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나라의 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상한 나라의 폴은 1976년에 방영된 일본의 애니메이션이다. 주인공 폴이 여자친구 니나를 구하기 위해 이상한 나라를 왕래하며 겪는 모험을 그린다. 폴은 요요를 무기로 사용하며, 요정 팍쿤의 도움을 받아 이상한 세계로 이동한다. 악당 벨트 사탄은 이상한 나라를 지배하려 하며, 폴 일행과 대립한다. 이 작품은 여러 언어로 더빙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TBC, KBS, SBS를 통해 방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시작한 일본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엄마 찾아 삼천리
1976년 후지 TV에서 방영된 일본 TV 애니메이션 《엄마 찾아 삼천리》는 이탈리아 제노바의 9세 소년 마르코 로시가 아르헨티나로 떠난 어머니 안나 로시를 찾아가는 여정을 그린 작품으로, 다카하타 이사오가 감독을 맡아 아름다운 작화와 감동적인 스토리로 인기를 끌며 영화화되기도 했다. - 1976년 시작한 일본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캔디 캔디
《캔디 캔디》는 미즈키 쿄코가 원작을, 이가라시 유미코가 작화를 담당하여 1975년부터 1979년까지 연재된 만화로, 20세기 초 미국과 영국을 배경으로 고아 소녀 캔디의 성장 이야기를 그리며, TV 애니메이션, 극장판 애니메이션, 실사 영화로 제작되었으나, 저작권 분쟁으로 재발매 및 재방송이 중단되었다. - 1976년 애니메이션 - 사자에상
하세가와 마치코가 1946년부터 1974년까지 연재한 만화 사자에상은 전후 일본 사회를 배경으로 이소노 가족의 일상을 그린 작품이자, 장기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며, "최장수 애니메이션 TV 시리즈"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될 정도로 일본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976년 애니메이션 - 세서미 스트리트
세서미 스트리트는 1969년 조앤 간즈 쿠니와 로이드 모리셋이 시작한 미국의 유아 교육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 어린이들에게 교육적 내용을 전달하고 어른들에게도 인기를 얻으며 50년 넘게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 동양방송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신조인간 캐산
1973년 타츠노코 프로덕션에서 제작된 TV 애니메이션 신조인간 캐산은 공해 처리 로봇이 자아를 얻어 인류에 반기를 들자, 아즈마 코타로 박사의 아들 테츠야가 신조인간 캐산으로 변신하여 로봇 군단에 맞서 싸우는 내용으로, 공해 문제를 반영한 스토리가 특징이며 이후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 동양방송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아스트로 강가
아스트로 강가는 블래스터인의 침략으로 멸망한 칸타로스 별의 과학자 마야의 아들 칸타로가 거대 로봇 짱가와 융합하여 지구를 지키는 1972년 일본 SF 로봇 애니메이션으로, 한국에서는 《짱가의 우주전쟁》으로 방영되어 인기를 얻었으며, 컬러 슈퍼 로봇 애니메이션이라는 점과 로봇과 주인공의 융합이라는 설정이 특징이다.
이상한 나라의 폴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포-루노 미라쿠루 다이사쿠센) |
다른 이름 | Paul's Miracle Strategy Plan |
장르 | 판타지 이세계 |
제작 | |
기획 | 다쓰노코 프로덕션 기획실 |
제작사 | 다쓰노코 프로덕션 후지 TV |
프로듀서 | 구리 잇페이 시바타 마사루 나가이 마사쓰구 |
각본 | 도리우미 진조 야나가와 시게루 |
감독 | 사사가와 히로시 |
음악 | 기쿠치 슌스케 |
캐릭터 디자인 | 가와이 노아 |
애니메이션 제작 | 다쓰노코 프로덕션 |
방송 | |
방송사 | FNS (후지 TV) TBC(1977), KBS(1984), SBS(1996), EBS(2009), 애니원(2021) |
화수 | 50화 |
주제가 | |
오프닝 | "Paul no boken" (폴의 모험) - 오스기 구미코와 컬럼비아 유리카고 카이 |
엔딩 | "Okaruto hanmā no uta" (오컬트 해머의 노래) - 오스기 구미코와 컬럼비아 유리카고 카이 |
2. 등장인물
등장인물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성우는 일본 원판, 한국어 더빙판(TBC, KBS, SBS) 순이다.
- EBS 방영판(2009년 4월~8월)은 KBS 방영판을 사용했다.
캐릭터 | 일본판 성우 | TBC판 성우 | KBS판 성우 | SBS판 성우 |
---|---|---|---|---|
폴 | 시라카와 스미코 | 최수민 | 김순원 | 박영남 |
니나 | 요코자와 케이코 | 이영주 | 유지영 | 송도영 |
돗페 | 타노나카 이사무 | 故 김현직 | 조동희 | 유해무 |
팩쿤 | 이치류사이 하루미 | 이향숙 | 이경자 | 지미애 |
벨트 사탄 | 오오히라 토오루 | 김정경 | 설영범 | 한상덕 |
키노피 | 마루야마 히로코 | 우문희 | 박은숙 | 손정아 |
거미족 수령 | 노모토 레이조 | |||
롤러 거인 | 다나카 야스오 | |||
청동의 기사 | 니시카와 이쿠오 | |||
아크나이터 | 테라시마 미키오 | |||
우라지노 | 이마니시 마사오 | |||
안나 | 토모치카 케이코 | |||
제니알 | 치바 코이치 | |||
에밀 | 하마다 스시코 | |||
톡카메르 | 아즈사 킨조 |
; 우라지노
裏地野|우라지노일본어[12]
: 폴의 아버지로, 자택에서 양복점을 운영하고 있다.
; 안나
アンナ|안나일본어[13]
: 폴의 어머니로, 남편과 함께 양복점에서 일하고 있다.
; 제니알
ゼニアル|제니아루일본어[14]
: 니나의 아버지이다. 딸 니나가 이상한 세계에서 아직 돌아오지 못했다는 것을 알고 폴의 집에 쳐들어왔다. 니나가 벨트 사탄에게 유괴당했다는 폴의 말을 믿지 않고 폴을 증오한다.
; 에밀
エミル|에미루일본어[15]
: 니나의 어머니이다. 딸 니나가 벨트 사탄에게 유괴당한 것을 걱정하고 있다.
; 톡카메르
トッカメール|톳카메루일본어[16]
: 제니알의 의뢰로 도베르만을 사용하여 니나 실종 사건을 수사하는 형사이다. 폴이 주장하는 "이상한 세계"를 전혀 믿지 않아 팩쿤의 초능력이 통하지 않았고, 니나가 구출되어도 진상을 알 수 없었다. 융통성이 없는 반면 열렬한 UFO 마니아로, 반딧불이를 UFO로 착각하고 흥분한 적도 있다.
2. 1. 주인공 일행
; 폴ポール|폴일본어
: 성우는 시라카와 스미코, 최수민(TBC), 김순원(KBS), 박영남(SBS)이다.
: 이 만화의 남자 주인공으로, 공상을 좋아하는 소년이다. 가난한 재단사의 아들이지만 감수성이 풍부하여 이상한 나라를 믿는다. 부모님에게 생일 선물로 받은 인형 찌찌(팩쿤)의 도움으로 이상한 나라로 떠난다. 처음 이상한 나라에 갔을 때 대마왕에 의해 여자친구 니나가 납치되자, 니나를 구하기 위해 여러 번 이상한 나라를 왕래했지만 실패한다. 하지만 나중에 대마왕으로부터 니나를 구출하는데 성공한다. 니나를 구한 이후에도 대마왕에 의해 위험에 빠진 이상한 나라를 구하기 위해 이상한 나라를 왕래한다. 딱부리라는 요요를 가지고 있으며, 대마왕의 부하들과 맞서 싸운다.
: 폴은 아끼는 미니카를 오컬트 해머로 크게 만든 "미라클 카"를 타고 "메카 요요"를 무기로 싸운다. 니나가 벨트 사탄에게 납치된 것을 아무도 믿어주지 않았지만, 몇 번은 다른 친구들을 데리고 이상한 세계로 여행을 떠났다(그러나 대부분 "꿈이었다"고 판단되었다). 니나 구출 이후에도 자신들이 벨트 사탄을 부활시켜 이상한 세계의 주민들에게 폐를 끼치고 있다는 것에 책임을 느끼고, 벨트 사탄을 쓰러뜨리기 위해 팩쿤들과 이상한 세계로 여행을 떠난다.
; 니나
ニーナ|니나일본어
: 성우는 요코자와 케이코, 이영주(TBC), 유지영(KBS), 송도영(SBS)이다.
: 긴 금발을 가진 소녀로 폴의 여자친구이자 정신적인 지주이다. 부잣집 딸이며 처음으로 이상한 나라를 갔을 때 대마왕에 의해 납치되었다가 나중에 폴에 의해 구출된다. 이후 폴 일행과 합류하여 대마왕에 의해 위험에 빠진 이상한 나라를 구하기 위해 이상한 나라를 왕래하게 된다.
: 상냥한 성격이지만, 겉으로는 약해 보여도 강인한 면도 있다. 제1화에서 이상한 세계에서 벨트 사탄에게 붙잡히지만, 몇 번이나 스스로 벨트 사탄으로부터의 탈출을 시도했고, 마침내 제17화에서 자신을 감시하고 있던 키노피를 속여 간신히 폴의 곁으로 도망쳐 나왔다. 그 이후에도 벨트 사탄을 쓰러뜨리기 위해 폴 일행과 이상한 세계로 여행을 떠난다. 구출 전에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 에피소드도 있다.
; 돗페
ドッペ|돗페일본어
: 성우는 타노나카 이사무, 故 김현직(TBC), 조동희(KBS), 유해무(SBS)이다.
: 니나가 기르는 애완견으로 덩치가 큰 세인트 버나드 종의 개이다. 보통 때는 평범한 개에 불과하지만, 이상한 나라에서는 사람처럼 말도 할 수 있고 두 발로 설 수 있으며 큰 귀로 하늘을 날기도 하지만 고소공포증이 심하여 높은 곳만 보면 금방 놀라는 편이다. 폴, 찌찌와 함께 니나를 구하기 위해 이상한 나라로 떠나게 되며 니나가 구출된 후에도 이상한 나라를 구하고 대마왕을 무찌르기 위해 이상한 나라를 왕래하게 된다.
: 팩쿤이 깨어 있는 동안에는 옷을 입고 두 발로 서서, 폴 일행과 대화도 할 수 있다. 느긋하고 겁이 많다. 또한, 귀를 펄럭여 하늘을 날 수도 있지만, 고소공포증이 있다. 폴이 요요를 무기로 적과 싸우는 것에 대해, 맨손으로 싸운다. 육탄전에서는 꽤 믿음직한 동료이다.
; 팩쿤
パックン|팩쿤일본어
: 성우는 이치류사이 하루미, 이향숙(TBC), 이경자(KBS), 지미애(SBS)이다.
: 폴의 부모님이 폴을 위해 생일을 맞아 직접 만든 봉제인형이었지만 그 속에 이상한 나라에서 온 정령이 깃들어져있다. 말을 할 줄 알며 시간을 정지시키는 능력을 가졌다. 뿅망치같은 도구로 바닥을 쳐서 이상한 나라로 가는 통로를 만든다. 대마왕에 의해 위험에 빠진 이상한 나라를 구하기 위해 폴 일행하고 이상한 나라로 떠나게 되지만 보통 때는 그냥 인형에 불과하다. 마지막에는 폴 일행하고 작별을 하고 나서 그의 고향인 요정 나라로 떠나게 되며 인형은 그대로 현실 세상에 남게 된다. 참고로 TBC판에서는 찌찌라는 이름의 캐릭터가 없고 주제가에만 나오는 이름이다.
: 이상한 세계의 요정으로, 폴이 공상하기를 좋아하는 것에 매료되어 현실 세계로 왔다. 그리고 폴이 부모님으로부터 생일 선물로 받은 인형이 너무나 자신과 닮아서 빙의했다. 잠에서 깨어나면 현실 세계의 시간이 멈추고, "이상한 세계"를 믿는 자만이 그 공간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오컬트 해머를 사용하여, 이상한 세계와 원래 세계를 오갈 수 있는 미라클 게이트를 열고, 장난감이나 도구를 크게 하여 무기로 바꿀 수 있다. 목에 건 초커 (니나에게서 폴에게의 생일 선물)가 타이머가 되어 있지만, 이 타이머가 울리면 초능력을 다 써 버리고, 인간이 이상한 세계에서 살아갈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현실 세계로 돌아가야 하며, 중요한 순간에 시간이 다 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2. 2. 악당
; 벨트 사탄ベルトサタン|베르토사탄일본어
: 오오히라 토오루 · 김정경(TBC) · 설영범(KBS) · 한상덕(SBS)
: 2천 년 만에 부활한 이상한 나라의 마왕이다. 과거에 봉인되었다가 깨어나 이상한 나라를 지배하게 되었으며, 이상한 나라 전체를 정복하려는 야욕을 가지고 있다.[1] 인간 소녀 니나의 힘을 이용하여 자신의 부활과 이상한 나라 정복을 꿈꿨으나, 니나를 구하려는 폴 때문에 실패한다.[1] 폴과 싸우다가 폴이 던진 딱부리에 의해 한쪽 뿔이 부러져 힘이 약해지기도 했다.[1] 포악하고 독재적인 성격으로 자신의 뜻을 거역하는 자들을 무참히 짓밟으며, 폴 일행을 제거하기 위해 온갖 수단을 동원한다.[1] 나중에는 부러졌던 뿔이 재생되기도 했지만, 마지막에는 폴, 니나, 삐삐가 던진 딱부리, 목걸이, 개목줄에 의해 양쪽 뿔이 모두 부러져 완전히 소멸된다.[1]
: 키가 10미터가 넘는 거대한 몸집에 파란색 몸, 날개와 꼬리, 붉은 눈, 그리고 2개의 뿔을 가지고 있다. 오른쪽의 "마력의 뿔"과 왼쪽의 "행동력의 뿔"이라고 불리는 2개의 머리 뿔이 약점이다.[6] 폴의 요요에 의해 한쪽 뿔이 꺾인 후에는 불사신의 동굴에 살면서 작전을 키노피에게 맡기는 경우가 많아졌다.[6]
; 키노피
キノッピー|키놋피일본어
: 마루야마 히로코 · 우문희(TBC) · 박은숙(KBS) · 손정아(SBS)
: 원래 평범한 버섯이었지만 대마왕 벨트사탄에 의해 그의 분신이 되어 폴 일행을 집요하게 괴롭힌다.[2] 사실은 대마왕의 앞잡이 노릇을 한 허수아비에 불과했다.[2] 대마왕을 위해서라면 충성을 다 바치는 성격이며, 대마왕이 폴에 의해 한쪽 뿔이 부러져 힘이 약해졌을 때 대마왕을 대신해서 폴과 싸우기도 했다.[2] 나중에는 이용가치가 없다며 대마왕에게 배신당한 뒤 개과천선하여 폴 일행을 돕다가 마지막에 본래의 버섯으로 돌아간다.[2] 통나무를 타고 다니며 버섯가루 공격으로 폴 일행을 괴롭히지만 악역 치고는 미워할 수 없는 인물이다.[2]
: 제17화에서 벨트 사탄의 마력으로 태어난 부하로, 벨트 사탄을 "사탄 님"이라고 부른다.[7] 덜렁거리는 성격 탓에 이상한 세계 제패와 폴 일행을 제거하는 데 자주 실패한다.[7] 나무 에어 바이크 같은 탈것("하늘을 나는 통나무")을 타고 하늘을 날아다니며, 머리에서 여러 종류의 독가루를 뿌릴 수 있다.[7]
; 기타 악당
3. 용어 및 가상 장소
;시간 정지(시간 멈춤)
:찌찌가 양쪽 눈을 통해 현실 세계의 시간을 멈추게 하는 현상이다. 이때 폴, 니나, 찌찌, 삐삐를 제외한 모든 사람들의 행동이 일시적으로 멈춘다. 찌찌와 삐삐는 이때부터는 모습은 각자 그대로이면서 사람처럼 행동하게 된다. 처음에는 폴, 니나, 삐삐도 멈춘 적이 있으나 찌찌에 의해 시간이 멈춘 와중에도 움직일 수 있게 되었다. 이때 폴 일행은 멈춰져 있는 사람이나 동물, 사물 등을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현실로 돌아오게 되면 다시 정상적인 생활이 시작되며 옮겨진 사람이나 사물 등은 옮겨진 곳에서 다시 움직이게 된다. 반대로 시간이 멈추기 직전에 그대로 있는 사람이나 사물 등은 변동 없이 정위치에 그대로 있다. 의외로 이상한 나라를 믿는 등의 다른 사람도 찌찌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1]
;터널
:찌찌의 뿅망치로 만들어지는 터널로 현실 세계와 이상한 나라 사이의 길목 역할을 맡고 있다. 폴 일행은 여기에 들어가게 되면 아무 의식이 없듯 흐물한 모습으로 현실 세계와 이상한 나라 사이를 왕래하게 된다.[1]
;대마왕 소굴
:폴에 의해 한쪽 뿔이 부러져 힘이 약해진 대마왕이 숨어서 지내게 되었던 소굴로 암흑스럽고 음침한 분위기를 가졌다. 대마왕은 이곳에서 부하인 버섯돌이(키노피)에게 명령을 부여하고 폴 일행을 없애기 위한 수단과 방법 등을 짜낸다. 그러나 나중에 대마왕이 힘을 되찾아 부러졌던 뿔이 생성되면서 대마왕에 의해 사실상 파괴되었다.[1]
;대마왕 뿔
:대마왕의 머리에 좌우로 뾰족하게 나 있는 뿔로서 대마왕에게는 사실상 뿔이 급소 역할을 한다. 보기에는 뾰족한 보통 뿔로 보이지만 그 속에는 다른 역할이 들어있으며 왼쪽 뿔은 마력(魔力)을 부르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오른쪽 뿔은 대마왕이 움직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폴이 니나를 구하게 되었을 때 대마왕과 싸워서 부러뜨린 뿔은 대마왕이 움직이는 역할을 하는 오른쪽 뿔이다. 때문에 대마왕은 오른쪽 뿔이 부러진 후에는 밖에 나가지 못하고 소굴에서 은신하며 지내게 되었지만, 아직 남아있는 마력을 부르는 왼쪽 뿔이 남아있기 때문에 소굴 안에서도 마력을 부릴 수 있었다(버섯돌이(키노피)에게 마력과 괴물 등을 붙여주는 것도 이 때문이다). 마지막에는 대마왕의 자력(自力)으로 부러졌던 오른쪽 뿔이 재생되어 대마왕이 밖에서 행동할 수 있게 되었지만 폴, 니나, 삐삐가 던진 딱부리, 목걸이, 개 목줄에 의해 양쪽 뿔이 모두 잘리게 되었고 이로 인해 결국 대마왕이 완전히 소멸되었다.[1]
3. 1. 현실 세계
폴 일행이 평범하게 살고 있는 인간세상을 말하며, 여기에서는 이상한 나라와는 달리 찌찌와 삐삐가 각각 봉제인형과 보통 개로 활동한다.[1] 대마왕의 마력(魔力)이 이곳에 미치게 되거나 이상한 나라에서 현실세계에 신호를 보내는 경우 이변이 일어나기도 한다.[1]3. 2. 이상한 나라
4차원의 세계로 현실세계와는 다르면서도 때로는 똑같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 세계이다. 폴, 니나, 삐삐(돗페)는 이상한 나라에서 온 정령의 혼(魂)이 씌인, 폴이 부모님으로부터 선물받은 봉제인형인 찌찌(팟쿤)에 의해 처음으로 이 곳을 알게 된다. 각 나라 및 세계별로 독특하고 기이한 문화와 풍습 등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인형인 찌찌는 이상한 나라에서 온 정령에 의해 사람처럼 말을 하고 움직이는 능력을 가졌으며, 니나의 애완견인 삐삐도 모습은 개이지만 몸은 사람처럼 두 발로 걷고 말을 할 수 있으며 때로는 새처럼 큰 귀를 통해 하늘을 날아다니는 능력을 가지기도 한다. 하지만 오랜 잠에서 깨어난 대마왕(벨트사탄)에 의해 위험에 빠지기도 했으나 폴 일행에 의해 구해지게 되었다. 폴 일행이 현실로 돌아가는 경우에는 찌찌가 목걸이를 통해 시간이 다 되었음을 알려주면서 뿅망치로 바닥을 쳐서 현실세계와 이상한 나라로 가는 통로를 만들어내기도 한다(마지막에는 뿅망치 효력이 소진되어 완전히 부서져 깨졌다).[4]3. 3. 도구
폴의 요요는 빨간 바탕에 흰색 'P'자가 새겨져 있다. 찌찌의 뿅망치로 치면 황금색으로 변하여 커지면서 상대를 공격하는 무기가 된다.[1]폴은 장난감 자동차를 가지고 있는데, 이상한 나라에서는 이 요술차를 직접 타고 운전하며 하늘을 날아다닐 수 있다.[1]
찌찌는 뿅망치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으로 바닥을 치면 이상한 나라로 가는 터널이 만들어진다. 뿅망치로 다른 도구를 치면 그 도구가 커지는 효과도 있다.[1]
니나는 푸른색 삼각형 목걸이를 매고 있는데, 푸른색 바탕에 하트 모양이 새겨져 있다. 이 목걸이는 마지막에 대마왕을 무찌르는 데 사용되었다.[1]
삐삐는 붉은색 개 목줄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도 마지막에 대마왕을 무찌르는 데 사용되었다.[1]
4. 에피소드 목록
회차 | 방영일 | 부제 | 원제 |
---|---|---|---|
1 | 1976년 10월 3일 | 부활한 벨트사탄 | よみがえったベルト・サタン (납치된 니나) |
2 | 1976년 10월 10일 | 공포의 거미성 | 恐怖のクモの巣城 (거미의 성) |
3 | 1976년 10월 17일 | 우츠보카즈라의 추격 | ウツボカズラの追撃 (사마귀의 추적) |
4 | 1976년 10월 24일 | 암석 거인의 비밀 | 岩石巨人の秘密 (바위 위 괴물의 비밀) |
5 | 1976년 10월 31일 | 해골의 역습 | ガイコツの逆襲 (독수리의 기습) |
6 | 1976년 11월 7일 | 전전마인의 대결 | 電電魔人の対決 (천둥번개와 번개소녀) |
7 | 1976년 11월 14일 | 공포의 롤러 거인 | 恐怖のローラー巨人 (이상한 나라의 악기) |
8 | 1976년 11월 21일 | 선인장 나라에 꽃이여 피어라 | サボテン国に花よ咲け (괴물 선인장) |
9 | 1976년 11월 28일 | 악당조인을 쓰러뜨려라 | 悪党鳥人を倒せ (새들의 나라) |
10 | 1976년 12월 5일 | 깨어나라! 청동의 기사 | めざめよ! 青銅の騎士 (청동의 기사) |
11 | 1976년 12월 12일 | 추억 속 니나의 꽃 | 思い出のニーナの花 (니나의 꽃) |
12 | 1976년 12월 19일 | 도어 성의 소년 | ドア城の少年 (앵무새의 흉내) |
13 | 1976년 12월 26일 | 밤의 괴물 아크나이터 | 夜の怪物アクナイター (암흑의 왕) |
14 | 1977년 1월 2일 | 불타라 불꽃! 한번 더 | 燃えろ炎! もう一度 (살아나는 불꽃) |
15 | 1977년 1월 9일 | 거인의 나라에 어택 | 巨人の国にアタック (거인의 나라) |
16 | 1977년 1월 16일 | 종이접기 나라의 결전 | おりがみ国の決戦 (종이나라의 여행) |
17 | 1977년 1월 23일 | 벨트사탄의 뿔을 노려라 | ベルト・サタンの角を狙え (대마왕의 뿔) |
18 | 1977년 1월 30일 | 스페이드 마녀의 눈물 | スペード魔女の涙 (마녀의 눈물) |
19 | 1977년 2월 6일 | 시간을 잊은 시계 나라 | 時を忘れた時計国 (시간을 잊은 시계) |
20 | 1977년 2월 13일 | 슬픔의 화화성 | 悲しみの花火城 (슬픔의 불꽃성) |
21 | 1977년 2월 20일 | 거대 렌즈의 분노 | 巨大レンズの怒り (오목이와 불록이) |
22 | 1977년 2월 27일 | 메카 타운의 최후 | メカタウンの最後 (기계나라의 컴퓨터) |
23 | 1977년 3월 6일 | 거꾸로 대소동 | アベコベ大騒動 (거꾸로 가는 나라) |
24 | 1977년 3월 13일 | 흔들흔들 그림자여 일어서라 | ユラユラ影よ立ちあがれ (그림자의 나라) |
25 | 1977년 3월 20일 | 그림책의 그려라! 자유의 거리 | 絵本に描け! 自由の街 (빨간 그림물감) |
26 | 1977년 3월 27일 | 톳카멜 형사의 모험 | トッカメール刑事の冒険 (토카멜 형사의 모험) |
27 | 1977년 4월 3일 | 성모 마리아의 눈물 | 聖母マリアの涙 |
28 | 1977년 4월 10일 | 음표인간이여 평화를 불러라 | 音符人間よ平和をよべ (평화의 종소리) |
29 | 1977년 4월 17일 | 소생하라! 양심의 등불 | よみがえれ! 良心の灯 (양심의 등불) |
30 | 1977년 4월 24일 | 미래를 도둑맞은 나라 | 未来を盗まれた国 (원숭이가 된 사람들) |
31 | 1977년 5월 1일 | 태양을 잃어버린 야채인간 | 太陽を失った野菜人 (호박 할아버지) |
32 | 1977년 5월 8일 | 마의 세포세계 | 魔の細菌世界 (세균들의 전쟁) |
33 | 1977년 5월 15일 | 일곱 색을 되찾아라 | 七つの色をとりもどせ (빛의 가족) |
34 | 1977년 5월 22일 | 팟쿤 고향으로 돌아가다 | パックン故郷へ帰る (고향에 돌아간 찌찌) |
35 | 1977년 5월 29일 | 도기인의 변신 | 陶器人の変身 (휼룡한 도자기) |
36 | 1977년 6월 5일 | 미니미니 나라여 손을 잡을 수 있다(전편) | ミニミニ国よ手をつなげ(前編) (소인국의 전쟁 (전편)) |
37 | 1977년 6월 12일 | 미니미니 나라여 손을 잡을 수 있다(후편) | ミニミニ国よ手をつなげ(後編) (소인국의 전쟁 (후편)) |
38 | 1977년 6월 19일 | 장난감이 만든 사랑의 다리 | オモチャが作った愛の橋 (우정의 다리) |
39 | 1977년 6월 26일 | 이상한 숫자 인간 | ふしぎな数字人間 (컴퓨터 왕국) |
40 | 1977년 7월 3일 | 바다 속의 모험 놈 | 海の中の冒険野郎 (모험을 떠나는 샌디) |
41 | 1977년 7월 10일 | 희망과 용기가 되는 나무 | 希望と勇気のなる木 (희망이 열리는 나무) |
42 | 1977년 7월 17일 | 일어서라! 애니멀 나이츠 | 立ちあがれ! アニマルナイツ (힘을 물리친 지혜) |
43 | 1977년 7월 24일 | 비누방울 언제까지나 | シャボン玉よいつまでも (비누방울로 만든 예술품) |
44 | 1977년 7월 31일 | 토템볼의 분노 | トーテムポールの怒り (평화의 기도) |
45 | 1977년 8월 7일 | 꽃의 여동생 릿피 | 花の妹リッピー (꽃의 요정) |
46 | 1977년 8월 14일 | 벨트사탄의 부활 | ベルトサタンの復活 (생명의 꽃) |
47 | 1977년 8월 21일 | 과자 나라의 카니발(전편) | お菓子の国のカーニバル(前編) (과자축제 (전편)) |
48 | 1977년 8월 28일 | 과자 나라의 카니발(후편) | お菓子の国のカーニバル(後編) (과자축제 (후편)) |
49 | 1977년 9월 4일 | 몰아넣어라! 벨트사탄 | 追いつめろ! ベルトサタン (대마왕의 뿔을 잡아라) |
50 | 1977년 9월 11일 | 안녕! 이상한 나라 | さようなら! 不思議な世界 (안녕! 이상한 세계) |
5. 제작진
직책 | 이름 |
---|---|
감독 | 사사카와 히로시 |
에피소드 연출 | 니시쿠보 미즈호, 우에다 히데히토 |
각본 | 토리우미 진조, 야마모토 유 |
기획 | 토리우미 진조, 야나가와 시게루 |
원작 | 요시다 타츠오 |
캐릭터 디자인 | 시마모토 아키코, 나카무라 미츠키 |
미술 감독 | 나카무라 미츠키 |
애니메이션 감독 | 노베 하야오 |
음악 | 키쿠치 슌스케 |
애니메이션 제작 | 타츠노코 프로덕션, 탑크래프트 |
제작 | 타츠노코 프로덕션 주식회사 / 후지 텔레비전 |
제작 | 요시다 타츠오 (OP 크레딧에서 제1버전은 "龍"으로 되어 있지만, 제2버전부터 "竜"으로 수정되었다.) |
치프 디렉터 | 사사카와 히로시 |
프로듀서 | 쿠리 잇페이, 시바타 마사루, 나가이 마사시 (두 버전 모두 "프로듀서"의 표기가 "프로듀서"로 되어있다.) |
작화 감독 | 노베 하야오 → 후쿠야마 마사토시 |
작화 감독 보조 | 후쿠야마 마사토시 |
미술 담당 | 노노미야 츠네오, 코스기 미츠요시 |
작화 담당 | 후쿠야마 마사토시 |
원화 | 나카지마 츄지, 단나이 츠카사 외 |
배경 | 스튜디오 빅, 미니아토 |
마무리 | 스튜디오 오니온, 류 마무리 센터, 스튜디오 룩, 톱크라프트 |
녹음 디렉터 | 미즈모토 칸 |
녹음 | 타카하시 히사요시 |
효과 | 카토 쇼지 (이시다 사운드 → 애니메이션 사운드 프로덕션) |
현상, 스키 애니메이트 협력 | 도요 현상소 |
촬영 | 오가타 노리오, 히라야마 아키오, 아키츠 미노루, 하라 마사카즈, 케소쿠 요시히로, 키쿠치 카즈히토, 오모토 히로야스, 오타 코지, 코니시 카즈히로, 하라 헤이이치, 하시모토 카즈노리 |
편집 | 타니구치 하지메, 토다 레이코, 니시데 에이코, 미키 사치코, 키다 토모코, 츠루 요코 |
진행 | 메시다 카즈코, 스기타 타카시, 야마다 료이치, 세키구치 카즈코, 호소야 미츠루, 사카이 스미, 미노구치 카츠미, 타시로 후미오, 오카지마 유지, 이토 히로시, 니시야마 코이치, 와쿠타 토시후미 |
협력 | 아드코스모, 톱크라프트 |
제작 데스크 | 세키구치 카즈코 |
제작 담당 | 나카노 마사노리 (타츠노코 프로덕션), 우치마 미노루, 오노 미노루 (요미광) |
6. 한국 방영
1978년 동양방송에서 처음 방영되었으며, 이후 KBS와 서울방송에서도 방영되었다.[4] 2009년 4월부터 8월까지 한국교육방송공사에서 KBS 방영판을 재방영하였다. 35화 '도기인의 변신' 편은 왜색이 짙어 TBC, KBS, SBS에서 모두 방영되지 않아, 대한민국 더빙판은 총 49화로 단축 방영되었다.
한국어 더빙판 주제가는 이지혜가 불렀으며(어린이왕국 버전, TBC 버전, KBS 버전), SBS 버전은 강준규와 맹준용이 불렀다.
7. 기타
한국어 더빙판은 TBC, KBS, SBS에서 각각 다른 주제가를 사용했다. TBC와 KBS 버전은 이지혜가 불렀고, 일본어 엔딩곡을 한국어 오프닝곡으로 사용했다. SBS 버전은 강준규, 맹준용이 불렀다.[3]
대한민국에서는 왜색이 짙은 35화 '도기인의 변신' 편이 TBC, KBS, SBS 모두 방영되지 않았다. 따라서 대한민국 더빙판은 총 49화로 단축 방영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ポールのミラクル大作戦』
http://www.tatsunoko[...]
www.tatsunoko.co.jp
2015-11-14
[2]
웹사이트
Tatsunko Production
http://www.tatsunoko[...]
2008-07-20
[3]
웹사이트
Saban Promotional Flyers (late 80s)
https://archive.org/[...]
[4]
서적
東京12チャンネルの挑戦
[5]
웹사이트
タツノコ世界遺産 タツノコ作品と視聴率
https://web.archive.[...]
[6]
서적
コンフィデンス年鑑 1978年版
[7]
뉴스
北海道新聞
1977-03
[8]
뉴스
河北新報
1977-01-01
[9]
뉴스
河北新報
1976-10-13
[10]
뉴스
福島民報
1976-10-03
[11]
뉴스
福島民報
1977-04-03
[12]
뉴스
日刊スポーツ
1976-12-01
[13]
뉴스
日刊スポーツ
1976-12-05
[14]
뉴스
北國新聞
1976-11-04
[15]
뉴스
南日本新聞
1977-09-11
[16]
뉴스
南日本新聞
1977-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