예속이 변경되어 각각 제3공수여단과 제5공수여단으로 개편되었다.[4] 1974년에는 제1해안전투단이 창설되었고, 1975년 8월 1일에는 제68훈련단과 제88여단(55, 57연대 배속)이 창설되었다.[4]

2. 3. 기동군단으로 전환

1982년 8월 16일, 제7군단으로 개칭되었다.[18] 같은 날, 제1해안전투단, 56연대, 88여단을 통합하여 제22보병사단을 창설했다. 1983년, 작전계획 5027-04 및 전두환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공격에만 주력하는 기동군단으로 임무가 전환되었다.[18] 이에 따라 경기도 이천시로 이동하였으며, 수도기계화보병사단제20기계화보병사단을 예속받았다.[18]

2. 4. 현대화 및 변화

2021년 1월 1일, 제2작전사령부 예하 제201특공여단, 제203특공여단이 제2신속대응사단으로 예속되어 신속전개군이자 공중강습부대가 되었다.[18]

3. 편성

2013년 국군의 날 행진하는 7군단의 기갑차량들


제7기동군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편성이 변화되었다. 현재는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제2신속대응사단, 제8기동사단, 제11기동사단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3. 1. 현재 편성

3. 2. 과거 편성

1969년 1월 18일, 제1유격여단이 창설되었고, 같은 해 8월 18일에 특수전사령부로 예속되었다.[3] 1969년 2월 17일에는 제2유격여단이 창설되었고, 역시 같은 날 특수전사령부에 예속되었다.[3]

1974년 제1해안전투단이 창설되었다. 1975년 8월 1일, 제88여단이 창설되었으며, 1982년 8월 16일에 제1해안전투단과 병합되었다. 같은 날, 제88여단 예하 제58연대는 제22보병사단으로 예속이 변경되었다.[3]

1975년 8월 1일 제68훈련단이 창설되었고, 1987년에 사단으로 승격되었다.[3]

제707특공연대는 제7강습대대로 축소되었고, 제7강습대대는 다시 제1강습대대와 제2강습대대로 개편되었다.[3]

2008년에는 제517방공대대가 창설되었다.[3]

2016년 군 개편으로 제8기동사단, 제11기동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이 군단으로 전속되었다. 2018년에는 제26기계화보병사단이 해체되었고, 2019년에는 제20기계화보병사단이 해체되었다.[3]

4. 주요 임무 및 역할

제7기동군단은 한국군 최초이자 유일한 기동군단으로, 작전계획 5027에서 일부 임무가 변경되었으나, 적의 주요 축선을 타격하는 임무를 맡는다. 대부분의 육군 군단에는 특공연대가 있지만, 7군단에는 제2보병사단과 함께 헬기로 적 종심을 타격하고 교두보를 구축하는 강습대대가 있다. 북한과의 전면전 발생 시 한미연합군사령부의 지휘 아래 미군과 함께 북한을 타격하는 역할을 한다.

주요 지휘관의 군사특기는 보병기갑이 혼재되어 있다. 김근태 군단장 시절 참모장(오정석)과 주임원사는 기갑 병과였다.

4. 1. 주요 임무

육군의 제7기동군단은 한국군 최초이자 유일한 기동군단이다. 군단 구성 부대 전체가 기계화되어 있다. 7군단은 현재의 작전계획 5027에서는 일부 임무가 변경되었다고 하나, 원래는 적이 서부전선 쪽 ‘하이웨이 1’ 축선과 ‘철원-문산’ 축선을 파고들 때 전열을 재정비한 뒤 공지합동전술 및 기동전술로 적의 종심을 타격하는 임무를 맡는 부대다. 때문에 대부분의 육군 군단에는 ‘특공연대’가 있지만 7군단에는 헬기에 탑승해 적 종심을 타격한 뒤 교두보 구축 역할을 맡는 ‘강습대대’가 있다. 여기다 주한미군의 제2보병사단도 한미연합군사령부의 전시지휘체계에서는 한국군의 7군단에 배속돼 함께 싸우게 된다. 즉 북한과의 전면전 발생 시 초기에 증원되는 신속전개군(Rapid deployment force)인 미국 육군 제18공수군단과 본토의 항공여단 등의 도움을 받아 미군과 함께 북한을 타격하는 역할을 맡는다.[2]

4. 2. 전략적 중요성

육군의 제7기동군단은 한국군 최초이자 유일한 기동군단으로, 예하 부대 전체가 기계화되어 있다.[2]

제7군단은 현재 한미 작전계획 5027에서 일부 임무가 변경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원래는 적이 서부전선 '1번 국도' 축선과 '철원-문산' 축선을 돌파할 경우, 전열을 재정비한 뒤 기동전술로 적의 종심을 타격하는 임무를 맡는 부대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야전군단이 '특공연대'를 보유하고 있는 반면, 제7군단은 헬기를 이용하여 적진 깊숙이 침투하여 교두보를 확보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강습대대'를 갖추고 있다.

또한, 주한 미군의 제2보병사단 역시 한미 연합군사령부의 전시 작전통제 체제 하에서 대한민국 육군의 제7군단에 배속되어 함께 전투를 수행한다. 즉, 북한과의 전면전 발생 시 초기에 증원되는 인 미국 육군 제18공수군단과 본토의 항공여단 등의 도움을 받아 미군과 함께 북한을 타격하는 역할을 맡는다.

5. 사건사고

제7기동군단과 관련하여 1992년 헬기 추락 사고와 2010년대 일부 지휘관들의 가혹행위 논란이 있었다. 1992년에는 경상북도 선산군에서 UH-1H 헬기가 추락하여 군단장 이현부 중장을 포함한 7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당하는 사고가 발생했고, 2002년에는 10주기 추모식이 거행되었다.

2010년대에는 박찬주 군단장과 윤의철 군단장의 가혹행위 논란이 있었다. 박찬주 군단장은 공관병 갑질 및 뇌물 수수 혐의로 불명예 전역했으며, 윤의철 군단장은 과도한 훈련 지시 등으로 논란이 되어 해임 요구 청원이 쇄도하였다.

5. 1. 1992년 군단장 헬기 추락 사고

1992년 2월 14일 오전 9시 45분경, 경상북도 선산군 장천면 상림리 마을 뒷편에 있는 삼정산 7부 능선에 육군 204항공대 소속 UH-1H 헬리콥터 1대가 추락하였다. 이 사고로 군단장과 군단 참모진 등 7명이 사망하고, 헬기 조종사 이지성 소령과 부조종사 이수호 대위 등 3명은 중상을 입고 국군병원으로 후송됐다.[19]

군단장 이현부 중장은 부대 순시를 위해 강원도 홍천에서 포항 방향으로 헬기로 이동 중이었다. 도중 테일로터 프로펠러가 떨어져 나가면서 균형을 잃고 마을 과수원으로 추락하였다. 안전띠를 벗어던지고 군단장을 살리기 위해 겹겹이 얼싸안아 충격완화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부조종사 이수호 대위는 헬기가 폭발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배터리를 떼어내려 했으며, 조종사 이지성 대위는 끝까지 조종간을 잡고 착륙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헬기는 완전히 부서졌고 떨어져 나간 테일로터는 500m가량 떨어진 논밭에서 발견되었다. 2월 16일 3야전군 사령부에서 영결식을 마친 뒤, 이현부 중장은 동작동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이튿날 군단 참모 6명은 대전광역시 국립묘지에 안장되었고, 보국훈장이 추서되었다.[20]

사망자 및 부상자 명단
구 분성 명비 고
사망자故 이현부 중장 (육사 20기)군단장
사망자故 허정봉 대령 (학군 13기)작전참모
사망자故 이원일 대령 (학군 11기)군수참모
사망자故 노용건 대령(진) (1992년 2월 3주차 진급예정, 육사 30기)감찰참모, 군단 작전참모 허정봉 대령 이임 전 군단에 배속되고 보직을 받음
사망자故 한황진 소령 (육사 38기?)비서실장
사망자故 서상권 중위 (육사 45기)부관
사망자故 조규성 상병 (22)승무원
부상자故 이지성 대위 (3사 15기)조종사 (사고 당시에는 중상을 입고 살았지만 1개월 후 사고 후유증으로 사망)
부상자이수호 대위(진) (학군 26기)부조종사
부상자문기남 상병 (22)승무원



2002년 2월 10일 서울특별시 국립묘지와 이튿날 2월 14일 수도사단에서 군단장 사고사 10주기 추모식이 시행되었다.[21]

5. 2. 일부 지휘관 가혹행위 논란

박찬주 중장은 2013년 4월 30대 군단장에 취임하여 2017년 7월까지 군단장 및 제2군사령관(대장) 재임 중 부인과 함께 공관병에게 사적인 잡무를 지시하고, 모욕 등의 갑질 행위를 반복했다.[1] 2014년에는 고철업자에게 2.2억을 빌려주고 7개월간 이자 명목으로 5000만을 받았으며, 군 사업 관련 편의를 제공하는 대가로 항공료, 호텔비, 식사비 등 약 760만 상당의 향응·접대를 받은 혐의도 받았다.[1] 군인권센터와 국방부 조사 결과, 제2군사령관에서 해임되고 불명예 전역했다.[1] 갑질 행위에 대해서는 2019년 4월 26일 수원지방검찰청이 불기소 처분했고, 뇌물 수수 혐의는 같은 달 서울고등법원에서 400만 벌금형이 확정되었다.[1] 박찬주 부인은 공관병에게 뺨을 때리고 발코니에 내쫓는 등 폭력 행위가 인정되어 2022년 6월 15일 대전지방법원에서 400만 벌금형이 확정되었다.[1]

윤의철 중장은 2018년 12월 34대 군단장에 취임했다. 그는 제28사단장 시절부터 '특급 전사' 달성을 위한 가혹한 훈련과 휴가 규제로 문제가 되었으며, 군단장 취임 후에도 유사한 과도한 훈련 지시를 반복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로 인해 군단장 해임을 요구하는 5000통 이상의 청와대 청원이 쇄도하는 이례적인 사태가 벌어졌다.[2] 육군본부는 처음에는 의혹을 부인했으나, 군인권센터 조사 결과 총 95건의 상담·정보 제공이 있었고, 병가 중인 병사에게 A4 용지로 인쇄한 진단서를 목에 걸도록 지시한 사실 등이 밝혀졌다. 결국 윤의철 중장은 이듬해 11월 교육사령관으로 전보되었다.[2]

6. 역대 군단장

제7기동군단 역대 군단장
#계급성명임관취임일이임일최종 보직참고
1소장강원채육사 5기1969년 1월 18일- 
19중장이현부육사 20기1991년 12월1992년 2월 14일재직 중 순직[19]
23중장김장수육사 27기2001년2003년 4월육군참모총장(대장), 국방부장관
24중장김병관육사 28기2003년 4월2005년 4월한미연합 부사령관(대장)
25중장김근태육사 30기2005년 4월2006년 12월 4일제1야전군 사령관(대장)
26중장김영후육사 31기2006년 12월 4일2008년 11월 11일
27중장박성규3사 10기2008년 11월 11일2010년 6월 28일제1야전군 사령관(대장)
28중장이준구육사 34기2010년 6월 28일2011년 11월
29중장임국선학군 17기2011년 11월2013년 4월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중장)
30중장박찬주육사 37기2013년 4월2014년 10월 14일2작전사령부 사령관(대장)
31중장장재환육사 39기2014년 10월 14일2016년 4월 29일교육사령부 사령관(중장)
32중장이종섭육사 40기2016년 4월 29일2017년 9월합동참모차장(중장)
33중장이정기육사 41기2017년 9월2018년 12월육군항공작전사령관(중장)
34중장윤의철육사 43기2018년 12월2019년 11월합동참모차장(중장)[22]
35중장허강수3사 23기2019년 11월2022년 6월제7기동군단장[23]
36중장고현석학군 29기2022년 6월2023년 4월
37중장김호복3사 27기2023년 4월2024년 4월
38중장박재열육사 49기2024년 4월


참조

[1] 간행물 "Standoff with North Korea: War Scenarios and Consequences" Center for Defense Information 2003
[2] 뉴스 The strongest Army 7th Maneuver Corps overwhelms the entire North Korean army... In case of emergency, the vanguard of the North advance https://n.news.naver[...] Maeil Business News 2021-11-02
[3] 뉴스 Establishment of the 6th and 7th Logistics Support Groups in the Army and Capital, and expans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1st Logistics Support Command https://www.newstown[...] Newstown 2023-08-02
[4] 뉴스 部隊の根・歴史的意義再確認(''부대의 뿌리·역사적 의의 되새겨'') http://kookbang.dema[...] 国防日報 2017-09-30
[5] 웹사이트 陸軍東海岸警備司令部令 http://www.law.go.kr[...] 国家法令情報センター 2017-09-30
[6] 뉴스 7軍団特急戦士圧迫…軍「全く事実じゃない」(''7군단 특급전사 압박...軍 “전혀 사실 아냐”'') http://www.sisaweekl[...] 時事週間 2024-11-14
[7] 뉴스 「特急戦士できないと眠れないで?」議論を引き起こした7軍団長(''“특급전사 못 따면 잠도 자지 마?”…논란 일으킨 7군단장'') https://www.ilyoseou[...] 時事週間 2024-11-14
[8] 뉴스 病気の兵士の首に「患者名札」…7軍団実態に軍「規定通りにした」(''아픈 병사 목에 ‘환자 명찰’...7군단 실태에 軍 “규정대로 했다”'') http://www.sisaweekl[...] 時事週間 2024-11-14
[9] 웹사이트 陸軍少将姜宛采 http://dnc.go.kr/_pr[...] 国立大田顕忠院 2017-10-04
[10] 웹사이트 陸軍少将金英圭 http://dnc.go.kr/_pr[...] 国立大田顕忠院 2017-09-30
[11] 웹사이트 宋膺燮 http://www.visionkor[...] 韓国人物情報:ビジョンコリア 2017-09-30
[12] 웹사이트 陸軍大将宋膺燮 http://dnc.go.kr/_pr[...] 国立大田顕忠院 2017-09-30
[13] 웹사이트 陸軍中将金正憲 http://dnc.go.kr/_pr[...] 国立大田顕忠院 2017-09-30
[14] 뉴스 ヘリ墜落…軍団長など7人が死亡/善山、山中腹で(''헬기추락… 군단장등 7명 사망/선산 산중턱서'') http://www.joins.com[...] 中央日報 2017-09-30
[15] 뉴스 第27・28代7軍団長離・就任式(''제27·28대 7군단장 이·취임식'') http://www.2000n.net[...] 利千ジャーナル 2017-09-30
[16] 뉴스 第33代陸軍第7軍団長にイ・ジョンギ中将就任(''제33대 육군 제7군단장에 이정기 중장 취임'') http://www.gukjenews[...] 国際ニュース 2017-09-30
[17] 뉴스 최강의 육군 제7기동군단 북한군 전체 압도…유사시 북진 선봉부대 https://n.news.naver[...] 매일경제 2022-04-24
[18] 뉴스 부대의 뿌리·역사적 의의 되새겨 https://kookbang.dem[...] 국방일보 2020-11-07
[19] 뉴스 군 헬기 추락, 군단장 등 7명 사망 https://imnews.imbc.[...] MBC뉴스 2020-11-07
[20] 뉴스 헬기 추락사고 당시 부하사병들 숭고한 희생 정신 https://imnews.imbc.[...] MBC뉴스 2020-11-07
[21] 뉴스 -전우광장- 故 이현부 중장 10주기 추모 https://kookbang.dem[...] 국방일보 2020-11-07
[22] 문서 보직해임성 인사조치
[23] 문서 3년(2019년 ~ 2022년) 동안 보직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