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리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리학은 지구의 물리적, 인문적 현상과 이들의 공간적 분포,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세계 지도에서 시작하여, 고대 그리스 시대에 지리학의 기초가 다져졌으며, 중세 이슬람 세계를 거쳐 유럽의 대항해 시대를 통해 발전했다. 현대 지리학은 인문 지리학, 자연 지리학, 기술 지리학으로 분류되며, 공간, 장소, 시간, 척도, 지리학의 법칙 등의 핵심 개념을 다룬다. 지리학은 지도, 지리 정보 시스템(GIS), 원격 탐사, 정량적, 정성적 기법 등 다양한 기술과 방법을 활용하며, 도시 계획, 지역 계획, 지역 과학 등 다양한 분야와 연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리학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지리학 - 인구지리학
    인구지리학은 인구의 분포, 구조, 변동, 이동 등 인구 현상을 공간 및 시간적 측면에서 지리적 관점으로 분석하는 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 학문 분야 - 환경 연구
    환경 연구는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며, 과학, 사회과학, 인문학적 지식을 융합하여 환경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한다.
  • 학문 분야 - 한문학
    한문학은 한자를 사용하여 쓰여진 한국 문학으로, 고려 시대 이후 한국적 문학 양식과 정서를 담아 사회상을 반영하며 한국 사회와 문화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사회과학 - 정책학
    정책학은 정책 과정, 형성, 집행, 분석, 평가 등을 연구하는 사회과학 분야로서, 다양한 과학적 방법론과 이론을 활용하여 민주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며, 현대 사회 문제 해결 및 정책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 사회과학 - 규범적
    규범적이란 철학에서 도덕 판단이나 가치 평가를, 사회과학에서 사회 규범과 가치관을, 법학에서 특정 가치관에 따른 행위 규정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행동이나 결과를 평가하는 기준을 뜻하지만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지리학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학문 분야과학
연구 분야인문지리학
자연지리학
어원
그리스어(게오그라피아)
의미(게) - "땅"
(그라포) - "쓰다"
로마자 표기jiri hak
역사
기원고대 그리스 시대
주요 발전 시기그리스-로마 세계
중국
이슬람 세계
대항해시대
주요 분야
인문지리학인간 활동과 공간의 관계 연구
자연지리학지구의 자연 현상과 과정 연구
인문지리학 세부 분야
행동 지리학인간 행동과 공간 인지 연구
인지 지리학공간 인지에 대한 연구
비판 지리학권력 관계 및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연구
문화 지리학문화적 요소와 공간의 관계 연구
경제 지리학경제 활동의 공간적 패턴 연구
언어 지리학언어의 공간적 분포 연구
도덕 지리학도덕적 가치와 공간의 관계 연구
심리 지리학인간의 심리와 공간의 관계 연구
성과 공간성적 정체성과 공간의 관계 연구
종교 지리학종교의 공간적 분포 연구
식량 지리학식량 생산 및 소비의 공간적 패턴 연구
건강 지리학건강과 질병의 공간적 분포 연구
역사 지리학과거 지리적 환경 및 인간 활동 연구
상상된 지리학상상과 공간의 관계 연구
인터넷 지리학인터넷 공간에 대한 연구
정치 지리학정치적 과정과 공간의 관계 연구
인구 지리학인구 분포 및 이동 연구
사회 지리학사회 현상과 공간의 관계 연구
관광 지리학관광과 공간의 관계 연구
열대 지리학열대 지역의 지리적 특성 연구
자연지리학 세부 분야
생물 지리학생물의 분포 연구
기후학기후 현상 연구
해안 지리학해안 지역 연구
지질학지구의 구조와 역사 연구
지형학지구 표면의 형태 연구
빙하학빙하 연구
수문학물의 순환 연구
호수학호수 연구
토양학토양 연구
제4기학제4기 연구
기술 지리학 세부 분야
지오디자인디자인 방법론을 이용한 공간 계획
측지학지구의 모양과 크기 측정
지리 정보학지리 정보 처리 및 분석
지리 정보 과학지리 정보 시스템 연구
지형 공간 정보학지형 공간 데이터 처리
통계 지리학지리적 통계 분석
공간 분석공간 패턴 분석
통합 지리학 세부 분야
환경 사회 과학환경과 사회의 상호작용 연구
환경 연구환경 문제 연구
조경 건축조경 설계 및 계획
조경 생태학조경과 생태학의 통합 연구
방법론
양적 지리학통계 및 수학적 방법 사용
지도 제작지도 제작 기술
지질 연대학지질 시대 측정
지리 정보 시스템 (GIS)지리 정보 시스템 활용
지질 모델링지질학적 모델 생성
지리 수학수학적 방법 사용
지리 통계학공간 통계 분석
지리 시각화지리 정보 시각화
GPSGPS 활용
수로 측량수로 측정
지도 대수학지도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
참여 관찰현장 참여 관찰
사진 측량사진을 이용한 공간 정보 획득
원격 탐사원격 감지 기술 사용
통계 조사통계 조사 방법
측량측량 기술 사용
토지 변화 모델링토지 변화 예측 모델 생성
질적 지리학인문학적 방법 사용
민족지학문화 인류학적 연구 방법
지리 시학공간과 시의 관계 연구
인터뷰 (연구)질적 인터뷰 방법
설문 조사설문 조사 방법
이론적 접근
행동 지리학인간 행동과 공간 인지 연구
비판 지리학권력 관계 및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연구
페미니스트 지리학성별과 공간의 관계 연구
마르크스주의 지리학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의 지리 연구
비표현 이론비표현적 요소에 대한 연구
모더니즘근대적 관점에서의 지리 연구
구조주의사회 구조에 대한 연구
기호학기호 체계 연구
포스트모더니즘탈근대적 관점에서의 지리 연구
탈구조주의구조주의 비판적 연구
해체주의기존 이론 해체 및 재해석
관련 조직
학회지리학회 목록

2. 역사

지리학의 역사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동서양을 아우르는 다양한 발자취를 포함한다.

고대 바빌론에서는 세계 지도를 만들었으며,[152] 아낙시만드로스 등 그리스 학자들은 예술과학을 통해 지리학을 탐구했다.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 반지름을 계산했고,[153] 히파르코스는 위선과 경선 체계를 도입했다.

중세에는 로마 제국 쇠퇴 후 이슬람 세계에서 지리학이 발전했다.[154] 메카 순례와 교역 등으로 지리 지식이 축적되었다.

대항해 시대에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마르코 폴로, 제임스 쿡 등이 신대륙을 발견하며 유럽에서 정확한 지리 정보와 이론이 필요해졌다. 존 해리슨크로노미터로 경도 문제를 해결했다.[155]

18, 19세기에는 지리학이 독립 학문으로 인정받아 유럽 대학 교과 과정에 포함되었다. 여러 지리학회가 창설되었고, 임마누엘 칸트, 알렉산더 폰 훔볼트, 칼 리터, 폴 비달 드 라 블라슈 등이 지리학을 발전시켰다.

동양에서는 서양과 다른 독자적 지리관이 발달했다. 중국은 3세기 이후 지리 연구가 활발했고, 독자적 지리관을 발달시켰다. 한국은 삼국시대 이전 자료는 부족하나, 반구대 암각화 등으로 당시 지리관을 추측한다. 신라 말 풍수지리설이 도입되었고, 고려시대 삼국사기 지리지가 있다. 조선시대에는 지리지와 지도가 많이 제작되었고, 실학과 함께 한국 전통 지리학이 발전했다. 김정호대동여지도가 대표적이다.

지난 2세기 동안 컴퓨터 기술 발전으로 지리정보학이 발전했다. 참여자 관찰과 지리 통계학은 새로운 도구가 되었다. 20세기 서구에서는 환경결정론, 지역지리학, 계량혁명, 비판적 지리학 등 주요 과정을 거쳤다. 지질학, 식물학, 경제학, 인구학 등과 연계가 늘었다. 특히 지구 시스템 과학 연구로 연계가 늘었다.

2. 1. 서양의 지리학

고대 근동 지방에서는 세계 지도를 만들었는데, 가장 오래된 세계 지도는 기원전 9세기 고대 바빌론의 것이다.[152] 아낙시만드로스 (기원전 610년 경 - 기원전 545년 경)는 후대 그리스 작가들이 지리학의 진정한 창시자로 여기는 인물로, 그의 사상은 후대 학자들의 인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술과학의 방식으로 지리학을 탐구한 그리스인들은 지도학, 철학, 문학, 수학을 통해 지리학을 연구했다. 파르메니데스피타고라스는 지구가 둥글다고 주장했으며, 아낙사고라스는 식을 설명하면서 지구의 윤곽이 둥글다는 것을 보였다. 에라토스테네스는 고대에 지구의 반지름을 구했으며,[153] 히파르코스는 최초로 위선과 경선 체계를 도입했다.

중세 시대에는 로마 제국의 붕괴로 인해 유럽보다는 이슬람 세계에서 지리학이 발전했다.[154]

16~17세기 대항해 시대에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마르코 폴로, 제임스 쿡과 같은 탐험가들에 의해 많은 신대륙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유럽에서는 정확한 지리적 사실과 이론적 기반이 필요해졌고, 존 해리슨크로노미터를 고안하여 경도 문제를 해결했다.[155]

18세기와 19세기에는 지리학이 독립된 학문 분과로 인식되어 유럽 대학의 교과과정에 포함되기 시작했다. 1821년 프랑스 지리학회[156], 1830년 왕립지리학회[157], 1851년 미국 지리학회[158], 1888년 내셔널지오그래픽 학회[159] 등 많은 지리학회가 이 시기에 창설되었다. 임마누엘 칸트, 알렉산더 폰 훔볼트, 칼 리터, 폴 비달 드 라 블라슈는 지리학을 철학에서 학문으로 발전시켰다.

2. 1. 1. 이슬람 지리학

이슬람 세계는 9~14세기에 영토 확장, 메카로의 순례 여행, 교역 등을 통해 지리적 지식을 축적하고 발전시켰다. 순례 여행은 이전에 알려진 지리적 기록물을 참고하고 새로운 지리적 지식을 지속적으로 추가할 수 있게 했다. 동서양 간, 인도, 중국과의 교역은 무역로 개척과 아시아의 지리적 지식 습득에 기여했다. 또한, 확장된 이슬람 제국을 통치하기 위한 자료로 지리적 지식이 요구되었다.

그 결과, 동서양의 지리적 지식을 흡수, 보급하기 위한 아랍어 번역이 이루어졌다. 이렇게 보전된 지리적 저서들은 이후 르네상스 시기 라틴어로 재번역되어 지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이슬람 지리학은 수리 지리학, 측량, 야외 조사 발달에도 공헌했다.[154] 무함마드 알 이드리시와 같은 무슬림 지리학자는 타불라 로제리아나와 같은 상세한 세계지도를 제작하였다.

알 이드리시의 세계지도

2. 2. 동양의 지리학

동양에서는 서양과는 다른 독자적인 지리관과 연구 방법이 발달하였다. 특히 중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지리학이 발전하였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2. 2. 1. 중국의 지리학

3세기 이후로 중국은 지리학적 연구와 지리학적 문헌 집필에 있어 당시 유럽보다 훨씬 정교한 이론을 발전시켰다.[160]

중국은 서양과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있었기 때문에 천원지방 사상으로 대표되는 독자적인 지리관을 발달시켰다. 이로 인해 지리적 개념과 연구 방법은 서양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유안, 배수, 가탐, 심괄, 범성대, 주달관, 서하객과 같은 중국 지리학자들은 중요한 문헌을 남겼으나, 17세기에는 서양식 지리학 이론이 중국에 도입되었다.

2. 2. 2. 한국의 지리학

한국에서 삼국시대나 그 이전의 지리학에 대한 직접적인 자료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반구대 암각화, 고구려 고분 벽화를 토대로 당시의 지리관을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신라 말기에 선종 승려들이 중국에서 풍수지리설을 들여왔다.[161] 고려시대에는 김부식삼국사기 지리지처럼 지리에 대한 문헌이 남아있다. 이 시대는 풍수지리설이 유행한 시기였다. 서경 천도와 북진정책의 추진 근거로 풍수지리가 활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중앙 집권과 국방 강화를 위해 많은 지리지와 지도가 편찬되었다. 태종 때 만든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세계 지도 중 하나이다. 16세기에도 많은 지도가 만들어졌는데, 조선방역지도가 현존하고 있다. 세종, 성종 때에는 군현의 연혁, 지세, 인물, 풍속, 산물, 교통 등이 자세히 수록된 지리지가 편찬되었다. 이 당시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을 중종신증동국여지승람으로 보충하여 편찬했다.

실학이 발달하면서 민족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다. 이에 따라 한국의 전통 지리학도 발달했다. 한백겸의 동국지리지, 정약용아방강역고와 같은 역사 지리서, 이중환택리지와 같은 인문 지리서가 편찬되었다. 중국에서 서양식 지도가 전해짐에 따라 김정호대동여지도와 같은 정밀한 지도가 만들어졌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근대 지리학이 도입되었다.[162][163]

2. 3. 현대의 지리학

지난 2세기 동안, 컴퓨터 기술의 발전은 지리정보학이 발전하게 하였다. 참여자의 관찰과 지리 통계학은 지리학의 새로운 도구가 되었다. 20세기 서구에서는 지리학은 환경결정론, 지역지리학, 계량혁명, 비판적 지리학과 같은 주요 과정을 거쳤다. 지질학, 식물학, 경제학, 인구학과 같은 학문과의 연계가 크게 늘어났다. 특히 세계를 통합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지구 시스템 과학의 연구로 인해 연계가 늘어났다.[164]

현대 지리학은 주로 서구에서 유래한 것이다. 서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지리학자는 지도학자, 지명이나 수를 연구하는 사람으로 여겨졌다. 많은 지리학자가 지명을 다루는 학문이나 지도학을 아는 사람이었어도 이 분야는 지리학자의 주된 연구 분야가 아니다. 지리학자는 현상, 과정, 사물의 시공간적 분포를 다룬다. 여기에 인간과 그들이 사는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연구한다.[164] 공간과 장소는 다양한 주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리학은 다른 학문과의 연관성이 크다. 지리학적 접근의 이러한 특성은 현상과 그것의 공간적 패턴 사이의 상관관계를 얼마나 깊게 따지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지리학에서는 정량적 기법이 활용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지리통계학이다. 지리통계학은 정량적인 정보 분석을 다룬다. 특히 지리적 현상을 탐구하는 통계적 방법론의 응용을 다룬다. 지리통계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그 분야에는 수문학, 지질학, 석유탐사, 기상 분석, 도시 계획, 물류, 역학이 있다. 지리통계학에서 쓰이는 수학의 분야에는 클러스터 분석, 선형 판별 분석, 비모수 통계 등이 있다. 지리통계학의 적용은 지리 정보 체계에서 주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측정하지 않은 점의 내삽을 할 때 주로 이루어진다. 정량적 기법의 방법에 지리학자가 많은 기여를 한다. 지리학적 정성적 기법, 또는 민족지적 연구 기법은 인문지리학자가 사용하는 기법이다. 문화지리학에서는 예로부터 정성적인 기법을 썼다. 인류학사회학에서도 쓰이는 기법이다. 참여자 관찰이나 심층 인터뷰는 정성적 자료를 얻는 방법이다.

지난 2세기 동안 컴퓨터와 같은 기술의 발전으로 지오매틱스가 발전했고, 참여 관찰 및 지리 통계와 같은 새로운 관행이 지리학의 도구 포트폴리오에 통합되었다. 20세기 서구에서는 지리학이 환경 결정론, 지역 지리학, 정량 혁명, 비판적 지리학의 네 가지 주요 단계를 거쳤다. 지리학과 지질학, 식물학 과학, 그리고 경제학, 사회학, 인구 통계학과의 강력한 학제 간 연계 또한 크게 성장했는데, 특히 세계를 전체적으로 이해하려는 지구 시스템 과학의 결과이다. 컴퓨터, 정량적 방법 및 학제 간 접근 방식의 급속한 발전으로 새로운 개념과 철학이 등장했다. 1970년, 월도 토블러는 지리학 제1법칙인 "모든 것은 모든 것과 관련이 있지만, 가까운 것은 먼 것보다 더 관련이 있다"를 제안했다.[31][32] 이 법칙은 지리학자들이 세상에 대해 하는 첫 번째 가정을 요약한다.

3. 현대 지리학의 기초

현대 지리학은 주로 서구에서 유래했으며, 전통적으로 지리학자는 지도 제작자나 지명 연구자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대 지리학은 지도학이나 지명학을 넘어 현상, 과정, 사물의 시공간적 분포,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등을 연구한다.[164] 공간과 장소는 다양한 주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리학은 다른 학문과의 연관성이 크다.

1863년 윌리엄 휴는 지리학이 단순한 지명 암기가 아니라, 현상을 분류하고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여 자연 법칙을 밝히는 과학이라고 주장했다.[165] 1997년 미국 국립 연구 회의는 모든 현상이 시간 속에서 역사를 가지듯, 공간 속에서 지리를 가진다고 언급했다.[166]

미국지리교육학회와 미국지리학회는 1984년에 지리학의 기본 주제를 위치, 장소,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이동, 지역의 다섯 가지로 정하였다.[167]

3. 1. 핵심 개념

현대 지리학은 주로 서구에서 유래되었으며, 전통적으로 지도 제작이나 지명 연구와 연관되어 있었다. 그러나 지리학은 단순한 지명 나열이나 지도 제작을 넘어, 현상과 과정, 사물의 시공간적 분포, 그리고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164] 공간과 장소는 다양한 주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리학은 다른 학문과 연관성이 크며, 현상과 공간적 패턴 사이의 상관관계를 깊이 있게 연구한다.[164]

1863년 윌리엄 휴는 "지명은 지리학이 아니며, 지리학은 현상을 분류하고, 비교하고, 일반화하며, 원인과 결과를 추적하여 자연의 법칙을 알고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과학이다."라고 말했다.[165] 1997년 미국 국립 연구 회의는 "모든 현상은 시간에 있어서 역사가 있듯이, 공간에도 있어서 지리가 있다."라고 하였다.[166]

미국지리교육학회와 미국지리학회는 1984년에 지리학의 기본 주제를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167]

주제설명
위치 (Location영어)* 절대 위치: 경위도 등으로 나타내는 실제 위치.
장소 (Place영어)* 인문적 특성: 인간에 의해 나타나는 특징.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Human-Environment Interaction영어)인간이 환경에 의존, 환경을 변화, 환경에 적응하는 관점.
이동 (Movement영어)인간, 장소, 자연 환경 간의 연결.
지역 (Region영어)지리학의 기본 연구 단위. 공통점을 가진 영역으로, 지역 간 유사성과 차이 등을 연구 (예: 기후, 민족).



지구의 물리 지도


지구의 정치 지도


지리학은 지도에 표시할 수 있는 공간적 요소를 다루며, 지도 제작 및 지명학과 관련이 있지만, 이것이 주요 관심사는 아니다.[10] 지리학은 인문 지리학, 자연 지리학, 기술 지리학의 세 가지 주요 분야로 나눌 수 있다.[62][13] 통합 지리학은 환경과 인간의 상호 작용에 관심을 갖고 발전하였다.[10]

지리의 핵심 개념을 정의하는 것은 학문 분야 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16] "지리의 핵심 개념" 책에서는 "공간", "장소", "시간", "척도", "경관" 외에도 "환경 시스템", "사회 시스템", "자연", "세계화", "발전", "위험" 등의 개념을 다루었다.[16][17]

17세기 펨브룩셔 묘사 지도. 지도는 지리 연구의 중심 요소이다.


1984년 미국 지리 교육 협의회와 미국 지리학자 협회는 "지리 교육 지침: 초중등 학교"에서 지리의 다섯 가지 주제(위치, 장소, 장소 내 관계(인간-환경 상호 작용), 이동, 지역)를 확립했으며, 이는 미국 교육에 영향을 미쳤다.[18][19][20]

3. 1. 1. 공간(Space)

지리적 영역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공간적으로 설명될 수 있어야 한다.[21][22] 따라서 공간은 지리학의 가장 근본적인 개념이다.[23][24] 이 개념은 너무 기본적이어서 지리학자들은 종종 그것이 정확히 무엇인지 정의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절대 공간은 조사 대상인 사물, 사람, 장소 또는 현상의 정확한 위치 또는 공간 좌표이다.[23] 우리는 공간 속에 존재한다.[25] 절대 공간은 좌표가 기록될 때 모든 것이 제자리에 고정된 사진으로서 세계를 보는 관점으로 이어진다. 오늘날 지리학자들은 지도상의 정적인 이미지가 아니라 모든 과정이 상호 작용하고 일어나는 역동적인 공간으로서 세계를 인식하도록 훈련받는다.[23][26]

3. 1. 2. 장소(Place)

장소는 지리학에서 가장 복잡하고 중요한 용어 중 하나이다.[25][28][29][30] 인문지리학에서 장소는 지구 표면의 좌표, 그 좌표에서 발생했고, 발생하고 있으며, 발생할 활동과 용도, 그리고 인간 개인과 집단이 그 공간에 부여하는 의미의 종합이다.[22][29] 서로 다른 공간은 서로 다른 시간에 다른 용도를 가지며, 서로 다른 사람들에게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매우 복잡할 수 있다. 자연지리학에서 장소는 지권, 대기권, 수권, 생물권을 포함하여 공간에서 발생하는 모든 물리적 현상을 포함한다.[30] 장소는 진공 속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복잡한 공간적 관계를 가지며, 장소는 어떤 위치가 다른 모든 위치와 관련하여 어떻게 위치하는지에 관심을 갖는다.[31][32] 따라서 지리학에서 장소라는 용어는 특정 위치에서 발생하는 모든 공간적 현상, 인간이 그 위치에 부여하는 다양한 용도와 의미, 그리고 그 위치가 지구상의 다른 모든 위치에 미치는 영향과 그 위치가 받는 영향을 포함한다.[29][30] 이푸 투안(Yi-Fu Tuan)은 지리학은 인류의 삶의 터전으로서의 지구에 대한 연구이며, 따라서 장소와 그 용어 뒤에 있는 복잡한 의미는 지리학이라는 학문의 중심이라고 설명한다.[28]


3. 1. 3. 시간(Time)

시간-공간 큐브는 한 축이 시간 차원을 나타내고 다른 축이 두 개의 공간 차원을 나타내는 3축 그래프입니다
시간 지리의 시각 언어의 예: 시간-공간 큐브, 경로, 프리즘, 번들 및 기타 개념.


시간은 보통 역사의 영역으로 여겨지지만, 지리학 분야에서도 매우 중요한 관심사이다.[33][34][35] 물리학에서 시간과 공간은 분리되지 않고 시공간이라는 개념으로 합쳐진다.[36]

지리학은 물리 법칙의 지배를 받으며, 공간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연구할 때 시간을 고려해야 한다. 지리학에서 시간은 단순히 다양한 개별 좌표에서 발생한 사건들의 역사적 기록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사람, 생물체 및 사물의 공간을 통한 역동적인 이동을 모델링하는 것을 포함한다.[25] 시간은 공간을 통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시스템을 통해 사물이 흐르도록 한다.[33] 개인이나 집단이 특정 장소에 머무는 시간의 양은 종종 그 장소에 대한 애착과 관점을 형성한다.[25] 시간은 출발점, 가능한 경로 및 이동 속도를 고려할 때 공간을 통과할 수 있는 가능한 경로를 제한한다.[37] 공간에 대한 시간을 시각화하는 것은 지도 제작 측면에서 어려우며, 공간 프리즘, 고급 3D 지리 시각화 및 애니메이션 지도를 포함한다.[31][37][38][26]

3. 1. 4. 척도(Scale)

지도에서의 축척은 지도에서 측정한 거리와 지상에서 측정한 해당 거리 사이의 비율이다.[2][39] 이 개념은 지도 제작뿐만 아니라 지리학 분야의 기본이며, 조사 대상 현상은 사용하는 축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40][41] 축척은 지리학자들이 공간을 측정하고 궁극적으로 장소를 이해하는 데 사용하는 틀이다.[39]

그래픽 또는 막대 축척. 지도에는 일반적으로 숫자로 축척이 표시되기도 합니다("1:50,000"과 같이 지도의 1cm가 실제 공간의 50,000cm, 즉 500m를 나타낸다는 의미).

3. 1. 5. 지리학의 법칙

정량 지리학에서 정량 혁명 동안 지리학은 경험적 법칙 제정 접근 방식으로 전환되었다.[42][43] 그 이후로 여러 '''지리 법칙'''이 제안되었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월도 토블러에 의한 것이며, 이는 정량 혁명의 산물로 볼 수 있다.[44] 일반적으로 지리학과 사회 과학에서 법칙이라는 개념 자체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31][45][46] 그러나 이는 지리학에서 지속적인 논쟁의 원인이며, 당분간 해결될 가능성이 적다. 몇 가지 법칙이 제안되었고, 월도 토블러의 지리학 제1법칙이 지리학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

  • 토블러의 지리학 제1법칙: "모든 것은 모든 것과 관련이 있지만, 가까운 것들이 먼 것들보다 더 관련이 있다."[31][45][46]
  • 토블러의 지리학 제2법칙: "관심 지리 영역 외부의 현상이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에 영향을 미친다."[45][47]
  • 아르비아의 지리 법칙: "모든 것은 모든 것과 관련이 있지만, 조잡한 공간 해상도로 관찰된 것들은 더 미세한 해상도로 관찰된 것들보다 더 관련이 있다."[40][45][41][48][49]
  • 공간 이질성: 지리적 변수는 통제되지 않은 분산을 나타낸다.[46][50][51]
  • 불확정성 원리: "지리적 세계는 무한히 복잡하며, 따라서 모든 표현은 불확실성의 요소를 포함해야 하며, 지리적 데이터를 얻는 데 사용되는 많은 정의에는 모호한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지구 표면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46]

4. 분류

지리학은 접근 방법이나 연구 방법에 따라 계통지리학과 지역지리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167] 계통지리학은 특정 주제에 대해 지리적으로 접근하여 일반적인 원리를 도출하는 연구 방법으로, 인문지리학자연지리학으로 나뉜다. 지역지리학은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지리적 내용을 서술하고 연구하는 방법이다.

미국지리교육학회와 미국지리학회는 1984년에 지리학의 기본 주제를 위치, 장소,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이동, 지역의 다섯 가지로 선정하였다.[167]

학문으로서의 지리학은 크게 인문 지리학, 자연 지리학, 기술 지리학으로 나눌 수 있다.[62][13] 통합 지리학은 환경과 인간의 상호 작용에 관심을 갖는 물리적 지리학과 인문 지리학을 결합한 분야이며,[10] 기술 지리학은 원격 탐사, 지도 제작, 지리 정보 시스템과 같이 지리학자들이 사용하는 도구와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한다.[15]

4. 1. 계통지리학

계통지리학은 특정 주제에 대해 지리적으로 접근하여 일반적인 원리를 도출하는 연구 방법이다.[167] 그 주제의 성격에 따라 인문지리학자연지리학으로 분류한다.

미국지리교육학회와 미국지리학회는 1984년에 지리학의 기본 주제를 다음 다섯 가지로 선정하였다.[167]

# '''위치(Location영어):''' 절대위치와 상대위치로 나뉜다. 절대위치는 경위도로 나타낼 수 있는 장소의 실제 위치이다. 상대위치는 다른 장소에 대한 위치로, 예를 들어 서울을 한강 위의 도시로 나타내는 것이다.

# '''장소(Place영어):''' 특징을 나타내는 말이다. 장소를 나타내는 특성에는 인간에 의해 나타나는 인문적인 특성과 자연 환경에 의해 나타나는 자연적인 특성이 있다.

#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Human-Environment Interaction영어):''' 인간이 환경에 의존하고, 환경을 바꾸고, 환경에 적응하는 등 환경과 어떤 영향을 주고 받는지에 관한 주제이다.

# '''이동(Movement영어):''' 인간, 장소, 자연 환경은 이동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는 주제이다.

# '''지역(Region영어):''' 지리학의 기본적인 연구단위로, 공통점이 있는 영역(area영어)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후나 민족과 같은 특성으로 장소의 공통점과 차이를 알아내는 지역 간의 유사성과 차이 같은 연구 주제가 있다.

학문으로서의 지리학은 크게 인문지리학, 자연지리학으로 나눌 수 있으며, 통합지리학은 환경과 인간의 상호 작용에 관심을 갖는 물리적 지리학과 인문지리학을 결합한 것이다.[10]

4. 1. 1. 인문지리학

인문지리학은 인간 활동의 공간적 조직, 인간과 환경 간의 연관성을 탐구하는 분야이다.[61] 인간에 의해 공간 조직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어떤 형태인지, 그리고 공간의 의미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문지리학의 주요 분과'''

경제지리학경제적 활동의 위치, 분포, 공간적 조직을 탐구한다.
관광지리학여행과 관광을 산업이나 사회적, 문화적 활동으로 보는 학문이다.
교통지리학인간과 물자의 움직임, 연결을 연구하는 경제지리학의 분과이다.
도시지리학건물, 기반 시설이 밀집한 지역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문화지리학문화적 산물, 규범과 이들의 다양성 및 공간과의 연관성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발전지리학거주지의 삶의 질, 생활 수준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보건지리학보건에 지리학적 지식을 응용한 학문이다.
사회지리학사회 현상과 공간적 요소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시간지리학, 역사지리학시간지리학은 사건의 시간과 공간적 측면을 다룬다. 역사지리학은 과거의 지리를 연구한다.
인구지리학, 인구론인구의 분포, 구성, 이주와 장소의 관련성을 연구한다.
정치지리학, 지정학정치지리학은 특정 장소의 사람들이 정치적 모임을 형성하고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 연구한다. 지정학은 지리가 국제 정세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종교지리학종교적 신념에 지리가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시간이 지나면서 다음과 같은 분야도 생겨났다.


  • 행동주의 지리학: 인간의 행동을 독립적으로 보는 시각으로, 인간과 장소를 연계하는 시각과 대비된다.
  • 여성주의 지리학: 여성주의를 환경, 사회, 지리적 공간에 접목한 학문이다.
  • 문화 이론: 문화를 특정 시각에서 설명하려는 이론이다.
  • 지리철학: 사람들이 인식하고 떠올리는 세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4. 1. 2. 자연지리학

자연지리학은 자연에 대한 지리적 내용을 다루는 분야이다. 자연과 환경의 구성요소, 상호작용, 공간적 분포에 대해 탐구한다.[164]

지리학이 발달한 미국, 영국, 독일 등에서는 자연지리학을 지질학과 유사하게 보기도 하며, 지구과학이나 자연과학의 한 분야로 취급하기도 한다.

자연지리학은 다양하고 넓은 분야로 나눌 수 있다.

분야설명이미지
경관생태학환경에서 생태학적 과정과 특정 생태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고지리학과거의 지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기후학, 기상학각각 기상, 기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기후가 기상 현상의 평균이라는 것이 차이이다.
빙하학빙하나 얼음을 수반하는 자연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물지리학이나 생태계의 분포, 특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수문학, 수로학수문학은 물의 순환을 다루고, 수로학은 바다, 강과 같은 물이 있는 지형 따위를 다루는 학문이다.
제4기학제4기의 환경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지형학지형의 형성, 발달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측지학지구나 지구 중력장의 측정과 표현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토양학자연 환경에서 토양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안지리학대양과 육지가 만나는 곳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양학해양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환경자원관리인간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과 상호작용을 관리하는 것이다.


4. 2. 지역지리학

지역지리학은 특정 지역을 지리적으로 접근하여 내용을 서술하고 연구하는 방법이다. 계통지리학이 특정 주제에 대해 지리적으로 접근하여 일반적인 원리를 도출하는 것과 달리, 지역지리학은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대표적인 분야로는 한국지리, 유럽지리 등이 있다.[167]

지역지리학은 규모에 상관없이 지구 상의 지역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지역의 자연적, 인문적 요소를 이해하고 정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역구분(Regionalisation)도 지역지리학의 중요한 관심 분야이다.

4. 3. 지리정보학

지리정보학은 1950년대 중반 계량 혁명 이후 새롭게 떠오른 분야이다. 지도학, 지형학에서 쓰인 공간과 연관된 기술과 컴퓨터 응용을 포함한다. GIS와 원격 탐사를 활용하여 다른 학문과도 연관된 폭넓은 학문이 되었다. 이는 1950년대 이후 침체기를 겪었던 북미 지역의 지리학과가 다시 살아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15]

지리정보학은 공간분석과 연관된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지도학, 원격탐사, GIS, GPS가 있다.[15]

4. 4. 연관 분야

도시 계획, 지역 계획은 지리학의 이론을 이용한다. 이는 안전, 미, 경제적 기회, 자연 유산이나 인조 유산의 보존과 같은 기준을 만족시키도록 땅을 개발하기(또는 개발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마을과 도시와 교외 지역에 대한 계획은 응용 지리학으로 생각할 수 있다.[164]

지역 과학은 1950년대에 월터 아이사드가 이끄는 지역 과학 운동을 통해 나타났다. 이는 지리적인 질문에 더욱 계량적이고 분석적인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으로, 묘사,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전통적인 지리 과정과는 대비된다. 지역 과학은 공간적 차원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야를 포함한다. 지역지리학, 자원 관리, 위치 이론, 도시 계획, 교통, 통신, 인문지리학, 인구분포가 그 예이다.[164]

행성 과학은 지리학이 지구를 주로 다루지만, 다른 세계를 묘사하는 데 쓰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태양계의 행성이나 더 멀리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지구보다 더 큰 체계를 연구하는 것은 천문학의 일부를 이룬다.[164]

5. 기법

지리학은 통시적인 특성을 띤 과학으로, 공간적인 상호연관성을 중요하게 여긴다. 그래서 지도는 지리학의 중요한 도구이다. 고전적인 지도학에 지리적 분석의 현대적인 방식인,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지리 정보 체계(GIS)가 자리 잡고 있다.[164]

모든 지리 연구 및 분석은 "어디에"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여 "왜 거기에"라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지리학자들은 토블러의 지리학 제1법칙에서 제시된 기본적인 가정, 즉 "모든 것은 모든 것과 관련이 있지만, 가까운 것들은 먼 것들보다 더 관련이 있다"는 가정으로 시작한다.[31][32]

지리학자들은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상호 관련된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 분석적 – 특정 지리적 지역에 특징과 인구가 있는 이유를 묻는다.
  • 기술적 – 단순히 특징과 인구의 위치를 명시한다.
  • 지역적 – 지구상의 특정 지역이나 위치에 대해 범주 간의 체계적인 관계를 조사한다.
  • 체계적 – 지리적 지식을 전 세계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범주로 그룹화한다.


지리학에서는 지역 차이가 있는 것을 다루기 때문에 지도가 필수적이며, 지도를 이용하여 사건의 분석이나 원인의 고찰을 할 수 있다. 사물의 분포를 고찰하는 데 있어 분포도 작성이 제시된다. 분포도에서는 사물의 위치와 다과, 편중 정도가 표현되기 때문에 분포에 대해 깊이 고찰하는 데 유효하며, 이를 통해 지리적 사건의 지역성과 일반성을 해명할 수 있다.

5. 1. 지도학

지도학은 지구 표면을 추상적인 기호로 표현하는 방법을 다루는 학문이다.[73] 지리학의 다른 분야에서 연구 결과를 지도로 나타내기도 하지만, 지도 제작은 그 자체로 추상적인 학문이기 때문에 지리학과 별개로 다룰 수 있다. 지도학은 단순한 지도 작성 기술을 넘어 실제 과학으로 발전했다.[72]

지도학자는 어떤 기호가 지구를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내는지 알아야 하므로 인지심리학인간공학을 배운다. 또한, 지도를 보는 사람들이 정보에 따라 행동하도록 행동 심리학도 알아야 한다. 아울러 지구 모양이 평평한 지도에서 어떻게 왜곡되는지 이해하기 위해 측지학과 고급 수학 지식도 필요하다. 지도학은 지리학이라는 더 큰 분야의 씨앗이라고 할 수 있으며, 많은 지리학자가 어린 시절 지도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지리학의 길로 들어섰다고 한다.

인도아리아어군 언어 분포도


정성적 지도 제작은 정량적 지도 제작과 동일한 소프트웨어와 기법을 많이 사용한다.[81] 지도 제작 관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본질적으로 정량적이지 않은 관점과 아이디어를 시각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81][80] 정성적 지도 제작의 한 예로는 토지 피복이나 지역의 주요 언어 집단과 같은 명목 데이터의 코로크로매틱 지도가 있다.[82] 또 다른 예로는 심층 지도가 있는데, 이는 지리와 스토리텔링을 결합하여 장소, 이름, 지형의 2차원 이미지보다 더 많은 정보를 담은 결과물을 만들어낸다.[83][84] 이러한 접근 방식은 장소를 구성하는 복잡한 계층을 연결하기 위해 기존의 지도 제작 방식보다 더 포괄적인 전략을 제공한다.

5. 2. 지리 정보 체계 (GIS)

지리 정보 체계(GIS)는 지구에 대한 정보를 컴퓨터가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것을 다룬다.[74] 이 분야의 전문가는 컴퓨터 과학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해해야 한다. GIS는 지도 제작 분야에 혁명을 일으켰다. 거의 모든 지도 제작은 이제 어떤 형태의 GI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GIS 소프트웨어와 GIS 기법을 사용하여 공간적 관계를 표현하고 분석하며 예측하는 과학을 ''지리 정보 과학(GISc)''이라고 한다.[75]

5. 3. 원격탐사

원격탐사는 지구 상의 사물을 일정한 거리를 두고 측정하여 그 사물에 대한 정보를 얻는 과학이다. 원격으로 얻은 정보는 위성 사진, 항공 사진처럼 다양한 형태를 띤다. 지리학자들은 원격 탐사를 통해 얻은 지표, 해양, 대기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76]

  • 다양한 공간적 척도(지역적 범위에서 세계적 범위까지)에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 관심 지역을 다양한 관점에서 관찰할 수 있게 한다.
  • 멀거나 접근이 불가능한 장소도 다룰 수 있게 한다.
  • 가시광선 이외의 영역의 전자기파를 볼 수 있게 하여, 이 영역으로 관찰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사물이나 지역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바뀌는지에 관한 연구를 촉진시킨다.


원격탐사로 얻은 정보는 다른 디지털 정보와 같이 분석하거나, 독립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합성개구레이더(SAR)를 이용한 데스밸리(Death Valley) 영상. 편광 특성을 이용하여 색상을 입혔다.

5. 4. 정량적 기법

현대 지리학에서 정량적 기법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지리통계학은 정량적인 정보 분석을 다루는 핵심 분야이다. 지리통계학은 지리적 현상을 탐구하는 통계적 방법론을 응용하며, 수문학, 지질학, 석유 탐사, 기상 분석, 도시 계획, 물류, 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78]

지리통계학은 클러스터 분석, 선형 판별 분석, 비모수 통계 등 다양한 수학 분야를 활용한다. 특히 지리 정보 체계에서 측정되지 않은 점의 값을 추정하는 보간 작업에 많이 활용된다.[78]

1950년대와 1960년대 정량 혁명은 지리학에서 정량적 방법이 크게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70] 이는 가설의 과학적 검증과 지리 이론 및 법칙 제안을 가능하게 했다.[71] 정량 혁명은 기술 지리학에 큰 영향을 미쳐 정량 지리학이라는 하위 분야를 발전시켰다.[15][70]

지리학에서는 지역 차이를 다루기 때문에 지도가 필수적이다. 지도를 통해 사건을 분석하고 원인을 고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기온 정보를 바탕으로 등온선을 그리고, 위선과의 관계를 연구했다. 사물의 분포를 고찰하기 위해 분포도를 작성하며, 이를 통해 지리적 사건의 지역성과 일반성을 파악할 수 있다. 다카하시 노부오는 폰 튀넨의 고립국과 발터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을 분포 분석 연구의 예시로 제시했다.

5. 5. 정성적 기법

인문지리학에서 사용하는 기법으로, 문화지리학에서는 예로부터 질적 연구 기법을 사용하는 전통이 있다. 이는 인류학사회학에서도 사용되는 기법이다. 참여관찰과 심층 인터뷰는 인문지리학자들이 질적 자료를 얻을 때 활용하는 방법이다.[85]

참조

[1] 서적 Introduction to Geography: People, Places & Environment Pearson 2014
[2] 서적 Key Concepts in Geography: Scale, Resolution, Analysis, and Synthesis in Physical Geography John Wiley & Sons 2009
[3] 서적 Eratosthenes' Geography https://press.pri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4-01-29
[4]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uman Geography Elsevier 2024-01-29
[5] 서적 Geography and Ethnography: Perceptions of the World in Pre-Modern Societies John Wiley & Sons
[6] 간행물 Qualitative Developmental Research Methods in Their Historical and Epistemological Contexts http://www.qualitati[...] 2006-01
[7] 웹사이트 Areography https://www.merriam-[...] 2022-07-27
[8] 학술지 Areography https://www.jstor.or[...] 2022-07-27
[9] 서적 Camille Flammarion's the Planet Mars 2014-09-19
[10] 웹사이트 What is Environmental Geography, Anyway? http://webhost.bridg[...] Bridgewater State University 2016-11-10
[11] 서적 An introduction to Settlement Geogra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06-29
[12] 서적 The History of Geography Basil Blackwell 1963
[1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Names and Nam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14] 웹사이트 What is geography? http://www.aag.org/C[...] American Association of Geographers 2006-10-09
[15] 학술지 What is Technical Geography https://technicalgeo[...] 2022-07-22
[16] 서적 Key Concepts in Geography https://us.sagepub.c[...] Sage 2023-12-02
[17] 서적 Key Concepts in Geography Sage 2003
[18] 서적 Guidelines for Geographic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Council 1984
[19] 학술지 Guidelines for Geographic Education and the Fundamental Themes in Geography https://www.tandfonl[...] 1994-01-01
[20] 학술지 Exploring the five themes of geography using technology https://ossr.scholas[...] 2015
[21] 서적 Rediscovering Geography: New Relevance for Science and Society http://www.nap.edu/o[...]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4-05-06
[22] 서적 Geography: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23] 서적 Key Concepts in Geography: Space, The Fundamental Stuff of Geography John Wiley & Sons 2009
[24] 서적 Key Concepts in Geography: Space, Making Room for Space in Physical Geography John Wiley & Sons 2009
[25] 서적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77
[26] 학술지 Interactive three-dimensional geovisualization of space-time access to food https://www.scienced[...] 2022-12-07
[27] 학술지 Language and the Making of Place: A Narrative-Descriptive Approach
[28] 학술지 A View of Geography https://www.jstor.or[...] 2023-01-05
[29] 서적 Key Concepts in Geography: Place, Connections and Boundaries in an Interdependent World John Wiley & Sons 2009
[30] 서적 Key Concepts in Geography: Place, The Management of Sustainable Physical Environments John Wiley & Sons 2009
[31] 학술지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http://pdfs.semantic[...] 2022-07-22
[32] 학술지 On the First Law of Geography: A Reply https://www.tandfonl[...] 2022-07-22
[33] 서적 An Introduction to Time-Geography Geo Abstracts, University of East Anglia 1977
[34] 서적 Key Concepts in Geography: Time, Change and Stability in Environmental Systems John Wiley & Sons 2009
[35] 서적 Key Concepts in Geography: Time, From Hegemonic Change to Everyday life John Wiley & Sons 2009
[36] 논문 Minkowski's space–time: From visual thinking to the absolute world 1979
[37] 논문 Time geography and space–time prism https://doi.org/10.1[...] 2022-09-01
[38] 논문 Strategies For The Visualization Of Geographic Time-Series Data https://utpjournals.[...] 2022-09-01
[39] 서적 Key Concepts in Geography: Scale, the local and the global John Wiley & Sons 2009
[40] 논문 "Effects of MAUP on image classification" 1996
[41] 논문 The laws of geography https://www.jstor.or[...] 2005
[42] 서적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Geography https://uk.sagepub.c[...] SAGE Publications 2023-04-27
[43] 논문 GIS and quantitative geography 2001
[44] 논문 Geography, Von Thünen, and Tobler's first law: Tracing the evolution of a concept 2021-04-28
[45] 논문 On the First Law of Geography: A Reply http://www.tandfonli[...] 2022-03-10
[46] 논문 The Validity and Usefulness of Laws in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and Geography 2004
[47] 논문 Linear pycnophylactic reallocation comment on a paper by D. Martin 1999
[48] 서적 Spatial Information Theory Springer 2009
[49] 논문 A Dynamic Spatiotemporal Stochastic Volatility Model with an Application to Environmental Risks 2023
[50] 논문 Mining Type-β Co-Location Patterns on Closeness Centrality in Spatial Data Sets 2022-07-23
[51] 논문 An urban crowd flow model integrating geographic characteristics 2023-01-30
[52] 논문 The Four Traditions of Geography https://doi.org/10.1[...] 2022-08-27
[53] 논문 A New Look at the Four Traditions of Geography https://www.tandfonl[...] 2022-08-27
[54] 논문 Geography's Crosscutting Themes: Golden Anniversary Reflections on "The Four Traditions of Geography" https://doi.org/10.1[...] 2022-08-27
[55] 논문 The Process of Geomorphology Related to Sub Branches of Physical Geography https://www.sc-media[...] 2023-05-09
[56] 서적 The Philosophy of Geo-Ontologies Springer 2021
[57] 웹사이트 1(b). Elements of Geography http://www.physicalg[...]
[58] 웹사이트 Physical Geography http://www.physicalg[...]
[59] 서적 Physical Geography: Great Systems and Global Environmen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0] 웹사이트 Physiography and Physical Geography 1900
[61] 백과사전 Human Geography Blackwell
[62] 서적 Geography Volume I Encyclopedia of Life Support Systems (EOLSS) UNESCO 2009
[63] 서적 Geography – Vol. I: Geography https://www.eolss.ne[...] Encyclopedia of Life Support Systems (EOLSS) UNESCO 2022-12-30
[64] 서적 Geography – Vol. II: Technical Geography Core concepts in the mapping sciences https://www.eolss.ne[...] Encyclopedia of Life Support Systems (EOLSS) UNESCO
[65] 서적 Geography reformed: a new system of general geography, according to an accurate analysis of the science in four parts. The whole illustrated with notes. Edward Cave 1749
[66] 서적 Introduction to Geography McGraw Hill 2018
[67] 서적 Fundamentals of Physical Geography as a Discipline National Council of Educational Research and Training 2006
[68] 서적 Geography Mark-Up Language: Foundation for the Geo-Web John Wiley and Sons Inc. 2004
[69] 서적 Research Methods in Language Variation and Change: Computer mapping of language da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10-24
[70] 서적 Quantitative Geography: Perspectives on Spatial Data Analysis Sage Publications Ltd 2000
[71] 서적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Wiley-Blackwell 2009
[72] 학술지 Cartography and the others – aspects of a complicated relationship 2019-10-21
[73] 학술지 An Improved Curriculum for Cartographic Training at the College and University Level 1953-12
[74] 서적 Fundamental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John Wiley & Sons, inc. 2009
[75] 서적 Technological Transition in Cartography Univ of Wisconsin Pr 1985
[76] 서적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Pearson Education, Inc 2016
[77] 학술지 Land Use and Land Cover Mapping in the Era of Big Data 2022-09
[78] 간행물 A statistical approach to some basic mine valuation problems on the Witwatersrand 1951
[79] 학술지 Qualitative research 2013
[80] 학술지 Towards Qualitative Geovisual Analytics: A Case Study Involving Places, People, and Mediated Experience https://www.utpjourn[...] 2022-12-17
[81] 학술지 Qualitative Methods for Research on Mapmaking and Map Use https://doi.org/10.1[...] 2022-08-26
[82] 서적 Visualization in Modern Cartography https://books.google[...] Elsevier 2023-12-24
[83] 서적 Deep Maps and Spatial Narratives https://www.jstor.or[...] Indiana University Press 2015
[84] 학술지 Deep mapping for environmental communication design 2021-05-20
[85] 서적 Doing Ethnographies 1995
[86] 학술지 Situating Geopoetics https://doi.org/10.1[...] 2022-08-21
[87] 서적 Geopoetics in Practice https://www.taylorfr[...] Taylor & Francis 2022-08-21
[88] 학술지 An art–science approach to bycatch in the Gulf of California shrimp trawling fishery https://doi.org/10.1[...] 2022-08-21
[89] 학술지 Climate geopoetics (the earth is a composted poem) https://journals.sag[...] 2022-08-22
[90] 학술지 Geopoetics: Storytelling against mastery 2021
[91] 학술지 Geopoetics: On organising, mourning, and the incalculable https://doi.org/10.1[...] 2022-08-22
[92] 학술지 Gesturing toward the common and the desperation: Climate geopoetics' potential https://journals.sag[...] 2022-08-22
[93] 학술지 Beyond geopoetics: For hybrid texts 2021
[94] 서적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in Geographical Research https://alexsingleto[...] Geo Abstracts 1977
[95] 서적 Survey Research in Underdeveloped Countries https://alexsingleto[...] Geo Books 1984
[96] 서적 Key Concepts in Geography: Histories of Geography Sage 2009
[97] 서적 Geography and Ethnography: Perceptions of the World in Pre-Modern Societies John Wiley & Sons 2009
[98] 웹사이트 Babylonian clay tablet, 600 B.C. http://www.henry-dav[...] Henry Davis Consulting Inc. 2016-11-10
[99] 학술지 Imago Mundi's Logo the Babylonian Map of the World 1996
[100] 서적 A join to the map of the world: A notable discovery British Museum Magazine 1995
[101] 서적 A Source Book in Geograph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0-05-17
[102] 서적 A Concise History of Solar and Stellar Physic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4
[103]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Earinus-Nyx https://books.google[...] Taylor and Walton 2020-05-15
[104] 웹사이트 Mapmaking and its History http://www.math.rutg[...] Rutgers University 2016-11-10
[105] 서적 Mathematics and the Sciences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https://books.google[...] Caves Books, Ltd. 1959
[106] 웹사이트 Islam and Islamic History and The Middle East https://www.islamici[...] 2018-09-05
[107] 논문 Medieval Views of the Cosmos 2007
[108] 서적 The history of cartography https://press.uchica[...] Brill 1997
[109] 서적 Astronomy and Islamic society: Qibla, genomics and timekeeping http://qisar.fssr.un[...]
[110] 웹사이트 Abu Rayhan al-Biruni http://academic.empo[...] Emporia State University 2003
[111] 서적 Avicen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2] 논문 The Geography of Bernhard Varenius 1955
[113] 논문 Newton, the Newtonians, and the Geographia Generalis Varenii https://www.jstor.or[...] 1989
[114] 서적 Geographies of Nineteenth-Century Scie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07-15
[115] 웹사이트 Société de Géographie, Paris, France http://www.socgeo.or[...] Société de Géographie 2016
[116]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rgs.org/[...] Royal Geographical Society
[117] 웹사이트 Русское Географическое Общество (основано в 1845 г.) https://www.rgo.ru/r[...] Russian Geographical Society
[118] 웹사이트 History http://americangeo.o[...] The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119] 웹사이트 National Geographic Society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120] 논문 The pre-classical period of modern geography https://www.tandfonl[...] 1939
[121] 서적 Interpreting Our World: 100 Discoveries That Revolutionized Geography ABC-Clio
[122] 논문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The First Seventy-Five Years 1904–1979 http://dx.doi.org/10[...] 1980-07
[123] 웹사이트 AGS History http://www.amergeog.[...] 2009-02-26
[124] 웹사이트 National Geographic Society https://2009-2017.st[...]
[125] 웹사이트 Royal Geographical Society (with IBG) https://www.rgs.org/
[126] 논문 "Academic War Over the Field of Geography": The Elimination of Geography at Harvard, 1947-1951 https://www.jstor.or[...] 1987
[127] 서적 Geology in the field Wiley
[128] 논문 Biogeochemistry: its origins and development https://doi.org/10.1[...] 1991-01-01
[129] 논문 The Importance of Geography in Education 1902
[130] 서적 The Relations of History and Geography: Studies in England,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University of Exeter Press
[131] 웹사이트 報告 大学教育の分野別質保証のための教育課程編成上の参照基準 地理学分野 https://www.scj.go.j[...] 日本学術会議 地域研究委員会・地球惑星科学委員会合同 地理教育分科会 2014-09-30
[132] 웹사이트 公益社団法人日本地理学会『新ビジョン(中期目標)』 http://www.ajg.or.jp[...]
[133] 웹사이트 地理学科の内容|文学部|法政大学 https://www.hosei.ac[...]
[134] 서적 マシューズ&ハーバート 地理学のすすめ 丸善出版 2015-03-25
[135] 서적 世界市民の地理学 Geographies for Cosmopolitan 晃洋書房 2006-04-10
[136] 서적 地理学概論 朝倉書店 2007-04-25
[137] 서적 地理学概論 朝倉書店 2007-04-25
[138] 서적 世界市民の地理学 Geographies for Cosmopolitan 晃洋書房 2006-04-10
[139] 서적 地誌学概論 第2版 朝倉書店 2020-02-01
[140] 서적 地誌学概論 第2版 朝倉書店 2020-02-01
[141] 서적 지리학개론 아사쿠라서점 2007-04-25
[142] 서적 매슈스&허버트 지리학의 제안 마루젠출판 2015-03-25
[143] 서적 인문지리학 미넬바서방 2009-10-30
[144] 서적 지지학개론 제2판 아사쿠라서점 2020-02-01
[145] 서적 인문지리학 미넬바서방 2009-10-30
[146] 서적 지지학개론 제2판 아사쿠라서점 2020-02-01
[147] 웹사이트 2018(헤세이 30)년 3월에 고시된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의 분석보고 https://www.kawai-ju[...] 카와이학원 2023-06-23
[148] 간행물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149] 웹사이트 지리학 https://es.wikipedia[...]
[150] 웹사이트 geography http://www.etymonlin[...]
[151] 웹사이트 地理 https://zh.wiktionar[...]
[152] 서적 Geography and Ethnography: Perceptions of the World in Pre-Modern Societies John Wiley & Sons 2009
[153] 서적 A Concise History of Solar and Stellar Phys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20
[154]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3 Caves Books, Ltd 1986
[155] 서적 Voyages that changed the world Quercus 2007
[156] 웹사이트 Société de Géographie, Paris, France 2007-01-15
[157] 웹사이트 About Us 2007-01-15
[158] 웹사이트 The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2009-04-17
[159] 웹사이트 Inspiring People to Care About the Planet 2009-04-17
[160]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3 Caves Books, Ltd 1986
[161] 서적 고등학교 국사 국사편찬위원회 2002
[162] 서적 고등학교 국사 국사편찬위원회 2002
[163] 웹인용 지리임 http://www.jirilim.c[...] 2015-03-01
[164] 웹인용 What is Environmental Geography, Anyway? http://webhost.bridg[...] 2006-10-09
[165] 서적 The History of Geography Basil Blackwell 1963
[166] 서적 Rediscovering Geography: New Relevance for Science and Society http://www.nap.edu/o[...]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997
[167] 웹사이트 Five Themes of Geography https://www.csust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