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문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문거는 조선 인조~현종 시대의 문신으로, 1606년에 태어나 1672년에 사망했다. 1630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633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병자호란 당시 척화론을 주장했다. 이후 여러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대부분 사양하였고, 1658년 창강서원 원장을 역임했다. 1672년 사망 후 이조판서에 증직되었으며, 노강서원과 봉호서원에 배향되었다. 사후 의정부 좌찬성에 추증되고 충경의 시호가 내려졌다. 저서로는 《석호집》이 있다.

2. 생애

윤문거는 1606년(선조 39년) 함경도 북청부(北靑府) 관아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자는 여장(汝章), 호는 석호(石湖)·만퇴(晩退)이다. 아버지는 대사간, 이조참의를 지낸 윤황(尹煌)이며, 외조부는 성혼(成渾)이다. 형은 윤순거(尹舜擧), 동생은 윤선거(尹宣擧)로 모두 학자로 명성이 높았다.

인조 8년(1630년) 25세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1633년(인조 11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승정원 주서, 설서, 검열, 사간원 정언 등을 역임했으나, 병자호란 당시 척화를 주장하다 파직되었다.

이후 홍문관 수찬, 제천 현감 등을 지냈다. 1646년(인조 24년)에는 역적을 고발한 공로로 정3품 당상관에 올랐다.

효종 즉위 후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대부분 사양하였다. 동부승지, 동래부사 등을 지냈으나, 동래부사 시절 관왜(館倭)의 난동으로 파직되었다. 1653년(효종 4년) 다시 동부승지가 되었고, 이후 호조참의, 경주 목사, 형조참의, 공조참의, 이조참의, 대사간, 대사성 등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1658년(효종 9년) 창강서원(滄江書院) 원장(院長)을 역임했다. 1659년(효종 10년) 부제학, 대사헌, 대사간, 이조참판 등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공주(公州) 장구동(長久洞) 재사(齋舍)에서 사망하였으며, 사후 자헌대부 이조판서에 증직되었다. 아들 윤단이 遺事중국어(유사)를 짓고, 송시열이 神道碑銘중국어(신도비명)을 지었다. 윤증(尹拯)이 墓表중국어(묘표)를 지었다. 노강서원(魯岡書院)과 봉호서원(蓬湖書院)에 배향되었다. 의정부 좌찬성에 추증되고 충경(忠敬)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2. 1. 출생과 가계

윤문거는 1606년(선조 39년) 8월 26일, 당시 부친 윤황(尹煌)이 재직하던 함경도 북청부(北靑府) 관아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자는 여장(汝章), 호는 석호(石湖)·만퇴(晩退)이다. 조부는 윤창세(尹昌世)이고, 부친은 대사간, 이조참의를 지내고 문정(文正)의 시호를 받은 윤황(尹煌)이다. 외조부는 우계(牛溪) 성혼(成渾)이며, 어머니는 창녕 성씨(昌寧成氏)이다.

형은 동토(童土) 윤순거(尹舜擧, 1596년 ~ 1668년)이며, 동생은 노서(魯西)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로, 모두 학자로 명성이 높았다. 숙부 윤전(尹烇)은 세자시강원필선을 지냈고 충헌(忠憲)의 시호를 받았다. 사촌 형은 용서(龍西) 윤원거(尹元擧, 1601년 ~ 1672년)이며, 사촌 매부는 송시열(宋時烈)의 사촌 형인 송시형(宋時瑩)이다.

관계이름비고
조부윤창세(尹昌世)
부친윤황(尹煌)호 팔송(八松), 대사간, 이조참의, 시호 문정(文正)
모친창녕 성씨(昌寧成氏)성혼의 딸
숙부윤전(尹烇)호 후촌(後村), 세자시강원필선, 시호 충헌(忠憲)
숙모해평윤씨윤근수의 손녀, 윤환(尹晥)의 딸
윤순거(尹舜擧)호 동토(童土)
동생윤선거(尹宣擧)호 노서(魯西), 시호 문경(文敬)
사촌 형윤원거(尹元擧)호 용서(龍西)
사촌 매부송시형(宋時瑩)송시열의 사촌 형


2. 2. 수학과 관직 생활

인조 8년(1630), 윤문거는 25세에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조익(趙翼)의 칭찬을 받았다. 1633년(인조 11년) 28세에는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가 되었다.

1635년(인조 13년) 4월, 윤문거는 30세에 승정원 주서가 되었고, 이후 설서, 검열 등을 역임하였다. 1636년(인조 14년) 8월에는 사간원 정언이 되었으나, 병자호란 당시 척화(斥和)를 주장하다 파직되었다. 그해 10월 예조좌랑이 되었다.

1642년(인조 20년) 6월, 홍문관 수찬에 임명되었으나 상소하여 면직을 청하였다. 1643년(인조 21년) 6월, 제천 현감으로 부임하였다. 1646년(인조 24년) 4월, 역적 안익신(安益信) 등을 고발한 공로로 정3품 통정대부 당상관에 올랐다.

효종 즉위 후, 윤문거는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대부분 사양하였다. 1650년(효종 1년) 12월 동부승지가 되었으나 곧 면직되었고, 1651년(효종 2년) 4월 다시 동부승지가 되었으나 사직하였다. 그해 7월에는 동래부사가 되었으나, 1652년(효종 3년) 12월 관왜(館倭)의 난동으로 파직되어 돌아왔다.

1653년(효종 4년) 8월 서용(재임명)의 명이 내려져 9월 동부승지가 되었다. 이후 호조참의, 경주 목사가 차례로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여 체차(면직)되었다. 1654년(효종 5년) 2월 형조참의, 이후 공조와 이조참의, 대사간이 되었으나 모두 상소하여 체차되었다. 1656년(효종 7년)과 1657년(효종 8년)에도 대사간, 대사성, 이조참의 등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1658년(효종 9년), 윤문거는 창강서원(滄江書院)의 원장(院長)을 역임하였다. 1659년(효종 10년) 부제학, 대사헌, 대사간, 이조참판 등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2.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윤창세(尹昌世)
아버지윤황(尹煌)호 팔송(八松), 대사간, 이조참의, 시호 문정(文正)
어머니창녕 성씨성혼의 딸
윤순거(尹舜擧)호 동토(童土)
배우자평창 이씨(平昌李氏)이전(李瑑)의 딸
아들윤단(尹搏)송시열의 사위
동생윤선거(尹宣擧)호 노서(魯西), 시호 문경(文敬)
조카윤증(尹拯)
숙부윤전(尹烇)호 후촌(後村), 시호 충헌(忠憲), 세자시강원 필선
숙모해평 윤씨윤근수의 손녀, 윤환(尹晥)의 딸
사촌 형윤원거(尹元擧)호 용서(龍西)
사촌 누이파평 윤씨
사촌 매부송시형(宋時瑩)송시열의 사촌 형


2. 4. 사망과 추증

公州중국어 장구동(長久洞) 재사(齋舍)에서 사망하였다. 사후 자헌대부 이조판서에 증직되었다.

아들 윤단이 遺事중국어(유사)를 짓고, 송시열이 神道碑銘중국어(신도비명)을 지었다. 윤증(尹拯)이 墓表중국어(묘표)를 지었다. 노강서원(魯岡書院)에 종향되었다. 봉호서원(蓬湖書院)에 배향되었다. 의정부 좌찬성에 추증되고 충경(忠敬)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윤문거 사망 및 추증
연도사건
1672년(현종 13년)10월 28일, 공주(公州) 장구동(長久洞) 재사(齋舍)에서 사망. 사후 자헌대부 이조판서에 증직.
1673년(현종 14년)아들 윤단이 유사(遺事)를 짓고, 송시열이 신도비명(神道碑銘)을 지음.
1677년(숙종 3년)윤증(尹拯)이 묘표(墓表)를 지음.
1682년(숙종 8년)노강서원(魯岡書院)에 종향.
1693년(숙종 19년)봉호서원(蓬湖書院)에 배향.
1756년(영조 32년)의정부 좌찬성에 추증되고 충경(忠敬)의 시호가 내려짐.


3. 저서


  • 석호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