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양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양왕은 고려의 제34대 왕으로, 1389년부터 1392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고려 신종의 7대손으로, 이성계 일파에 의해 창왕이 폐위된 후 왕위에 올랐다. 재위 기간 동안 과전법이 시행되었으나, 정몽주 등 개혁 세력의 제거와 이성계의 권력 장악으로 인해 고려 왕조는 멸망의 길을 걷게 되었다. 결국 공양왕은 이성계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간성으로 유배되었으며, 1394년 삼척에서 아들과 함께 살해되었다. 능묘는 삼척과 고양에 있으며, 조선 태종 때 공양왕으로 추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45년 출생 - 이첨
이첨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학자로, 고려의 중흥에 기여하고 조선 건국 후 역사 편찬에 참여했으며, 학문에도 능통하여 《정관정요》 강독, 《제범》 편찬, 《삼국사략》 편찬 참여 등 조선 초기의 역사 인식 정립에 기여했다. - 1345년 출생 - 페르난두 1세
페르난두 1세는 1367년부터 1383년까지 포르투갈을 통치한 국왕으로, 카스티야 왕위 계승권 주장, 레오노르 텔레스와의 결혼으로 국내 반발을 샀으며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포르투갈 왕위 계승 위기를 초래했다. - 고려의 부원군 - 최영
최영은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쌍성총관부를 수복하는 등 국방을 굳건히 했으며,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공민왕을 보필했으나, 우왕의 요동정벌에 참여했다가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에 의해 처형당한 후 무민이라는 시호를 받은 고려 말기의 대표적인 무신이다. - 고려의 부원군 - 염제신
염제신은 고려 말기의 문신으로, 원나라 관료 생활 후 고려로 돌아와 기철 일파 숙청과 홍건적 격퇴에 공을 세워 문하시중에 올랐으며, 공민왕의 후궁 신비 염씨의 아버지로서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 14세기 한국의 군주 - 충선왕
충선왕은 고려 제26대 왕으로 즉위 후 원나라 간섭 속에서 심양왕에 봉해졌으며, 고려와 심양을 동시에 통치하는 동군연합을 이루었으나 개혁 정치는 실패하고 티베트로 유배되었다. - 14세기 한국의 군주 - 공민왕
공민왕은 고려의 제31대 왕으로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적인 개혁을 추진했지만, 친원 세력의 반발과 외세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개혁 정책과 신돈 등용을 통해 토지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시해당했다.
공양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왕요(王瑤) |
다른 이름 | 간성왕(杆城王), 정창군(定昌君), 공양군(恭讓君) |
출생 | 1345년 3월 9일 |
사망 | 1394년 5월 17일 |
능묘 | 고려: 고양왕릉(고릉),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산65-6 조선: 공양왕릉,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178번지 |
재위 정보 | |
즉위일 | 1389년 12월 10일 (양력) |
퇴위일 | 1392년 8월 8일 (양력) |
전임자 | 창왕 |
후임자 | 고려의 마지막 국왕 |
작위 | 제34대 고려 국왕 |
가족 관계 | |
부친 | 정원부원군 왕균 |
모친 | 국대비 왕씨 |
배우자 | 순비 노씨 |
자녀 | 2남 3녀 (정성군, 개성 왕씨, 숙녕궁주, 정신궁주, 경화궁주) |
존호 | |
시호 | 공양(恭讓) |
즉위 전 이름 | |
책봉 전 | 정창군(定昌君), 정창부원군(定昌府院君) |
폐위 후 작위 | |
폐위 후 | 공양군(恭讓君) |
유배지 | |
유배지에서 | 간성왕(杆城王) |
사후 | |
이방원 즉위 후 | 공양왕(恭讓王) |
사후 추증 | |
시호 | 공양대왕(恭讓大王) |
기타 | |
로마자 표기 | Gongyang Wang |
2. 생애
본관은 개성, 성은 왕(王)이고 휘는 '''요'''(瑤)이며, 즉위 전 작호는 '''정창군'''(定昌君), '''정창부원군'''(定昌府院君)이었다. 폐위된 이후 '''공양군'''(恭讓君)으로 칭해졌으며, 조선 태종이 왕으로 추증하면서 '''공양왕'''(恭讓王)으로 일컬어졌다.[6]
1374년 공민왕이 시해당하고 우왕(신우)이 즉위했다. 정계에서는 왜구 평정에 공이 있던 이성계와 최영 등이 두각을 나타냈고, 명과의 외교 정책 대립으로 인해 이성계는 1388년 위화도 회군을 일으켜 우왕의 아들 창왕(신창)을 즉위시켰다. 1389년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을 옹립했다.
1391년 (공양왕 3년) 과전법이 공포되었다. 또한 같은 해에 저화 유통 정책이 결정되었으나 시행 전에 고려가 멸망했다.
정몽주[7] 등은 이성계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것을 막으려 하였으나 이성계 일파에게 살해당하고, 1392년 공양왕은 이성계에게 왕위를 물려주고[8] 간성으로 추방된다. 1394년 모반 혐의로 유배지인 삼척에서 아들과 함께 살해되었다. 이로써 고려는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었다.
2. 1. 가계 및 즉위 전
본관은 개성, 성은 왕(王)이고 휘는 '''요'''(瑤)이며, 즉위 전 작호는 '''정창군'''이었다.[13] 신종의 7대손[13]으로, 정원부원군 왕균과 충렬왕의 서장자인 강양공 왕자(王滋)의 손녀인 국대비 왕씨의 차남이다. 부계와 모계 모두 고려 왕족의 혈통을 물려받았다.어린 시절 '''정창군'''으로 봉해졌으며, 교하 노씨 출신인 내부령 창성 노책의 딸과 혼인했다.
1374년 공민왕 시해 이후 왜구 평정에 공이 있던 이성계와 최영 등이 정계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1388년 이성계는 쿠데타(위화도 회군)를 일으켜 창왕을 즉위시켰다. 1389년에는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을 옹립했다.
2. 2. 즉위 과정 (1389년)
고려 왕족 정원부원군 왕균과 국대비 왕씨의 둘째 아들로, 부계와 모계 모두 고려 왕실이었으며, 외가로는 충렬왕의 4대손에 해당한다. 어려서 정창군에 봉해졌고, 그의 형 정양군 왕우의 딸이 이성계와 신덕왕후 강씨의 아들 이방번과 결혼하여 사돈인 관계로 이성계 일파의 추대를 받아 폐가립진(廢假立眞)이라는 명분으로 왕위 계승자로 천거되었다.1374년에 공민왕이 시해당하고, 우왕(신우)이 즉위했다. 정계에서는 왜구 평정에 공이 있던 이성계와 최영 등이 두각을 나타냈고, 대명 정책에서의 대립으로 인해 이성계는 1388년에 쿠데타(위화도 회군)를 일으켜 우왕의 아들 창왕(신창)을 즉위시키고, 1389년에는 창왕을 정당한 왕위 계승자가 아닌 가짜 왕으로 몰아 살해하고 공양왕을 옹립한다.
1389년(왕창 1년), 친명파 신진 사대부인 이성계와 정몽주 등은 왕창을 폐위시킨 직후에 '''공양왕'''을 옹립하였다. 온건 개혁파였던 정몽주 등의 신하들은 '''공양왕'''을 보필하며 고려를 재건하려는 필사의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이성계, 정도전 등은 역성 혁명을 꾀하고 있었고, 정몽주가 이성계의 5남인 이방원(李芳遠, 훗날의 조선 태종)에게 길거리에서 난자당해 죽자 온건 개혁파 신료들의 응집력이 약화되어 조정은 와해되었다.[6]
2. 3. 재위 기간 (1389년 ~ 1392년)
이성계와 정몽주 등 친명파 신진 사대부들은 1389년 왕창을 폐위시킨 직후 '''공양왕'''을 옹립하였다.[2] 이성계 지지자들은 창왕을 강제로 폐위시키고 그 자리에 공양왕을 옹립했으며, 우왕과 창왕의 암살을 포함하여 공양왕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일어난 사건들을 감독했다.[2]정몽주[7] 등 온건 개혁파 신하들은 '''공양왕'''을 보필하며 고려를 재건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이성계, 정도전 등은 역성 혁명을 꾀하고 있었고, 정몽주가 이성계의 5남인 이방원(李芳遠)에게 살해당하면서 온건 개혁파 신료들의 응집력이 약화되어 조정은 와해되었다.
공양왕 3년(1391년)에 과전법이 공포되었다. 또한 같은 해에 저화 유통 정책이 결정되었으나 시행 전에 고려 왕조가 멸망한다.
정몽주 등은 공양왕으로부터 이성계에게 양위하는 것을 막으려 하였으나[7] 이성계 일파에게 살해당하고, 1392년 공양왕은 이성계에게 왕위를 물려주고[8] 간성으로 추방된다. 고려 왕조의 마지막 주요 지지자였던 정몽주가 살해된 후, 공양왕은 1392년 이성계, 그의 아들 (이방원), 정도전 등에 의해 폐위되었고, 이로써 고려 왕조는 멸망했다.[3]
2. 4. 고려 멸망과 폐위 (1392년)
1392년(공양왕 4년) 이성계와 이방원, 정도전 등은 공양왕을 폐하고[14] 왕위를 양위받아, 고려는 사실상 멸망하였다. 이후 7월 11일에 강원도 원주로 유배되었다가, 8월에 '''공양군'''(恭讓君)으로 강등돼 강원도 간성으로 쫓겨났다.[14]7월 12일 공양왕을 폐한다는 왕대비의 교지가 내려지고, 공양왕을 대신하여 왕대비가 고려국의 국새를 가지고 모든 정사를 처리하였다.[15] 이튿날 대비는 이성계를 감록국사(監錄國事)로 임명했다.[15] 7월 16일에 국새를 전달받은 이성계는 처소에서 왕위에 오를 것을 요청받고, 이튿날 말을 타고 수창궁(壽昌宮)으로 들어가 즉위식을 치렀다.[15] 조선 태조가 즉위 교서를 반포한 것은 그로부터 한참이 지난 7월 28일이다.[15]
이성계 세력은 정치적 야심이 없음을 증명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였던 공양왕을 무혈 선전 도구로 이용했다. 1389년, 이성계 지지자들은 창왕을 강제로 폐위시키고 그 자리에 공양왕을 옹립했다.[2] 이 세력은 우왕과 창왕의 암살을 포함하여 공양왕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일어난 사건들을 감독했다. 고려 왕조의 마지막 주요 지지자였던 정몽주가 살해된 후, 1392년 공양왕은 이성계, 그의 아들 (이방원), 정도전 등에 의해 폐위되었고, 이로써 고려 왕조는 멸망했다.[3]
정몽주[7] 등은 공양왕으로부터 이성계에게의 양위를 막으려 하였으나 이성계 일파에게 살해당하고, 1392년에 공양왕은 이성계에게 왕위를 물려주고[8], 간성으로 추방된다.
2. 5. 폐위 후
1392년 이성계와 이방원, 정도전 등은 공양왕을 폐하고 왕위를 양위받아, 고려는 사실상 멸망하였다.[14] 이후 7월 11일에 강원도 원주로 유배되었다가, 8월에 '''공양군'''(恭讓君)으로 강등돼 간성으로 쫓겨났다.1394년 3월 14일 강원도 삼척 궁촌리로 유배지가 옮겨졌으며,[16] 4월 17일 궁촌리 마을입구 고갯길에 있는 고돌산의 살해재에서 왕세자 왕석과 함께 시해되었다.[17]
1416년 태종은 '''공양왕'''(恭讓王)으로 추봉하고, 사신을 보내 그의 능에 제사를 지내었다.[18]
3. 능묘
공양왕의 능으로 전하는 묘소는 두 곳이 있다. 공양왕의 능은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강원도 기념물 제71호)와 경기도 고양시 원당동(사적 제191호)[19] 두 곳에 있다. 삼척의 공양왕릉은 처음 묻힌 곳이고, 고양에 위치한 묘는 조선 왕실에서 시신을 확인하기 위해 불러 올린 뒤 이장한 곳으로 추정된다.[16]
현재는 왕비인 순비 노씨와 합장되어 있으며 조선 태조의 즉위 3년만인 1394년에 '''고릉'''(高陵)의 능호가 붙여졌다.
4. 가족 관계
작호 | 이름 | 생몰년 | 배우자 | 비고 | |
---|---|---|---|---|---|
1 | 정성군 폐세자 | 석(奭) | ? ~ 1394년 | 인천 이씨 | 태조 3년(1394년) 교살[21] |
2 | 미상[22] | 미상 | 미상 | 미상 | |
작호 | 생몰년 | 생모 | 배우자 | 비고 | |
1 | 숙녕궁주 | 생몰년 미상 | 순비 노씨 | 익천군 왕집(王緝) | |
2 | 정신궁주 | 단양군 우성범 | 세종 3년(1421년) 이후 사망[23] | ||
3 | 경화궁주 | 진원군 강회계(姜淮季) |
공양왕은 신종의 7대손[13]이며, 아버지는 정원부원군 왕균이고, 어머니는 충렬왕의 서장자인 강양공 왕자(王滋)의 손녀인 국대비 왕씨이다.
'''부모'''
- 아버지: 왕균 (정원부원군 왕균|한국어)
- * 할아버지: 순화후 왕유(순화후 왕유|한국어; ? ~ 1360년)
- * 할머니: 마한국 명예비 신씨 (마한국명예비 신씨|한국어)
- 어머니: 삼한국대비 왕씨 (삼한국대비 왕씨|한국어)
- * 할아버지: 왕훈, 연덕부원대군 (연덕부원대군 왕훈|한국어)
- * 할머니: 안의비 조씨 (안의비 조씨|한국어)
'''배우자 및 자녀'''
5. 기타
개성 왕씨 성원록에 의하면 공양왕의 아버지 정원부원군 왕균에게는 의령군 맹종에게 출가한 딸과 문하시중 심덕부의 아들인 동지총재 청송 심씨 심정(沈泟)에게 출가한 딸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청송 심씨 대동보에는 공양왕의 형 정양부원군 왕우의 딸이 심정에게 출가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공양왕의 직계 후손은 단절되었으나, 공양왕의 숙부 네 명 중 한 명인 학성부원군 왕향(鶴城府院君 王珦)의 후손이 현재 전해진다. 학성군은 계보상 공양왕의 가장 가까운 친족이 된다.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방영 연도 | 드라마 제목 | 방송사 | 배우 |
---|---|---|---|
1983년 | 개국 | KBS | 김진해 |
1983년 | 추동궁 마마 | MBC | 김웅철 |
1996년~1998년 | 용의 눈물 | KBS | 김영선 |
2012년~2013년 | 대풍수 | SBS | 김병춘 |
2014년 | 정도전 | KBS | 남성진 |
2015년~2016년 | 육룡이 나르샤 | SBS | 이도엽 |
2021년~2022년 | 태종 이방원 | KBS | 박형준 |
참조
[1]
뉴스
King Gongyang, the last king of Goryeo and Yi Seong-gye, founder of Joseon.
https://www.rfa.org/[...]
2021-06-23
[2]
뉴스
King Gongyang, the last king of Goryeo and Yi Seong-gye, founder of Joseon.
https://www.rfa.org/[...]
2021-06-23
[3]
뉴스
King Gongyang, the last king of Goryeo and Yi Seong-gye, founder of Joseon.
https://www.rfa.org/[...]
2021-06-23
[4]
서적
A Genealogy of Dissent: The Progeny of Fallen Royals in Chosŏn Kore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웹인용
23권 다양한 문화로 본 국가와 국왕 > 제2장 국왕과 그 계승자들 > 1. 국왕 즉위식의 유형 > 반정
http://contents.hist[...]
국사편찬위원회
2024-07-24
[16]
뉴스
쫓겨난 공양왕 위해 삶 바치다
http://www2.donga.co[...]
동아일보
2006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