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무는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문신이다.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우왕 때 밀직사사가 되었으나 유배되었고, 공양왕 때 왜구를 격퇴했다. 조선 개국 후 이방원을 도와 정사공신과 좌명공신에 책훈되었으며, 태종 때 우정승과 단산부원군을 역임했다. 민무구, 민무질의 옥사에 연루되어 죽산에서 사형되었으나 사후 신원되었고, 시호는 익평이다. 묘소는 고양시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09년 사망 - 발루아의 이사벨
    발루아의 이사벨은 프랑스 공주로 잉글랜드 국왕 리처드 2세와 정략 결혼했으나 폐위 후 프랑스로 돌아갔고, 샤를 도를레앙과 재혼했으나 19세의 나이로 출산 중 사망했다.
  • 1409년 사망 - 권근
    권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색의 문하에서 주자학을 수학했으며, 조선 건국과 명나라 외교에 기여했고, 문학과 경학에 능통하여 《양촌집》, 《입학도설》, 《예기천견록》 등의 저서를 남겼다.
  • 단양 이씨 - 이윤영 (1890년)
    3·1 운동 참여, 신사참배 저항 등의 활동을 한 일제강점기 목사이자 교육자이며 해방 후 조선민주당 창당, 제헌 국회의원, 무임소장관, 사회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신흥대학 학장을 지낸 정치인이다.
  • 단양 이씨 - 이영돈
    이영돈은 고려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고 KBS, SBS, 채널A 등에서 《그것이 알고 싶다》, 《이영돈 PD의 먹거리 X파일》 등 다수의 시사 및 교양 프로그램을 연출 및 진행하며 한국방송대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방송 프로듀서이다.
  • 1355년 출생 - 게미스토스 플레톤
    게미스토스 플레톤은 동로마 제국의 철학자, 학자, 정치 사상가로서 플라톤 철학 부흥을 주도하며 르네상스 시대 서유럽 사상에 영향을 미쳤고, 피렌체 공의회에서 플라톤 철학을 서구에 재소개했으며, 미스트라스에서 다양한 분야를 가르치고 비잔티움 제국 개혁 사상을 제시했다.
  • 1355년 출생 - 교황 보니파시오 9세
    교황 보니파시오 9세는 서방 교회 대분열 시대에 1389년부터 1404년까지 재임한 로마 교황으로, 교황령에 대한 세속적 통치권 확립과 재건에 힘썼으나 아비뇽의 대립교황과 대립하고 성직 매매 등으로 비판받았다.
이무
기본 정보
이무 이미지
이무
종류땅속 화덕
용도요리
주요 사용 지역하와이
태평양 지역
설명
구조땅을 파서 만든 구덩이 또는 굴
재료
나무
작동 원리뜨겁게 달궈진 돌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
조리 음식돼지고기
생선
뿌리채소
역사적 중요성중요한 전통 요리법이자 문화적 행사
문화적 중요성
사용 목적축제
종교 행사
가족 모임
사회적 의미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역할
조리 과정
준비구덩이 파고 돌을 가열
재료 준비음식 재료 준비 및 포장
조리뜨거운 돌 위에 음식 놓고 덮어 조리
완료오랜 시간 조리 후 음식 꺼내기
추가 정보
다른 이름칼루아 (하와이)
비슷한 조리법항이 (마오리)
우무 (파푸아뉴기니)

2. 생애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우왕 때 밀직사사가 되었으나, 1388년(창왕 1년) 탄핵을 받아 유배되기도 하였다.[1] 1390년(공양왕 2년)에는 전라도에서 왜구를 격퇴하는 공을 세웠다.[2]

조선 건국 후에는 이방원을 도와 정사공신좌명공신에 책훈되었으며, 1402년(태종 2년) 우정승에 오르고 이듬해 단산부원군(丹山府院君) 겸 중군 도총제(中軍都摠制)가 되는 등 주요 관직을 역임하였다.[3] 그러나 1409년(태종 9년) 민무구·민무질 형제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죽산에서 사형당했다. 사후에 죄가 사면되어 명예가 회복되었으며(신원), 시호는 익평(翼平)이다.

2. 1. 고려 말 활동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였고, 우왕 때 밀직사사(密直司事)를 지냈다. 그러나 1388년(창왕 1년) 간관의 탄핵을 받아 곡주(谷州)로 유배되었다.[1] 이후 1390년(공양왕 2년)에는 도절제사(都節制使)로서 전라도 지역에서 왜구를 격퇴하는 공을 세웠다.[2]

2. 2. 조선 개국 이후 활동

조선 개국 후 이방원을 도와 정사공신(定社功臣)과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훈되었다.

1402년(태종 2) 우정승에 오르고, 1403년 단산부원군(丹山府院君) 겸 중군 도총제(中軍都摠制)가 되었다.[3]

그러나 1409년 태종의 처남인 민무구(閔無咎)·민무질(閔無疾)의 옥사에 관련되어 유배되었다가 죽산(竹山)에서 사형되었다. 사후 신원되었으며, 시호는 익평(翼平)이다.

2. 3. 민무구, 민무질의 옥사 연루와 죽음

1409년(태종 9년), 왕후 원경왕후의 동생들인 민무구민무질 형제가 관련된 이른바 '민씨 형제의 옥사'에 연루되었다. 이 사건은 태종이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기 위해 외척 세력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결국 이무는 이 사건에 휘말려 유배되었고, 죽산에서 사형에 처해졌다. 사후에 죄가 사면되어 명예가 회복되었으며(신원), 익평(翼平)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3. 묘소

이무 선생 묘 및 신도비고양시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어 있다.

참조

[1] 간행물 《고려사》 권137 열전 권제50 창왕(昌王) 즉위년 11월 http://db.history.go[...]
[2] 간행물 《고려사》 세가 권제45 공양왕(恭讓王) 2년 8월 http://db.history.go[...]
[3] 간행물 태종실록 5권, 태종 3년 4월 4일 경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