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계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계천은 탕구트족의 유력 가문 출신으로, 서하 건국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이다. 그는 은주 방어사 이광엄의 아들로 태어나, 12세에 관내도지번락사로 임명될 정도로 재능을 인정받았다. 982년 종형 이계봉이 송나라에 복속되자 독립 운동을 시작하여 요나라와 협력, 정난군절도사 등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서평부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며, 서하의 기반을 다졌다. 그는 아들 이덕명에게 북송에 귀순할 것을 지시하고 사망했으며, 손자 이원호가 서하를 건국한 후 태조 신무황제로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하의 추존황제 - 이덕명
이덕명은 서하의 기틀을 다진 하왕으로, 양속 외교와 서역 경영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도성을 흥경부로 이전하는 등 서하 발전에 기여하여 사후 광성황제로 추증되고 묘호는 태종으로 올려졌다. - 963년 출생 - 강민첨
강민첨은 고려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으로, 1018년 고려-거란 전쟁 당시 원수로서 귀주대첩에서 거란군을 격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사후 태자태부, 문하시랑평장사로 추증되고 은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004년 사망 - 한언공
한언공은 고려 시대 문신으로 광문원 서생으로 시작해 문하시중에 이르렀고, 송나라 사신으로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으며 중추원 설치에 기여하여 목종 묘정에 배향되었고 시호는 정신이다. - 1004년 사망 - 명덕황후 (북송)
명덕황후 이씨는 북송 태종의 황후로서, 985년에 황후로 책봉되어 태종 사후 황태후가 되었으며, 1004년에 붕어하여 명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이계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계천 (李繼遷) |
별명 | 조보길 (趙保吉) |
출생일 | 963년 |
사망일 | 1004년 1월 26일 |
매장지 | 유릉 (裕陵, 서하 왕릉 1호 무덤으로 추정) |
아버지 | 이광엄 |
어머니 | 불명 |
배우자 | 야리씨 거란의 의성공주 |
작위 | |
재위 기간 | 990년 ~ 1004년 |
이후 | 이덕명 |
정난절도사 재임 기간 | 998년 ~ 1004년 |
유형 | 임기 |
이전 | 이계봉 |
이후 | 이덕명 |
시호 | 응운법천신지인성지도광덕광효황제(應運法天神智仁聖至道廣德光孝皇帝) 신무황제(神武皇帝) |
묘호 | 무종 (武宗) 태조 (太祖) |
2. 초기 생애 및 배경
이계천은 은주 방어사 이광엄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대대로 당나라와 송나라의 지배를 받는 탕구트족의 유력 가문이었다.
2. 1. 가계
증조부 | 이인안 |
---|---|
조부 | 이이경 |
부 | 이광엄 |
2. 2. 출생 및 초기 활동
은주 방어사 이광엄의 아들로 태어났다. 증조부는 이인안, 조부는 이이경이다. 출생지에서 이계천채라고 불렀다. 사서의 기록에 따르면 태어날 때부터 이빨이 있었으며, 어린 시절부터 용감하고 과감하며 총명한 인물이었다.[1] 975년, 종숙부였던 정난군절도사 이광예는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12세의 이계천을 관내도지번락사로 임명했다.[1]3. 송나라와의 갈등 및 요나라와의 협력
982년, 이계천의 종형 이계봉이 송나라에 복속되자, 이계천은 이에 반발하여 탕구트족을 이끌고 독립 운동을 시작했다.[1] 그는 요나라에 장포를 사신으로 보내 협력을 요청했고, 요 성종은 이계천을 정난군절도사, 하수은유정5주관찰사, 특진검교태사·도독하주제군사 등으로 임명하며 지원했다.[1] 그해 12월, 이계천은 더 많은 지원을 얻기 위해 직접 요나라를 방문하여 왕실과의 혼인을 요구하기도 했다.[1]
이계봉 역시 송나라에 완전히 복속된 것은 아니었고, 이계천과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991년에는 하주를 요나라에 바치고 서평왕으로 책봉되었다.[1] 이계봉의 협력 아래 이계천은 군사를 일으켜 수주와 은주를 점령하고, 경주와 원주 등 여러 주를 공격했으나, 곧 송나라 군대의 반격으로 철수해야 했다.[1]
진종이 송나라 황제로 즉위한 후, 송나라는 이계천에 대해 소극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고, 이계천의 세력은 더욱 강해졌다.[1] 1002년, 이계천은 영주를 공격하여 지주 배제를 살해하고, 요나라로부터 서평왕으로 책봉되었으며, 영주는 서평부(西平府)로 개칭되었다.[1]
4. 서하 건국의 기틀 마련
이계천은 은주 방어사 이광엄의 아들로 태어나, 종숙부 이광예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12세에 관내도지번락사로 임명되었다. 982년, 종형 이계봉이 송나라에 입조했을 때 하주, 수주, 은주, 유주, 정주의 5주 반환 문제로 탕구트족을 이끌고 송나라에 대항했다.[1] 이후 요나라에 귀순하여 관직을 받았고, 991년 이계봉의 협력으로 수주·은주를 점거하고 여러 주를 공격했으나 송나라 군대에 의해 철수했다.[1]
1002년, 영주를 공격하여 점령하고 서평부로 개칭한 후, 도성 방비 강화, 왕전과 종묘 정비 등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
4. 1. 통치 방식
이계천은 백성들에게 중원의 지식을 습득하도록 장려하고, 도성의 방비를 굳건히 하며 왕전과 종묘 등을 정비하는 등 행정 체계를 정비했다. 그는 요나라와 외교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스스로 요나라를 방문하여 왕실과의 혼인을 요구하기도 했다. 한편, 송나라와 관계에서는 송나라를 경시하며 독립적인 태도를 유지했다.4. 2. 군사적 활동
982년, 종형 이계봉이 송나라에 입조했을 때 하주, 수주, 은주, 유주, 정주의 5주를 송나라가 반환을 요구하자, 동생 이계충 등과 탕구트족을 이끌고 송나라에 대항하는 활동을 시작했다.[1] 이후 이계천은 장포를 요나라에 파견하여 귀순했고, 당시 북송의 하서 지역 지배권 약화를 틈타 성종은 이계천을 정난군절도사, 하수은유정5주관찰사, 특진검교태사·도독하주제군사로, 이계충을 부사로 책봉했다.[1] 그해 12월, 이계천은 더 많은 요나라의 지원을 얻기 위해 직접 요나라를 방문하여 요나라 왕실과의 혼인을 요구하기도 했다.[1]이계봉은 송나라에 5주를 헌납하고 입조했지만, 본심은 송나라에 복종하는 것이 아니었다. 하주가 반환된 후에도 표면적으로는 송나라에 귀순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이계천과 내통했다. 991년에는 하주를 요나라에 바치고 서평왕으로 책봉되었다.[1] 이계천은 이계봉의 협력을 바탕으로 출병하여 수주와 은주를 점거하고, 나아가 경주·원주의 여러 주를 공격했다.[1] 그러나 곧 송나라 군대의 반격으로 철수해야 했다.[1]
진종이 북송의 황제로 즉위하면서 이계천에 대한 소극적인 외교 정책이 채택되었고, 이계천의 세력은 더욱 강화되었다.[1] 1002년, 이계천은 영주를 공격하여 지주 배제를 살해했고, 요나라로부터 서평왕으로 책봉되었으며, 영주는 서평부로 개칭되었다.[1]
이계천은 지배 지역을 정비하면서 송나라를 경시하게 되었고, 환주와 경주 공격을 계획했다.[1] 그러나 송나라에 귀순했던 토번족 수령 반라지의 계략에 빠져 이계천의 군대는 대패했고, 이계천 자신도 부상을 입고 서평부로 돌아가야 했다.[1]
4. 3. 사후 추증
손자 이원호가 서하를 건국하자 묘호를 '''태조'''(太祖), 시호를 '''신무황제'''(神武皇帝)로 추증하였다.5. 가족 관계
6. 평가 및 영향
이계천은 탕구트족의 독립을 추구하고 서하 건국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로 평가된다. 그의 군사적, 외교적 노력은 서하의 초기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6. 1. 이자성과의 관계 (논란)
이자성은 명 말기의 반란 지도자로, 이자성의 난을 일으켜 명을 멸망시키고 순 왕조를 건국하였다. 이자성은 자신이 이계천의 후손이라고 주장했지만, 어떤 서하 황족 계통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1]7. 둘러보기
wikitext
서하의 역대 황제 |
---|
은주방어사 및 서하 황실 직계 조상 |
---|
명청교체기 군주 |
---|
참조
[1]
뉴스
西夏王陵简介
http://www.nxxwl.com[...]
宁夏西夏陵
2012-12-14
[2]
웹사이트
동북아역사넷/咸平 5년(1002)에는 重兵을 모아 靈州를 함락시켰고, 靈州 知州 裴濟를 살해하였다. 이계천은 靈州를 西平府로 개명하고 궁궐과 종묘 등을 건설하여 수도로 삼았다.
http://contents.nah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