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양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양호는 1973년 소양강댐 완공으로 생긴 인공 호수이다. 총 면적 1,608ha, 호수 길이는 약 60km에 달하며, 춘천시를 비롯하여 양구군, 인제군에 걸쳐있다. 한국 최대의 댐 호수로, "내륙의 바다"로 불리며 청평사 등 명승지와 유람선, 낚시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 소양강댐 건설로 인해 춘천시의 안개 발생 빈도가 높아졌으며, 가을과 겨울에 안개가 자주 발생한다. 2024년에는 소양호 방제를 위한 오염물질 저감 사업과 부교 설치 계획이 추진되었으며, 1990년 소양호 버스 추락 사고, 2020년 쓰레기섬 발생, 2022년 가뭄으로 인한 귀이빨대칭이 발견 등의 사건이 있었다. 2023년에는 녹조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양강 - 소양호 버스 추락 사고
    1981년 인제군 군축교에서 발생한 소양호 버스 추락 사고는 대구공고 졸업생 부부들을 태운 버스가 소양호에 추락하여 많은 사상자를 냈으며, 버스 운전자의 과실, 불법 운행, 노후 차량 관리 부실 등이 원인이 되어 불법 자가용 버스 단속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
  • 양구군의 지리 - 파로호
    파로호는 화천군과 양구군에 걸쳐 있는 인공호수로, 6.25 전쟁 중 파로호 전투 승리를 기념하여 이승만 대통령이 명명했으며, 다양한 생물 서식, 통일 안보 관광지 기능, 구석기 유적 발견 등 역사적 가치를 지니지만, 외래 어종 유입과 수몰 유적 보존 문제가 남아있다.
  • 양구군의 지리 - 해안분지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에 위치한 해안분지는 쥐라기 화강암의 차별 침식으로 형성된 침식 분지로, 대암산과 대우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펀치볼 일대를 포함, 고랭지 농업과 안보 관광 명소로 알려져 있다.
  • 인제군의 지리 - 금강산
    금강산은 한반도에서 아름다운 산으로, 계절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으로 나뉘어 독특한 경관을 자랑했으나, 금강산 관광은 중단된 후 재개가 불투명하다.
  • 인제군의 지리 - 인제 단층
    인제 단층은 경기 육괴의 남향 이동 중 형성된 역단층으로, 강원도 인제군을 비롯한 일대에 분포하며 87 Ma 이후 재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단층경면, 단층점토 등의 특징을 보이는 선형 구조이다.
소양호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20241108 HPGkiji 소양호
소양호
다른 이름昭陽湖 (소양호), Lake Soyang (레이크 소양)
위치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양구군, 인제군에 두루 걸쳐 있다.
유형인공 호수
수문 정보
호수 면적70
유입 하천소양강
유출 하천소양강
위도37.945900
경도127.817300
댐 정보
명칭昭陽江댐 (소양강댐)
위치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상태완공
착공일1967년 4월 15일
개장일1973년 10월 15일
소유주한국수자원공사
유형흙댐
높이123 m
길이530 m
댐 체적960만 m3
횡단 하천소양강
방수로종류: 조절식 수로
용량: 5,500 m3/s
저수지 정보
저수 용량29억 m3
유효 저수량19억 m3
유역 면적2,703 km2
표면적70.0 km2
발전소 정보
발전기 종류프란시스 수차 3기
설치 용량200 MW

2. 지리

한강 수계의 홍수 조절, 수력 발전, 서울·인천 등 수도권에 생활 및 공업 용수를 공급할 목적으로 다목적 댐인 소양강댐이 건설되었다.[2] 1965년 한일 기본 조약 체결 후, 일본으로부터 경제 원조 78억[2]가 투입되었으며, 과거 수풍댐 건설에 참여했던 쿠보타 유타카가 이끄는 일본공영의 기술 원조로 건설 계획이 이루어졌다. 이는 포항제철소와 더불어 "한강의 기적"을 뒷받침한 사업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973년 소양강댐이 완공되면서 소양호가 만들어졌다. 총면적은 1608ha이며, 호수의 길이는 직선거리로 약 60km에 달하여 춘천시에서부터 상류의 양구군, 인제군까지 이어진다. 면적과 저수량 모두 한국 최대 규모의 인공 호수이다.

소양호는 그 규모 때문에 "내륙의 바다"라고도 불린다. 호수 주변에는 청평사를 비롯한 여러 사찰과 명승지가 자리 잡고 있으며, 관광 유람선이 운항되고 있다. 또한 낚시 명소로도 알려져 있으며, 특히 겨울철 빙어 낚시가 유명하다. 정기 여객선도 운항하여 내륙 수상 교통로의 역할도 하고 있다.

2. 1. 안개

춘천시소양강댐 건설로 인공호수인 소양호가 생긴 이후 안개 발생 빈도가 높아졌다. 이종범(1981)의 연구에 따르면, 소양강댐 건설 이전 연평균 28.7일이었던 안개 발생 일수가 댐 건설 후인 1974년부터 1978년까지 5년간 연평균 78.6일로 약 50일 증가했다. 이는 특히 봄과 여름에 소양호로부터 상대적으로 차가운 물이 흘러들어와 안개 발생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3]

김만구 외(1998)는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춘천시의 안개를 관측한 결과, 안개 속에 황산염, 질산염, 염소 이온, 칼슘 이온, 암모늄 이온, 칼륨 이온 등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당시 안개의 수소 이온 농도(pH)는 4.1~7.0 범위로 산성을 띠었으며, 전기 전도도를 기준으로 측정한 수용성 오염물질 농도는 비가 올 때보다 26배나 높게 나타났다. 한편, 1981년부터 1983년 사이에는 춘천의 안개 일수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는데, 이는 의암호가 완전히 방류되면서 찬 물이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4]

이화운 외(2005)의 연구에 따르면, 춘천시에서 비가 오지 않는 날 발생하는 안개는 가을과 겨울에 가장 많으며, 특히 가을철에 전체 안개의 50% 이상이 집중되었다. 안개가 지속되는 시간은 겨울에는 평균 4시간 이상, 여름에는 2시간 이하로 나타났다. 안개는 대부분 오전 7시 이전에 발생하지만, 겨울에는 밤에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소양댐의 방류량이 많은 해에 안개 발생 일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안개 발생 시 온도와 이슬점 온도의 차이는 2~4°C 정도였다.[5]

백승주 외(2007)의 연구에서도 춘천시의 가을 및 겨울철 안개 발생률이 전체의 75%를 차지하며, 10월이 안개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달로 나타났다. 이는 소양댐 방류 일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안개는 주로 상대습도 90~95% 조건에서 오전 7시 이전에 발생하며, 늦가을과 겨울에는 밤에도 다소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6]

3. 관광

1973년 소양강댐 완공으로 생겨난 소양호는 총 면적 1608ha, 호수 길이 약 60km에 달하는 한국 최대의 인공 호수이다. 이 거대한 규모 때문에 "내륙의 바다"라고 불리기도 한다.

호수 주변에는 청평사를 비롯한 절과 명승지가 많아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다. 이들을 위해 관광 유람선이 운항되고 있으며, 호수와 주변 경관을 감상하는 좋은 방법이 된다. 또한, 소양호는 사계절 낚시 명소로도 인기가 높으며, 특히 겨울철 빙어 낚시가 잘 알려져 있다.

관광 목적 외에도 정기 여객선이 운항되어, 춘천시에서 상류의 양구군, 인제군을 잇는 중요한 내륙 수상 교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3. 1. 유람선

소양호 유람선


소양호에는 관광객을 위한 유람선이 운항되고 있으며,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소양호 순환 유람선: 2층 구조로 소양호 전체를 한 바퀴 도는 코스이며, 약 40분이 소요된다. 왕복 요금은 1만이다.
  • 청평사행 유람선: 1층 구조로 소양호 선착장에서 청평사 방면으로 직접 가는 코스이다. 약 10분이 소요되며, 왕복 요금은 6천이다 (2011년 8월 23일 기준).


1973년 소양강댐 완공으로 생성된 소양호는 "내륙의 바다"라고 불릴 만큼 넓은 수면을 자랑하며, 유람선은 호수와 주변 명승지를 즐기는 주요 교통 수단 중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3. 2. 낚시

소양호와 그 주변은 낚시 명소로도 알려져 있으며, 특히 겨울철 빙어 낚시가 유명하다.

4. 관련 사업


  • 2024년 수자원공사 한강유역본부는 소양호의 수질 개선을 위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오염물질 감시 등 오염물질 저감 사업을 추진한다.[7]
  • 2024년 12월, 행정안전부는 소양호 둘레에 부교 설치 계획을 승인했다. 이는 당초 계획했던 호수둘레길 조성 사업이 해당 지역의 생태적 가치로 인해 변경된 것으로, 부교 설치가 대안으로 추진되었다.[8]

5. 사건 사고


  • 1990년: 소양호 버스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9]
  • 2020년: 태풍 마이삭태풍 하이선으로 인해 소양호에 약 29000m3에 달하는 거대한 쓰레기섬이 만들어졌다.[9]
  • 2022년:
  • * 가뭄으로 인해 소양호 상류가 바닥을 드러냈다.[10]
  • * 소양호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귀이빨대칭이가 발견되었다.[11]
  • 2023년:
  • * 소양호에서 발달장애인 가족이 동반 자살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안타까움을 주었다.[12]
  • * 소양호 상류의 한 계곡에서 거품이 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조사한 결과, 계면활성제가 검출되었다.[13]
  • * 양구군에서 설치한 대규모 수상 태양광 발전 시설이 춘천시 관할 수역과 소양호를 침범하여 어업 활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했다.[14]
  • 2024년: 과거 녹조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던 소양호에서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녹조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이례적으로 긴 폭염의 영향으로 추정된다.[15]

6. 갤러리

소양호 2024년 11월 8일 모습

참조

[1] 웹사이트 Songyanggang Dam http://www.kncold.or[...]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Large Dams 2011-08-05
[2] 문서 ODA韓国昭陽江ダム建設事業(1967年8月7日)として3.96億円
[3] 논문 春川地方의 人工湖에 依한 안개 및 雲量의 變化 (Changes of Fog Days and Cloud Amount by Artificial Lakes in Chuncheon) https://www.dbpia.co[...] 1981-03
[4] 논문 산성강하물의 침착량과 동태 해명에 관한 연구 -춘천 지역 안개의 화학 조성 (1996~1997) A Study on the Behavior and Deposition of Acid Precipitation Chemical Composition of Fog Water at Chunchon (1996~1997) https://scienceon.ki[...] 1998
[5] 논문 춘천의 안개발생과 관련된 기상특성분석 및 수치모의 (Analysis of Meteorological Features and Prediction Probability Associated with the Fog Occurrence at Chuncheon) https://scienceon.ki[...] 2005
[6] 논문 춘천지방에서 발생한 안개 특성 분석 (Climatological Analysis of Fog Occurrence at Chuncheon) https://scienceon.ki[...] 2007
[7] 뉴스 수자원공사 한강본부, 지역민들과 함께 녹조 저감사업 추진 https://www.kyeonggi[...] 경기일보 2024-08-28
[8] 뉴스 소양강댐~청평사 잇는 부교 설치 정부 승인…소양호 물 위 걷는다 https://m.kwnews.co.[...] 강원일보 2024-12-02
[9] 뉴스 "겨우 치웠는데" 잇단 태풍에 소양호 거대 쓰레기섬 또 출현 https://news.sbs.co.[...] SBS 2020-09-10
[10] 뉴스 가뭄악몽 재연되나… 소양호 바닥 '쩍쩍' https://kukinews.com[...] 쿠키뉴스 2022-05-11
[11] 뉴스 소양호에서 멸종위기 1급 민물조개 발견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22-06-27
[12] 뉴스 춘천 소양호서 발달장애 가족 참변 https://www.socialfo[...] 소셜포커스 2023-02-15
[13] 뉴스 "[D리포트] 청정 소양호 상류에 거품 '둥둥'…계면활성제 검출" https://news.sbs.co.[...] SBS 2023-05-24
[14] 뉴스 소양호 70대 老어부의 28년 터전 빼앗은 수상 태양광발전시설 https://www.kwnews.c[...] 강원일보 2023-05-31
[15] 뉴스 대청호·소양호까지 녹조…“미처리 하수 등 오염원 잡아야”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4-09-05
[16] 문서 공식 명칭은 아산호이며 경기권에서 평택호라고 부르나 두가지 명칭을 혼용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