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미자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여성 가수로, 1941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59년 《열아홉 순정》으로 데뷔하여, 1964년 《동백아가씨》를 발표하며 큰 인기를 얻었으나, 왜색 논란으로 방송 금지되기도 했다. 이후 《흑산도 아가씨》, 《섬마을 선생님》 등 다수의 히트곡을 발표하며 꾸준한 활동을 이어갔다. 2003년에는 평양에서 공연을 가졌으며, 2500여 곡을 발표하여 국내 가수 중 최다 곡 취입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95년 화관문화훈장을 수훈했으며, 2019년 은퇴를 선언했으나 이후 인터뷰를 통해 은퇴가 아님을 밝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금융고등학교 동문 - 려욱
려욱은 2005년 슈퍼주니어로 데뷔하여 다양한 유닛 활동과 솔로 앨범 발매, OST 참여, 뮤지컬, 라디오 DJ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화관문화훈장 수훈자 - 반야월 (작사가)
반야월(본명 박창오)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초기에 활동한 작사가이자 가수로, 진방남이라는 예명으로 가수 활동을 시작하여 <불효자는 웁니다>를 불러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작사가로 전향하여 서민들의 애환과 향토적인 정서를 담은 수많은 곡을 작사하며 한국 대중가요사에 큰 영향을 남겼다. - 화관문화훈장 수훈자 - 제이홉
1994년 광주에서 태어난 제이홉은 방탄소년단의 멤버이자 솔로 앨범 발매 및 롤라팔루자 헤드라이너로서 성공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는 가수, 래퍼, 댄서, 음악 프로듀서이다. - 1960년대 가수 - 존 레논
존 레논은 비틀즈 멤버로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솔로 활동과 평화 운동으로 20세기 대중음악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예술가이다. - 1960년대 가수 - 하춘화
1961년 만 6세에 데뷔한 가수 하춘화는 《물새 한 마리》, 《잘했군 잘했어》, 《영암 아리랑》, 《알고 계세요》 등 수많은 히트곡과 8,500회 이상의 공연, 2,400여 곡의 취입곡, 박사 학위 취득, 꾸준한 기부 활동으로 유명하다.
이미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이미자 |
한자 표기 | 李美子 |
로마자 표기 | I Mi-ja |
출생일 | 1941년 10월 30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성부 용산구 한남동 (현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직업 | 가수 |
장르 | 트로트 |
종교 | 천주교 (세례명: 체칠리아) |
배우자 | 김창수 |
자녀 | 딸 정재은 |
활동 시기 | 1959년 ~ 현재 |
수상 | |
훈장 | 화관문화훈장 |
금관문화훈장 | 2023년 |
웹사이트 | |
팬카페 | 이미자 팬카페 |
2. 생애
이미자는 1959년 데뷔하여 57년 동안 활동하며 1000만 장 이상의 음반 판매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트로트 가수이다. 1970년대 후반, 트로트 여자 가수로는 김용임과 함께 전성기 시절 1000만 장 판매를 달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60년 연주자 정진흡과 첫 번째 결혼을 했다. 1964년 영화 주제가 《동백아가씨》(한산도/백영호)를 임신 9개월의 몸으로 불러, 국내 가요 사상 최초로 가요 프로그램에서 35주 동안 1위를 기록하고 25만 장이라는 엄청난 음반 판매고를 올렸다. 이를 통해 집, 전화, 자동차를 장만할 만큼 부와 명예를 동시에 얻었으나, 왜색 논란으로 방송 금지령을 받았고 남편과 이혼했다.
1966년 2월 5일 강릉 공연 중 생모 유상례를 22년 만에 극적으로 상봉했으나, 짧은 만남 후 헤어지면서 마지막 만남이 되었다.
1970년 TBC 동양방송 드라마 《아씨》의 주제가 〈아씨〉(임희재/백영호)가 히트했으며, KBS 방송위원이던 김창수와 결혼하였다.
이미자는 데뷔 이후 수많은 곡을 발표했다. 1969년 1000곡 돌파 기념 리사이틀을 열었고, 1991년 KBS 자료실 집계에 따르면 2064곡을 취입했다. 이후에도 음반을 추가로 내 현재는 2500여 곡으로 추정되며, 이는 국내 가수 중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기록이다.
자신의 노래가 트로트보다는 전통가요로 분류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일반적으로 '트로트의 여왕'으로 불린다. 현재까지도 뛰어난 가창력과 무대 매너로 대중의 사랑을 받고 있다.
2. 1. 초기 생애 (1941~1958)
이미자는 1941년 10월 30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에서 아버지 김창수와 어머니 유상례 사이에서 2남 4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이미자가 2살이 되던 1943년에 아버지가 징용으로 일본에 끌려가면서 어려운 생활을 하게 되었으며, 1945년에는 힘든 생활고 때문에 어머니 유상례에 의해 외할머니 댁에서 형제들과 떨어져 외롭게 자랐다.[11]어릴 적부터 음악에 관심을 가지던 이미자는 1957년 KBS의 노래자랑 프로그램 《노래의 꽃다발》에 출연해 1위를 하였다.[11] 1958년 HLKZ TV 방송이 개최한 아마추어 노래 콩쿨인 예능 로타리에 출전하여 1등으로 입상하였고, 당시 유명한 작곡가 나화랑(본명: 조광환)에게 스카우트되었다.
2. 2. 데뷔 및 전성기 (1959~1970년대)
1957년 KBS의 노래자랑 프로그램 《노래의 꽃다발》에 출연해 1위를 하였으며,[11] 1958년 HLKZ TV 방송이 개최한 아마추어 노래 콩쿨인 예능 로타리에 출전하여 1등으로 입상하였다. 당시 유명한 작곡가 나화랑에게 스카우트되어 1959년 《열아홉 순정》(반야월/나화랑)으로 공식 데뷔하였다.[11] 1964년 영화 주제가 《동백아가씨》(한산도/백영호)가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였으나, 왜색조라는 이유로 방송금지령을 선고받았다.[15]1965년 작곡가 박춘석과 만나 KBS 라디오 연속극 진도아리랑의 주제가로 첫 인연을 맺었다. 이후 《흑산도 아가씨》(정두수/박춘석)를 발표하였고, 1966년 KBS 라디오 주제가 《섬마을 선생님》도 빅히트를 기록했다. 1967년부터 《그리움은 가슴마다》(정두수/박춘석), 《아네모네》(영화 《아네모네 사랑》 주제가), 《여자의 일생》(한산도/백영호) 등 서정적인 정통 트로트를 고수하며 대한민국의 대표 가수로 자리매김했다. 1967년에 발표한 《엘레지의 여왕》(이운석/박춘석)이 히트하면서 '엘레지의 여왕'이라는 애칭을 얻었다.
1970년 TBC 동양방송 드라마 《아씨》의 주제가 〈아씨〉(임희재/백영호)가 히트하였으며, 1972년에는 KBS 드라마 《여로》의 주제가 〈여로〉(이남섭/백영호)도 히트하였다.
2. 3. 중장년기 활동 (1980년대~현재)
이미자는 1987년에 자신의 곡들에 내려졌던 금지곡 조치가 해제되면서 활동을 재개했다.[16] 1989년에는 가수 생활 30년을 기념하여 박춘석 작곡의 〈노래는 나의 인생〉을 발표하고, 대중 가수 최초로 세종문화회관에서 데뷔 30주년 기념 공연을 개최했다.1995년에는 화관문화훈장을 받았고, 1999년에는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11] 2003년에는 북한의 초청으로 평양 동평양대극장에서 MBC 평양특별공연을 가졌다.
2014년에는 데뷔 55주년을 맞아 전국 투어 콘서트와 디너쇼 등을 개최했다. 2015년에는 가수 장사익과 함께 《이미자-장사익 특집 콘서트》를 개최했고, 이 프로그램은 KBS1에서 방영되어 20.1%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2017년에는 가수 인생 58주년을 맞아 KBS1 《이미자 빅쇼》를 개최하여 14.1%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2019년 5월 2일 은퇴를 선언했으나, 28일 MBN과의 인터뷰에서 은퇴는 아니라고 밝혔다.
3. 가족
이미자의 첫째 딸은 1981년에 고봉산 작곡가의 곡인 《항구》로 데뷔해 《어차피 떠난 사람》을 리메이크하여 히트시킨 가수 정재은이다.[1]
4. 대표곡
이미자는 히트곡으로 분류되는 노래만 약 400여 곡에 달한다. 대표적인 곡은 다음과 같다.
5. 논란 및 사건
1964년 동백아가씨를 발표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나, 한일수교정상화의 영향으로 왜색풍이라는 시비에 휘말려 방송금지곡이 되었다가 1987년 6월민주항쟁 이후 해금되었다.[17] 1966년 7월부터 빅터 레코드 전속으로[14] 일본에서 활동하면서, 이미자는 자신의 이름을 일본식 발음인 "리 요시코"로 표기하고 일본어로 노래를 불렀다.[15]
5. 1. 〈동백아가씨〉 왜색 논란
1964년 동백아가씨를 발표하고 100만 장 이상 판매되는 큰 인기를 끌면서, 이미자는 인기 가수 반열에 올랐다. 하지만 한일수교정상화의 정치적 영향으로[17] '동백아가씨'는 왜색풍이라는 시비에 휘말려 방송금지곡으로 지정되었고, 6월민주항쟁 이후인 1987년에 해금될 때까지 방송에서 들을 수 없었다.1966년 7월부터 빅터 레코드 전속으로[14] 일본에서 활동하면서, 이미자는 자신의 이름을 일본식 발음인 "리 요시코"로 표기하고 일본어로 노래를 불렀다. 1967년, '동백아가씨'는 곡조가 일본풍(왜색)이라는 이유로 방송 윤리 위원회에 의해 방송 금지곡으로 지정되었다.[15] 이후 1987년 9월, '동백아가씨'는 유사한 이유로 방송 금지되었던 다른 곡들과 함께 해금되었다.[16]
6. 영화
1967년 이미자의 자전적 이야기를 다룬 영화 《엘레지의 여왕》이 만들어졌다. 감독은 한형모였으며, 최남현, 남정임, 박노식이 출연하였다. 해당 영화에서 이미자의 어린 시절 아역으로 꼬마 가수 '김명옥'이 출연했었다. 김명옥은 훗날 80년대를 대표하는 인기 가수 '나미'가 되었다.
7. 수상
연도 | 주최 | 수상 내역 |
---|---|---|
1966년 | MBC 《10대 가수가요제》 | 10대 가수상 |
1967년 | MBC 《10대 가수가요제》 | 10대 가수상, 최고 인기 가수 (가수왕) |
1968년 | MBC 《10대 가수가요제》 | 10대 가수상, 최고인기 가수 (가수왕) |
1970년 | MBC 《10대 가수가요제》 | 최고인기 가수 (가수왕) |
1971년 | MBC 《10대 가수가요제》 | 10대 가수상 |
1973년 | MBC 《10대 가수가요제》 | 10대 가수상 |
1974년 | MBC 《10대 가수가요제》 | 10대 가수상 |
1975년 | MBC 《10대 가수가요제》 | 10대 가수상 |
1976년 | MBC 《10대 가수가요제》 | 특별 가수상 |
1977년 | MBC 《10대 가수가요제》 | 10대 가수상 |
1979년 | MBC 《10대 가수가요제》 | 특별 가수상 |
1995년 | 대한민국 | 화관문화훈장 |
1999년 | 대한민국 | 보관문화훈장[11] |
2013년 | MBC 방송연예대상 | 공로상 |
2013년 |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 은관문화훈장 |
2020년 | 제1회 트롯어워즈 | 트롯100년 대상 |
2023년 |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 금관문화훈장 |
참조
[1]
웹사이트
이미자 소개
http://www.mnet.com/[...]
2018-02-11
[2]
뉴스
10 Influential Women on the Cultural Scene (1950–2007)
https://www.koreatim[...]
2007-10-22
[3]
뉴스
Root of K-pop
https://www.koreatim[...]
2013-10-31
[4]
뉴스
Lee Mi-ja Looks Back on Her 50-Year Singing Career
http://koreafocus.or[...]
Reprinted in Korea Focus
2009-03-08
[5]
뉴스
그땐 평양서 효리·젝키 공연, 평창엔 북한 걸그룹 오나요
http://www.hani.co.k[...]
2018-01-05
[6]
웹사이트
BTS, Red Velvet win at Korean Popular Culture and Arts Awards
https://entertainmen[...]
2018-10-18
[7]
웹사이트
BTS gets award upon their return home
http://koreajoongang[...]
2018-10-25
[8]
웹사이트
Korean Popular Culture and Arts Awards announces winners
http://kpopherald.ko[...]
2016-10-25
[9]
웹사이트
Veteran entertainers win cultural order
http://www.koreahera[...]
2013-11-10
[10]
웹사이트
이미자, 대중음악인 최초 금관문화훈장 수훈‥황정민·신동엽 대통령 표창
https://entertain.na[...]
2023-10-20
[11]
뉴스
K스타 이미자, KBS ‘전국노래자랑’ 출연해 재능기부
http://news.kbs.co.k[...]
KBS뉴스
2017-09-16
[12]
뉴스
チェウニ、母を本格カバー「誇りに思う」“韓国のひばり”李美子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5-11-10
[13]
웹사이트
이미자-님
https://y-archive.co[...]
[14]
뉴스
경향신문
1966-07-06
[15]
간행물
それでも“歌”は海峡を越えた―激動の日韓文化交流史
http://www.nihonkaig[...]
[16]
뉴스
동아일보
1987-09-05
[17]
뉴스
'동백아가씨'가 금지곡 된 진짜 이유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01-3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엘레지의 여왕' 이미자, 노래 인생 마무리…"66년 행복"
이미자 "은퇴란 말은 괴로워…고난 많았지만 은혜 입고 끝난다"
헤일 수 없이 수많은 이들 토닥여준…동백아가씨
‘열아홉 순정’ 이미자 66년 노래 인생 마침표…마지막 무대까지 ‘엘리제 여왕’이었다
'66년간 대중 위로한' 이미자, 고별 무대 오른다 | JTBC 뉴스
‘폭싹 속았수다’를 위한 나만의 플레이리스트 [.txt]
'엘리지의 여왕' 이미자, 양일간 콘서트 '전석매진' | JTBC 뉴스
남진 "60년이 6년 같아…노래 못한다면 내 인생 버리는 것"
“노래 인생 66년…이번 공연이 마지막입니다”
'엘레지의 여왕' 이미자, 66년 만 은퇴 시사 "내달 공연이 마지막"
데뷔 66년 이미자 “이번이 마지막 공연…은퇴는 아냐”
'66주년' 이미자, 은퇴 시사 "난 행복한 가수, 전통가요 이어지길"(종합) | JTBC 뉴스
'66주년' 이미자 “가수로서 마지막 공연…물려줄 후배 있어 행복” | JTBC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