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하는 1038년 이원호가 건국한 중국 북서부에 위치했던 탕구트족의 왕조이다. 스스로를 '크고 높은 나라'라고 불렀으며, 중국식 명칭인 '서하'는 요나라, 금나라, 송나라의 서쪽에 위치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1038년 이원호가 황제에 즉위하여 대하(大夏)를 국호로 정하고 하나라의 계승을 자처했다.

서하는 송나라, 요나라와 복잡한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독자적인 문자인 서하 문자를 창제하고 불교를 국교로 삼는 등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1044년 송나라와 강화 조약을 맺고 조공을 받는 대신 신하의 나라가 되었지만, 이후에도 송나라와 국지적인 전투가 이어졌다.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1227년 멸망했으며, 칭기즈 칸은 서하인에게 멸족을 명했다. 서하는 농업, 유목, 무역을 통해 경제를 발전시켰으며, 철응과 보파자라는 정예 군사 부대를 운영했다. 행정 구역은 하서, 하남 지역과 기타 지역으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탕구트 - 원 문종
    원 문종은 원나라의 제9대 황제이며, 유배 생활과 쿠살라와의 황위 쟁탈전을 겪었으며, 불교와 유학을 장려했으나 엘테무르의 독재로 정치적 쇠퇴를 겪고 29세에 사망했다.
  • 탕구트 - 문헌소성황후
    문헌소성황후는 카이샨의 후궁이자 문종 자야가투 카안의 생모로, 아들 토크 테무르가 문종으로 즉위하면서 황후로 추증되었으며, 그의 즉위는 천력의 내란이라는 정치적 혼란 속에서 이루어져 원나라의 권력 다툼과 황위 계승 분쟁에 영향을 미쳤다.
  • 칭하이성의 역사 - 코슈트 칸국
    17세기 구시 칸이 칭하이 지역을 장악하고 티베트를 정복하여 칸 칭호를 받은 후 겔룩파 중심의 통치 체제를 확립했으나, 준가르 침공과 청나라 원정으로 멸망한 국가이다.
  • 칭하이성의 역사 - 칭하이성 (중화민국)
    칭하이성(중화민국)은 1929년부터 1949년까지 중화민국에 존재했던 성으로,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칭하이성 지역에 해당하며 시닝시를 성회로 두고 1개의 시, 19개의 현, 2개의 설치국을 관할했다.
  • 중국의 왕조 - 순나라
    순나라는 1644년 이자성이 세운 왕조로, 이자성은 농민 봉기군을 이끌고 명나라 멸망에 기여했으나 오삼계의 배신과 청나라의 개입으로 멸망했다.
  • 중국의 왕조 - 서나라
    장헌충이 1644년 쓰촨성을 점령하고 세운 서나라는 스스로 황제를 칭하며 독자적인 체계를 구축했으나, 청나라의 공격으로 2년 만에 멸망하고 잔존 세력 또한 1659년 진압되었다.
서하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대하
다른 명칭서하, 백고대하국, 대백고국
중국어 간체西夏
중국어 병음Xī Xià
위치1111년 서하 위치 (북서쪽 녹색)
1111년 서하 위치
1111년 서하 위치 (북서쪽 녹색)
위치1150년 서하 위치
1150년 서하 위치
1150년 서하 위치
수도흥경 (현재의 인촨)
공용어탕구트어, 중국어
종교불교, 도교, 유교, 중국 민간 신앙
정치
정부 형태군주제
역대 군주경종 (초대), 이현 (마지막)
초대 황제 재위 기간1038년 – 1048년
마지막 황제 재위 기간1226년 – 1227년
역사
건국경종의 건국 (1038년)
멸망몽골 제국에 의한 멸망 (1227년)
주요 사건몽골 제국에 대한 복속 (1210년)
이전 사건이계천송나라에 대한 반란 (984년)
이전 국가정난절도사, 서량부, 귀의군, 감주 위구르 왕국, 요나라, 송나라
이후 국가몽골 제국
인구 통계
인구 (1100년 추정)3,000,000명
면적 (1100년 추정)1,000,000 km²
경제
통화물물교환, 동전
통화 참고서하의 화폐 참고
기타 정보
ISO 3166-1해당 정보 없음
국가 도메인해당 정보 없음
전화 코드해당 정보 없음
공식 홈페이지해당 정보 없음

2. 국호

탕구트족은 자신의 나라를 𗴂𗹭𗂧𘜶, "크고 높은 나라"(phiow¹-bjij²-lhjij-lhjij², 大白高國)라고 불렀다.[6][12] 9세기 후반 황소의 난 당시 평하부의 탁발사공이 당나라로부터 이(李)씨를 하사받고 하국공(夏國公)으로 봉해졌다. 1038년 이원호(조원호)는 조(趙)씨 성을 버리고 이(李)씨로 바꾸며 황제에 즉위하여, 나라 이름을 대하(大夏)로 정하고 고대 중국 하나라의 계승을 자처했다.

3. 역사

탕구트족은 원래 칭하이성, 쓰촨성, 티베트 지역에 살았으나, 당나라 초기부터 세력을 확장했다. 이들은 여러 차례 당나라와 협력했으나 배신당하기도 했다.[1] 9세기 후반 황소의 난 당시 평하부의 탁발사공이 장안을 수복하는 데 공을 세워 당나라로부터 이(李)씨를 하사받고 하국공(夏國公)으로 봉해졌다.

송나라 초기, 조광윤은 번진의 군사력 약화 정책을 추진했지만, 이는 하국공의 불만을 야기했다. 1032년, 이덕명의 아들 이원호가 하국공의 지위를 계승하면서 송나라로부터 점차 벗어나는 행동을 보였다.[1]

1038년 조원호는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대하(大夏)로 정하고, 송나라와 대립했다.[1] 서하는 독자적인 문자인 서하 문자를 제정하고 관제를 확립하는 등 독립국가의 면모를 갖추려 하였다.[1]

1041년 서하군이 송나라 영토 근처에 집결하여 양국 간 전투가 벌어졌는데, 송군이 패배해 전사자가 1만 3천 명에 달했다.[2] 1044년 송나라와 강화 조약을 맺고 매년 조공을 바치는 대신 서하 황제는 송나라의 신하가 되는 조건으로 평화를 유지했다. (경력의 화약)[3] 서하는 송나라 및 화북 지역에 있던 거란족의 요나라와 불안한 3국 관계를 유지했다. 서하는 송의 관제를 모방했으며, 독자적인 문자를 제정했다. 다른 역대 중국 제정 황조와는 달리 불교를 열렬히 신봉하여, 불교를 국교로 삼았다.[4]

1063년, 토번의 우장화마가 서하에 귀속되었다.[18] 이병상의 어머니인 양씨는 이 시기 송나라에 대한 군사 행동을 벌였으나 실패했고, 국정은 이병상에게 귀속되었다. 그러나 이병상의 사후 3세의 아들인 이건순이 즉위하자, 양씨는 다시 섭정을 시작하여 송나라와 요나라에 대한 군사 행동을 일으켰다.[18] 이건순의 친정이 시작된 후에는 요나라와 송나라와의 평화 정책으로 전환하여 군사 행동은 해마다 감소했고, 서하의 사회 경제가 발전하게 되었다.[18]

1139년 인종 이인효 재위 기간 동안 지진과 기근으로 민심이 혼란해졌고, 각지에서 농민 봉기가 발생하였다. 환종 이순우(재위 1193년 ~ 1206년) 재위 기간에는 정치 부패가 심화되어 국력이 쇠퇴하였다. 1206년 왕의 사촌 이안전이 환종 이순우를 시해하고 황제 자리에 즉위하였다(서하 양종). 양종 이안전은 몽골의 침입에 대비해 군사력 증강에 힘썼으나, 1207년 몽골의 대대적인 침입에 수도가 함락될 위기에 놓였고, 결국 몽골에 항복하였다.[16] 이후 서하는 몽골의 명령을 받아 금나라와 오랜 전쟁을 치렀는데, 이는 양국의 국력을 쇠퇴하게 하였다. 1211년 왕의 조카 신종 이준욱이 반역을 일으키자 양종은 퇴위하였으며 그 해 사망했다.[18]

신종 이준욱은 몽골을 달래기 위해 금나라를 공격했고, 1214년에는 금나라에 대한 반란을 지원했다. 1216년, 서하는 몽골에 금나라 공격을 위한 지원군을 제공했다. 그러나 조정에서는 반몽골 정책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1217년~1218년 겨울, 몽골은 서하에 추가 병력 지원을 요청했지만, 서하는 응하지 않았다. 1223년, 신종은 아들 이덕왕에게 양위했다.

1226년 칭기즈 칸의 서정(西征) 참가를 거부하여 몽골의 침입을 받았다.[19] 1227년 말제 이현이 몽골 제국에 항복하였으나, 칭기즈 칸 사후 몽골 군사들에 의해 암살당하고 서하는 멸망했다.[22]

칭기즈 칸은 서하인을 철저히 살육하라는 유언을 남겼다. 이는 서하의 끈질긴 저항에 대한 분노 때문이었다. 중국 국영 CCTV의 보도에 따르면, 몽골군은 서하인을 매우 철저하게 살육하여 멸족시켰기 때문에 현재는 서하인의 후손을 발견하기 어렵다고 한다.[45] 그러나 모든 서하인이 살해당한 것은 아니었으며, 살아남은 서하인들은 몽골 제국의 지배 계급인 색목인으로 편성되었다.

서하 왕족의 일부는 서부 쓰촨, 북부 티베트, 심지어 인도 북동부로 이주하여 일부 지역에서는 지방 통치자가 되었다.[25] 티베트의 야룽강 상류 지역에 작은 서하 국가가 세워졌으며, 다른 서하인들은 현재의 허난성허베이성에 정착했다. 중국에서는 서하의 잔존 세력이 명나라 중반까지 존속했다.

서하 멸망 후에도 서하어와 서하 문자는 300년 가까이 사용되었다.

명나라 말의 반란 지도자였던 이자성은 서하 건국의 조상인 이계천의 후손을 칭했지만, 어떤 서하 황족의 계통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3. 1. 건국 이전

탕구트족은 원래 칭하이성, 쓰촨성, 티베트 지역에 살았으나, 당나라 초기부터 세력을 확장했다. 이들은 여러 차례 당나라와 협력했으나 배신당하기도 했다.[1] 9세기 후반 황소의 난 당시 평하부의 탁발사공이 장안을 수복하는 데 공을 세워 당나라로부터 이(李)씨를 하사받고 하국공(夏國公)으로 봉해졌다.

서하 석비


송나라 초기, 조광윤은 번진의 군사력 약화 정책을 추진했지만, 이는 하국공의 불만을 야기했다. 1032년, 이덕명의 아들 이원호가 하국공의 지위를 계승하면서 송나라로부터 점차 벗어나는 행동을 보였다.[1]

3. 2. 서하의 성립과 발전 (1038년 ~ 1139년)

1038년 조원호는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대하(大夏)로 정하고, 송나라와 대립했다.[1] 서하는 독자적인 문자인 서하 문자를 제정하고 관제를 확립하는 등 독립국가의 면모를 갖추려 하였다.[1]

1041년 서하군이 송나라 영토 근처에 집결하여 양국 간 전투가 벌어졌는데, 송군이 패배해 전사자가 1만 3천 명에 달했다.[2] 1044년 송나라와 강화 조약을 맺고 매년 조공을 바치는 대신 서하 황제는 송나라의 신하가 되는 조건으로 평화를 유지했다. (경력의 화약)[3] 서하는 송나라 및 화북 지역에 있던 거란족의 요나라와 불안한 3국 관계를 유지했다.[4] 서하는 송의 관제를 모방했으며, 독자적인 문자를 제정했다. 다른 역대 중국 제정 황조와는 달리 불교를 열렬히 신봉하여, 불교를 국교로 삼았다.[4]

1990년 홍불탑에서 발견된 도교 신 현무대제를 묘사한 서하 비단 그림


1038년, 원호는 스스로를 황제(''무조'' 또는 하늘의 푸른 아들), 즉 사후 서하 경종이라 칭하고, 수도를 오늘날의 인촨인 싱칭에 둔 대하를 건국했다.[9] 경종은 중국의 제도적 관행을 반영하여 관료 기구를 확장했다. 재상(상서령)의 감독하에 비서성(중서성), 군사부(추밀원), 재무부(삼사), 감찰원(어사대), 그리고 16개의 부(십육사)가 창설되었다.[9]

송나라는 당항트족에게 관직을 수여하려 했지만 경종은 이를 거부했다. 그러자 송나라는 국경 무역을 중단하고 그의 목에 현상금을 걸었다.[10] 그 결과 송나라와의 장기적인 전쟁이 벌어졌고, 이는 하 경제에 큰 손실을 입히면서 몇 차례 승리를 거두었다.[10]

간쑤성 우웨이의 서하 후기 무덤에서 나온 전사의 그림


요나라는 송나라의 절박한 상황을 이용하여 연간 조공 지불액을 늘렸다.[13] 송나라는 요나라에 도움을 요청했고, 그 결과 요 흥종은 1044년 10만 명의 병력으로 서하를 침공했다.[13] 요나라 군대는 초기 승리를 거두었지만, 하 수도를 점령하는 데 실패했고 경종의 수비대에 의해 패배했다.[13] 그의 자원이 고갈되자 경종은 송나라와 평화 조약을 맺었고, 송나라는 그를 하 땅의 통치자로 인정하고 연간 조공으로 비단, 은, 차 25만 단위를 지불하기로 합의했다.[13]

1063년, 토번의 우장화마가 서하에 귀속되었다.[18] 황제인 이병상의 어머니인 양씨는 이 시기 송나라에 대한 군사 행동을 벌였으나 실패했고, 국정은 이병상에게 귀속되었다. 그러나 이병상의 사후 3세의 아들인 이건순이 즉위하자, 양씨는 다시 섭정을 시작하여 송나라와 요나라에 대한 군사 행동을 일으켰다.[18] 이건순의 친정이 시작된 후에는 요나라와 송나라와의 평화 정책으로 전환하여 군사 행동은 해마다 감소했고, 서하의 사회 경제가 발전하게 되었다.[18]

3. 3. 서하의 쇠퇴와 멸망 (1139년 ~ 1227년)

1139년 인종 이인효 재위 기간 동안 지진과 기근으로 민심이 혼란해졌고, 각지에서 농민 봉기가 발생하였다. 환종 이순우(재위 1193년 ~ 1206년) 재위 기간에는 정치 부패가 심화되어 국력이 쇠퇴하였다. 1206년 왕의 사촌 이안전이 환종 이순우를 시해하고 황제 자리에 즉위하였다(서하 양종). 양종 이안전은 몽골의 침입에 대비해 군사력 증강에 힘썼으나, 1207년 몽골의 대대적인 침입에 수도가 함락될 위기에 놓였고, 결국 몽골에 항복하였다.[16] 이후 서하는 몽골의 명령을 받아 금나라와 오랜 전쟁을 치렀는데, 이는 양국의 국력을 쇠퇴하게 하였다. 1211년 왕의 조카 신종 이준욱이 반역을 일으키자 양종은 퇴위하였으며 그 해 사망했다.[18]

신종 이준욱은 몽골을 달래기 위해 금나라를 공격했고, 1214년에는 금나라에 대한 반란을 지원했다. 1216년, 서하는 몽골에 금나라 공격을 위한 지원군을 제공했다. 그러나 조정에서는 반몽골 정책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1217년~1218년 겨울, 몽골은 서하에 추가 병력 지원을 요청했지만, 서하는 응하지 않았다. 1223년, 신종은 아들 이덕왕에게 양위했다.

1226년 칭기즈 칸의 서정(西征) 참가를 거부하여 몽골의 침입을 받았다.[19] 1227년 말제 이현이 몽골 제국에 항복하였으나, 칭기즈 칸 사후 몽골 군사들에 의해 암살당하고 서하는 멸망했다.[22]

3. 4. 멸망 이후

칭기즈 칸은 서하인을 철저히 살육하라는 유언을 남겼다. 이는 서하의 끈질긴 저항에 대한 분노 때문이었다. 중국 국영 CCTV의 보도에 따르면, 몽골군은 서하인을 매우 철저하게 살육하여 멸족시켰기 때문에 현재는 서하인의 후손을 발견하기 어렵다고 한다.[45] 그러나 모든 서하인이 살해당한 것은 아니었으며, 살아남은 서하인들은 몽골 제국의 지배 계급인 색목인으로 편성되었다.

탕구트 인장 문자가 새겨진 청동 하(夏) 인장 (ɣu sjwi) "지휘관"


"지휘관" 인장의 인쇄본


서하 왕족의 일부는 서부 쓰촨, 북부 티베트, 심지어 인도 북동부로 이주하여 일부 지역에서는 지방 통치자가 되었다.[25] 티베트의 야룽강 상류 지역에 작은 서하 국가가 세워졌으며, 다른 서하인들은 현재의 허난성허베이성에 정착했다. 중국에서는 서하의 잔존 세력이 명나라 중반까지 존속했다.

서하 멸망 후에도 서하어와 서하 문자는 300년 가까이 사용되었다.

명나라 말의 반란 지도자였던 이자성은 서하 건국의 조상인 이계천의 후손을 칭했지만, 어떤 서하 황족의 계통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4. 역대 황제

묘호시호휘(개인 이름)재위 기간
징종(景宗)무열황제(武烈皇帝)이원호(李元昊)1038년–1048년
의종(毅宗)소영황제(昭英皇帝)이량좌(李諒祚)1048년–1067년
혜종(惠宗)강정황제(康靖皇帝)이병창(李秉常)[37][38]1067년–1086년
숭종(崇宗)성문황제(聖文皇帝)이건순(李乾順)[39][40]1086년–1139년
인종(仁宗)성덕황제(聖德皇帝)이인효(李仁孝)[41]1139년–1193년
환종(桓宗)소간황제(昭簡皇帝)이순우(李純佑)1193년–1206년
양종(襄宗)경모황제(敬慕皇帝)이안전(李安全)1206년–1211년
신종(神宗)영문황제(英文皇帝)이준욱(李遵頊)1211년–1223년
헌종(獻宗)없음이덕왕(李德旺)[42][43][44]1223년–1226년
없음없음이현(李晛)1226년–1227년



각 서하 황제는 중국어와 탕구트어로 하나 이상의 연호를 제정했는데, 모든 탕구트어 연호의 버전이 알려진 것은 아니다.

황제연호연도
징종천수례법연조(天授禮法延祚)1038년–1048년
의종연사녕국(延嗣寧國)1049년
천우추이성(天祐垂聖)1050년–1052년
복성승도(福聖承道)1053년–1056년
타도(奲都)1057년–1062년
공화(拱化)1063년–1067년
혜종건도(乾道)1068년–1069년
천사례성국경(天賜禮盛國慶)1070년–1074년
대안(大安)1075년–1085년
천안례정(天安禮定)1086년
숭종천의치평(天儀治平)1086년–1089년
천우민안(天祐民安)1090년–1097년
영안(永安)1098년–1100년
정관(貞觀)1101년–1113년
옹녕(雍寧)1114년–1118년
원덕(元德)1119년–1127년
정덕(正德)1127년–1134년
대덕(大德)1135년–1139년
인종대경(大慶)1140년–1143년
인경(人慶)1144년–1148년
천성(天盛)1149년–1169년
건우(乾祐)1170년–1193년
환종천경(天慶)1194년–1206년
양종응천(應天)1206년–1209년
황건(皇建)1210년–1211년
신종광정(光定)1211년–1223년
헌종건정(乾定)1223년–1226년
이현보경(寶慶)1226년–1227년


5. 문화

서하 인종은 전국에 학교를 설립하라는 칙령을 내리고, 공자묘를 세웠다. 또한 과거를 시행하기도 했지만, 관리 선발에 활용했다는 기록은 없다. 1148년에는 내원을 설립하여 유명한 학자들을 배치했으며, 한림원을 열어 서하 역사 기록을 편찬하기도 했다.

인종은 불교 학문도 크게 후원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당나라 대장경의 대부분이 완성되었으며, "미륵보살상생도솔천경(觀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을 비롯한 많은 경전이 중국어와 당나라어로 인쇄되어 배포되었다.

워 다오총은 렌 데징의 뒤를 이어 재상이 된 유학자로, ''논어''를 번역하고 당나라어로 주석을 달았다. 인종은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초상화를 모든 공자묘와 학교에 전시했다.

당나라 문자 비석 조각


서하 목판


탕구트족 여성

5. 1. 언어와 문자

서하어(탕구트어)는 중국티베트어족의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한다. 1036년에 공포된 서하 문자한자처럼 1자가 1음절, 즉 1낱말을 나타내는 표의문자였다.[6] 서하 문자로 <논어>, <맹자>, <손자병법> 등의 서적이나 불경을 서하어로 번역했고, <신집금쇄장치문>, <신집금합도> 등의 문학 작품도 전해진다. 인쇄국인 각자사(刻字司)를 두어 단어집이나 음운조직을 정리한 운서 등의 서적을 출판하여 문자 보급에 힘썼다.

몽골에 의해 멸망한 후 서하의 민족과 언어는 사라졌지만, 이들 서적이 남아 있었기 때문에 서하 문자는 오늘날 그 발음과 의미가 파악되고 있다. 특히 서적 중에는 불경이 많은데, 그 가운데 대부분은 한역 불경의 번역이므로 한자 문헌과의 대조를 통해 서하 문자의 해독이 가능해졌다. 지금은 완전히 해독되고 있다.

서하에서 탕구트어, 중국어, 티베트어는 모두 공용어였다.[29] 티베트인, 위구르인, 한족, 그리고 탕구트인들이 서하에서 관료로 활동했다.[28]

5. 2. 종교

서하는 불교를 국교로 삼고 화상공덕사(和尙功德司), 출가공덕사(出家功德司)라는 관청을 설치했다.[29] 각지에 절이나 탑을 세우고 불교 경전을 서하어로 번역하여 보급했다. 카라호토와 둔황 일대에 회화와 탑 등의 불교 미술 작품들을 남겼다. 왕국 초창기에는 중국 불교가 가장 널리 행해졌으나, 12세기 중반부터 통치자들이 티베트 승려들을 초청하면서 티베트 불교가 두각을 나타냈다.[31] 서하 인종불교 학문을 크게 후원하여 당나라 대장경 대부분이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완성되었다. 1189년, 인종 즉위 50주년을 기념하여 "미륵보살상생도솔천경(觀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 10만 부가 중국어와 당나라어로 인쇄되어 배포되었고, 다른 경전 5만 부도 인쇄되었다. 서하에서 탄트라 불교 수행은 일부 성적인 관습 확산으로 이어졌다.[32]

5. 3. 경제

서하는 비단길을 통한 동서 교역을 매개하며 무역의 이익을 독점하며 크게 세력을 넓혔다. 송나라와 활발히 교역하며 농경과 유목, 한족 문화와 탕구트 고유 문화가 결합된 문화를 발전시켰다. 서하의 경제는 주로 농업, 유목, 그리고 무역(특히 중앙아시아와의)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서하 동전, 1149-1169

5. 4. 군사

서하는 철응(鐵鷂子)이라고 불리는 3,000명의 중기병 부대와 산악 보병인 보파자(步跋子)라는 두 개의 정예 군사 부대를 보유하고 있었다.[20] 서하 숭종의 형제인 차게는 보파자 보병이 송나라의 쇠뇌인 강노(강노)와 싸우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언급했다.[21]

예로부터 우리는 보병과 기병을 모두 활용하여 싸워왔습니다. 평원에서 돌격할 수 있는 철응과 언덕에서 싸울 수 있는 보파자 보병이 있지만, 새로운 전술을 만나면 기병을 배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강노]를 만나면 보병이 흩어질 것입니다. 문제는 우리 군대가 관례에 따라 싸울 수 있을 뿐, 전투 중의 변화에 적응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예로부터 우리는 보병과 기병을 모두 활용하여 싸워왔습니다. 평원에서 돌격할 수 있는 철응과 언덕에서 싸울 수 있는 보파자 보병이 있지만, 새로운 전술을 만나면 기병을 배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강노]를 만나면 보병이 흩어질 것입니다. 문제는 우리 군대가 관례에 따라 싸울 수 있을 뿐, 전투 중의 변화에 적응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중국어[21]

1980년에는 서하의 주목할 만한 무기인 무위 동제포가 발견되었다. 13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포는 원시적이지만 크고(무게 108kg) 쇠공을 발사하는 청동 대포였다.[22]
13세기 초의 무위 동제포

6. 행정 구역

지역주(州)현대 위치
하서(河西)흥주(興州) (흥경, 득성)인촨
정주(定州)핑뤄
회주(懷州)인촨 동쪽
옹주(雍州)융닝
양주(涼州) (서량부)우웨이
감주(甘州) (선화부)장예
숙주(肅州)주취안
과주(瓜州)과저우
사주(沙州)둔황
하남(河南)영주(靈州)우중 북서쪽
홍주(洪州)징볜 남서쪽
유주(宥州)오터크 전 기
은주(銀州)헝산 동쪽
하주(夏州)징볜 북쪽
시주(石州)헝산
연주(延州)딩볜
남위주(南威州)퉁신
회주(惠州)징위안
기타서녕주(西寧州)시닝
낙주(樂州)레두 남쪽
괄주(廓州)화룽 남서쪽
지시주(積石州)쉰화


참조

[1] 서적 The Age of Confucian Rule: The Song Transformation of Chin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10-15
[2] 학술지 Bounded Empires: Ecological and Geographic Implications in Sino-Tangut Relations, 960-1127 https://escholarship[...]
[3] 서적 Frustrated Empires: The Song-Tangut Xia War of 1038-44 In Wyatt
[4] 웹사이트 Chinese History - Western Xia Empire Economy. http://chinaknowledg[...] 2017-07-13
[5] 학술지 East-West Orientation of Historical Empires http://jwsr.pitt.edu[...] 2016-09-16
[6] 서적 Stein (1972)
[7] 서적 Xixia Zhan Shi (The Battle History of Western Xia) 西夏战史 Ningxia ren min chu ban she (Ningxia People's Press) 宁夏人民出版社
[8] 서적 Xixia: xiaoshi zai lishi jiyi zhong de guodu (Western Xia: the kingdom lost in historical memories) 西夏: 消逝在历史记忆中的国度 Waiwen Chubanshe (Foreign Languages Press) 外文出版社
[9] 서적 Xixia tong shi (Comprehensive History of Western Xia) 西夏通史 Ren min chu ban she (People's Press) 人民出版社; Ningxia ren min chu ban she (Ningxia People's Press) 宁夏人民出版社
[10] 학술지 Qian tan xi xia gong wen wen feng yu gong wen zai ti (A brief discussion on the writing style in official documents and documental carrier) 浅谈西夏公文文风与公文载体
[11] 학술지 Xixia jun shi ti yu yu ke xue ji shu (The military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of West Xia) 西夏军事体育与科学技术
[12] 서적 Dorje (1999)
[13] 웹사이트 The Tanguts https://depts.washin[...] 2023-03-24
[14] 서적 The Mongol Conquests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15] 서적 Mongol hiigeed Eurasiin diplomat shashtir
[16] 서적 Genghis Khan and the Mongol empir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7] 서적 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18] 서적 Song Blue and White Porcelain on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19] 백과사전 Genghis Khan https://books.google[...] ABC-CLIO
[20]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ABC-CLIO
[21] 서적 Genghis Khan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2]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UNESCO
[23]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4] 서적 The Territorie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2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VI: Alien Regimes & Border States, 907–1368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서적 Leffman, et al. (2005)
[27] 학술지 Tangut and Horpa languages: some shared morphosyntactic features https://www.academia[...]
[28] 서적 Political Strategies of Identity Building in Non-Han Empires in China Harrassowitz Verlag
[2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32] 서적 The Empire of the Qara Khitai in Eurasian History: Between China and the Islamic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9-15
[33] 서적 Tanguts and the Tangut State of Ta Hs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34] 서적 松漠紀聞 https://zh.wikisourc[...]
[35] 서적 China: A Cultural and Histor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Curzon Press
[36] 서적 A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37] 서적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 Ireland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for the Royal Asiatic Society
[38] 서적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https://books.google[...]
[39] 서적 Kings, khans, and other rulers of early Central Asia: chronological tables https://books.google[...] In Kommission bei E.J. Brill
[4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서적 Genghis Khan and the Mongol War Machine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2015-03-31
[43] 서적 Occasional papers https://books.google[...] Mongolia Society
[44] 서적 Imperial Nomads: A History of Central Asia, 500-1500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79-01-01
[45] 뉴스 中国人种迁徙解密:DNA检测下已无纯种汉族人 http://discovery.cct[...] 중국중앙방송 2007-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