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용 (192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대용(1925년)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한 군인 출신으로, 이후 외교관으로 활동했다. 그는 1963년 주월 한국 대사관 무관으로 시작해 정무담당 공사 및 경제담당 공사를 역임했으며, 1973년에는 공사로 임명되었다. 1975년 사이공 함락 당시 억류되어 1980년 석방될 때까지 수감 생활을 했으며, 귀국 후에는 생명보험협회 회장, 육사 총동창회장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합동참모대학교 동문 - 존 A. 위컴 주니어
존 A. 위컴 주니어는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4성 장군으로, 1983년부터 1987년까지 미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으며 주한미군사령관으로서 한국의 정치적 긴장 완화에 기여했으나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작전통제권 이양 승인 결정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미국 합동참모대학교 동문 - 장웨이궈
장웨이궈는 중화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장제스의 양자이자 다이 지타오의 친아들이라는 설이 있으며, 독일 육군에서 군사 교육을 받고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 참전한 후 중화민국에서 고위직을 역임하며 국가안전회의 사무총장을 지내고 리덩후이의 대만화 운동에 반대하며 정치적 활동을 했다. - 대한민국의 중앙정보부 관련자 - 강창성
강창성은 육군 보안사령관, 국회의원 등을 역임하고 하나회 연루로 삼청교육대에 투옥되기도 했으며, 2006년 사망한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중앙정보부 관련자 - 오정소
오정소는 해군 중위로 예편 후 중앙정보부와 국가안전기획부에서 근무하고 김영삼 정부에서 국가안전기획부 1차장과 국가보훈처장을 역임했으며, 주홍콩 총영사관 총부영사,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 부위원장 등을 지냈다.
이대용 (192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이대용 |
생애 | 1925년 11월 20일 ~ 2017년 11월 14일 (91세) |
현지어 표기 | 李大鎔 |
별명 | 해당사항 없음 |
출생지 | 일제강점기 황해북도 금천군 |
사망지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
본관 | 평창 |
군사 경력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정당 | 무소속 |
복무 기간 | 1948년 ~ 1965년 |
근무 | 육군 제23연대 육군 제6관구사령부 |
지휘 | 육군 제23연대장 육군 제6관구사령부 작전처 처장 육군 제6관구사령부 부사령관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한국 전쟁 |
기타 이력 | |
기타 이력 | 주베트남 대사관 공사 신민주공화당 외교행정특보위원(1988년) 자유민주연합 고문(1996년) |
2. 군인 경력
육군사관학교 7기로 졸업하고 군인의 길을 걸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으며, 이후 여러 군 주요 보직을 거쳤다. 1963년부터는 주월 한국 대사관에서 무관과 공사 등으로 근무했다. 1975년 베트남 공산 정부에 의해 억류되었다가 1980년 4월 12일 석방되어 귀국하였다.[11]
2. 1. 한국 전쟁 참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대한민국 육군 제6보병사단 소속 장교로 참전하였다. 춘천 전투에서는 제6보병사단 제7연대 제1대대 제1중대의 중대장으로 복무하며 전투에 기여하였다.[1] 이후 같은 연대 제1대대 부대대장, 제2사단 제32연대 제3대대장 등을 역임하며 전쟁 기간 동안 군 복무를 이어갔다.2. 2. 주요 보직
wikitext주요 보직 |
---|
육군 제6사단 7연대 1대대 1중대장 (한국 전쟁, 춘천 전투 참전)[1] |
육군 제6사단 7연대 1대대 부대대장 |
육군 제2사단 32연대 3대대장 |
육군 제12사단 정보참모 |
육군대학 교관 |
육군 제6관구사령부 작전참모 |
육군 제3사단 23연대장 |
주월 한국 대사관 무관 (1963년) |
동국대학교 학군단장 |
육군 제6관구사령부 작전부사령관 |
주월 한국 대사관 정무담당 공사 |
주월 한국 대사관 경제담당 공사 |
이대용은 군 경력을 마친 후 외교관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1963년 주월남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군사 무관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공사를 역임했다.[2] 1975년 사이공 함락 당시에는 현지에 남아 대한민국 국민들의 철수를 돕다가 베트남 공산군에 체포되어 억류되었다.[7][3] 억류 기간 동안 북한행을 강요받았으나 이를 거부했으며, 대한민국 정부와 이스라엘 사업가 사울 아이젠버그 등의 노력 끝에 1980년 4월 석방되어 귀국했다.[9][5][6] 그의 억류 경험은 저서 《사이공 억류기》로 출간되었고, 1986년 문화방송(MBC)에서 동명의 드라마로 제작되기도 했다.[10]
3. 외교관 경력
3. 1. 주월남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근무
1963년, 이대용은 군사 무관으로 남베트남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에 임명되었다.[2] 이후 주월 한국 대사관에서 정무담당 공사와 경제담당 공사를 역임하였다. 1973년에는 남베트남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의 공사로 다시 임명되었다. (원래는 국가정보원 소속이었다.)[2]
1975년 사이공 함락 당시, 이대용 공사는 대한민국 국군 장병과 건설인력의 안전한 철수 및 귀국을 위해 마지막 순간까지 대사관에 남아 애쓰다가 서병호 영사, 안희완 영사와 함께 베트남 인민군에게 체포되었다.[7] 당시 다른 대한민국 외교관들은 프리퀀트 윈드 작전의 일환으로 남베트남 탈출을 시도했으나, 이대용 공사를 포함한 세 명은 탈출에 실패한 것이다.[7] 이들은 1975년 10월 찌호아 수용소에 투옥되어 심문을 받았으며,[3] 갖은 회유와 협박에도 불구하고 북한행을 거부하며 억류 생활을 견뎠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이들의 신병을 확보하려 했으나, 대한민국 정부는 이들의 대한민국 송환을 위해 북한과 협상했다.[4] 이후 중월 전쟁이 발발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중국을 지지하면서 베트남과 북한의 관계가 악화된 국제 정세 변화도 석방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당시 이스라엘 국적의 사업가 사울 아이젠버그가 대한민국을 위한 비밀 특사로 활동하며 중재에 나섰고,[5][6] 대한민국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 끝에 마침내 석방이 이루어졌다.[9]
1980년 4월 12일, 베트남 정부는 이대용 공사와 다른 두 외교관을 대한민국으로 석방하였고,[7] 이들은 억류 5년 만에 귀국할 수 있었다.[9]
3. 2. 사이공 함락과 억류
주월남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로 근무하던[2] 1975년 사이공 함락 당시, 이대용은 대한민국 국군 장병과 건설인력의 안전한 철수를 위해 마지막까지 현지에 남아 노력했다. 프리퀀트 윈드 작전의 일환으로 남베트남 탈출을 시도했으나, 이대용과 서병호 영사, 안희완 영사는 탈출에 실패했다.[7] 결국 세 사람은 베트남 인민군에게 체포되어[3] 사이공의 찌호아 수용소(치화형무소)에 투옥되었고, 1975년 10월부터 심문을 받았다.[3]
억류 기간 동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이들을 북한으로 데려가려 했으나,[4] 이대용은 북한행을 강요하는 갖은 회유와 협박에도 굴하지 않았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들의 대한민국 송환을 위해 북한과 협상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다.[4] 이후 중월 전쟁 발발로 베트남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관계가 악화된 것도 석방 협상에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했다. 또한 이스라엘인 사업가 사울 아이젠버그가 대한민국을 위한 비밀 특사로 활동하며 중재에 나섰다.[5][6]
이러한 노력 끝에 1980년 4월 12일, 베트남 정부는 이대용, 서병호, 안희완 세 외교관을 석방하여 대한민국으로 돌려보냈다.[7][9] 이대용은 자신의 억류 경험을 바탕으로 《사이공 억류기》를 저술했으며, 1986년 문화방송(MBC)에서 이를 원작으로 한 동명의 드라마를 제작하기도 했다.[10]
3. 3. 석방과 귀국
1975년 사이공 함락 당시 주월남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였던 이대용은 다른 외교관 두 명(안희완, 서병호)과 함께 베트남 인민군에 체포되어 억류되었다.[7][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이들을 북한으로 데려가려 했으나, 대한민국 정부는 이들의 대한민국 송환을 위해 노력했다.[4]
석방 과정에는 이스라엘의 사업가 사울 아이젠버그가 대한민국을 위한 비밀 특사로 활동하며 중재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5][6][9] 또한, 1979년 발발한 중월 전쟁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중국을 지지하면서 베트남과 북한의 관계가 악화된 것도 석방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대한민국 정부의 노력과 국제적 중재, 변화된 국제 정세 속에서 마침내 1980년 4월 12일, 베트남 정부는 이대용 공사를 비롯한 대한민국 외교관들을 석방하였고, 이들은 대한민국으로 귀국할 수 있었다.[7][9]
4. 귀국 후 활동
이스라엘의 거상이었던 사울 아이젠버그 등의 중재와 대한민국 정부의 노력으로 석방되어 1980년 4월 12일 귀국하였다.[9]
귀국 후에는 생명보험협회 회장, 사단법인 한월 친선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1] 1986년에는 문화방송(MBC)이 이대용의 저서 《사이공 억류기》를 원작으로 한 동명의 드라마를 제작하기도 했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육사 총동창회장을 지냈으며, 자유수호국민운동 상임의장을 역임했다.
2001년, 이대용은 1975년 자신의 체포를 담당했던 인물인 당시 주한 베트남 대사 '즈엉 찐 특'을 만났다.[8]
2017년 11월 14일 밤, 향년 92세의 나이로 숙환으로 별세했다.[10]
5. 학력
연도 | 학력 |
---|---|
1948년 | 육군사관학교 제7기 졸업 |
1950년 | 육군보병학교 졸업 |
1955년 | 육군대학 졸업 |
1957년 |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졸업 |
1958년 | 미국 태평양지구 합동참모학교 졸업 |
1960년 |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 졸업 |
1962년 | 국방대학교 졸업 |
6. 상훈
- 충무무공훈장 (1950년 12월 30일)
- 화랑무공훈장 (1951년 7월 31일)
- 이달의 6.25 전쟁영웅 (2023년 12월)
7. 평가 및 유산
(작성할 내용 없음)
7. 1. 유산
1986년, 그의 저서 《사이공 억류기》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 《사이공 억류기》가 MBC에서 제작되었다.참조
[1]
뉴스
이대용 前 駐越대사관 공사
https://n.news.naver[...]
[2]
뉴스
항복전야… 태극기 내려지는 대사관 앞 연신 카메라 셔터만
https://n.news.naver[...]
[3]
뉴스
'마지막 주월공사' 이대용 예비역 준장 별세
https://n.news.naver[...]
[4]
뉴스
안치용, 특별발굴-비화 (2) 월남억류외교관 석방협상
https://sundayjourna[...]
[5]
뉴스
한국과 인연 맺은 첫 유대인, 60년대 외자 도입의 막후
https://n.news.naver[...]
[6]
뉴스
“이대용 공사 구출, 각하가 눈물로 내린 명령이다”
https://n.news.naver[...]
[7]
뉴스
베트남抑留(억류) 세外交官(외교관) 귀국 李大鎔公使(이대용공사)·安熙完(안희완) 徐丙鎬領事(서병호영사)...
https://newslibrary.[...]
1980-04-19
[8]
뉴스
Vietnamese Ambassador Forges Ties with Former Foe
http://english.chosu[...]
[9]
서적
나는 아직도 멈출 수 없다
오늘
[10]
뉴스
'마지막 주월공사' 이대용 예비역 준장 별세
http://news.chosun.c[...]
2017-11-15
[11]
뉴스
베트남에 5년 억류 이대용 前 주월공사
http://www.seoul.co.[...]
2007-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