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석탄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석탄공사는 1950년 11월 1일 설립된 공기업으로, 석탄 생산 및 공급을 주된 사업으로 해왔다. 1980년대 생산량 최대치를 기록했으나, 석탄 산업 합리화 정책에 따라 1990년대부터 구조조정을 진행하며 여러 광업소를 폐광했다. 2022년 자본 잠식 상태에 이르렀고, 2025년까지 소유 광업소의 단계적 폐광이 결정되었다. 2023년 화순광업소, 2024년 장성광업소가 폐광되었으며, 2025년 도계광업소 폐광이 예정되어 있다. 현재 3본부, 3광업소, 3사무소, 1연구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준시장형 공기업으로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을 적용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설립된 에너지 기업 - 타트네프트
타트네프트는 타타르스탄에 기반을 둔 러시아의 수직 통합 석유 회사로, 1950년 설립되어 타타르스탄 지역의 주요 유전 개발과 함께 성장했으며, 1994년 사유화 이후 공개 주식회사로 재편되어 모스크바 증권 거래소와 런던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었으나 최근 우크라이나 관련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탄광업 회사 - BHP
BHP는 1885년 설립된 호주계 다국적 광산 회사로, 브로큰힐 프로프라이어터리 컴퍼니에서 시작하여 빌리턴과의 합병, 브랜드 변경을 거쳤으며, 철광석, 구리, 석탄 등 다양한 광물을 생산하며 여러 환경 및 사회적 논란과 인수합병 시도를 겪었다. - 탄광업 회사 - 발리 (기업)
발리는 1942년 브라질에서 국영 기업으로 시작하여 세계 최대 철광석 생산 기업이자 다양한 광물을 생산하는 다국적 광업 회사로 성장했지만, 댐 붕괴 사고로 환경 및 안전 문제에 대한 비판을 받고 탄소 배출량 감축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에너지 기업 - 한화에너지
한화에너지는 2012년 한화그룹에서 출범한 에너지 기업으로, 집단에너지사업, 해외 태양광발전 및 전력 리테일 사업을 영위하며, 부생수소 연료전지 발전소 준공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에너지 기업 - E1 (기업)
E1은 1984년 여수에너지로 설립되어 LPG 수입, 수출, 저장, 충전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LG가스를 거쳐 2004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으며 LS그룹에 편입되었다.
대한석탄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회사명 | 대한석탄공사 (Daehan Seoktan Gongsa) |
![]() | |
원어명 | 대한석탄공사 |
영문명 | Korea Coal Corporation |
형태 | 공기업 |
설립일 | 1950년 11월 1일 |
설립자 | 허정 |
해체 예정일 | 2025년 (예정) |
국가 | 대한민국 |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배울로 85 |
산업 | 석탄 개발 및 수급 |
웹사이트 | 대한석탄공사 공식 웹사이트 |
경영 정보 | |
대표 | 원경환 |
자본금 | 1,108억원 (2023년 연결재무제표기준) |
매출액 | 661억 6,600만원 (2023년) |
당기순손실 | 2,483억 2,100만원 (2023년) |
자산 총액 | 8,592억원 (2023년 연결재무제표기준) |
직원 수 | 516명(2023년말) |
주주 | 대한민국 정부 |
모기업 | 해당 사항 없음 |
자회사 | 한몽에너지개발 |
2. 연혁
- 1981년 6월: 생산누계 1억 톤 달성, 석항, 강릉, 옥마에 석탄 비축장을 설치하였다.
- 1988년 12월: 생산량 522만 톤 돌파(최대)
- 2001년 12월: 《석공 50년사》 발간
- 2007년 12월: 생산 1,382천 톤, 생산누계 1억 8천만 톤 달성
- 2010년 11월 1일: 대한석탄공사 창립 60주년
- 2011년 7월: 몽골 누르스트 홋고르 탄광 개광
- 2012년 12월: 생산 1,100천 톤(누계 생산 1억 8천 5백만 톤)
- 2014년 12월 12일: 원주 혁신도시로 본사 이전[5]
- 2022년 12월: 생산 320천 톤(누계 생산 1억 9천 3백만 톤)
- 2023년 12월: 생산 186천 톤(누계 생산 193,186,000 톤)
2. 1. 설립 초기 (1950년대 ~ 1970년대)
- 1950년 5월 27일: 서울 상공부 청사에서 대한석탄공사 설립준비위원회가 조직되었고, 위원장에 허정, 부위원장에 유기동이 각각 선출되었다.[2]
- 1950년 11월 1일: 대한석탄공사 발족 (자본금 1000만원, 6개 광업소), 초대 사장에 허정, 부사장에 김성호 선출
- 1950년 12월: 생산량 100만 톤 돌파
- 1967년 6월: 나전광업소, 성주광업소 매입
- 1968년 7월 19일: 자본금 증자 (100억원)
- 1976년 6월: 석탄 수입 업무 개시
2. 2. 생산 확대 및 정점 (1980년대)
1981년 6월, 생산누계 1억 톤을 달성하고 석항, 강릉, 옥마에 석탄 비축장을 설치하였다.[3] 1988년 12월에는 생산량이 522만 톤을 돌파하며 최대치를 기록하였다.[3]2. 3. 구조조정 및 폐광 (1990년대 ~ 현재)
석탄산업은 사양길에 접어들었고, 이에 따라 대한석탄공사도 구조조정 및 폐광 절차를 밟게 되었다. 夕張市|유바리시중국어의 사례를 참고할 수 있다.- 1990년 9월: 성주광업소 폐광 및 나전, 영월광업소 매각[3]
- 1993년 9월: 함백광업소 폐광 및 홍콩지사, 광주지사 폐지
- 1994년 9월: 은성광업소 폐광[4]
- 1996년 12월: 부산지사, 묵호사무소, 수색사무소 폐지
- 1998년 11월: 기술훈련원, 임무소 및 영남, 은성, 전남골재사무소 폐지
- 2001년 12월: 자본금 4.483조원 감자
- 2023년 6월 30일: 화순광업소 폐광[6]
- 2024년 6월 30일: 장성광업소 폐광[7]
- 2025년 6월: 도계광업소 폐광 (예정)
3. 조직
대한석탄공사는 준시장형 공기업으로,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을 적용받는다. 2023년 기준으로 3본부, 3광업소, 3사무소, 1연구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임원을 포함하여 총 655명이 근무하고 있다.[1]
- 이사장
- 감사
3. 1. 이사회
원본 소스에는 대한석탄공사의 이사회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고, 감사와 감사실 산하 조직(감사팀, 청렴추진팀)에 대한 정보만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이사회'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3. 2. 감사실
감사는 비상임이며, 감사실 산하에는 감사팀과 청렴추진팀이 있다.3. 3. 기획관리본부
대한석탄공사에는 기획관리본부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며, 기획조정실, 경영지원실, 정보보안실, 재무관리팀, 고객지원팀이 있다. 각 부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기획조정실
- 혁신기획팀
- 예산팀
- 미래전략팀
- 사회혁신팀
- 경영지원실
- 동반성장팀
- 비서홍보팀
- 정보보안실
- 비상보안팀
- 경영정보팀
- 재무관리팀
- 고객지원팀
3. 4. 사업본부
대한석탄공사의 사업본부는 3본부, 3광업소, 3사무소, 1연구소로 구성되어 있다. 본사는 3본부, 4실, 21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생산안전실 산하에는 생산개발팀, 안전외주팀, 기술지원팀, 사업개발팀, 노사협력팀이 있다.[1]본부 | 광업소 | 사무소 | 연구소 |
---|---|---|---|
3개 | 3개 | 3개 | 1개 |
4. 사업소
대한석탄공사는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광업소를, 인천광역시 서구,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저탄장을 두고 있었다.
- 장성광업소: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했으며, 2024년에 폐광되었다.
- 도계광업소: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 위치했으며, 2025년에 폐광될 예정이다.
- 화순광업소: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했으며, 2023년에 폐광되었다.
저탄장은 석탄을 보관하는 시설로,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소재지 | 비축장 | 면적 | 저탄량 | 비고 |
---|---|---|---|---|
인천광역시 서구 건지로 156 (가좌동) | 인천비축장 | 114318m2 | 370,000톤 | 수입탄, 국내탄 |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용지면 와룡2길 17-25 | 와룡비축장 | 61352m2 | 127,000톤 | 국내탄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의림로 10 | 석항비축장 | 241401m2 | 1,160,000톤 | 국내탄 |
4. 1. 장성광업소 (2024년 폐광)
면적 | 광구 수 | 가행 | 채진 | 미가행 |
---|---|---|---|---|
4816ha | 16 | 6 | 3 | 7 |
- 총매장량 현황
구분 | 매장량 | 비고 |
---|---|---|
장성 | 1.49억ton | 68% |
석공 | 2.19억ton | 100% |
- 조직/인원: 7부 4생산부 27과 / 833명
4. 2. 도계광업소 (2025년 폐광 예정)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로 225에 위치해 있다.광구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면적(ha) | 광구 수 | 가행 | 채진 | 미가행 |
---|---|---|---|---|---|
합계 | 5,281 | 16 | 5 | 5 | 6 |
총 매장량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매장량(백만톤) | 구성비(%) |
---|---|---|
도계 | 34 | 16 |
석공 | 219 | 100 |
조직 및 인원은 1부소장, 7부, 21과, 총 462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4. 3. 화순광업소 (2023년 폐광)
전라남도중국어 화순군 동면 충의로 1064에 위치해 있었다.[1] 면적은 3074ha이며, 17개의 광구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중 7개는 가행 광구, 5개는 채진 광구, 5개는 미가행 광구였다.[1]총 매장량은 3600만 톤으로, 대한석탄공사 전체 매장량 2억 1900만 톤의 16%를 차지했다.[1]
조직은 1부소장, 2생산부, 18과로 구성되었으며, 총 305명이 근무했다.[1]
구분 | 내용 |
---|---|
소재지 | 전라남도중국어 화순군 동면 충의로 1064 |
광구 면적 | 3074ha |
광구 수 | 17개 (가행 7개, 채진 5개, 미가행 5개) |
총 매장량 | 3600만 톤 (대한석탄공사 전체의 16%) |
조직 | 1부소장, 2생산부, 18과 |
인원 | 305명 |
4. 4. 저탄장
대한석탄공사의 저탄장은 다음과 같다.[1]소재지 | 비축장 | 면적 | 저탄량 | 비고 |
---|---|---|---|---|
인천광역시 서구 건지로 156 (가좌동) | 인천비축장 | 114318m2 | 370,000톤 | 수입탄, 국내탄 |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용지면 와룡2길 17-25 | 와룡비축장 | 61352m2 | 127,000톤 | 국내탄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의림로 10 | 석항비축장 | 241401m2 | 1,160,000톤 | 국내탄 |
5. 경영 위기 및 폐광
경영 위기 및 폐광
2007년 기획재정부에서 실시한 '''공기업·준정부기관 2007년 경영 실적 평가(공기업1그룹)'''에서 대한석탄공사는 재무구조 취약으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와 함께 최하위에 그쳤다. 석탄공사는 전체 부채 가운데 만기 6개월 이내의 단기 차입금이 66%나 돼 재무 상태가 불안정했다. 그럼에도 2007년 정부의 인건비 가이드라인(2% 인상)을 위반하고 직원들의 임금을 더 올려줬다. 2007년 말 현재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은 27%로 부채 상환 능력에 상당한 어려움을 보이고 있으며, 민간 광산 대비 채탄 능률성은 80~90%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돼 시급한 경영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았다.[8]
2022년 연결재무제표 기준 1.4257조원 자본잠식에 빠졌고, 정부에서는 2025년까지 석탄공사 소유 광업소들을 단계적으로 폐광하기로 했다. 그러자 해당 지자체장과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8]
2023년 6월 30일에 화순광업소가 석탄 생산을 종료했으며, 2024년 6월 30일에는 장성광업소가 폐광되었다. 제41대 석탄공사 사장 지원자 공개 모집 공고를 게시하면서 신임 사장의 임기는 ‘공사 운영 종료 시까지’로 기재되었다.[9]
참조
[1]
신문기사
"炭鑛을 全面統制"
동아일보
1949-10-14
[2]
신문기사
"石炭公社設置委 委員長에 許政氏"
경향신문
1950-05-27
[3]
뉴스
석공 영월광업소 민영탄광으로 개광
https://v.daum.net/v[...]
연합뉴스
1990-05-18
[4]
뉴스
문경(聞慶) 恩城광업소 폐광
https://v.daum.net/v[...]
연합뉴스
1994-07-30
[5]
뉴스
대한석탄공사, 12일 강원 원주 혁신도시 신사옥 개청식
https://biz.chosun.c[...]
조선일보
2014-12-12
[6]
뉴스
화순광업소, 118년 여정 역사 속으로
https://view.asiae.c[...]
아시아경제
2023-06-30
[7]
뉴스
80여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문 닫는 장성광업소
https://news.kbs.co.[...]
KBS 9시뉴스
2024-06-28
[8]
뉴스
화순·태백·삼척 폐광한다…120년 한국탄광 역사 속으로
https://n.news.naver[...]
매일경제
2022-03-03
[9]
뉴스
한때는 최고 직장 석탄공사 "문 닫아주실 사장 구합니다"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4-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