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춘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춘화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1955년 전라남도 영암에서 태어나 1961년 6세의 나이로 데뷔하여, 《효녀 심청 되오리다》를 발표하며 최연소 데뷔 기록을 세웠다. 1970년대 《물새 한 마리》, 《잘했군 잘했어》등의 히트곡으로 전성기를 누렸으며, 1970년대 MBC 10대 가수상 등을 수상했다. 1981년 복귀 이후에도 꾸준히 활동하며, 2011년 데뷔 50주년 기념 콘서트 수익금 200억 원을 기부하는 등 사회 공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2021년 MBC 방송연예대상 공로상을 수상했으며, 총 8,500회 이상의 공연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암군 출신 음악가 - 이수미 (1952년)
대한민국의 가수 이수미는 1969년 데뷔하여 1972년 《여고 시절》로 인기를 얻었으나, 대마초 사건으로 활동 중단 후 복귀하여 가수 및 복음성가 가수로 활동했고 대한가수협회 이사직을 맡았으며 2021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 영암군 출신 가수 - 이수미 (1952년)
대한민국의 가수 이수미는 1969년 데뷔하여 1972년 《여고 시절》로 인기를 얻었으나, 대마초 사건으로 활동 중단 후 복귀하여 가수 및 복음성가 가수로 활동했고 대한가수협회 이사직을 맡았으며 2021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동문 - 조송화
조송화는 2011년 흥국생명에 입단하여 프로 배구 선수 생활을 시작, FA를 통해 IBK 기업은행으로 이적, 국가대표로도 활동했으나, 2021-2022 시즌 중 팀 무단 이탈로 선수단 항명 사태의 중심에 서며 논란을 일으킨 대한민국 배구 선수이다. -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동문 - 한예원
한예원은 걸그룹 슈가로 데뷔하여 배우, 가수, 모델로 활동하며 드라마, 영화, CF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한 대한민국의 연예인이다.
하춘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하춘화 |
출생일 | 1955년 6월 28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영암군 |
국적 | 대한민국 |
가족 | 아버지 하종오 어머니 김채임 언니 하춘매 여동생 2명 남편 |
직업 | 가수 |
활동 시기 | 1971년 ~ |
장르 | 트로트 |
종교 | 가톨릭 (세례명: 체칠리아) |
학력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 박사 (졸업) |
소속사 | HA기획 |
레이블 | 조 |
웹사이트 | 다음 팬카페 |
한자 | 河春花 |
2. 생애
하춘화는 1955년 6월 28일 전라남도 영암에서 4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노래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 아버지가 가요계에 입문시켰다. 1961년 만 6세에 데뷔곡 《효녀 심청 되오리다》를 발표하며 대한민국 최연소 데뷔 기록을 세웠다.[1]
1971년 정규 1집 《물새 한 마리》[1]로 정식 데뷔 후, 1972년 고봉산과 함께 부른 《잘했군 잘했어》[2]로 TBC 동양방송 여자가수상을 4년 연속 수상하며 톱 가수로 성장했다. 《영암 아리랑》, 《알고 계세요》, 《숙녀 초년생》, 《난생 처음》, 《우리 사이》 등 다양한 장르의 곡을 히트시키며 MBC 10대 가수상도 수상했다.
1977년 이리역 폭발사고로 부상을 입어 활동에 지장을 받기도 했으며, 1979년 학업과 결혼을 이유로 은퇴를 선언했다. 그러나 1981년 복귀하여 《우리 사랑 가슴으로》를 히트시켰고, 1985년에는 남북 예술인 교환공연에 남측 여자가수 대표로 평양 공연에 참가했다.[2]
2007년부터 현재까지 활발히 활동 중이며, 2012년에는 이호섭과 듀엣곡 《휘뚜루 마뚜루》를 발표했다. 약 2,400여 곡을 취입하고 8,500회 이상의 공연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2] 2011년 데뷔 50주년 기념 콘서트 수익금 200억원을 기부하기도 했다.
2. 1. 유년 시절과 데뷔
하춘화는 1955년 6월 28일 전라남도 영암에서 4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노래를 매우 잘해 그 명성이 자자했으며, 하춘화의 노래 실력을 일찍이 알고 있던 아버지가 하춘화를 가요계에 입문시켰다. 'TV 사랑을 싣고'에 따르면, 아버지는 선원들이 사용하는 밧줄 제작 사업을 정리하고 하춘화의 가수 활동을 돕는 일에만 몰두했다고 한다. 하춘화는 1961년 만 6세에 8개월 동안 서울 동아예술학원 가요과를 수료한 후 데뷔곡 《효녀 심청 되오리다》(오종하 작사/형석기 작곡)가 수록된 레코드를 취입하였다. 당시 그녀는 불과 만 6세의 나이로 대한민국 최연소 데뷔였고, 당시 기준 세계 최연소 음반 출반 가수로 추정된다.[1] 하춘화의 나이가 너무 어렸으므로 아버지가 줄곧 따라다니면서 매니저 역할을 하며 노래를 잘 부를 수 있도록 도왔다. 데뷔 5년 만인 1966년에 《아빠는 마도로스》가 처음으로 히트하였다.[1]2. 2. 1970년대: 전성기
1971년 정규 1집 음반을 발표하면서 공식 데뷔해 정식 가수가 되었다. 1집 음반의 타이틀곡이었던 《물새 한 마리》[1] 가 히트하여 인기몰이를 하였다. 1972년에 가수 겸 작곡가였던 고봉산과 신민요 《잘했군 잘했어》[2]를 듀엣으로 불러 TBC 동양방송에서 여자가수상을 4년 연속 수상하며 불과 18세의 젊은 나이에 대한민국 톱 가수로 성장했다. 그 해 자신의 고향을 소재로 만들어 아리랑의 맥을 이어나간 신민요 《영암 아리랑》도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당시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선배 가수였던 이미자, 패티 김, 김상희, 문주란과 함께 대한민국 대표 정상급 여성 가수로 발돋움하였다.공식 데뷔 이후 한창 상승세를 타던 하춘화는 1970년대에 접어들며 신민요 이외에도 정통 트로트 《알고 계세요》, 팝 스타일의 곡 《숙녀 초년생》, 빠른 템포 리듬의 곡 《난생 처음》, 《우리 사이》 등 여러 곡들을 히트시켜 MBC 10대 가수상을 수상하고 최고의 경지까지 올라가 1970년대의 인기가수로 등극한다. 1974년부터 자신만의 리사이틀 공연을 시작하였으며 그 해에 영화 《숙녀 초년생》에서 남진과 함께 주연으로 열연하여 영화계에도 진출하기도 하였다.
1977년 11월 11일 이리역에서 공연 도중 다이너마이트를 실은 열차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약 59명이 사망하고 1158명이 부상을 당하였다. 이 중에는 하춘화와 이주일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 때문에 한동안 가수로서의 활동에 지장을 받기도 했다. 1979년 3월 27일, 하춘화는 경남대에서의 학업과 결혼 준비를 이유로 은퇴를 선언하였다.
2. 3. 1980년대 ~ 현재: 복귀와 지속적인 활동
학업에 열중하던 하춘화는 은퇴 선언 2년 만인 1981년에 가수로 복귀하였는데, 가수로 활동하면서도 학업에 대한 열정을 놓지 않았다고 한다. 《TV는 사랑을 싣고》에 의하면, 남편이 아내의 학구열을 깊이 이해하여 공부와 일을 같이 했다고 한다. 가수로 복직한 뒤에는 슬픈 감정과 느린 템포의 곡 《우리 사랑 가슴으로》(작사: 이성만/ 작곡: 이범희)가 히트하였고, 1983년에 자신의 무대의상 150벌을 후배들에게 나누어 주어 이목을 집중시켰으며 이로 인해 대중들로부터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1] 당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여성 가수였던 하춘화는 1985년에 남북 예술인 교환공연시 남측 여자가수 대표로 3박 4일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 평양에서 공연하기도 했다.[2]하춘화는 학업에 집중하기 위해 공식 은퇴를 선언하였었지만, 2007년부터 현재까지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2012년에는 이호섭과 함께 부른 《휘뚜루 마뚜루》를 발표하였다. 이는 30년 만에 내놓은 두 번째 듀엣 곡이다. 하춘화는 만 6세라는 어린 나이에 활동을 시작하였기 때문에 현재 자신이 부른 취입곡은 이미자, 나훈아 다음으로 가장 많은 약 2,400여 곡 정도로 추정되며, 드라마 주제가는 약 60여 곡으로 추정된다. 그동안 꾸준히 많은 무대와 공연에 참석하여 현재 8,500회의 공연 기록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그녀는 명실상부하게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여성 가수이며 50여 년의 긴 활동 기간과 박사 학위를 가졌다는 독특한 이력 또한 대중의 이목을 끌고 있다.[2] 2011년에는 데뷔 50주년을 맞아 《하춘화와 함께하는 콘서트》를 개최하였으며, 이 콘서트에서 벌어들인 200억원을 불우이웃 돕기에 기부하여 화제를 낳기도 했다. 최근에는 데뷔 55주년 기념 《나눔·사랑 콘서트》를 개최하였다. 그녀의 혈액형은 A형이다.[2]
3. 학력 및 학위
- 1968년 서울수송국민학교 졸업
- 1971년 정화여자중학교 졸업
- 1974년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 경남대학교 가정학과 전문학사 졸업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학사 졸업
-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최고정책과정 수료
-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공연예술학 석사 졸업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예술철학) 박사 졸업
4. 사회 공헌 활동
그녀는 2016년 5월 미디어를 통해 가수 생활 40년 동안 약 200억원을 기부한 것으로 밝혀져 큰 화제가 되었다.[1]
2017년 세이브 더 칠드런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5.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
2021년 | MBC 방송연예대상 공로상 |
2020년 | 제1회 트롯어워즈 트롯 100년 가왕상 |
2012년 | 여의도클럽 방송인상 특별공로상 |
2011년 | 제2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은관문화훈장 |
2011년 | 보건복지부 장관상 |
2010년 | 대한민국 가수 왕중왕상 |
2003년 | 성인가요대상 특별상 |
2003년 | 사회복지부문 영암군민의 상 |
2001년 | 옥관문화훈장 |
2001년 | 제16회 골든디스크 공로상 |
1994년 | 제13회 가톨릭 가요대상 공로상 |
1978년 | MBC 10대 가수상 |
1977년 | MBC 10대 가수상 |
1976년 | MBC 10대 가수상 |
1975년 | MBC 10대 가수상 |
1974년 | MBC 10대 가수상 |
1973년 | MBC 10대 가수상 |
1972년 | MBC 10대 가수상 |
1971년 | MBC 10대 가수상 |
1971년 | 제 6회 핑크리본상 인기가수상 |
1966년 | 최우수 가수상 |
6. 출연 작품
하춘화는 영화, 뮤지컬 등에 출연하였다.
6. 1. 방송
- KBS1 전국노래자랑
- KBS1 열린음악회
- KBS1 가족오락관
- MBN 인생을 즐겨라 비밥바룰라
- KBS1 《강연 100℃》 2013년 9월 15일 61회 출연
- * 강연주제 : 忍(참을 인)
- * 공감온도 : 97°C
- MBC every1 비디오스타 2018년 7월 10일 101회 게스트
- 채널A 행복한 아침 2019년 6월 5일 게스트
- KBS1 TV는 사랑을 싣고 2019년 9월 13일 게스트
- KBS2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2020년 2월 1일 / 2020년 2월 8일 게스트(With. 현철)
- TV CHOSUN 신청곡을 불러드립니다 - 사랑의 콜센타 2021년 4월 21일 하춘화 60주년 특별 무대
6. 2. 영화
6. 3. 뮤지컬
신 효녀 심청가 (1991년)6. 4. CF
7. 저서
- 2009년 《아버지의 선물》
참조
[1]
뉴스
하춘화, 40년 동안 200억 기부…"당연하다고 생각"
http://hei.hankyung.[...]
한경닷컴
2016-05-28
[2]
unknown # 내용이 없으므로 unknown으로 처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