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상수 (광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상수(李相洙)는 대한민국의 광학자이자 교육자, 과학 행정가이다.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원자력연구소 소장, 한국과학원 초대 원장, 한국과학기술원 원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레이저와 광학 분야의 연구와 교육에 힘썼으며, 한국광학회 초대 회장을 지냈다. 1979년 국민훈장 모란장, 2000년 국민훈장 무궁화장, 2019년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흥군 출신 - 이호왕
    대한민국의 의학자이자 바이러스 연구의 선구자인 이호왕은 신증후군출혈열의 원인인 한탄바이러스를 세계 최초로 발견하고 백신 개발에 성공하여 한국형 출혈열 퇴치에 기여했으며, 서울바이러스 발견 및 한타바이러스 속을 국제 학계에 공인받는 등 바이러스 연구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 한국과학기술원 총장 - 강성모 (공학자)
    강성모는 전기 공학 분야에서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크루즈 공대 학장, 캘리포니아 대학교 머시드 총장, KAIST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학자이다.
  • 한국과학기술원 총장 - 로버트 B. 로플린
    로버트 B. 로플린은 미국의 물리학자이며, 분수 양자 홀 효과 이론을 제시하여 199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한국과학기술원 총장을 역임했다.
  • 한국과학기술원 - 강성모 (공학자)
    강성모는 전기 공학 분야에서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크루즈 공대 학장, 캘리포니아 대학교 머시드 총장, KAIST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학자이다.
  • 한국과학기술원 - 로버트 B. 로플린
    로버트 B. 로플린은 미국의 물리학자이며, 분수 양자 홀 효과 이론을 제시하여 199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한국과학기술원 총장을 역임했다.
이상수 (광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상수
원어이름Sang Soo Lee
한자 이름李相洙
출생일1925년 10월 4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조선 함경남도 신흥군
사망일2010년 5월 7일
사망 장소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경희의료원
거주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60-105
시민권대한민국
학력
출신 대학서울대학교 물리학 학사
대학원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물리학 석사
박사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물리학 박사
경력
소속한국과학기술원
KAIST
연구 및 업적
분야광학
물리학
수상
수상무궁화장
개인 정보
종교기독교

2. 학력

3. 주요 경력

이상수는 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대한민국 원자력청 청장,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장, 한국광학회(OSK) 초대 회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광학자이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기관직책
1953년 ~ 1960년이화여자대학교물리학과 교수
1967년 ~ 1970년원자력연구소소장
1967년 ~ 1970년국제 원자력 기구(IAEA)한국대표
1970년 ~ 1971년대한민국 원자력청청장
1989년 ~ 1991년한국과학기술원(KAIST)6대 원장[1]
1989년 ~ 1993년한국광학회(OSK)초대회장
2019년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선정[4]


3. 1. 학계 경력

연도경력
1953년 ~ 1960년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967년 ~ 1970년원자력연구소 소장, 국제 원자력 기구(IAEA) 한국대표
1968년하바드대학교 초빙연구원
1970년 ~ 1971년대한민국 원자력청 청장
1971년한국과학원 초대 원장[1]
1971년 ~ 1991년한국과학원/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교수
1981년 ~ 2010년대한민국학술원 회원[2][3]
1982년 ~ 1984년한국물리학회 회장
1984년 ~ 1987년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부회장
1987년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초빙연구원
1989년원격탐사학회 회장
1989년 ~ 1991년한국과학기술원(KAIST) 6대 원장[1]
1989년 ~ 1993년한국광학회(OSK) 초대회장
1991년 ~한국과학기술원 명예교수
1992년UN대학 이사
1993년 ~ 1999년국제광기구(International Commission for Optics) 부회장
1994년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 창립이사 및 부회장
1995년미국광학회(OSA) 펠로우
1997년국제광공학회 (SPIE) 펠로우
2019년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선정[4]


3. 2. 연구 기관 경력

기간기관 및 직책
1953년 ~ 1960년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967년 ~ 1970년원자력연구소 소장
1967년 ~ 1970년국제 원자력 기구(IAEA) 한국대표
1968년하버드대학교 초빙연구원
1970년 ~ 1971년대한민국 원자력청 청장
1971년한국과학원 초대 원장[1]
1971년 ~ 1991년한국과학원/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교수
1981년 ~ 2010년대한민국학술원 회원[2][3]
1982년 ~ 1984년한국물리학회 회장
1984년 ~ 1987년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부회장
1987년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초빙연구원
1989년원격탐사학회 회장
1989년 ~ 1991년한국과학기술원(KAIST) 6대 원장[1]
1989년 ~ 1993년한국광학회(OSK) 초대회장
1991년 ~한국과학기술원 명예교수
1992년UN대학 이사
1993년 ~ 1999년국제광기구(International Commission for Optics) 부회장
1994년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 창립이사 및 부회장
1995년미국광학회(OSA) 펠로우
1997년국제광공학회 (SPIE) 펠로우
2019년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선정[4]


3. 3. 정부 기관 경력

기간직책기관
1967년 ~ 1970년소장원자력연구소
1967년 ~ 1970년한국대표국제 원자력 기구(IAEA)
1970년 ~ 1971년청장대한민국 원자력청
1971년초대 원장한국과학원[1]
1992년이사UN대학


3. 4. 학회 경력

기간경력
1981년 ~ 2010년대한민국학술원 회원[2][3]
1982년 ~ 1984년한국물리학회 회장
1984년 ~ 1987년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부회장
1989년원격탐사학회 회장
1989년 ~ 1993년한국광학회(OSK) 초대회장
1993년 ~ 1999년국제광기구(International Commission for Optics) 부회장
1994년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 창립이사 및 부회장
1995년미국광학회(OSA) 펠로우
1997년국제광공학회 (SPIE) 펠로우


3. 5. 기타 경력

연도경력
1953년 ~ 1960년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967년 ~ 1970년원자력연구소 소장, 국제 원자력 기구 (IAEA) 한국대표
1968년하바드대학교 초빙연구원
1970년 ~ 1971년대한민국 원자력청 청장
1971년한국과학원 초대 원장[1]
1971년 ~ 1991년한국과학원/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교수
1981년 ~ 2010년대한민국학술원 회원[2][3]
1982년 ~ 1984년한국물리학회 회장
1984년 ~ 1987년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부회장
1987년일본 이화학연구소 (RIKEN) 초빙연구원
1989년원격탐사학회 회장, 한국과학기술원(KAIST) 6대 원장[1], 한국광학회(OSK) 초대회장
1991년 ~한국과학기술원 명예교수
1992년UN대학 이사
1993년 ~ 1999년국제광기구(International Commission for Optics) 부회장
1994년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 창립이사 및 부회장
1995년미국광학회(OSA) 펠로우
1997년국제광공학회 (SPIE) 펠로우
2019년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선정[4]


4. 생애 및 업적

이상수(李相洙)는 대한민국의 광학자로, 광학 연구, 교육, 과학 행정 및 학회 활동 등 다방면에 걸쳐 대한민국 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925년 함경남도 신흥군에서 태어나 함흥상업고등학교를 거쳐 1949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했다. 1953년 영국 문화원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서 광학 박막 연구로 1959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는 임페리얼 칼리지의 첫 번째 한국인 박사학위였으며, 당시 한국인이 외국에서 물리학, 특히 실험물리학 분야에서 박사 학위를 받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었다.[1]

한국과학원(현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신설된 광학 연구실을 맡아 레이저를 포함한 광학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그는 한국과학원 초대 원장으로서 우수 교수진과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힘썼다. 그 결과 전액 장학금, 기숙사 제공, 병역 혜택 등 파격적인 조건이 마련되었다.

원장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1991년 정년퇴임할 때까지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와 교육에 전념했다. 파동광학, 레이저광학, 기하광학, 광정보처리 및 광 통신, 비선형 광학, 광산란 및 분광학 등 광학 전반에 걸쳐 연구를 수행했다. 주요 연구로는 '금속박막과 유기체박막으로 구성된 고율 반사경과 간섭계 연구', '카메라와 복사기를 위한 렌즈 개발 연구', '반도체 생산을 위한 석판 인쇄용 광학시스템 개발 연구', '광섬유를 통한 광학상의 전송 특성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1980년대 한국 광산업의 성장에 발맞춰 1989년 한국광학회 창립을 주도하여 광학의 산업적 연구를 장려했다. 1996년 서울에서 개최된 레이저 및 광전자 환태평양 국제회의에서 한국 광산업 기업들의 제품 전시회를 병행 개최한 것은 그의 산학협력 중시 철학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상수는 107명의 석사와 48명의 박사를 양성하여 이들이 대학, 기업, 공공연구소 등에서 활동하며 한국 광산업 발전과 광학 연구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이끌도록 했다.[7]

그의 헌신과 공로는 국내외에서 인정받아 1979년 국민훈장 모란장, 1982년 대한민국 과학기술상 대통령상, 2000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1981년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75년 미국광학회 석학회원으로 선출되었다. 2007년에는 "40년 이상 연구와 교육을 통해 대한민국 광과학과 광공학을 개척한 공로"로 미국광학회의 'Esther Hoffman Beller Medal'을 받았다. 2014년부터는 미국광학회와 한국광학회가 그의 업적을 기려 ‘이상수 상’을 공동 제정하고 격년으로 광학 발전에 기여한 사람에게 수여하고 있다.[7]

그의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기간내용
1953년 ~ 1960년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967년 ~ 1970년원자력연구소 소장, 국제 원자력 기구(IAEA) 한국대표
1968년하바드대학교 초빙연구원
1970년 ~ 1971년대한민국 원자력청 청장
1971년한국과학원 초대 원장[1]
1971년 ~ 1991년한국과학원/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교수
1981년 ~ 2010년대한민국학술원 회원[2][3]
1982년 ~ 1984년한국물리학회 회장
1984년 ~ 1987년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부회장
1987년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초빙연구원
1989년원격탐사학회 회장
1989년 ~ 1991년한국과학기술원(KAIST) 6대 원장[1]
1989년 ~ 1993년한국광학회(OSK) 초대회장
1991년 ~한국과학기술원 명예교수
1992년UN대학 이사
1993년 ~ 1999년국제광기구(International Commission for Optics) 부회장
1994년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 창립이사 및 부회장
1995년미국광학회(OSA) 펠로우
1997년국제광공학회 (SPIE) 펠로우
2019년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선정[4]


4. 1. 초기 생애 및 교육

신명 이상수 교수는 1925년 함경남도 신흥군에서 태어나 함흥상업고등학교를 거쳐 1949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했고 같은 대학원에서 1년 공부했다. 1953년 영국 문화원의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 진학했고 1959년에 광학박막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임페리얼 칼리지의 첫 번째 한국인 박사학위 수여자였고, 당시에는 외국에서 물리학, 그것도 실험물리학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한국인은 매우 드물었다.[1]

연도내용
1949년서울대학교 물리학과 학사
1956년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물리학 이학석사
1959년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물리학 이학박사


4. 2. 광학 연구 및 교육 활동

레이저를 넘어서는 광학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그가 신설된 한국과학원(후에 한국과학기술원으로 개편)으로 옮기면서부터였다. 한국과학원은 국내 최초의 이공계 전문대학원이었다. 초대 원장으로서 우수 교수와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일에 온 힘을 쏟았다. 그 결과 전액 장학금과 기숙사 제공, 병역 혜택 등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조건이 가능했다. 원장의 소임을 마친 후에는 교수로서 1991년 정년퇴임할 때까지 연구와 교육에 몰두했다.

파동광학, 레이저광학, 기하광학, 광정보처리 및 광 통신, 비선형 광학, 광산란 및 분광학 등 광학 전반에 걸친 연구가 펼쳐졌는데, 대표적으로 '금속박막과 유기체박막으로 구성된 고율 반사경과 간섭계 연구', '카메라와 복사기를 위한 렌즈 개발 연구', '반도체 생산을 위한 석판 인쇄용 광학시스템 개발 연구', '광섬유를 통한 광학상의 전송 특성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특히 1980년대 한국의 광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1989년에는 광학의 산업적 연구를 위해 전기전자, 화학, 기계 등 관련분야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한국광학회의 창립을 주도했다. 1996년 레이저 및 광전자 환태평양 국제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될 때 한국 광산업 기업들의 제품전시회를 병행 개최한 것도 산학협력을 중시하는 그의 지론에 바탕한 것이었다.

4. 3. 과학 행정 및 학회 활동

이상수는 광학 연구, 교육뿐만 아니라 과학 행정 및 학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대한민국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기간내용
1953년 ~ 1960년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967년 ~ 1970년원자력연구소 소장
1967년 ~ 1970년국제 원자력 기구(IAEA) 한국대표
1968년하바드대학교 초빙연구원
1970년 ~ 1971년대한민국 원자력청 청장
1971년한국과학원 초대 원장[1]
1971년 ~ 1991년한국과학원/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교수
1981년 ~ 2010년대한민국학술원 회원[2][3]
1982년 ~ 1984년한국물리학회 회장
1984년 ~ 1987년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부회장
1987년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초빙연구원
1989년원격탐사학회 회장
1989년 ~ 1991년한국과학기술원(KAIST) 6대 원장[1]
1989년 ~ 1993년한국광학회(OSK) 초대회장
1991년 ~한국과학기술원 명예교수
1992년UN대학 이사
1993년 ~ 1999년국제광기구(International Commission for Optics) 부회장
1994년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 창립이사 및 부회장
1995년미국광학회(OSA) 펠로우
1997년국제광공학회 (SPIE) 펠로우
2019년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선정[4]


4. 4. 후학 양성 및 사회 공헌

이상수는 기초연구뿐만 아니라 인류의 삶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응용연구를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정신은 그가 양성한 107명의 석사와 48명의 박사들에게 이어졌다. 이들은 대학, 기업, 공공연구소 등에서 활동하며 이상수와 함께 한국의 광산업 발전을 이끌었고 광학 연구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전시켰다.[7]

그의 연구, 교육, 과학행정에 대한 헌신과 공로는 정부와 국내외 학술단체로부터 인정받아 1979년에 국민훈장 모란장, 1982년에 대한민국 과학기술상 대통령상, 2000년에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1981년 8월 대한민국 학술원 자연 제1분과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75년에는 미국광학회 석학회원으로 선출되었다. 2007년에는 "40년 이상 연구와 교육을 통해 대한민국 광과학과 광공학을 개척한 공로"로 미국광학회의 'Esther Hoffman Beller Medal'을 받았다. 2014년부터는 미국광학회와 한국광학회가 그의 업적을 기려 ‘이상수 상’을 공동 제정하고 격년으로 광학 발전에 기여한 사람에게 수여하고 있다. 2014년 첫 번째 수상자는 아르헨티나의 마리오 가라바그리아 교수였다.[7]

5. 저서 및 번역서

이상수는 광학 분야의 다양한 주제를 다룬 저서와 번역서를 출간하였다.

5. 1. 저서


  • 이상수, 《파동과학》, 교학연구사 (1983)
  • 이상수, 《레이저광학》, 교학연구사 (1984)
  • 이상수, 《기하광학》, 교학연구사 (1985)
  • 이상수, 《양자광학》, 민음사 (1988)
  • 이상수, 《레이저 스펙클과 홀로그래피》, 교학연구사 (1988)

5. 2. 번역서


  • Winston E. Kock영어 지음, 이상수 옮김, 1974. 《레이저와 홀러그래피 - 간섭성 광학서설》, 현대과학신서 48, 전파과학사. ISBN 9788970443485
  • J.M. Carroll영어 지음, 이상수 옮김, 1976. 《레이저 이야기》, 현대과학신서 41, 전파과학사. ISBN 9788970443416

6. 상훈

참조

[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3-12-02
[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nas.go.kr[...] 2013-12-02
[3] 웹사이트 https://www.nas.go.k[...]
[4] 웹사이트 https://www.koreasci[...]
[5] 간행물 신명 이상수 선생님을 추모하며 2010-07-01
[6] 웹인용 분광학 https://terms.naver.[...] 2019-12-17
[7] 웹사이트 http://www.osa.org/e[...]
[8] 웹사이트 http://www.osa.org/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