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우옌푹쭈 (7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푹쭈는 1725년 6월 1일에 사망한 응우옌 푹 쭈의 뒤를 이어 응우옌 주의 7대 군주가 되었다. 그는 캄보디아의 침략에 맞서 싸워 빈롱과 미토 지역을 복속시켰다. 1738년 7월 23일에 43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묘호는 숙종, 시호는 선광소열준철정연경문위무효녕왕으로 추존되었다. 후에 그의 후손인 자롱제가 응우옌 왕조를 건국하면서 황제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우옌 주 - 응우옌푹코앗
    응우옌 푹 코앗은 베트남 응우옌 주의 제8대 군주로, 1744년 칭왕을 선포하고 독립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캄보디아 내란 개입과 참파 속국화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사치와 과세로 서산당의 난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 응우옌 주 - 응우옌푹즈엉
    응우옌푹즈엉은 응우옌푹하오의 아들이자 응우옌푹코앗의 손자로 현명하고 덕이 있다는 평을 받았으나, 떠이선 반란으로 1777년 처형당했으며 후에 자롱 황제에 의해 효혜왕으로 추존되었다.
  • 1738년 사망 - 나이토 마사모리
    에도 시대 다이묘인 나이토 마사모리는 이즈미 번주를 계승한 후 안나카 번으로 이봉되었으며, 신전 개발 추진 과정에서 과중한 세금 부과로 민란을 초래하기도 했고, 저서로 『신궤』를 남겼다.
  • 1738년 사망 - 세키 나가하루
    세키 나가하루는 미마사카 쓰야마번주 모리 나가쓰구의 아들로 미야카와번주 세키 나가마사의 양자가 되어 가문을 상속받았으며, 쓰야마번 개역 이후 비추 니이미번의 초대 번주로서 검약과 농업, 상업 정책으로 번정의 기초를 다졌다.
  • 1697년 출생 - 카날레토
    카날레토는 "작은 운하"라는 뜻의 예명으로 알려진 베네치아 출신 화가로, 베두티스타 화풍을 발전시켜 베네치아 건축물과 도시 풍경을 사진처럼 정확하게 묘사하는 능력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뛰어난 투시도법과 빛의 묘사가 특징이다.
  • 1697년 출생 - 카를 7세
    카를 7세는 바이에른 선제후이자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중 프랑스와 동맹하여 신성 로마 황제가 되었으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전쟁과 영토 상실을 겪었고 바이에른 로코코 시대의 문화적 절정기를 이끌었다.
응우옌푹쭈 (7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응우옌 주 군주
응우옌푹쭈(Nguyễn Phúc Chú/阮福澍/완복주)
별칭정성후(Đỉnh Thịnh Hầu/鼎盛侯)
운천도인(Vân Tuyền Đạo Nhân/雲泉道人)
영주(Chúa Ninh/主寧)
다른 이름응우옌푹브엉(Nguyễn Phúc Vượng/阮福旺/완복왕)
연호없음
존호없음
묘호숙종(Túc Tông/肅宗)
시호선광소열준철정연경문위무효령황제(宣光紹烈濬哲靜淵經文緯武孝寧皇帝)
능호장풍릉(Trường Phong Lăng/長豊陵)
신상 정보
출생일1697년 1월 14일
사망일1738년 6월 7일 (41세)
사망 장소Cochinchina (코친차이나)
매장지알 수 없음
종교불교
가족 관계
아버지응우옌푹쭈
어머니Tống Thị Được (똥 티 드억)
배우자Trương Thị Thư (쯔엉 티 투)
Trương Thị Hoặc (쯔엉 티 호악)
자녀응우옌푹코앗
재위
즉위1725년
퇴위1738년
이전 군주응우옌푹쭈
다음 군주응우옌푹코앗
왕조
왕가응우옌푹 가문
생애
추존 작위정국공(Đỉnh Quốc Công/鼎國公)

2. 생애

바오타이 6년 4월 21일(1725년 6월 1일) 응우옌푹쭈가 서거하자 군주의 자리에 올랐으며, 연호를 빈카인이라 하였다. 호는 운천도인(Vân Tuyền Đạo Nhân|운천도인vie)이다. 재위 기간 중 캄보디아와의 전쟁을 시작했으며, 1731년빈롱미토를 빼앗았다.

롱득 원년(1732년), 캄보디아 왕 프레아 소트(Prea Sot)가 참파 지역의 비엣족들을 학살하고 박해하자 반격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군대를 재정비하여 재반격, 프레아 소트와 그의 군대를 몰아내고 영륭(永隆, 지금의 빈롱)과 미추(美湫, 지금의 미토) 지역을 복속시켰다. 이후 이 지역에 비엣족을 정착시켰다.[1]

빈흐우 4년 6월 8일(1738년 7월 23일), 응우옌 푹 쭈가 서거하니, 향년 43세였다. 쯔엉퐁릉(Trường phong Lăng)에 묻혔으며, 묘호는 숙종(Túc Tông), 시호는 선광소열준철정연경문위무효녕왕(Tuyên Quang Thiệu Liệt Tuấn Triết Tĩnh Uyên Kinh Văn Vĩ Vũ Hiếu Ninh Vương)이다.[1][2] 1803년, 그의 자손인 응우옌푹아인이 응우옌 왕조를 건국하자, 선광소열준철정연경문위무효녕황제(Tuyên Quang Thiệu Liệt Tuấn Triết Tĩnh Uyên Kinh Văn Vĩ Vũ Hiếu Ninh Hoàng Đế)로 추시되었다.[2]

2. 1. 즉위 전

바오타이 6년 4월 21일(1725년 6월 1일) 부군 응우옌푹쭈가 서거하자 군주의 자리에 올랐다. 호는 운천도인(Vân Tuyền Đạo Nhân|운천도인vie)이다.

2. 2. 캄보디아와의 전쟁

1729년, 캄보디아 왕 프레아 소트(Prea Sot)가 참파 지역의 비엣족들을 학살하고 박해하자, 응우옌 왕조는 반격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1]

1732년(롱득 원년), 응우옌 군대는 재정비를 거쳐 재반격에 나서 프레아 소트와 그의 군대를 몰아내고 영륭(永隆, 지금의 빈롱)과 미추(美湫, 지금의 미토) 지역을 복속시켰다. 이후 이 지역에 비엣족을 정착시켰다.[1]

2. 3. 사망

1738년 7월 23일(빈흐우 4년 6월 8일), 응우옌 푹 쭈가 서거하니, 향년 43세였다. 쯔엉퐁릉(Trường phong Lăng)에 묻혔으며, 묘호는 숙종(Túc Tông), 시호는 선광소열준철정연경문위무효녕왕(Tuyên Quang Thiệu Liệt Tuấn Triết Tĩnh Uyên Kinh Văn Vĩ Vũ Hiếu Ninh Vương)이다.[1][2]

1803년, 그의 자손인 응우옌푹아인이 응우옌 왕조를 건국하자, 선광소열준철정연경문위무효녕황제(Tuyên Quang Thiệu Liệt Tuấn Triết Tĩnh Uyên Kinh Văn Vĩ Vũ Hiếu Ninh Hoàng Đế)로 추시되었다.[2]

3. 시호 및 능호

사후에 대도통총국정 선광소열'''정녕왕'''(Đại Đô Thống Thống Quốc Chính Tuyên Quang Thiệu Liệt Đỉnh Ninh Vương/大都統總國政宣光紹烈鼎寧王)으로 추존되었으며, 까인흥(景興) 5년(1744년)에 칭왕이 된 후에 시호를 선광소열준철정연경문위무'''효령왕'''(Tuyên Quang Thiệu Liệt Tuấn Triết Tĩnh Uyên Kinh Văn Vĩ Vũ Hiếu Ninh Vương/宣光紹烈濬哲靜淵經文緯武孝寧王)으로 재추존되었다.[1] 응우옌 왕조 건국 후 자롱(嘉隆) 5년(1806년)에 묘호를 '''숙종'''(Túc Tông/肅宗), 시호를 선광소열준철정연경문위무'''효령황제'''(Tuyên Quang Thiệu Liệt Tuấn Triết Tĩnh Uyên Kinh Văn Vĩ Vũ Hiếu Ninh Hoàng Đế/宣光紹烈濬哲靜淵經文緯武孝寧皇帝)로 재추존하였다.[1]

능호는 '''장풍릉'''(Trường Phong Lăng/長豊陵)이다.[1]

4. 가족 관계

응우옌푹쭈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
(성씨)
생몰년도비고
부인쯔엉 티 트
(張氏書/장씨서)
1699년 ~ 1720년[1][2][3]
부인쯔엉 티 호억
(張氏或/장씨혹)
부인응우옌 티 따
(阮氏些/완씨사)
아들응우옌푹코앗1714년 ~ 1765년응우옌 주 제8대 군주.[4]
아들응우옌 푹 주
(阮福浟)
? ~ 1751년[5]
아들응우옌 푹 뜨엉
(阮福㬕)
1728년 ~ 1758년
응우옌 티
(Nguyễn Thị/阮氏/완씨)
기록 미상기록 미상
응우옌 티 응옥트엉
(Nguyễn Thị Ngọc Thường/阮氏玉賞/완씨옥상)
1713년 ~ 1790년기록 미상
응우옌 티 응옥산
(Nguyễn Thị Ngọc San/阮氏玉珊/완씨옥산)
1717년 ~ 1767년
응우옌 티 응옥주옌
(Nguyễn Thị Ngọc Duyên/阮氏玉玧/완씨옥윤)
[8] [9]
응우옌 티 응옥비엔
(Nguyễn Thị Ngọc Biện/阮氏玉玣/완씨옥변)
응우옌 티 응옥우옌
(Nguyễn Thị Ngọc Uyển/阮氏玉琬/완씨옥완)


4. 1. 후비

봉호시호이름
(성씨)
생몰년도비고
아희
(雅姬)
자의숙비
(慈懿淑妃)
쯔엉 티 트
(張氏書/장씨서)
1699년 ~ 1720년[1][2][3]
좌궁빈
(左宮嬪)
쯔엉 티 호억
(張氏或/장씨혹)
우궁빈
(右宮嬪)
응우옌 티 따
(阮氏些/완씨사)


4. 2. 공자

公子|공자중국어는 응우옌푹쭈의 아들들이다.

봉호이름생몰년도생모자식비고
효국공
(曉國公)
응우옌푹코앗1714년 ~ 1765년자의숙비
쯔엉 티 트
18남 12녀응우옌 주 제8대 군주.[4]
엄군공
(曮郡公)
응우옌 푹 주
(阮福浟)
? ~ 1751년자의숙비
쯔엉 티 트
3남[5]
양광후
(㬕光侯)
응우옌 푹 뜨엉
(阮福㬕)
1728년 ~ 1758년1남


4. 3. 공녀

봉호이름생몰년도생모부마비고
응우옌 티
응우옌 티 응옥트엉
응우옌 티 응옥산
응우옌 티 응옥주옌
응우옌 티 응옥비엔
미화공주(Mỹ Hòa Công Chúa/美和公主)응우옌 티 응옥우옌


5. 기년

숙종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기1726년1727년1728년1729년1730년1731년1732년1733년1734년1735년
육십간지병오(丙午)정미(丁未)무신(戊申)기유(己酉)경술(庚戌)신해(辛亥)임자(壬子)계축(癸丑)갑인(甲寅)을묘(乙卯)
후 레 왕조
연호
바오타이(保泰) 7년바오타이(保泰) 8년바오타이(保泰) 9년바오타이(保泰) 10년, 빈카인(永慶) 원년빈카인(永慶) 2년빈카인(永慶) 3년빈카인(永慶) 4년, 롱득(龍德) 원년롱득(龍德) 2년롱득(龍德) 3년롱득(龍德) 4년, 빈흐우(永祐) 원년
숙종11년12년13년
서기1736년1737년1738년
육십간지병진(丙辰)정사(丁巳)무오(戊午)
후 레 왕조
연호
빈흐우(永祐) 2년빈흐우(永祐) 3년빈흐우(永祐) 4년


참조

[1] 인물 자의수용아부인(Từ Ý Tu Dung Á Phu Nhân/慈懿修容亞夫人)
[2] 인물 국공(國公) 쯔엉 푹 판(Trương Phúc Phan/張福攀) / 송산군군숙부인(宋山郡君淑夫人) 응우옌 티 응옥니엠(Nguyễn Thị Ngọc Nhiễm/阮氏玉冉)
[3] 인물 무왕(武王) 응우옌 푹 코앗(阮福濶)
[4] 인물 효정후(Hiểu Chính Hầu/曉正侯) / 효군공(Hiểu Quận Công/曉郡公) / 자제도인(Từ Tế Đạo Nhân/慈濟道人) / 응우옌 푹 히에우(Nguyễn Phúc Hiểu/阮福曉)
[5] 인물 응우옌 푹 응이엠(Nguyễn Phúc Nghiễm/阮福曮)
[6] 인물 응우옌 푹 마오(Nguyễn Phúc Mao/阮福毛)
[7] 인물 똥 푹 진(Tống Phúc Dinh/宋福穎)
[8] 인물 환군공(Hoán Quận Công) 응우옌 끄우 펍(Nguyễn Cửu Pháp/阮久法)
[9] 인물 응우옌 티 응옥상(Nguyễn Thị Ngọc Sáng/阮氏玉創)
[10] 인물 응우옌 푹 띤(Nguyễn Phúc Tín/阮福信)
[11] 인물 응우옌 끄우 찐(Nguyễn Cửu Chính/阮久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