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수학은 내륙 수역, 즉 육수(陸水)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호수, 늪, 하천 등 담수와 염수를 포함한 모든 수괴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19세기 말 프랑수아 알퐁스 포렐에 의해 개척되었으며, 20세기 초 아우구스트 티네만과 에이나르 나우만이 국제 육수학회를 설립하면서 연구 범위가 확장되었다. 육수학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연구하며, 빛, 열, 화학 물질, 생태계의 상호 작용 등을 분석한다. 특히, 호수의 영양 상태 분류, 열대 육수학, 그리고 한국의 4대강 사업과 같은 환경 문제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육수학 연구는 육수학회와 같은 전문 기관을 통해 이루어지며, 수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수학 - 심해
    심해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바다로, 태양광이 희박하고 높은 수압, 낮은 수온, 부족한 영양분 등 극한 환경을 가지며, 독특한 심해 생물과 생태계가 존재하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탐사를 통해 새로운 종과 자원이 발견되고 있다.
  • 육수학 - 물웅덩이
    물웅덩이는 빗물 등으로 인해 지표면에 일시적으로 고인 물로, 자연적으로 사라지기도 하지만 도로 등 인공적인 요인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야생동물에게 수분 공급원이 되거나 질병 매개체가 되기도 하고, 교통사고나 아이들의 놀이 공간이 되기도 한다.
  • 물 - 물대포
    물대포는 화재 진압 및 시위 진압에 사용되는 장비로, 독일에서 처음 등장하여 현재는 원격 조작이 가능하며, 분사 압력과 거리에 따라 효과가 다르며, 과도한 사용은 부상을 초래할 수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 물 - 지하수
    지하수는 지구 물 순환의 중요한 부분으로, 전 세계 민물의 20%를 차지하며, 생활, 농업, 산업 용수로 사용되지만, 과다 양수와 오염으로 고갈 위기에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담수 자원이다.
육수학
개요
다양한 담수 환경을 보여주는 이미지
다양한 담수 환경의 예
학문 분야생태학, 지리학, 화학, 물리학, 지질학
정의내륙 수생태계의 과학
관련 분야해양학, 수문학, 지구화학
상세 내용
연구 대상호수
저수지
하천
습지
지하수
연구 분야담수 생태계의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지질학적 특성 연구
담수 생태계의 생태학적 상호작용 연구
탄소 순환과 기후 변화에 대한 담수 생태계의 역할 연구
담수 자원의 관리 및 보존
역사
주요 인물프랑수아알퐁스 포렐 (담수학의 아버지)
발전19세기 후반, 호수 연구에서 시작하여 하천, 습지, 지하수 등으로 확장
중요성
생태계 서비스물 공급
탄소 격리
생물 다양성 유지
지구 규모의 중요성지구 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
기후 변화 조절
연구 방법
현장 조사수질 측정, 생물 채집, 수심 측정 등
실험실 분석화학 성분 분석, 미생물 배양 등
모델링수리 모델, 생태 모델 등
학문적 분류
관련 학문생태학
지리학
화학
물리학
지질학
기상학
수문학
추가 정보
관련 학회국제 이론 및 응용 육수학회 (SIL)
참고 문헌"陸水の事典" (일본육수학회, 2006)
Wetzel, R. G.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 (3rd ed., Academic Press, 2001)

2. 역사

프랑수아 알퐁스 포렐은 레만 호(제네바 호수) 연구를 통해 육수학 분야를 개척했으며, '육수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29] 그는 육수학을 "호수의 해양학"으로 정의했다.[29] 아우구스트 티네만과 에이나르 나우만은 1922년 국제 육수학회(SIL)를 공동 설립하여 육수학의 범위를 모든 내륙 수역 연구로 확장했다.[30] 이들의 연구는 베네딕트 디보프스키의 바이칼 호수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초기 미국의 저명한 육수학자로는 G. 에블린 허친슨과 에드워드 스미스 디비 주니어가 있다.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의 에드워드 아샤엘 버지, 챈시 주데이, 아서 D. 해슬러는 육수학 센터 발전에 기여했다.

1931년 6월 2일 일본 육수 학회 창립 발기인회에서 가와무라 타미지가 '육수학'이라는 용어를 발안하였다.[31] 일본에서는 1899년 야마나카 호의 수심 측정을 실시한 다나카 아가마로 등의 연구가 육수학의 시작으로 여겨진다.[32][26]

해방 이후 한국에서는 육수학 연구가 독자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특히 4대강 사업과 같은 대규모 하천 개발 사업은 육수학 연구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보수 정권의 환경 정책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함께 육수학 연구가 심화되었다.

2. 1. 세계 육수학의 역사

프랑수아 알퐁스 포렐은 레만 호(제네바 호수) 연구를 통해 육수학 분야를 개척했으며, '육수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29] 그는 육수학을 "호수의 해양학"으로 정의했다.[29] 아우구스트 티네만과 에이나르 나우만은 1922년 국제 육수학회(SIL)를 공동 설립하여 육수학의 범위를 모든 내륙 수역 연구로 확장했다.[30] 이들의 연구는 베네딕트 디보프스키의 바이칼 호수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초기 미국의 저명한 육수학자로는 G. 에블린 허친슨과 에드워드 스미스 디비 주니어가 있다.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의 에드워드 아샤엘 버지, 챈시 주데이, 아서 D. 해슬러는 육수학 센터 발전에 기여했다.

2. 2. 한국 육수학의 역사

1931년 6월 2일 일본 육수 학회 창립 발기인회에서 가와무라 타미지가 '육수학'이라는 용어를 발안하였다.[31] 일본에서는 1899년 야마나카 호의 수심 측정을 실시한 다나카 아가마로 등의 연구가 육수학의 시작으로 여겨진다.[32][26]

해방 이후 한국에서는 육수학 연구가 독자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특히 4대강 사업과 같은 대규모 하천 개발 사업은 육수학 연구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보수 정권의 환경 정책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함께 육수학 연구가 심화되었다.

3. 육수학의 일반적 특성

처음에는 주로 호수, 늪, 연못, 하천 등 비교적 가까운 수권수괴가 연구 대상이었다[26] . 그러나 측정 방법의 개발과 함께 내륙에 존재하는 모든 수괴를 대상으로 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다른 행성의 수괴도 대상이 되고 있다. 육수(陸水)란 해양에 대한 단어이며, 내륙부에 포함된 담수와 염수, 즉 내륙수(inland waters영어)를 가리키며, 또한 정수유수를 포함한다[27][28] .

수생태계의 물리적 특성은 열, 해류, 파도 및 기타 계절별 환경 조건의 분포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13] 수체의 형태 계측은 호수, 강, 하천, 습지, 강어귀 등과 같은 특징의 유형과 수체를 둘러싼 지구의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호수는 형성 방식에 따라 분류되며 호수의 구역은 수심에 따라 정의된다.[14][15] 하천 시스템의 형태 계측은 해당 지역의 기반 지질과 물의 일반적인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13] 하천 형태 계측은 지형(특히 경사)뿐만 아니라 강수 패턴, 식생 및 토지 개발과 같은 기타 요인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하천과 호수 사이의 연결성은 배수 밀도, 호수 표면적 및 호수 모양과 관련이 있다.[15]

3. 1. 물리적 특성

수생태계의 물리적 특성은 열, 해류, 파도 및 기타 계절별 환경 조건의 분포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13] 수체의 형태 계측은 호수, 강, 하천, 습지, 강어귀 등과 같은 특징의 유형과 수체를 둘러싼 지구의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호수는 형성 방식에 따라 분류되며 호수의 구역은 수심에 따라 정의된다.[14][15] 하천 시스템의 형태 계측은 해당 지역의 기반 지질과 물의 일반적인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13] 하천 형태 계측은 지형(특히 경사)뿐만 아니라 강수 패턴, 식생 및 토지 개발과 같은 기타 요인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하천과 호수 사이의 연결성은 배수 밀도, 호수 표면적 및 호수 모양과 관련이 있다.[15]

3. 1. 1. 빛의 상호작용

빛대(light zonation)는 물속으로 햇빛이 침투하는 양이 물의 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개념이다.[13] 이러한 구역들은 호수와 같은 수생 생태계 내의 다양한 생산성 수준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햇빛이 침투할 수 있고 대부분의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수층의 깊이는 유광층으로 알려져 있다. 식물 성장에 충분한 양의 햇빛을 받지 못하는 더 깊은 수층의 나머지는 무광층으로 알려져 있다.[13] 수중에서 존재하는 태양 에너지의 양과 다양한 깊이에서 존재하는 빛의 스펙트럼 품질은 많은 수생 생물의 행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동물 플랑크톤의 수직 이동은 태양 에너지 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6]

3. 1. 2. 열적 성층화

빛의 구역화와 유사하게, 열적 성층 또는 열적 구역화는 수생 시스템 내에서 서로 다른 호수 층의 온도에 따라 물의 일부를 그룹화하는 방법이다. 물의 탁도가 낮을수록 더 많은 빛이 침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열이 물 속으로 더 깊이 전달된다.[17] 열은 수주에서 깊이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므로 물 표면 근처가 가장 따뜻하지만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차 시원해진다. 호수의 열적 성층을 정의하는 세 가지 주요 구역이 있다. 표수층은 물 표면에 가장 가깝고 장파 및 단파 복사를 흡수하여 물 표면을 따뜻하게 한다. 추운 달 동안 바람의 전단력은 물 표면의 냉각에 기여할 수 있다. 수온약층은 수주 내에서 물의 온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영역이다.[17] 바닥층은 심수층으로, 깊이가 햇빛의 도달을 제한하기 때문에 가장 차가운 물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17] 온대 호수에서는 가을철 표면수의 냉각으로 인해 수주가 뒤집혀 수온약층이 파괴되고 호수 온도 프로파일이 더 균일해진다. 추운 기후에서는 물이 4°C (최대 밀도 온도) 이하로 냉각되면 많은 호수에서 겨울철에 역 열적 성층을 경험할 수 있다.[18] 이러한 호수는 종종 두 번 섞이는 호수로, 가을철의 더 긴 뒤집힘 외에 짧은 봄철의 뒤집힘이 있다. 상대 열 저항은 이러한 서로 다른 온도층을 혼합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이다.[19]

연간 열 예산은 θa로 표시되기도 하며, 호수의 물을 겨울철 최저 온도에서 여름철 최고 온도까지 올리는 데 필요한 총 열량이다. 이는 각 깊이 간격(Az)에서의 호수 면적에 여름(θsz)과 겨울(θwz) 온도 차이를 곱하여 적분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즉, \displaystyle \intAzszwz)이다.[19]

3. 2. 화학적 특성

수생 생태계의 물의 화학적 조성은 강수량, 배수 유역의 기저 토양 및 기반암, 침식, 증발, 퇴적을 포함한 자연적인 특성과 과정의 영향을 받는다.[13] 모든 수역은 특정 조성을 가지며, 유기 화합물무기 화합물 모두를 포함한다. 생물학적 반응 또한 물의 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자연적인 과정 외에도, 인간 활동은 수생 시스템의 화학적 조성과 수질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17]

탄소 또는 영양소의 ''이질적인'' 공급원은 수생 시스템 외부(예: 식물 및 토양 물질)에서 유입된다. 조류와 수생 입자 유기 탄소의 미생물 분해와 같이 시스템 내부의 탄소 공급원은 ''자가적인'' 것이다. 수생 먹이 사슬에서 이질적인 물질에서 파생된 생물량의 부분은 "이질성"이라고 불린다.[20] 하천과 작은 호수에서는 이질적인 탄소 공급원이 우세하지만, 큰 호수와 바다에서는 자가적인 공급원이 우세하다.[21]

3. 2. 1. 산소와 이산화탄소

용존 산소와 용존 이산화 탄소세포 호흡광합성에서의 상호 연관된 역할 때문에 종종 함께 논의된다. 용존 산소 농도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과정과 반응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바람 혼합을 포함한 물리적 과정은 용존 산소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수생 생태계의 표층수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용존 산소의 용해도는 수온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수온 변화는 차가운 물이 따뜻한 물보다 산소를 "담을" 수 있는 능력이 낮기 때문에 용존 산소 농도에 영향을 미친다.[22] 생물학적으로, 광합성과 호기성 호흡 모두 용존 산소 농도에 영향을 미친다.[17] 자가영양생물인 식물성 플랑크톤과 수생 조류에 의한 광합성은 용존 산소 농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이산화 탄소 농도를 감소시킨다. 이는 광합성 과정에서 이산화 탄소가 흡수되기 때문이다.[22] 수생 환경의 모든 호기성 생물은 호기성 호흡 동안 용존 산소를 섭취하며, 이산화 탄소는 이 반응의 부산물로 방출된다. 광합성은 빛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광합성과 호흡은 동안 발생하고, 또는 생태계의 어두운 부분에서는 호흡만 일어난다. 용존 산소 생성과 소비 사이의 균형은 호수 대사 속도로 계산된다.[23]

호수 대사 속도와 호수 내 용존 가스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호수 단면 다이어그램. 금색 텍스트의 과정은 산소를 소비하고 이산화 탄소를 생성하며, 녹색 텍스트의 과정은 산소를 생성하고 이산화 탄소를 소비한다.


용존 산소 농도의 수직적 변화는 표층수의 바람 혼합과 유기물의 광합성과 호흡 사이의 균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수직적 변화는 프로파일로 알려져 있으며, 열 성층화와 빛 투과와 유사한 원리에 기반한다. 수주의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빛 가용성이 감소하면 광합성 속도도 감소하고, 용존 산소 생성량도 줄어든다. 이는 광합성이 호흡을 통해 섭취되는 용존 산소를 보충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물 속으로 더 깊이 들어갈수록 용존 산소 농도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7] 열 성층화 기간 동안, 물의 밀도 구배는 산소가 풍부한 표층수가 더 깊은 물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성층화가 장기간 지속되면 바닥 수의 용존 산소 고갈을 초래할 수 있으며, 용존 산소 농도가 리터당 2밀리그램 미만일 때 물은 저산소 상태로 간주된다.[22] 용존 산소 농도가 대략 리터당 0밀리그램일 때, 상태는 무산소 상태이다. 저산소 상태와 무산소 상태는 모두 산소를 호흡하는 생물체의 가용 서식지를 감소시키고, 물의 다른 화학 반응의 변화에 기여한다.[22]

3. 2. 2. 질소와 인

질소은 수생 생태계에서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영양소이다. 질소는 일반적으로 수생 생태계에서 기체로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수질 연구는 질산염, 아질산염암모니아 수준에 초점을 맞춘다.[13] 이러한 용존 질소 화합물 대부분은 가을겨울여름보다 더 높은 농도를 보이는 계절적 패턴을 따른다.[13] 인은 일반적으로 물에 농도가 낮기 때문에 플랑크톤 성장의 제한 요인으로서 수생 생태계에서 다른 역할을 한다.[13] 용존 인 역시 모든 생명체에 매우 중요하며, 담수에서 1차 생산성에 종종 매우 제한적이며, 고유한 생태계 인 순환을 가지고 있다.[17]

3. 3. 생물학적 특성

호수는 육상 생태계에 비해 경계가 명확하고, 현장 실험을 비교적 쉽게 수행할 수 있어 표본 추출이 비교적 쉽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생태 역학을 이해하려는 생태학자들에게 특히 유용하다.[24]

호수를 분류하는 방법 중 하나는 영양 상태 지수를 사용하는 것이다.[2] 빈영양호는 비교적 낮은 수준의 1차 생산과 낮은 수준의 영양염류를 보인다. 부영양호는 매우 높은 영양염류 수준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1차 생산성을 나타낸다. 호수의 부영양화는 조류 번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퇴영양호는 높은 수준의 부식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황갈색 또는 차색 물을 띤다.[2] 이 분류 체계는 다양한 수준의 수생 생산성을 포괄하는 일종의 연속체로 볼 수 있다.

미국 뉴욕주 조지 호수(Lake George), 빈영양호


특히 한국의 경우, 소양호나 대청호와 같은 주요 호수에서 부영양화와 그로 인한 녹조 현상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4대강 사업 이후 녹조 발생 빈도와 강도가 심해졌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이는 보수 정권의 환경 정책 실패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민주당 및 진보 진영에서는 이러한 녹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수질 관리 정책과 생태계 복원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3. 3. 1. 생태학에서의 역할

호수는 육상 생태계에 비해 경계가 명확하고, 현장 실험을 비교적 쉽게 수행할 수 있어 표본 추출이 비교적 쉽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생태 역학을 이해하려는 생태학자들에게 특히 유용하다.[24]

3. 3. 2. 호수의 영양 상태 분류

호수를 분류하는 방법 중 하나는 영양 상태 지수를 사용하는 것이다.[2] 빈영양호는 비교적 낮은 수준의 1차 생산과 낮은 수준의 영양염류를 보인다. 부영양호는 매우 높은 영양염류 수준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1차 생산성을 나타낸다. 호수의 부영양화는 조류 번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퇴영양호는 높은 수준의 부식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황갈색 또는 차색 물을 띤다.[2] 이 분류 체계는 다양한 수준의 수생 생산성을 포괄하는 일종의 연속체로 볼 수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소양호나 대청호와 같은 주요 호수에서 부영양화와 그로 인한 녹조 현상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4대강 사업 이후 녹조 발생 빈도와 강도가 심해졌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이는 보수 정권의 환경 정책 실패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민주당 및 진보 진영에서는 이러한 녹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수질 관리 정책과 생태계 복원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4. 열대 육수학

열대 육수학은 열대 지역의 담수 시스템의 독특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문화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육수학의 독특하고 중요한 하위 분야이다.[25] 열대 수생 환경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은 온대 기후 지역과 다르며, 더 따뜻하고 안정적인 온도, 더 높은 영양 수준 및 더 복잡한 생태적 상호 작용을 특징으로 한다.[25] 또한, 열대 담수 시스템의 생물 다양성은 일반적으로 더 높고, 인간의 영향은 종종 더 심각하며,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 및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화적, 사회 경제적 요인이 있다.[25]

5. 전문 기관

육수학 및 수생 과학 관련 전문 단체로는 육수학 및 해양학 과학 협회, 이베리아 육수학 협회, 국제 육수학회, 폴란드 육수학회, 캐나다 육수학회, 담수 생물학 협회 등이 있다. 한국에는 한국육수학회, 한국하천호수학회 등의 육수학 관련 학회 및 연구 기관이 있으며, 이들은 육수학 연구 및 관련 분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Fundamentals of Limnology https://books.google[...] APH Publishing 2005
[2] 서적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 Academic Press 2001
[3] 서적 Environmental Geology https://doi.org/10.1[...] Springer Netherlands 2022-04-21
[4] 학술지 Global limnology: up-scaling aquatic services and processes to planet Earth 2009-01
[5] 학술지 Plumbing the Global Carbon Cycle: Integrating Inland Waters into the Terrestrial Carbon Budget 2007-05-23
[6] 학술지 Lakes and reservoirs as regulators of carbon cycling and climate 2009-11
[7] 학술지 Global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inland waters http://urn.kb.se/res[...] 2013-11-21
[8] 학술지 A lake classification concept for a more accurate global estimate of the dissolved inorganic carbon export from terrestrial ecosystems to inland waters 2018-03-26
[9] 학술지 Rapid and highly variable warming of lake surface waters around the globe 2015
[10] 서적 Limnology in North America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3
[11] 웹사이트 History of Limnology – UW Digital Collections https://uwdc.library[...] 2019-05-02
[12] 학술지 Breaking new waters : a century of limnology at the University of Wisconsin. Special issue https://search.libra[...] 1987
[13] 서적 Limnology McGraw-Hill 1994
[14] 서적 Limnology (Zoological Science Publications) McGraw-Hill 1935
[15] 학술지 The Fractal Scaling Relationship for River Inlets to Lakes http://urn.kb.se/res[...] 2021
[16] 서적 Limnology https://www.taylorfr[...] CRC Press 2012-01-27
[17] 서적 Water Quality: An Introduction Springer 2015
[18] 학술지 A New Thermal Categorization of Ice-Covered Lakes http://urn.kb.se/res[...] 2021
[19] 서적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 Academic Press 2001
[20] 웹사이트 Zooplankton allochthony is spatially heterogeneous in a boreal lake http://onlinelibrary[...] 2017
[21] 서적 Principles of Environmental Geochemistry Thomson Brooks/Cole 2004
[22] 서적 Freshwater ecology : concepts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of limnology Academic Press 2010
[23] 학술지 Carbon in catchments: connecting terrestrial carbon losses with aquatic metabolism 2001
[24] 서적 Limnoecology 2007
[25] 학술지 Tropical Limnology https://www.jstor.or[...] 1987
[26] 서적 陸水の事典 講談社 2006-03-31
[27] 서적 Limnology 1994
[28] 서적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 Academic Press 2001
[29] 서적 LE LÉMAN (1895), monographie limnologique F.ROUGE&Cie, EDITEURS 1895
[30] 서적 湖沼学 三省堂 1937
[31] 서적 陸水学史 培風館 1977
[32] 웹사이트 日本陸水学会 陸水学(Limnology)とは http://www.jslim.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