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강후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봉대초등학교, 원주중학교, 원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강원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으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조지워싱턴대학교, 고려대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산업자원부, 중소기업청 등에서 근무했으며, 대한석탄공사 사장, 제19대 국회의원(강원 원주시 을)을 역임했다. 또한 바른정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국민의힘 당협위원장을 지냈으며,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1983년 국회의장상, 2010년 대통령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주고등학교 동문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원주고등학교 동문 - 이광재 (정치인)
이광재는 강원도 평창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측근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강원도지사를 지냈으나 박연차 게이트에 연루되었고, 특별사면 후 국회의원과 국회사무총장을 역임했으며,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기여와 논란으로 알려져 있다. - 원주중학교 동문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원주중학교 동문 - 이광재 (정치인)
이광재는 강원도 평창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측근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강원도지사를 지냈으나 박연차 게이트에 연루되었고, 특별사면 후 국회의원과 국회사무총장을 역임했으며,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기여와 논란으로 알려져 있다.
| 이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이강후 |
| 출생일 | 1953년 6월 4일 |
| 출생지 | 강원도 원주 |
| 국적 | 대한민국 |
| 직업 | 정치인 |
| 정당 | 국민의힘 |
| 의원 선수 | 1 |
| 의원 대수 | 19 |
| 지역구 | 강원 원주시 을(19)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학력 | |
| 학사 | 강원대학교 법학 학사 |
| 석사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
| 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 |
2. 학력
- 1964년 봉대초등학교 졸업
- 1967년 원주중학교 졸업
- 1970년 원주고등학교 졸업
- 1976년 강원대학교 법학과 졸업
- 1978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 1994년 1월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 1999년 8월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
- 2011년 몽골 후레(HUREE)정보통신기술대 명예경영학 박사
3. 경력
- 1978년 11월: 제22회 행정고시 합격[1]
- 산업자원부 에너지관리과장[1]
- 인하대학교 겸임교수[1]
- 중앙대학교 겸임교수[1]
- 2003년 6월 ~ 2004년 9월: 무역위원회 무역조사실장[1]
- 2004년 9월 ~ 2005년 4월: 중소기업청 기획관리관[1]
- 2005년 4월 ~ 2007년 4월: 동북아시대위원회 경제협력국장[1]
- 2008년 1월: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후변화협약T/F 전문위원[1]
- 2008년 9월 ~ 2009년 7월: 지식경제부 우정사업정보센터장[1]
- 2010년 4월 ~ 2012년 1월: 제35대 대한석탄공사 사장[1]
- 2012년 5월 ~ 2016년 5월: 제19대 국회의원 (강원 원주시 을, 새누리당)[1]
- 2012년 7월 ~ 2013년 3월: 제19대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위원[1]
- 2012년 10월: 2013 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 세계대회 조직위원회 위원[1]
- 2012년 10월: 제18대 대통령 선거 새누리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직능총괄본부 에너지자원산업본부장[1]
- 2013년 4월 ~ 2016년 5월: 제19대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1]
- 2014년 2월: 국회 통상관계대책 특별위원회 위원[1]
- 2014년 4월: 새누리당 경제혁신특별위원회 공기업개혁분과위원회 위원[1]
- 2015년 7월: 새누리당 통일위원장[1]
- 2017년: 바른정당[1]
- 2017년 2월 ~ 2017년 11월: 바른정당 지역위원장, 강원 원주시 을 당협위원장[1]
- 2017년 11월: 자유한국당[1]
- 2019년 5월 ~ 2020년 2월: 자유한국당 탈원전저지특별위원회 위원[1]
- 2019년 6월 ~ 현재: 이강후의 원주발전연구소 소장[1]
- 2020년 2월 ~ 2020년 9월: 미래통합당[1]
- 2020년 2월: 미래통합당 강원 원주시 을 당협위원장[1]
- 2020년 9월 ~ 현재: 국민의힘 강원 원주시 을 당협위원장[1]
- 2021년 12월 ~ 2022년 3월: 국민의힘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강원 선거대책위원회 의장단 의장[1]
- 2021년 12월 ~ 2022년 1월: 국민의힘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직능총괄본부 직능지원단 산업자원발전지원본부장[1]
4. 수상 경력
| 연도 | 수상 내용 |
|---|---|
| 1983년 | 국회의장상 |
| 2010년 | 대통령상 |
| 2011년 | 올해의 CEO 대상 가치경영공공부문 대상 (한국경제신문 선정) |
5. 역대 선거 결과
| 연도 | 선거명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 2012년 | 총선 | 국회의원 | 강원 원주시 을 | 새누리당 | 30,761표 | 48.73% | 1위 | 당선 | 초선[1] |
| 2016년 | 총선 | 국회의원 | 강원 원주시 을 | 새누리당 | 33,702표 | 43.82% | 2위 | 낙선 | |
| 2020년 | 총선 | 국회의원 | 강원 원주시 을 | 미래통합당 | 39,089표 | 43.18% | 2위 | 낙선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