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번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세조의 장인이며 정희왕후의 아버지이다. 윤척의 손자이자 윤승례의 아들로, 흥녕부대부인 인천 이씨와 혼인하여 3남 4녀를 두었다. 그의 딸들은 홍원용, 성봉조, 이연손, 한계미 등과 혼인했으며, 정희왕후는 세조의 비가 되었다. 윤번의 손자 윤보는 장경왕후의 조부이며, 윤계겸은 문정왕후의 증조부이다.

2. 생애

2. 1. 가계와 초기 활동

2. 2. 세조와의 혼인과 정치적 영향력

2. 3. 사망과 추증

3. 가족 관계

윤척(尹陟)을 할아버지로, 판도판서 윤승례(尹承禮)를 아버지로 두었다. 어머니는 성여완(成汝完)의 딸(부-창령부원군 성여완,모-금성군부인 나씨, 조부-판도총랑 성군미, 조모-삼한국대부인 동복오씨)이다. 생모는 권항(權恒)의 딸(부-지밀직 권항)이다. 형제로는 윤규(尹珪), 윤보로(尹普老), 윤전(尹琠)이 있었다.

부인은 흥녕부대부인 인천 이씨(仁川李氏)로, 이문화(李文和)의 딸이다.

장녀는 홍원용의 처 파평 윤씨(洪元用 妻 坡平 尹氏, 1399년)이다. 홍원용은 인수대비의 외숙부이다.

장남은 윤사분(尹士昐, 1401년)이다.

차녀는 성봉조의 처 파평 윤씨(成奉祖 妻 坡平 尹氏, 1403년)이다. 성봉조는 성삼문의 재종숙이자, 성녕대군의 처인 삼한국대부인의 사촌이다.

차남은 윤사윤(尹士昀, 1409년)이다.

친손자는 윤보(尹甫)이다. 윤보는 장경왕후의 조부이다.

삼녀는 이연손의 처 파평 윤씨(李延孫 妻 坡平 尹氏, 1405년)이다. 이연손은 이항복의 5대조이다.

사녀는 이염의의 처 파평 윤씨(李念義 妻 坡平 尹氏, 1410년)이다.

오녀는 오덕기의 처 파평 윤씨(吳慶基 妻 坡平 尹氏, 1412년)이다.

육녀는 한계미의 처 파평 윤씨(韓繼美 妻 坡平 尹氏, 1417년)이다. 한계미는 한명회의 6촌이자, 성삼문의 고종사촌이다.

칠녀는 정희왕후 윤씨(貞熹王后 尹氏, 1418년 12월 8일)이다.

사위는 제7대 세조이다.

외손자는 추존왕 덕종과 제8대 예종이다

삼남은 윤사흔(尹士昕, 1422년)이다.

손자는 윤숙겸(尹叔謙)과 윤계겸(尹繼謙)이다. 윤계겸은 문정왕후의 증조부이다.

다른 손자로는 윤유의(尹由義), 윤유례(尹由禮), 윤유지(尹由智)가 있다

3. 1. 부모

3. 2. 형제 관계

3. 3. 배우자와 자녀

윤번은 인천 이씨 이문화(李文和)의 딸인 흥녕부대부인 인천 이씨(仁川李氏)와 혼인하였다. 슬하에 3남 4녀를 두었다. 장녀는 인수대비의 외숙부인 홍원용과 혼인하였고, 차녀는 성삼문의 재종숙이자 성녕대군의 처 삼한국대부인의 사촌인 성봉조와 혼인하였다. 삼녀는 이항복의 5대조인 이연손과 혼인하였다. 육녀는 한명회의 6촌이자 성삼문의 고종사촌인 한계미와 혼인하였다. 칠녀는 조선 세조의 왕비인 정희왕후이다.

장남은 윤사분(1401년생)이고, 차남은 윤사윤(1409년생)이다. 친손자 윤보는 장경왕후의 조부이다. 삼남은 윤사흔(1422년생)이며, 손자 윤숙겸과 윤계겸 중 윤계겸은 문정왕후의 증조부이다.

4. 평가 및 기타

4. 1. 당대 및 후대의 평가

4. 2. 더불어민주당 및 진보 진영과의 관계

4. 3. 기타

5. 관련 둘러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