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진은 조선 시대에 두만강 일대에 설치된 여섯 개의 군사적 요충지를 의미한다. 고려 말부터 이어진 두만강 경략은 조선 태조 이성계 때 동해안을 따라 두만강 하류까지 영토를 확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후 세종 때 김종서를 통해 1434년부터 10여 년에 걸쳐 회령, 종성, 온성, 경원, 경흥, 부령에 육진이 설치되었고, 이와 함께 남부 지역에서 이민 정책이 시행되었다. 육진 설치는 두만강을 국경으로 확립하고 국방을 강화하여 북방의 안정을 가져왔으며, 조선 왕실의 정통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대외 관계 - 조로 수호 통상 조약
    조로 수호 통상 조약은 1884년 조선과 러시아 제국 간에 체결된 조약으로, 러시아의 조선 진출 확대와 청나라의 견제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러시아의 공사 파견을 허용하고 을사늑약 이후에도 효력을 유지했으나, 조선의 취약한 국제적 위상과 대한제국의 비극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 조선의 대외 관계 - 조이 수호 통상 조약
    조이 수호 통상 조약은 1884년 조선과 이탈리아 간에 체결된 13개 조항의 불평등 조약으로, 이탈리아 공사 파견을 허용했으나 실제로는 중국 상하이 총영사가 대행했고, 1905년 이후에도 효력이 유지되어 조약 내용과 효력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 조선의 군사 - 병마절도사
  • 조선의 군사 - 장용영
    장용영은 조선 정조 때 국왕 호위를 위해 설치된 특수 군영으로, 숙위 체계 강화를 위해 설립되어 궁궐 숙위 및 국왕 호위 임무를 수행하며, 조직 확대, 독자적인 재정 운영, 체계적인 무예 훈련을 통해 강화되었으나, 정조 사후 재정 부담과 정치적 상황 변화로 폐지되었다.
  • 명수 6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 명수 6 - 육분의
    육분의는 존 해들리와 토마스 고드프리가 개발한 천체의 고도를 측정하는 각도 측정 도구로, 넓은 시야와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며, 특히 해군에서 백업 항해 도구로 사용된다.
육진
불교
의미여섯 가지 감각적 대상
다른 이름여섯 가지 먼지
분류색, 소리, 냄새, 맛, 촉감, 법
산스크리트어비샤야 (viṣaya)
팔리어고차라 (gocara)

2. 설치 배경

붉은색 부분이 육진이다.


본래 이 지역 경략은 고려 공민왕 때부터 있었다. 조선 건국 후 태조 이성계는 동해안을 따라 두만강 하류까지 조선 영토로 편입하였다. 이후에도 여진족 침입이 잦자 세종대왕은 김종서를 통해 1434년(세종 16년)부터 10여 년간 이 지역을 적극적으로 경략하였다.

3. 육진 개척



본래 이 지역에 대한 경략은 고려공민왕 때부터 있었다. 조선 건국 후 태조 이성계는 동해안을 따라 두만강 하류까지 조선의 영토로 편입하였다. 이후 여진족의 침입이 잦자 세종대왕은 1434년(세종 16년)부터 10여 년 간 이 지역을 적극적으로 경략하여 두만강을 따라 6진이 설치되었고, 남부 지역에서 여러 차례 이민이 실시되었다.

3. 1. 김종서의 활약



이 지역에 대한 경략은 고려공민왕 때부터 시작되었다. 조선 건국 후 태조 이성계는 동해안을 따라 두만강 하류까지 조선의 영토로 편입하였다. 이후에도 여진족의 침입이 잦아지자 세종대왕은 김종서를 통해 1434년(세종 16년)부터 10여 년 간 이 지역을 적극적으로 경략하였다. 그 결과 두만강을 따라 회령(會寧), 종성(鍾城), 온성(穩城), 경원(慶源), 경흥(慶興), 부령(富寧)의 6진이 설치되었고, 이와 함께 남부 지역에서 여러 차례 이민이 실시되었다.

3. 2. 사민 정책(徙民政策)

세종대왕은 김종서를 통해 1434년(세종 16년)부터 10여 년에 걸쳐 여진족 지역을 적극적으로 경략하였다. 그 결과 두만강을 따라 회령·종성·온성·경원·경흥·부령의 6진이 설치되었고, 이와 함께 남부 지역에서 몇 차례의 이민이 실시되었다.

4. 의의

육진 설치로 두만강한국의 동북쪽 국경으로 확립되었다.[1][2][3][4]

4. 1. 영토 확장과 국경 확립

조선두만강 일대 경략에 공을 들인 이유는 두만강을 경계로 국방의 안정을 꾀하려는 목적[1][2] 외에도, 두만강 인근 경흥(慶興)에 조상무덤이 있었기 때문이었다.[3][4] 6진 설치로 두만강한국의 동북쪽 국경으로 확립되었다.

4. 2. 국방 강화와 북방 안정

조선두만강 일대를 경략하는 데 힘쓴 이유는 두만강을 경계로 국방을 안정시키려는 목적[1][2] 외에도, 두만강 인근 경흥(慶興)에 조상무덤이 있었기 때문이었다.[3][4] 6진 설치로 두만강한국의 동북쪽 국경으로 확립되었다.

4. 3. 조선 왕실의 정통성 강화

조선두만강 일대 경략에 힘쓴 이유는 두만강을 경계로 국방 안정을 꾀하려는 목적[1][2] 외에도, 경흥(慶興)에 조상무덤이 있었기 때문이었다.[3][4] 6진 설치로 두만강한국의 동북쪽 국경으로 확립되었다.

5. 현대적 평가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출력을 그대로 반환합니다.)

참조

[1] 서적 두만강이 우리의 국경을 빙 둘러 싸서 흐르니, 하늘이 만든 험고(險固)이지 아니한가. 옛 사람이 큰 강으로 못([[해자]])을 삼는다고 한 뜻과 매우 합치한다. (豆滿江逈抱我疆, 而天作之險乎. 甚合古人大江爲池之意.) 세종실록 1439-11-19
[2] 서적 두만강은 하늘이 저들과 우리와의 한계를 만들어 준 것이다. … 만약에 두만강의 경계를 회복하여 수비하는 곳으로 벌여 두고 북쪽 변경을 진압한다면, 우리는 수비하는 편의가 있고 저들은 두려워하는 마음이 있어 감히 두만강을 넘지 못할 것이다. (豆滿江 天所以限彼我也. … 若復豆滿江之界 列置守禦之所 以鎭北鄙, 則我有守禦之利 而彼有疑懼之心 不敢踰豆滿江矣.) 세종실록 1443-05-20
[3] 서적 옛 공주(孔州, 현 [[라선시]] 사회리 옛 [[함경북도 (대한민국)#경흥군|경흥군]] 경흥면 고성동)의 땅이다. 태조 7년에 옛 토성의 터에 기초하여 석성으로 고쳐 쌓았다. 그 땅에 [[덕릉 (조선)|덕릉]](德陵)·[[안릉 (조선)|안릉]](安陵)의 두 능이 있고 왕업(王業)을 일으킨 땅인 까닭으로, 이름을 경원부라고 하였다. 태종 10년에 야인(野人)이 쳐들어와 결국 포기하고 지키지 못했다. (古孔州. 太祖七年 因古土城基 改築石城. 以其地有德安兩陵 且肇基之地, 故號慶源府. 太宗十年 因野人入寇 遂棄不守.) 조선왕조실록 null # 날짜 정보가 세종실록 전체에 대한 것이므로 특정 날짜를 지정할 수 없음. 지리지 정보임을 명시.
[4] 서적 신설한 네 읍([[회령시|회령]], [[경원군 (함경북도)|경원]], [[종성군|종성]], [[경흥군|공성]])은 우리 조종께서 처음 기초를 정하신 땅으로 두만강을 경계로 삼았다. … 생각하건대 조종께서 왕업을 일으킨 땅을 버려둘 수 없다. (新設四邑 我祖宗肇基之地 以豆滿江爲界. … 予以謂 祖宗興王之地 不可空棄.) 세종실록 1443-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