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산문학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산문학상은 교보생명 창업주 신용호가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1993년 제정한 문학상이다. 대산문화재단이 운영하며, 시, 소설, 희곡, 평론, 번역 등 5개 부문에 각 3,000만 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수상작은 여러 언어로 번역될 것을 권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문학상 - 심훈문학상
심훈문학상은 한국 문학가 심훈의 문학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등단 작가, 신인 작가, 학술 연구자, 청소년 및 어린이를 대상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한다. - 대한민국의 문학상 - 노작문학상
노작문학상은 홍사용 선생의 문학정신을 기리고자 2001년에 제정되었으며, 등단 10년 이상의 문인들을 대상으로 매년 시와 소설 부문에서 수상자를 선정하여 각 1,500만 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 1993년 설립 - 동양대학교
동양대학교는 1994년 현암학원이 설립한 사립 종합대학으로, 경상북도 영주시에 본캠퍼스, 경기도 동두천시에 제2캠퍼스를 둔 이원화 캠퍼스 체제로 운영되며, 과거 정부 재정지원제한대학 선정 및 표창장 위조, 학력 위조 논란이 있었다. - 1993년 설립 - 주부산 러시아 총영사관
주부산 러시아 총영사관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부산, 울산, 대구, 광주, 경상도, 전라도 지역의 영사 업무를 수행한다.
대산문학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대산문학상 | |
수여 대상 | 시, 소설, 희곡, 문학 평론, 번역 |
주최 | 대산문화재단 |
국가 | 대한민국 |
시작 연도 | 1993년 |
공식 웹사이트 | 대산문화재단 웹사이트 |
2. 제정 배경 및 목적
교보생명 창업주인 대산 신용호(1917~2003)가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하기 위해 1993년에 제정한 문학상이다. 대산문화재단이 운영하며, 시, 소설, 희곡, 평론, 번역 등 5개 부문으로 나뉘어 각 부문에 3,0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재단의 취지에 따라 수상작은 여러 언어로 번역될 것을 권장한다.
2. 1. 제정 배경
교보생명 창업주인 대산 신용호(1917~2003)가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하기 위해 1993년에 제정한 문학상이다. 대산문화재단이 운영하며, 시, 소설, 희곡, 평론, 번역 등 5개 부문으로 나뉘어 각 부문에 3,0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재단의 취지에 따라 수상작은 여러 언어로 번역될 것을 권장한다.2. 2. 목적
교보생명 창업주인 신용호(1917~2003)가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하기 위해 1993년 제정한 문학상이다. 대산문화재단이 운영하며, 시, 소설, 희곡, 평론, 번역 등 5개 부문으로 나뉘어 각 부문에 3,0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재단의 취지에 따라 수상작은 여러 언어로 번역될 것을 권장한다.3. 역대 수상자 및 수상작
wikitext
수상연도 | 부문 | 수상자 | 수상작품명 | |||||||||||||||||||||||||||||||||||||||||||||||||||||||||||||||||||||||||||||||||||||||||||||||||||||||||||||||||||||||||||||||||||||||||||||||||||||||||||||||||||||||||||||||||||||||||||||||||||||||||||||||||||||||||||||||||||||||||||||||||||||||||||||||||||||||||||||||||||||||||||||||||||||||||||||||||||||||||||||||||||||||||||||||||||||||||||||||||||||||
---|---|---|---|---|---|---|---|---|---|---|---|---|---|---|---|---|---|---|---|---|---|---|---|---|---|---|---|---|---|---|---|---|---|---|---|---|---|---|---|---|---|---|---|---|---|---|---|---|---|---|---|---|---|---|---|---|---|---|---|---|---|---|---|---|---|---|---|---|---|---|---|---|---|---|---|---|---|---|---|---|---|---|---|---|---|---|---|---|---|---|---|---|---|---|---|---|---|---|---|---|---|---|---|---|---|---|---|---|---|---|---|---|---|---|---|---|---|---|---|---|---|---|---|---|---|---|---|---|---|---|---|---|---|---|---|---|---|---|---|---|---|---|---|---|---|---|---|---|---|---|---|---|---|---|---|---|---|---|---|---|---|---|---|---|---|---|---|---|---|---|---|---|---|---|---|---|---|---|---|---|---|---|---|---|---|---|---|---|---|---|---|---|---|---|---|---|---|---|---|---|---|---|---|---|---|---|---|---|---|---|---|---|---|---|---|---|---|---|---|---|---|---|---|---|---|---|---|---|---|---|---|---|---|---|---|---|---|---|---|---|---|---|---|---|---|---|---|---|---|---|---|---|---|---|---|---|---|---|---|---|---|---|---|---|---|---|---|---|---|---|---|---|---|---|---|---|---|---|---|---|---|---|---|---|---|---|---|---|---|---|---|---|---|---|---|---|---|---|---|---|---|---|---|---|---|---|---|---|---|---|---|---|---|---|---|---|---|---|---|---|---|---|---|---|---|---|---|---|---|---|---|---|---|---|---|---|---|---|---|---|---|---|---|---|---|---|---|---|---|---|---|---|---|---|---|---|---|---|---|---|---|---|
제1회(1993년) | 시 | 고은 | ||||||||||||||||||||||||||||||||||||||||||||||||||||||||||||||||||||||||||||||||||||||||||||||||||||||||||||||||||||||||||||||||||||||||||||||||||||||||||||||||||||||||||||||||||||||||||||||||||||||||||||||||||||||||||||||||||||||||||||||||||||||||||||||||||||||||||||||||||||||||||||||||||||||||||||||||||||||||||||||||||||||||||||||||||||||||||||||||||||||||
소설 | 이승우 | |||||||||||||||||||||||||||||||||||||||||||||||||||||||||||||||||||||||||||||||||||||||||||||||||||||||||||||||||||||||||||||||||||||||||||||||||||||||||||||||||||||||||||||||||||||||||||||||||||||||||||||||||||||||||||||||||||||||||||||||||||||||||||||||||||||||||||||||||||||||||||||||||||||||||||||||||||||||||||||||||||||||||||||||||||||||||||||||||||||||||
희곡 | 오태석 | |||||||||||||||||||||||||||||||||||||||||||||||||||||||||||||||||||||||||||||||||||||||||||||||||||||||||||||||||||||||||||||||||||||||||||||||||||||||||||||||||||||||||||||||||||||||||||||||||||||||||||||||||||||||||||||||||||||||||||||||||||||||||||||||||||||||||||||||||||||||||||||||||||||||||||||||||||||||||||||||||||||||||||||||||||||||||||||||||||||||||
평론 | 백낙청 | |||||||||||||||||||||||||||||||||||||||||||||||||||||||||||||||||||||||||||||||||||||||||||||||||||||||||||||||||||||||||||||||||||||||||||||||||||||||||||||||||||||||||||||||||||||||||||||||||||||||||||||||||||||||||||||||||||||||||||||||||||||||||||||||||||||||||||||||||||||||||||||||||||||||||||||||||||||||||||||||||||||||||||||||||||||||||||||||||||||||||
번역(영어) | 이학수 | Pine River and Lone Peak () | ||||||||||||||||||||||||||||||||||||||||||||||||||||||||||||||||||||||||||||||||||||||||||||||||||||||||||||||||||||||||||||||||||||||||||||||||||||||||||||||||||||||||||||||||||||||||||||||||||||||||||||||||||||||||||||||||||||||||||||||||||||||||||||||||||||||||||||||||||||||||||||||||||||||||||||||||||||||||||||||||||||||||||||||||||||||||||||||||||||||||
제2회(1994년) | 시 | 이형기 | ||||||||||||||||||||||||||||||||||||||||||||||||||||||||||||||||||||||||||||||||||||||||||||||||||||||||||||||||||||||||||||||||||||||||||||||||||||||||||||||||||||||||||||||||||||||||||||||||||||||||||||||||||||||||||||||||||||||||||||||||||||||||||||||||||||||||||||||||||||||||||||||||||||||||||||||||||||||||||||||||||||||||||||||||||||||||||||||||||||||||
소설 | 이청준 | |||||||||||||||||||||||||||||||||||||||||||||||||||||||||||||||||||||||||||||||||||||||||||||||||||||||||||||||||||||||||||||||||||||||||||||||||||||||||||||||||||||||||||||||||||||||||||||||||||||||||||||||||||||||||||||||||||||||||||||||||||||||||||||||||||||||||||||||||||||||||||||||||||||||||||||||||||||||||||||||||||||||||||||||||||||||||||||||||||||||||
희곡 | - | {{Lang|ko|} | }당선자 없음
수상년도 | 수상작 | 저자 | 번역출판현황 |
---|---|---|---|
1993년 제1회 | 《내일의 노래》[5] | 고은 | 독어 |
1994년 제2회 | 《죽지 않는 도시》[6] | 이형기 | 스페인어 |
1995년 제3회 | 《미시령 큰바람》[7] | 황동규 | 영어 |
1996년 제4회 | 《세상의 나무들》[8] | 정현종 | 영어 |
1997년 제5회 | 《들림, 도스토예프스키》[9] | 김춘수 | 영어/스페인어 |
1998년 제6회 |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10] | 신경림 | 독어 |
1999년 제7회 |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11] | 황지우 | 독어 |
2000년 제8회 | 《그로테스크》[12] | 최승호 | 스페인어 |
2001년 제9회 | 《지리산》[13] | 이성부 | |
2002년 제10회 | 《花開》[14] | 김지하 | |
2003년 제11회 | 《처음 만나던 때》[15] | 김광규 | |
2004년 제12회 | 《아, 입이 없는 것들》[16] | 이성복 | |
2005년 제13회 | 《파문》[17] | 김명인 | |
2006년 제14회 | 《가만히 좋아하는》[18] | 김사인 | |
2007년 제15회 | 《새벽 세 시의 사자 한 마리》[19] | 남진우 | |
2008년 제16회 | 《당신의 첫》[20] | 김혜순 | |
2009년 제17회 |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21] | 송찬호 | |
2010년 제18회 | 《쓸쓸해서 머나먼》[22] | 최승자 | |
2011년 제19회 | 《종이》[23] | 신달자 | |
2012년 제20회 | 《그 모든 가장자리》[24] | 백무산 | |
2013년 제21회 | 《훔쳐가는 노래》[25] | 진은영 | |
2014년 제22회 | 《체 게바라 만세》[26] | 박정대 | |
2015년 제23회 | 《마흔두 개의 초록》[27] | 마종기 | |
2016년 제24회 | 《영원이 아니라서 가능한》[28] | 이장욱 | |
2017년 제25회 | 《여수》[29] | 서효인 | |
2018년 제26회 | 《Lo-fi》[30] | 강성은 | |
2019년 제27회 | 《나는 이름이 있었다》[31] | 오은 |
3. 2. 소설 부문
수상년도 | 수상작 | 저자 | 번역출판현황 |
---|---|---|---|
1993년 1회 | 《생의 이면》[32] | 이승우 | 불어/독일어/스페인어 |
1994년 2회 | 《흰 옷》[33] | 이청준 | 불어 |
1995년 3회 | 《내 영혼의 우물》[34] | 최인석 | 독어/불어 |
1996년 4회 | 《남녘사람 북녁사람》[35] | 이호철 | 영어/스페인어 |
1997년 5회 |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36] | 박완서 | 스페인어 |
1998년 6회 | 《홍어》[37] | 김주영 | 영어/독어 |
1999년 7회 | 《베네치아에서 만난 사람》[38] | 서정인 | 불어/독어 |
2000년 8회 | 《두물머리》[39] | 이윤기 | |
2001년 9회 | 《손님》[40] | 황석영 | 영어/불어/스페인어 |
2002년 10회 | 《객수산록》[41] | 김원우 | |
2003년 11회 | 《사람의 향기》[42] | 송기원 | |
2004년 12회 | 《소라단 가는 길》[43] | 윤흥길 | |
2005년 13회 | 《나는 유령작가입니다》[44] | 김연수 | |
2006년 14회 | 《그 여자의 자서전》[45] | 김인숙 | |
2007년 15회 | 《남한산성》[46] | 김훈 | |
2008년 16회 | 《나가사키 파파》[47] | 구효서 | |
2009년 17회 | 《고산자》[48] | 박범신 | |
2010년 18회 | 《새벽의 나나》[49] | 박형서 | |
2011년 19회 | 《이별하는 골짜기》[50] | 임철우 | |
2012년 20회 | 《어떤 작위의 세계》[51] | 정영문 | |
2013년 21회 |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52] | 김숨 | |
2014년 22회 | 《아들의 아버지》[53] | 김원일 | |
2015년 23회 | 《계속해보겠습니다》[54] | 황정은 | |
2016년 24회 | 《유령의 시간》 | 김이정 | |
2017년 25회 | 《디어 랄프 로렌》 | 손보미 | |
2018년 26회 | 《아홉번째 파도》 | 최은미 | |
2019년 27회 | 《단순한 진심》 | 조해진 |
3. 3. 희곡 부문
1993년 제1회 오태석의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55]가 희곡 부문 첫 수상작으로 선정된 이후, 1995년 제3회 이윤택의 《문제적 인간 - 연산》,[56] 1996년 제4회 이강백의 《영월행 일기》,[57] 1998년 제6회 이만희의 《돌아서서 떠나라》,[58] 1999년 제7회 노경식의 《千年의 바람》,[59] 2001년 제9회 이근삼의 《화려한 가출》,[60] 2002년 제10회 김명화의 《돐날》,[61] 2004년 제12회 박상현의 《405호 아줌마는 참 착하시다》,[62] 2006년 제14회 박근형의 《경숙이 경숙 아버지》, 2007년 제15회 배삼식의 《열하일기 만보》,[63] 2008년 제16회 정옥근의 《짐》, 2010년 제18회 최진아의 《1동 28번지》[64], 《차숙이네》,[65] 2011년 제19회 최치언의 《미친극》,[66] 2013년 제21회 고연옥의 《칼집속에 아버지》,[67] 2014년 제22회 남진우의 《폐허에서 꿈꾸다》,[68] 2015년 제23회 김재엽의 《알리바이 연대기》,[69] 2017년 제25회 장우재의 《불역쾌재》가 각각 희곡 부문에서 수상하였다. 2019년 제27회에는 수상작이 없었다.수상년도 | 수상작 | 저자 | 번역출판현황 |
---|---|---|---|
1993년 1회 |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55] | 오태석 | 영어/독어 |
1995년 3회 | 《문제적 인간 - 연산》[56] | 이윤택 | 불어 |
1996년 4회 | 《영월행 일기》[57] | 이강백 | 독어 |
1998년 6회 | 《돌아서서 떠나라》[58] | 이만희 | 불어 |
1999년 7회 | 《千年의 바람》[59] | 노경식 | 불어 |
2001년 9회 | 《화려한 가출》[60] | 이근삼 | |
2002년 10회 | 《돐날》[61] | 김명화 | |
2004년 12회 | 《405호 아줌마는 참 착하시다》[62] | 박상현 | |
2006년 14회 | 《경숙이 경숙 아버지》 | 박근형 | |
2007년 15회 | 《열하일기 만보》[63] | 배삼식 | |
2008년 16회 | 《짐》 | 정옥근 | |
2010년 18회 | 《1동 28번지》[64] 《차숙이네》[65] | 최진아 | |
2011년 19회 | 《미친극》[66] | 최치언 | |
2013년 21회 | 《칼집속에 아버지》[67] | 고연옥 | |
2014년 22회 | 《폐허에서 꿈꾸다》[68] | 남진우 | |
2015년 23회 | 《알리바이 연대기》[69] | 김재엽 | |
2017년 25회 | 《불역쾌재》 | 장우재 | |
2019년 27회 | 수상작 없음 |
3. 4. 평론 부문
대산문학상 평론 부문은 1993년 제1회 백낙청의 《현대문학을 보는 시각》[70]을 시작으로, 김우창의 《시인의 보석》[71], 유종호의 《문학의 즐거움》[72], 김병익의 《새로운 글쓰기와 문학의 진정성》[73], 조남현의 《1990년대 문학의 담론》[74], 김종철의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75], 오생근의 《그리움으로 짓는 문학의 집》[76], 최원식의 《문학의 귀환》[77], 김윤식의 《우리 小說과의 대화》[78], 황광수의 《길 찾기, 길 만들기》[79], 정과리의 《문학이라는 것의 욕망》[80], 최동호의 《진흙 천국의 시적 주술》[81], 김영찬의 《비평극장의 유령들》[82], 김인환의 《의미의 위기》[83], 이광호의 《익명의 사랑》[84], 김치수의 《상처와 치유》[85], 염무웅의 《문학과 시대현실》[86], 황현산의 《잘 표현된 물행》[87], 정홍수의 《흔들리는 사이 언뜻 보이는 푸른빛》 등이 수상하였다.수상년도 | 수상작 | 저자 |
---|---|---|
1993년 1회 | 《현대문학을 보는 시각》[70] | 백낙청 |
1994년 2회 | 《시인의 보석》[71] | 김우창 |
1995년 3회 | 《문학의 즐거움》[72] | 유종호 |
1997년 5회 | 《새로운 글쓰기와 문학의 진정성》[73] | 김병익 |
1998년 6회 | 《1990년대 문학의 담론》[74] | 조남현 |
1999년 7회 |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75] | 김종철 |
2000년 8회 | 《그리움으로 짓는 문학의 집》[76] | 오생근 |
2001년 9회 | 《문학의 귀환》[77] | 최원식 |
2002년 10회 | 《우리 小說과의 대화》[78] | 김윤식 |
2004년 12회 | 《길 찾기, 길 만들기》[79] | 황광수 |
2005년 13회 | 《문학이라는 것의 욕망》[80] | 정과리 |
2006년 14회 | 《진흙 천국의 시적 주술》[81] | 최동호 |
2007년 15회 | 《비평극장의 유령들》[82] | 김영찬 |
2008년 16회 | 《의미의 위기》[83] | 김인환 |
2009년 17회 | 《익명의 사랑》[84] | 이광호 |
2010년 18회 | 《상처와 치유》[85] | 김치수 |
2011년 19회 | 《문학과 시대현실》[86] | 염무웅 |
2012년 20회 | 《잘 표현된 물행》[87] | 황현산 |
2017년 24회 | 《흔들리는 사이 언뜻 보이는 푸른빛》 | 정홍수 |
3. 5. 번역 부문
대산문학상 번역 부문은 1993년 제1회 시상부터 2021년 제27회까지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다. 초기에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번역이 주를 이루었으나, 점차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된 작품들이 수상하고 있다.[88][89][90][91][92][93][94][95][96][97][98][99][100][101][102][103][104][105][106][107][108][109][110][111][112][113][114][115][116]1993년 제1회 번역 부문 수상작은 이학수가 영어로 번역한 《Pine River and lone Peak》(《조선 3인 시선집》)이다.[88] 1994년 제2회 수상작은 최윤과 파트릭 모리스가 프랑스어로 번역한 최인훈의 《La Place》(『광장』)이다.[89] 1995년 제3회 수상작은 정종화와 안선재가 영어로 번역한 이문열의 《The poet》(『시인』)이다.[90][91] 1996년 제4회 수상작은 김미혜와 실비아 브래잴이 독일어로 번역한 황동규의 《Windbestattung》(『풍장』)이다.[92][93]
수상작들은 한국 문학을 해외에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번역가들의 노고를 통해 한국 문학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2016년에는 구병모의 《La Panadería Encantada 위저드 베이커리》를 스페인어 번역한 정민정과 이르마 시안자 힐 자녜스가, 2017년에는 《한국시선집 : 조선시대'(The Book of Korean Poetry : CHOSUN DYNASTY)》을 영역한 케빈 오록이 수상했다.
2019년 제27회 번역 부문은 박형서의 《새벽의 나나》를 번역한 윤선영, 필립 하스가 수상하였다.
참조
[1]
뉴스
Mah, Hwang win Daesan literary awards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5-11-02
[2]
웹사이트
대산문학상
http://daesan.or.kr/[...]
[3]
뉴스
24th annual Daesan Literary Awards announces winners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6-11-02
[4]
웹사이트
Daesan Literary Awards announces four winners
https://www.khetimes[...]
2021-11-04
[5]
ISBN
[6]
ISBN
[7]
ISBN
[8]
ISBN
[9]
ISBN
[10]
ISBN
[11]
ISBN
[12]
ISBN
[13]
ISBN
[14]
ISBN
[15]
ISBN
[16]
ISBN
[17]
ISBN
[18]
ISBN
[19]
ISBN
[20]
ISBN
[21]
ISBN
[22]
ISBN
[23]
ISBN
[24]
ISBN
[25]
ISBN
[26]
ISBN
[27]
ISBN
[28]
웹사이트
http://www.news-pape[...]
[29]
웹사이트
http://www.yonhapnew[...]
[30]
뉴스
제26회 대산문학상에 강성은·최은미·우찬제·조은라·스테판 브와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8-11-05
[31]
뉴스
제27회 대산문학상 수상자, 조해진·오은 선정
http://www.readersne[...]
독서신문
2019-11-04
[32]
ISBN
[33]
ISBN
[34]
ISBN
[35]
ISBN
[36]
ISBN
[37]
ISBN
[38]
ISBN
[39]
ISBN
[40]
ISBN
[41]
ISBN
[42]
ISBN
[43]
ISBN
[44]
ISBN
[45]
ISBN
[46]
ISBN
[47]
ISBN
[48]
ISBN
[49]
ISBN
[50]
ISBN
[51]
ISBN
[52]
ISBN
[53]
ISBN
[54]
ISBN
[55]
ISBN
[56]
ISBN
[57]
ISBN
[58]
ISBN
[59]
ISBN
[60]
ISBN
[61]
ISBN
[62]
ISBN
[63]
ISBN
[64]
ISBN
[65]
ISBN
[66]
ISBN
[67]
ISBN
[68]
ISBN
[69]
ISBN
[70]
ISBN
[71]
ISBN
[72]
ISBN
[73]
ISBN
[74]
ISBN
[75]
ISBN
[76]
ISBN
[77]
ISBN
[78]
ISBN
[79]
ISBN
[80]
ISBN
[81]
ISBN
[82]
ISBN
[83]
ISBN
[84]
ISBN
[85]
ISBN
[86]
ISBN
[87]
ISBN
[88]
ISBN
[89]
ISBN
[90]
ISBN
[91]
ISBN
[92]
ISBN
[93]
ISBN
[94]
ISBN
[95]
ISBN
[96]
ISBN
[97]
ISBN
[98]
ISBN
[99]
ISBN
[100]
ISBN
[101]
ISBN
[102]
ISBN
[103]
ISBN
[104]
ISBN
[105]
ISBN
[106]
ISBN
[107]
ISBN
[108]
ISBN
[109]
ISBN
[110]
ISBN
[111]
ISBN
[112]
ISBN
[113]
ISBN
[114]
ISBN
[115]
ISBN
[116]
ISBN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원로 소설가 서정인 별세
‘414명 성명’ 추동한 세 시인 “작가 말고 문장의 힘을 봐주세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