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건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건재는 대원외국어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리노이 대학교 어버너-섐페인 캠퍼스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에서 조교수 및 부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소재·부품·장비 분야 연구개발 부문 책임자이다. KAIST 지정 석좌교수, 산학협력 프로그램 책임자, 차세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회원, 인공지능 센서를 위한 인간 플러스 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Advanced Materials' 편집 자문위원, FRONICS Inc.의 공동 창립자 및 자문위원, KAIST 대학-산업 연계 센터장,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뇌과학연구소 방문 교수, 하버드 의과대학 방문 교수를 역임했다. 2022년 한국재료학회 학술상, '2022 KAIST Impact Research Award' 공학계열 상위 1% 인용에 선정되었으며, 2021년 부총리상, 2019년 '2019 KAIST Technology Innovation Award'와 '2019 KAIST Impact Research Award'에서 KAIST 공학계열 상위 1% 인용에 선정되었다. 유연한 압전 음향 센서, 유연한 GaN/GaAs 마이크로LED, 유연한 LSI, 유연한 메모리, 유연한 전자기기, 신축성 있는 헬스케어 센서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며 다수의 학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료과학자 - 단 셰흐트만
    이스라엘의 재료공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단 셰흐트만은 준결정 발견에 대한 공로로 201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연구는 결정학에 대한 도전과 과학계의 논쟁을 거쳐 물질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했다.
  • 나노기술자 -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안드레아스 하인리히는 독일 괴팅겐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물리학자로,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이자 기초과학연구원 양자나노과학 연구단 단장으로서 양자 상태 제어 및 고감도 양자 센서 개발 연구를 이끌고 있으며, 원자 MRI 촬영 기여, 최소형 데이터 저장 기술 개발, 세계 최소형 스톱 모션 영화 제작 등의 업적을 통해 조셉 F. 키슬리 상 수상 및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었다.
이건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건재 교수 사진
이건재 교수
이름이건재
태어난 날1975년 8월 13일 (만 48세)
거주지대한민국 대전광역시
국적대한민국
출신 대학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박사)
분야재료과학
나노기술
전기공학
소속한국과학기술원
지도교수존 로저스(John A. Rogers)
랄프 누조(Ralph Nuzzo)
캠퍼스 정보

2. 학력


  • '''1994년''': 대원외국어고등학교 졸업
  • '''2006년''': 일리노이 대학교 어버너-섐페인 캠퍼스 박사학위 취득

3. 경력

wikitext

주요 경력
기간소속/기관직위/역할
2009년 ~ 2018년KAIST 신소재공학과조교수 및 부교수
2020년 ~ 현재KAIST 신소재공학과석좌교수 (KAIST 지정 석좌교수)
시기 미상유니스탄티스 일렉트로닉스반도체 설계 직원[8]
시기 미상하버드 의과대학방문 교수
시기 미상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뇌과학연구소방문 교수
시기 미상KOLON 라이프스타일 혁신 센터총괄 자문위원
시기 미상FRONICS Inc.공동 창립자 및 자문위원[7]
시기 미상KAIST산학협력 프로그램(ILP) 책임자 (대학-산업 연계 센터장)[6]
시기 미상KAIST전략적 협력 연구개발 부문 책임자 (소재·부품·장비 분야)
시기 미상KAIST인공지능 센서를 위한 인간 플러스 센터장
시기 미상KAIST유연 및 나노바이오 국립연구소 연구소장
시기 미상한국과학기술한림원차세대 회원 (Young KAST)
시기 미상Advanced Materials (Wiley)편집 자문위원 (영향력 지수=29.4)
시기 미상Advanced Materials특별 편집자 (KAIST 50주년 기념 특별호)
시기 미상Nano Energy특별 편집자 (한국에서 열린 제4회 NGPT 특별호)
시기 미상국제 나노발전기 및 피에조트로닉스 컨퍼런스제4회 의장



한국과학기술원 로고

4. 수상 내역

wikitext

연도수상 내역수여 기관 / 비고
2009George Smith AwardIEEE Elect. Dev. Lett. 2008년 최우수 논문상
2010Thin Film Nanogenerator, 'Top 10 Lifestyle Innovation Technology'동아사이언스
2012'2012 Merck Young Scientists Awards'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IMID, 8월)
2014장관상미래창조과학부
2015'2014 KAIST Top 10 Research Award'KAIST
2015'Advanced Materials Scientist Award'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dvanced Materials (스웨덴)
2017KAIST Institute Fusion Research AwardKAIST
2017Nano Convergence 우수 논문상
2018Young KAST member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19'2019 KAIST Impact Research Award'KAIST 공학계열 상위 1% 인용
2019'2019 KAIST Technology Innovation Award'KAIST
2021부총리
2022'2022 KAIST Impact Research Award'KAIST 공학계열 상위 1% 인용
2022한국재료학회 학술상한국재료학회


5. 연구 분야

주요 연구 분야는 유연 전자 시스템과 레이저-재료 상호작용이다. 유연 전자 시스템 분야에서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센서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마이크로LED를 활용한 디스플레이 및 생의학 응용, LSI, 메모리(멤리스터, PRAM 등) 등을 연구한다. 또한, 유연 전자 소자 제작을 위한 레이저-재료 상호작용 및 레이저 리프트오프 기술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5. 1. 세부 연구 경력

이건재 교수의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유연 전자 시스템'''
  • * 유연/신축성 압전 음향 센서 및 헬스케어 센서 (자가발전 포함)
  • * 유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 * 유연 GaN/GaAs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및 생의학 응용
  • * 유연 LSI
  • * 유연 메모리 (멤리스터, RRAM, PRAM, 플래시 메모리)
  • * 자가발전 유연 전자 시스템
  • * 생체 내 생의학 응용을 위한 유연 전자공학

  • '''레이저-재료 상호작용'''
  • * 유연 전자기기, 전자공학 및 나노물질을 위한 레이저 물질 상호작용
  • * 유연 전자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레이저 리프트오프

  • '''주요 사용 기술 및 장비'''
  • * '''분석 및 측정''': 주사 전자 현미경 (SEM), 투과 전자 현미경 (TEM), 원자력 현미경 (AFM), 2차 이온 질량 분석기 (SIMS), 라만 분광법, X선 회절 분석, X선 광전자 분광계 (XPS), LED 측정 (EL, PL, CIE, 전력 강도), 메모리 측정 (CV & IV)
  • * '''공정''': 나노 패터닝 (50nm - 100nm), 소프트 리소그래피, 반도체 재료의 박막 성장, 건식 식각: 유도 결합 플라즈마 (ICP) 식각

6. 학회 활동


  • '''Adv. Mater.''' (Wiley, IF 29.4) - 편집 위원
  • 2018년 서울에서 개최된 나노발전기 및 압전트로닉스 국제 학회(International Conference of Nanogenerators and Piezotronics, NGPT) 의장
  • 한국재료학회 (Korean MRS) - 이사
  • 대한금속·재료학회 (Korean Institute of Metals and Materials) - 학술위원
  • 대한금속·재료학회 - 재료마당 편집위원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 이사
  • 첨단 전기재료 국제 학회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Electromaterials, ICAE) - 조직위원 겸 이사
  • 녹색 환경을 위한 전자 재료 및 나노기술 국제 학회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 Materials and Nanotechnology for Green Environment, ENGE) - 조직위원
  • 한국반도체학술대회 나노분과 - 위원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IoT 및 웨어러블 기기 융합클러스터 - 위원
  • 미국 재료 학회 (Material Research Society, MRS) - 회원

7. 주요 논문 (선별적)

제목저널/특허 정보발표 연도인용 횟수
Transfer printing by kinetic control of adhesion to an elastomeric stampNature Materials 5 (1), 33-3820061799회[1]
Heterogeneous three-dimensional electronics by use of printed semiconductor nanomaterialsScience 314 (5806), 1754-17572006856회[2]
Piezoelectric BaTiO3 Thin Film Nanogenerator on Plastic SubstratesNano Letters 10 (12), 4939-49432010849회[3]
Methods and devices for fabricating and assembling printable semiconductor elementsUS Patent 8,664,6992014839회*
Highly‐efficient, flexible piezoelectric PZT thin film nanogenerator on plastic substratesAdvanced Materials 26 (16), 2514-25202014816회[4]
Flexible Nanocomposite Generator Made of BaTiO3 Nanoparticles and Graphitic CarbonsAdvanced Materials 24 (22), 2999-30042012730회[5]


참조

[1] 간행물 Nature Materials https://www.nature.c[...]
[2] 간행물 Science https://www.science.[...]
[3] 간행물 Nano Letters https://pubs.acs.org[...]
[4] 간행물 Advanced Materials https://onlinelibrar[...]
[5] 간행물 https://onlinelibrar[...]
[6] 웹사이트 KAIST ILP 웹사이트 http://ilp.kaist.ac.[...]
[7] 웹사이트 FRONICS Inc. 웹사이트 http://fronics.com
[8] 웹사이트 유니스탄티스 일렉트로닉스 웹사이트 https://unisantis.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