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강백은 1947년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극작가이다. 197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희곡 '다섯'이 당선되어 등단했으며, 우화와 비유를 통해 인간의 실존적 고뇌와 사회적 갈등을 다루는 비사실주의 작품을 주로 썼다. 그의 작품은 알레고리 형식을 통해 사회, 정치적 문제를 비판적으로 드러내며, 한국 연극계에서 독창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 《파수꾼》, 《결혼》, 《호모 세파라투스》 등이 있으며, 한국희곡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배우자는 시인 김혜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산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대산문학상 수상자 - 고은
고은은 1958년 등단하여 《만인보》를 포함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민주화 운동과 남북한 작가 교류에 기여했으나, 2018년 성추문 논란으로 재평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수필가, 사회 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극작가 - 유시민
유시민은 경주 출신의 작가이자 정치인, 유튜버로, 민주화 운동 참여,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 방송인, 유튜버로 활동하며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극작가 - 구상 (시인)
구상(1919-2004)은 서울 출생으로 원산에서 성장하여 니혼 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종군 기자, 언론 운동, 영남일보 편집장 등을 거쳐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시집 《초토의 시》 등을 발표했으며, 프랑스 문부성에서 세계 200대 시인으로 선정되었고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 서울예술대학교 교수 - 하춘화
1961년 만 6세에 데뷔한 가수 하춘화는 《물새 한 마리》, 《잘했군 잘했어》, 《영암 아리랑》, 《알고 계세요》 등 수많은 히트곡과 8,500회 이상의 공연, 2,400여 곡의 취입곡, 박사 학위 취득, 꾸준한 기부 활동으로 유명하다. - 서울예술대학교 교수 - 이윤택
이윤택은 대한민국의 연극 연출가이자 극작가, 시인으로 연희단거리패를 창단하여 한국 연극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미투 운동으로 성폭력 가해 사실이 드러나 연극계에서 퇴출되었으며, 문재인 전 대통령을 지지하여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오르기도 했다.
이강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이강백 |
출생일 | 1947년 12월 1일 |
출생지 | 전라북도 전주시 |
직업 | 극작가, 교수 |
국적 | 대한민국 |
배우자 | 김혜순 |
활동 기간 | 1971년 ~ |
학력 | |
경력 | |
주요 경력 | 크리스찬 아카데미 문화부장 (1982년~1990년) 한양대학교 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강사 한국예술종합학교 객원 교수 서울예술대학 극작과 교수 (2003년~2013년) |
작품 활동 | |
데뷔작 | 다섯 |
주요 작품 | 알 파수꾼 |
수상 |
2. 생애
이강백은 1947년 12월 1일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났다.[3] 그는 젊은 시절 프랑스 누보 로망과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를 통해 문학 작품이 불분명한 줄거리와 순환적인 구성 형식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고 회고했다. 이러한 작품들에 대한 초기 애정은 그의 문학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4] 197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희곡 '다섯한국어'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알레고리의 작가'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우화와 비유가 많은 비사실주의 작품을 주로 써왔다. 1980년대 이후에는 빈부의 사회적 갈등을 알레고리화하거나, 죄책감 없이 탐욕스러운 사회 상위층을 비판하는 작품도 발표했다. 이강백의 작품 세계는 인간의 실존적인 고뇌를 정교한 논리로 구성했다는 특징이 있다. 거의 매년 창작 희곡을 발표했으며, 그 중 11편은 서울연극제에서 상연되었다.
1982년부터 1990년까지 크리스찬아카데미 문화부장을 지냈으며, 1990년부터 1997년까지 동아연극상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2. 1. 주요 수상 경력
- 1983년, 한국희곡문학상 수상.[8]
- 1985년, 베네수엘라 제3세계 희곡 경연대회 특별상 수상.[8]
- 1986년, 대한민국문학상, 동아연극상 수상.[8]
- 1996년, 제4회 대산문학상 희곡 부문 수상.[8]
- 1998년, 제5회 우곡문화예술상 수상.[8]
- 2001년, 백상예술대상 희곡상 수상.[8]
3. 작품 세계
이강백은 '알레고리의 작가'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우화와 비유를 많이 사용했다. 그의 작품은 반사실주의적이면서도 사회 현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1970년대에는 알레고리를 통해 군사 정권 하에서 억압받는 개인들을 묘사했고, 1980년대에는 사회적 갈등과 탐욕스러운 사회 지도층을 비판했다.[6][7] 최근에는 인간 삶의 철학적 고뇌를 탐구하는 작품을 쓰고 있다.[7]
3. 1. 특징
이강백은 30편 가량의 희곡을 발표했으며, 모두 반(反)사실주의적 스타일을 보인다. 거의 희곡만을 쓰며, 그의 작품 대부분은 무대에 올려졌다. 이는 작가의 직업 의식과 작품에 대한 헌신을 보여준다.[5]이강백 희곡의 대부분은 우화/알레고리 형태를 띤다. 작가는 알레고리를 활용하여 사회적, 정치적 문제를 비판적으로 다루는 데 뛰어난 재능을 보인다. 그의 작품은 스타일 면에서 반사실주의적이지만, 사회 현실과 분명하게 공명한다. 그의 작품은 일반적으로 사실주의를 중시하는 한국 연극계에서 매우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5]
초기 작품 중 다수는 알레고리를 사용하여 당시 군사 정권의 가혹한 권위에 짓눌린 불행한 개인들을 묘사했다. 군사 정권은 북한의 공격에 대한 공포를 국민들에게 심어 권력을 공고히 했다. 1970년대 후반 국가의 억압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이강백은 말없는 연극, 즉 무언극을 통해 당시의 사회적, 정치적 분위기를 반영했다.[6]
1980년대부터 이강백의 희곡은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이의 사회적 갈등을 알레고리화하거나, 사회 지도층의 무자비한 탐욕을 비판했다. 최근 작품들은 외부의 사회 현상보다는 인간 삶의 철학적 고뇌를 드러내는 데 집중하며, 종종 극도로 진지한 인물과 매우 태평한 인물을 대조하여 탐구한다.[7]
우화와 비유가 많은 비사실주의 작품을 주로 써왔기에 '알레고리의 작가'라는 별명이 붙었다. 1980년대 이후에는 빈부의 사회적 갈등을 알레고리화하거나, 죄책감 없이 탐욕스러운 사회의 상위층을 비판하는 작품도 발표해 왔다.
이강백의 작품 세계는 인간의 실존적인 고뇌를 정교한 논리로 구성했다는 특징이 있다. 거의 매년 창작 희곡을 발표했으며, 그 중 11편은 서울연극제에서 상연되었다.
4. 주요 작품 목록
5. 가족
아내는 시인 김혜순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http://klti.or.kr/ke[...]
LTI Korea
2013-12-07
[2]
문서
"이강백" biographical PDF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
[3]
웹사이트
Naver Search
http://people.search[...]
Naver
2013-11-08
[4]
문서
"이강백" biographical PDF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
[5]
문서
Source-attribution|"Kang Baek Lee"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
[6]
문서
Source-attribution|"Kang Baek Lee"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
[7]
문서
Source-attribution|"Kang Baek Lee"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
[8]
네이버
네이버
http://people.search[...]
2014
[9]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klti.or.k[...]
2014-02-10
[10]
네이버
네이버
http://terms.naver.c[...]
2014
[11]
네이버
네이버
http://terms.naver.c[...]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