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리시스 (우주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율리시스 (우주선)는 태양의 고위도 관측을 위해 계획된 탐사선으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유럽 우주국(ESA)의 국제 협력으로 진행되었다. 1990년 발사된 율리시스는 목성의 중력 도움을 받아 태양의 극지방을 탐사하는 궤도에 진입했다. 율리시스는 태양 자기장의 복잡성, 심우주 먼지의 양, 태양풍의 변화 등을 밝혀냈으며, 감마선 폭발 탐지에도 기여했다. 2009년 임무가 종료될 때까지 설계 수명보다 훨씬 오랫동안 운용되었으며, 태양계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 발사한 우주선 - 허블 우주망원경
허블 우주망원경은 지구 대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선명한 우주 관측을 목표로 1990년 발사된 천문 관측 장비로, 서비스 미션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우주를 관측하며 과학적 발견을 이루고 있고, 궤도 붕괴에 따른 추락 위험 방지를 위해 제어된 재진입 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 1990년 발사한 우주선 - STS-31
STS-31은 1990년 4월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을 이용하여 NASA에서 수행한 미션으로, 허블 우주 망원경을 지구 궤도에 배치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고 다양한 과학 실험과 연구를 진행했으며, 로렌 슈라이버, 찰스 볼든, 스티븐 호울리, 브루스 맥캔들리스 2세, 캐서린 D. 설리번이 승무원으로 참여했다.
율리시스 (우주선) | |
---|---|
개요 | |
![]() | |
임무 유형 | 태양권 물리학 |
운영 기관 | NASA / ESA |
국제 식별 번호 (COSPAR ID) | 1990-090B |
위성 목록 번호 (SATCAT) | 20842 |
웹사이트 | NASA 페이지 ESA 페이지 |
임무 기간 | 1990년 10월 6일 - 2009년 6월 30일 (18년 8개월 24일) |
제작사 | 아스트리움 GmbH, 프리드리히스하펜 (구 도르니어 시스템) |
발사 질량 | 371 kg |
탑재체 질량 | 55 kg |
크기 | 3.2 × 3.3 × 2.1 m |
전력 | 285 W |
발사 | |
발사 일시 | 1990년 10월 6일, 11:47:16 UTC |
발사 로켓 |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 (STS-41)과 관성 상단 로켓(IUS) 및 PAM-S |
발사 장소 | 케네디 우주 센터, LC-39B |
발사 계약자 | NASA |
임무 종료 | |
폐기 유형 | 임무 종료 |
비활성화 | 2009년 6월 30일 |
궤도 정보 | |
궤도 기준 | 태양 중심 궤도 |
근일점 | 1.35 AU |
원일점 | 5.40 AU |
궤도 경사 | 79.11° |
궤도 주기 | 2,264.26일 (6.2년) |
궤도 최고점 | 태양 |
행성 간 탐사 | |
유형 | 플라이바이 |
대상 | 목성 (중력 도움) |
도착 일자 | 1992년 2월 8일 |
거리 | 440,439 km (목성 반지름의 6.3배) |
휘장 | |
![]() |
2. 계획
율리시스 탐사선은 유럽우주국(ESA)이 설계하고 독일의 도르니어 시스템즈(Dornier Systems)가 제작했다. 본체는 대략 3.2m 크기의 상자 모양이며, 1.65m 크기의 접시 안테나와 GPHS-RTG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 전력원이 장착되었다. 상자는 소음 구역과 조용한 구역으로 나뉘었는데, 소음 구역은 RTG에 인접했고 조용한 구역에는 민감한 과학 장비들이 탑재되었다. 특히 "소음이 큰" 부품들은 구조물 외부에 장착되었고, 상자는 패러데이 케이지 역할을 했다.
율리시스 이전에는 태양이 저위도에서만 관측되었다. 지구의 궤도는 황도면을 정의하는데, 이는 태양의 적도면과 7.25°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따라서 태양을 직접 공전하는 우주선조차도 황도면 근처의 궤도면에서 공전하며, 고도의 기울기를 가진 태양 궤도로 직접 발사하려면 엄청나게 큰 발사체가 필요하다.
1970년대에 마리너 10호, 파이오니어 11호, 보이저 1호와 2호 등 여러 우주선이 중력 도움 기동을 수행했다. 이러한 기동은 대부분 황도면 근처를 공전하는 다른 행성에 도달하기 위한 면내 변화였으나, 중력 도움은 면내 기동에 국한되지 않는다. 목성의 적절한 근접 비행은 궤도면의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황도면 밖 임무(OOE)가 제안되었다.
원래 NASA와 ESA는 국제 태양 극지 임무(International Solar Polar Mission)로 두 대의 우주선을 제작할 예정이었다. 한 대는 목성을 지나 태양 아래로, 다른 한 대는 목성 위를 지나 태양으로 보내는 방식으로, 동시 관측을 제공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예산 삭감으로 인해 1981년 미국의 우주선 계획은 취소되었다. 이후 한 대의 우주선이 설계되었고, 간접적이고 시도되지 않은 비행 경로 때문에 이 프로젝트는 '''율리시스'''로 개칭되었다. NASA는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와 발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ESA는 아스트리움 GmbH, 프리드리히스하펜, 독일(구 도르니어 시스템즈)에 우주선 제작을 맡겼다. 장비는 유럽과 미국의 대학 및 연구소 팀으로 나뉘어 12개의 장비가 탑재되었다.
이러한 변경으로 인해 발사 시기가 1983년 2월에서 1986년 5월로 연기되었고, 우주왕복선 챌린저호(제안된 센타우르 G 프라임 상단 로켓에 의해 추진)에 의해 배치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챌린저호 폭발 사고로 인해 우주왕복선 함대의 2년 반 운항 중단이 강제되었고, 센타우르-G 상단 로켓이 취소되면서 발사일은 1990년 10월로 연기되었다.[14]
3. 구조
율리시스는 접시 안테나의 축과 거의 일치하는 z축을 중심으로 스핀 안정화되었다. RTG, 휩 안테나, 장비 붐은 이 축을 안정화하기 위해 배치되었으며, 회전 속도는 약 5 rpm이었다. 본체 내부에는 히드라진 연료 탱크가 있었다. 히드라진 단일 추진제는 목성으로 향하는 궤도 수정 및 스핀 축(그리고 안테나)을 지구 방향으로 재조준하는 데 사용되었다. 우주선은 8개의 추진기를 사용하여 제어되었고, 추진기는 시간 영역에서 펄스되어 회전 또는 병진을 수행했다. 4개의 태양 센서가 방향을 감지했다.
미세한 자세 제어를 위해 S 대역 안테나 피드는 축에서 약간 벗어나 장착되었다. 이 오프셋 피드와 우주선의 스핀이 결합되어 지구에서 전송된 무선 신호에 진동이 발생했다. 이 진동의 진폭과 위상은 스핀 축의 지구 방향에 대한 방향에 비례했다. 이러한 상대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원추 스캐닝이라고 하며, 초기 레이더에서 표적의 자동 추적에 사용되었고 초기 적외선 유도 미사일에서도 매우 일반적이었다.
우주선은 이중 중복 5와트 송수신기를 통해 업링크 명령과 다운링크 원격 측정에 S 대역을 사용했다. 또한 과학 데이터 반환(다운링크 전용)에 X 대역을 사용했으며, 2008년 1월 마지막 남은 TWTA 고장 전까지 이중 20와트 TWTA를 사용했다. 두 대역 모두 대부분의 다른 우주선 접시와 달리 카세그레인 피드가 아닌 프라임 포커스 피드가 있는 접시 안테나를 사용했다.
각각 약 45메가비트 용량의 이중 테이프 레코더는 주 임무 및 연장 임무 단계에서 8시간 간격의 정상 통신 세션 사이에 과학 데이터를 저장했다.
우주선은 태양계 내부의 열과 목성 거리의 추위를 모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광범위한 담요와 전기 히터는 외부 태양계의 낮은 온도로부터 탐사선을 보호했다.[6]
발사 당시 총 질량은 371kg이었으며, 그중 33.5kg은 자세 제어 및 궤도 수정에 사용된 히드라진 추진제였다.
4. 과학 장비
율리시스에는 유럽 우주국(ESA)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제공한 12가지의 과학 장비가 탑재되었다.[7] 초기에는 NASA와 ESA가 각각 탐사선을 하나씩 제작할 계획이었으나, NASA의 탐사선은 예산 문제로 취소되었고, 취소된 탐사선의 장비들이 율리시스에 장착되었다. 율리시스에 탑재된 과학 장비의 총 질량은 55kg이었다.
4. 1. 무선/플라스마 안테나
베릴륨 구리로 만들어진 두 개의 안테나는 본체에서 바깥쪽으로, RTG 및 회전축에 수직으로 펼쳐졌다. 이 쌍극자 안테나는 72m에 달했다. 세 번째 안테나는 속이 빈 베릴륨 구리로 만들어졌으며, 접시와 반대쪽 회전축을 따라 본체에서 전개되었다. 이 안테나는 길이 7.5m의 단극 안테나였다. 이들은 플라스마 방출에 의해 생성된 전파 또는 우주선을 통과하는 플라스마 자체를 측정했으며, DC에서 1MHz까지 민감하게 반응했다.[8]
4. 2. 실험 붐
세 번째 유형의 붐은 더 짧고 훨씬 더 단단하며 RTG와 반대쪽 우주선의 마지막 측면에서 확장되었다. 이것은 지름 50mm의 속이 빈 탄소 섬유 튜브였다. 사진에서 본체 옆에 수납된 은색 막대기로 볼 수 있다. 이 붐에는 네 가지 유형의 장비가 장착되었다. 태양 플레어와 목성의 오로라에서 방출되는 X선을 연구하기 위한 고체 X선 장비(실리콘 검출기 2개로 구성), 감마선 폭발 실험 장비(CsI 신틸레이터 결정과 광전 증배관으로 구성), 헬륨 벡터 자력계와 플럭스게이트 자력계(두 가지 다른 자력계), 교류 자기장을 측정하는 이축 자기 탐색 코일 안테나가 그것이다.[8]
4. 3. 본체 장착 장비
전자, 이온, 중성 가스, 우주먼지, 우주선을 검출하는 장비들이 율리시스 본체에 장착되었다.[7] 이 장비들은 우주선의 조용한 구역 주변에 설치되었다. 또한, 무선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중력파를 탐색하고[9] 전파 엄폐를 통해 태양 대기를 조사했다.
4. 4. 기타
- 무선 통신 링크는 중력파[9] 탐색 및 전파 엄폐를 통한 태양 대기 조사에 활용되었다.
- 자력계(MAG)는 태양권 및 목성의 자기장을 측정했다.[10]
- 태양풍 플라스마 실험(SWOOPS)은 태양풍의 양이온과 전자를 측정했다.[11]
- 태양풍 이온 조성 장비(SWICS)는 태양풍을 구성하는 원자와 이온의 조성, 온도, 속도를 측정했다.[12][13]
- 통합 무선 및 플라스마파 장비(URAP)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전파와 우주선 주변의 전자기파를 측정했다.
- 고에너지 입자 장비(EPAC) 및 GAS는 고에너지 입자와 성간 기체(헬륨)를 연구했다.
- 저에너지 이온 및 전자 실험(HI-SCALE)은 태양권 내 고에너지 입자를 조사했다.
- 우주선 및 태양 입자 장비(COSPIN)는 고에너지 입자와 은하 우주선을 조사했다.
- 태양 X선 및 우주 감마선 폭발 장비(GRB)는 우주 감마선 폭발과 태양 플레어에서 방출되는 X선을 연구했다.
- 먼지 실험(DUST) 장비는 행성간 및 성간 먼지 입자를 직접 측정했다.
5. 궤도
율리시스 이전까지 태양은 저위도에서만 관측되었다. 지구 궤도는 황도면을 정의하는데, 이는 태양의 적도면과 7.25°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태양을 직접 공전하는 우주선조차도 고도의 기울기를 가진 태양 궤도로 직접 발사하려면 엄청나게 큰 발사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황도면 근처에서 공전한다.
1970년대에 마리너 10호, 파이오니어 11호, 보이저 1호와 2호 등 여러 우주선이 중력 도움 기동을 수행했다. 이 기동은 대부분 황도면 근처를 공전하는 다른 행성에 도달하기 위한 면내 변화였지만, 중력 도움은 면내 기동에 국한되지 않는다. 목성의 적절한 근접 비행은 궤도면의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따라 황도면 밖 임무(OOE)가 제안되었다. ('''참조 항목''' 파이오니어 H)
원래 NASA와 ESA는 국제 태양 극지 임무로 두 대의 우주선을 제작할 예정이었다. 한 대는 목성을 지나 태양 아래로, 다른 한 대는 목성 아래를 지나 태양 위로 보내 동시 관측을 제공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예산 삭감으로 1981년 미국의 우주선 계획은 취소되었다. 한 대의 우주선이 설계되었고, 간접적이고 시도되지 않은 비행 경로 때문에 이 프로젝트는 율리시스로 개칭되었다. NASA는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와 발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ESA는 프리드리히스하펜 독일(구 도르니어 시스템즈)의 아스트리움 GmbH에 우주선 제작을 맡겼다. 장비는 유럽과 미국의 대학 및 연구소 팀으로 나뉘어 12개의 장비가 탑재되었다.
이러한 변경과 챌린저호 폭발 사고로 인해 발사가 연기되었다.[14]
5. 1. 발사 및 초기 궤도
Ulysses영어는 우주왕복선에 의해 지구 저궤도에 올려졌고, 거기에서부터 보잉의 관성 상단 로켓(Inertial Upper Stage: IUS)과 맥도넬 더글러스의 유료 하중 추진 모듈(Payload Assist Module) S형(PAM-S)으로 구성된 2단 고체 연료 로켓을 사용해 목성으로 향했다.[49] 이 로켓들은 회전 속도 70 RPM의 턴테이블에 탑재되어 있었다. Ulysses영어는 지구의 중력권을 탈출할 때 뉴 허라이즌스에 의해 갱신될 때까지 인공적으로 가속된 최고 속도 기록을 가지고 있었다.목성으로의 항로는 근일점이 1 AU, 원일점이 태양으로부터 목성까지의 거리인 약 5 AU 인 호만 전이 궤도였다. 이 때, Ulysses영어의 황도면에 대한 궤도 경사각은 작았다.
5. 2. 목성 스윙바이
1992년 2월 8일, 율리시스는 황도면에 대한 궤도 경사각을 80.2°까지 늘리기 위한 스윙바이를 실시하기 위해서 목성에 도착했다. 목성의 중력은 율리시스의 궤도를 굽혀 황도면에 대해서 아래로 향하게 하였고, 태양의 북극과 남극을 주회하는 최종적인 궤도에 진입하기 위한 궤도 수정을 실시했다. 궤도의 형태와 크기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원일점은 대략 5 AU, 근일점은 태양으로부터 지구까지의 거리인 1 AU 보다 약간 긴 정도였다.

6. 주요 탐사
1994년부터 1995년까지 율리시스는 태양의 남극과 북극 지역을 차례로 탐사했다.
1996년 5월 1일, 율리시스는 우연히 햐쿠타케 혜성(C/1996 B2)의 이온 꼬리를 통과했다. 꼬리의 길이는 약 3.8AU였다.[50][51][52][16][18]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율리시스는 태양의 남극 지역을 다시 탐사하면서, 태양의 남극이 매우 활동적이며 명확한 위치를 특정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북극보다 확산되어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2003년부터 2004년까지 율리시스는 원일점 부근에서 목성을 원거리 관측했다.[53][20]
2004년에는 맥노트-하틀리 혜성(C/1999 T1)의 꼬리와 조우했으며, 코로나 질량 방출(CME)에 의해 혜성 물질이 율리시스까지 운반된 것으로 추정된다.[17][18][19]
2007년에는 맥노트 혜성(C/2006 P1)의 꼬리를 통과했는데, 이때 태양풍의 속도가 현저히 감소한 것이 관측되었다. 태양풍의 속도는 초속 약 700km에서 400km 이하로 떨어졌다.[54][21]
7. 연장 임무 및 운용 종료
율리시스는 당초 예정된 임무 기간을 넘어 여러 차례 연장 임무를 수행했다. 2007년부터 2008년에 걸쳐 세 번째 태양 극권 관측을 위해 2009년 3월까지 운용이 연장되었으나, 방사성동위원소 열전기 발전기(RTG)의 출력 저하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따라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부 장비만 선택적으로 운용하였다.[55]
발사 후 17년 4개월째인 2008년 2월 22일, 유럽 우주국(ESA)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는 율리시스의 운용이 수개월 내에 종료될 것이라고 발표했다.[57] [58] NASA는 2008년 7월 1일을 임무 종료일로 발표했지만,[59] 실제 운용은 2009년 6월 30일까지 계속되었다.[46] [47] 이는 통신 장비의 주 전원을 차단하면서 최종적으로 종료되었다.
7. 1. 연장 임무
2007년부터 2008년에 걸쳐 3번째 태양 극권 관측을 실시하기 위해 2009년 3월까지 운용이 연장되었다.[55] 그러나 RTG의 출력 저하로 인해 과학 기기를 작동시키거나 자세 제어용 히드라진의 동결을 막는 히터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이 어려워졌다.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기기를 제외하고 필요에 따라 각 기기의 작동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56]발사 후 17년 4개월째인 2008년 2월 22일, ESA와 NASA는 율리시스의 운용이 수개월 이내에 종료될 것이라고 발표했다.[57][58] 2008년 4월 12일, NASA는 2008년 7월 1일에 임무가 종료된다고 발표했다.[59] 율리시스는 설계 수명의 4배 이상 작동했으며, 이는 2008년 1월 15일 X-band communications sub-system의 마지막 working chain이 고장날 때까지였다. X-band sub-system의 다른 chain은 2003년에 이미 고장난 상태였다.[59]
이후에도 운용은 계속되었지만, 2009년 6월 30일부로 통신 기기의 주 전원을 차단한다는 발표가 6월 26일에 있었고,[46] 6월 30일에 마침내 운용을 종료했다.[47]
7. 2. 운용 종료
2008년 2월 22일, ESA와 NASA는 율리시스의 운용이 수개월 이내에 종료될 것이라고 발표했다.[57][58] 이는 발사 후 17년 4개월 만의 일이었다. 2008년 4월 12일, NASA는 2008년 7월 1일을 공식적인 임무 종료일로 발표했다.[59] 율리시스는 설계 수명의 4배 이상을 작동해 왔으며, 이는 2008년 1월 15일 X-대역 통신 시스템의 마지막 작동 체인이 고장날 때까지였다. X-대역 시스템의 다른 체인은 2003년에 이미 고장난 상태였다.[59]X-대역 통신 시스템 고장 이후, 다운링크는 S 대역으로 재개되었지만, 고이득 안테나의 빔폭이 좁아 수신 신호가 약해져 데이터 전송률이 감소했다.
2008년 7월 1일의 임무 종료일이 지났지만, 임무는 축소된 용량으로 계속되었다. 과학 데이터 수집은 율리시스가 지상국과 접촉할 때만 가능했으며, 접촉하지 않을 때는 S-대역 송신기를 끄고 전력을 히터로 돌려 히드라진 가열에 사용했다.
결국 2009년 6월 30일, 지상 관제소는 율리시스와의 통신을 중단시키는 명령을 전송하여 공식적으로 임무를 종료했다.[46][47]
8. 주요 결과
율리시스는 태양 자기장이 이전 예상보다 더 복잡하게 태양계와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밝혀냈다.[31][1] 심우주에서 태양계로 유입되는 먼지 양이 이전 예상보다 30배 많다는 사실도 발견했다.[31][1]
2007년~2008년 율리시스 관측 데이터는 태양 극지방 자기장이 이전 관측보다 약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1][1] 태양풍은 임무 기간 동안 점진적으로 약해져 우주 시대 시작 이후 가장 약한 상태가 되었다.[30]
율리시스는 황도면 밖에 있는 유일한 감마선 관측 장비로 행성간 네트워크(IPN)의 중요한 역할을 했다. IPN은 감마선 폭발(GRB)을 탐지하는데, 감마선은 거울로 초점을 맞출 수 없어 위치 파악이 어렵다. 여러 우주선이 다중측량을 통해 폭발 위치를 파악한다. 각 우주선 감마선 검출기가 기록한 값을 바탕으로 감마선 샤워 도착 시간과 우주선 간격을 비교해 위치를 결정하고, 다른 망원경으로 후속 관측을 한다. 율리시스가 황도면을 두 번 통과할 때마다 GRB 결정 정확도가 떨어졌다.
9. 후속 연구 및 영향
율리시스가 제공한 데이터는 태양 자기장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복잡하게 태양계와 상호 작용한다는 것을 밝혀냈다.[31][1] 또한, 심우주에서 태양계로 유입되는 먼지의 양이 이전 예상보다 30배나 많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2007년~2008년 율리시스의 데이터는 태양 극지방에서 나오는 자기장이 이전에 관측된 것보다 훨씬 약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태양풍(solar wind)은 임무 기간 동안 점차 약해져서, 현재 우주 시대가 시작된 이후 가장 약한 상태이다.[30]
율리시스는 황도면 밖에 위치한 유일한 감마선 관측 장비를 탑재한 우주선으로서, 행성간 네트워크(InterPlanetary Network)(IPN)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IPN은 감마선 폭발(gamma ray burst)(GRB)을 탐지하는데, 감마선은 거울로 초점을 맞출 수 없기 때문에 GRB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웠다. 대신, 여러 우주선이 다중측량(multilateration)을 통해 폭발 위치를 파악했다. 각 우주선에 있는 감마선 검출기가 기록한 감마선 샤워의 도착 시간과 우주선 간의 간격을 비교하여 위치를 결정하고, 다른 망원경으로 후속 관측을 수행했다. 감마선은 광속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넓은 간격이 필요했다. 일반적으로 지구 궤도를 도는 우주선, 내부 태양계 탐사선, 그리고 율리시스의 자료를 비교하여 위치를 결정했다. 율리시스가 궤도를 돌면서 황도면을 두 번 통과할 때마다 많은 GRB 결정의 정확도가 떨어졌다.
율리시스는 태양을 중심으로 하는 궤도를 무한정 계속 유지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그러나 목성과의 재접근 중 목성의 위성 중 하나와 근접 통과하면 궤도가 변경되어 탐사선이 태양 주위의 쌍곡선 궤도에 진입하고 태양계를 벗어날 가능성도 있다.[32]
참조
[1]
웹사이트
Ulysses
https://science.nasa[...]
NASA
2023-09-25
[2]
웹사이트
Welcome to the HIA Ulysses Project
http://hiauly1.hia.n[...]
NRC Herzberg Astronomy and Astrophysics Research Centre
[3]
웹사이트
The odyssey concludes...
http://ulysses-ops.j[...]
NASA & JPL
[4]
웹사이트
Ulysses
https://rps.nasa.gov[...]
NASA
[5]
서적
Jane's Spaceflight Directory, 1988-89
Jane's Information Group
[6]
웹사이트
Ulysses NASA Documentation Archive
http://ppi.pds.nasa.[...]
[7]
웹사이트
Ulysses factsheet
https://www.esa.int/[...]
ESA
2021-05-07
[8]
웹사이트
Unified Radio and Plasma Wave Investigation
http://ulysses.jpl.n[...]
NASA & JPL
[9]
논문
The gravitational wave experiment
http://www.sp.ph.ic.[...]
1992-01-01
[10]
논문
The magnetic field investigation on the ULYSSES mission - Instrumentation and preliminary scientific results
https://adsabs.harva[...]
1991-08-20
[11]
웹사이트
SWOOPS/Electron - User Notes
http://helio.estec.e[...]
NASA & JPL
[12]
논문
The southern high-speed stream: results from the SWICS instrument on Ulysses
https://www.science.[...]
1995-05-19
[13]
논문
Kinetic properties of heavy ions in the solar wind from SWICS/Ulysses
1995-04-01
[14]
뉴스
A deathblow to the Death Star: The rise and fall of NASA's Shuttle-Centaur
https://arstechnica.[...]
2024-06-22
[15]
보도자료
Sun to set on Ulysses solar mission on 1 July
https://www.esa.int/[...]
ESA
2024-06-22
[16]
논문
Identification of comet Hyakutake's extremely long ion tail from magnetic field signatures
2000-01-01
[17]
서적
The Sun and the Heliosphere as an Integrated System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3-06-05
[18]
웹사이트
Ulysses Catches Another Comet by the Tail
https://sci.esa.int/[...]
ESA
2024-06-22
[19]
논문
Cometary Ions Trapped in a Coronal Mass Ejection
2004-03-08
[20]
웹사이트
Ulysses Second Encounter with Jupiter
http://ulysses.jpl.n[...]
NASA & JPL
[21]
논문
Encounter of the Ulysses Spacecraft with the Ion Tail of Comet McNaught
2007-10-01
[22]
웹사이트
Ulysses Mission Extended
https://sci.esa.int/[...]
ESA
2004-02-12
[23]
보도자료
Ulysses scores a hat-trick
https://www.esa.int/[...]
ESA
2024-06-22
[24]
보도자료
Ulysses mission coming to a natural end
https://www.esa.int/[...]
ESA
2008-02-23
[25]
보도자료
International Solar Mission to End Following Stellar Performance
https://www.jpl.nasa[...]
NASA & JPL
2008-02-23
[26]
뉴스
RIP: Ulysses solar probe coming to end soon - Yahoo! News
https://news.yahoo.c[...]
2017-01-15
[27]
웹사이트
February 2003 Operations
http://ulysses-ops.j[...]
European Space Agency
[28]
웹사이트
Ulysses Mission Ops—No more data playback
http://ulysses-ops.j[...]
[29]
보도자료
Ulysses: 12 extra months of valuable science
https://www.esa.int/[...]
ESA
2009-07-01
[30]
웹사이트
Ulysses Spacecraft Ends Historic Mission of Discovery
http://www.jpl.nasa.[...]
2009-07-01
[31]
보도자료
International Mission Studying Sun to Conclude
https://www.jpl.nasa[...]
NASA & JPL
2021-08-01
[32]
뉴스
Solar orbiter Ulysses ends mission after 18 years
https://www.reuters.[...]
2009-07-01
[33]
문서
Pioneer H
[34]
웹사이트
ESAユリシーズ公式 ユリシーズ動画
http://www.esa.int/e[...]
[35]
논문
Identification of comet Hyakutake's extremely long ion tail from magnetic field signatures
[36]
웹아카이브
Ulysses - Science - Jupiter Distant Encounter Selected References
http://ulysses.jpl.n[...]
2008-09-23
[37]
저널
Encounter of the Ulysses Spacecraft with the Ion Tail of Comet McNaught
https://iopscience.i[...]
[38]
웹사이트
Ulysses Mission Extended
http://sci.esa.int/s[...]
[39]
웹사이트
Ulysses scores a hat-trick
http://www.esa.int/e[...]
[40]
웹사이트
Ulysses mission coming to a natural end
http://www.esa.int/e[...]
European Space Agency
2008-02-22
[41]
뉴스
International Solar Mission to End Following Stellar Performance
http://www.nasa.gov/[...]
NASA
2008-02-22
[42]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43]
웹사이트
February 2003 Operations
http://ulysses-ops.j[...]
European Space Agency
[44]
웹사이트
「ユリシーズ」、18年半のミッション終了
https://www.astroart[...]
2009-06-29
[45]
웹인용
Welcome to the HIA Ulysses Project
http://hiauly1.hia.n[...]
Herzberg Institute of Astrophysics
[46]
웹인용
Ulysses: 12 extra months of valuable science
http://www.esa.int/e[...]
유럽 우주국
2009-06-30
[47]
웹인용
Ulysses Spacecraft Ends Historic Mission of Discovery
http://www.jpl.nasa.[...]
2009-06-30
[48]
웹아카이브
The odyssey concludes ...
http://ulysses-ops.j[...]
2012-02-24
[49]
웹사이트
Sun to set on Ulysses solar mission on 1 July
http://www.esa.int/e[...]
[50]
저널
Identification of comet Hyakutake's extremely long ion tail from magnetic field signatures
2000
[51]
웹사이트
Ulysses Catches Another Comet by the Tail
http://sci.esa.int/s[...]
[52]
웹사이트
Cometary Ions Trapped in a Coronal Mass Ejection
http://www.iop.org/E[...]
[53]
웹아카이브
Ulysses - Science - Jupiter Distant Encounter Selected References
http://ulysses.jpl.n[...]
2008-09-23
[54]
저널
Encounter of the Ulysses Spacecraft with the Ion Tail of Comet McNaught
2007-10-01
[55]
웹사이트
Ulysses Mission Extended
http://sci.esa.int/s[...]
[56]
웹사이트
https://news.yahoo.c[...]
[57]
웹인용
Ulysses mission coming to a natural end
http://www.esa.int/e[...]
유럽 우주국
2008-02-22
[58]
뉴스
International Solar Mission to End Following Stellar Performance
http://www.nasa.gov/[...]
NASA
2008-02-22
[59]
웹아카이브
February 2003 Operations
http://ulysses-ops.j[...]
유럽 우주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