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역사(History)는 과거의 사건과 기록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영어 단어 "history"는 고대 그리스어 "ἱστορία"(historia)에서 유래되었으며, "알다", "보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역사는 단순히 과거의 사실을 나열하는 것을 넘어,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고, 인간 사회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역사는 문자의 사용 여부에 따라 선사 시대와 역사 시대로 구분되며, 시대는 고대, 중세, 근세, 현대 등으로 나뉜다. 역사가들은 다양한 자료(기록, 유물, 구전 등)를 분석하고, 역사적 방법론을 통해 과거를 재구성한다. 역사 연구는 정치사, 경제사, 사회사, 문화사 등 다양한 분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역사학은 역사서술론, 역사철학, 역사 교육 등과도 관련된다. 또한, 역사 연구는 고고학, 지리학, 인류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융합되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사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역사 - 야사
  • 시간 및 날짜 및 달력에 관한 - 그레고리력
    그레고리력은 1582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율리우스력의 오차를 수정하기 위해 제정하여 400년에 97번의 윤년을 두는 방식으로 개선되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역법이다.
  • 시간 및 날짜 및 달력에 관한 - 태양력
    태양력은 지구의 공전 주기를 바탕으로 계절 변화를 예측하는 역법으로, 이집트에서 시작되어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으로 발전하며 현재 세계 대부분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역사
구글 지도
어원
어원그리스어 "ἱστορία" (히스토리아), "탐구; 조사로 얻은 지식"
주요 개념
주요 개념고고학
연대기
공통 시대 (기원후, 그레고리력)
역사적 방법
역사학
시대 구분
기록된 역사
역사 자료 (1차 자료, 2차 자료, 3차 자료)
시대
시대선사 시대
고대사 (청동기 시대, 고전 고대)
탈고전 시대 (중세 초기, 중세 전성기, 중세 후기)
근대사 (근대 초기 역사, 근대 후기 역사, 현대사)
지역별 역사
지역별 역사아프리카
남극
오스트레일리아
중앙아메리카
동아시아
유럽
중동
뉴질랜드
북아메리카
태평양 제도
남아메리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카리브해
주요 역사가
주요 역사가반고
반조
베다
디오
기번
헤로도토스
이븐 할둔
이시도르
요세푸스
리비우스
마네토
플루타르코스
폴리비오스
살루스티우스
수에토니우스
타키투스
테일러
투키디데스
크세노폰
좌구명
연표
연표선사 시대
고대
탈고전 시대
근대
미래

2. 어원

영어 'history'는 고대 그리스어 '히스토리아(ἱστορία)'에서 유래했으며, "알다", "보다"라는 뜻을 가진다. 이는 원시 인도유럽어 '*wid-tor-'에서 나온 말로, "알다", "보다"를 뜻하는 ''*weid-''에서 유래했다.[200] 이 어근은 영어의 ''wit'', ''wise'', ''wisdom'', ''vision'', ''idea'', 산스크리트어 ''베다''[201], 슬라브어 ''videti'', ''vedati'' 등에 남아있다.[202]

한자어 '역사(歷史)'는 근대 이후 'history'의 번역어이며, 동아시아에서 역사를 의미하는 '사(史)'는 원래 '기록하는 사람'을 뜻했다. 사마천의 《사기》에서 유래했다.

2. 1. 영어 'history'의 어원

영어 단어 'history'는 고대 그리스어 'historia'(ἱστορία)에서 유래했다. 'historia'는 '알다', '보다'라는 뜻을 가진 원시 인도유럽어 '*wid-tor-'에서 파생된 단어로, '조사와 탐문을 통해 얻은 지식'을 의미한다.[200] 이 단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 《동물사》에서도 사용되었다.

'historia'는 현자, 증언자, 판관을 뜻하는 'hístōr'(ἵστωρ)에서 유래했으며, 호메로스의 시, 헤라클레이토스, 아테네 젊은이들의 선서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16세기 말 프랜시스 베이컨은 'historia'를 '기억에 따른 지식'으로 정의했으며, 이는 추론에 따른 과학, 환상에 따른 와 구분된다.

'history'는 14세기에 중세 영어로 유입되어 '이야기'를 뜻하다가 15세기 말 '과거 사건의 기록'으로 의미가 좁혀졌다.[38][39]

2. 2. 한자어 '역사(歷史)'의 어원

한자어 '역사(歷史)'는 근대 이후 'history'의 번역어이며, 동아시아에서 역사를 의미하는 '사(史)'는 원래 '기록하는 사람'을 뜻했다. '사(史)'는 사마천의 《사기》(史記)에서 유래하였다.

'역사(歷史)'라는 단어 자체는 삼국지 오주전 배송지 주석에서 "비록 한가한 시간이 있더라도, 책과 전적, 역사를 널리 읽는다"라고 등장하는 것이 현재 확인 가능한 가장 오래된 예이다.[191] 이후 남제서 무십칠왕전에도 등장한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역사(歷史)'라는 단어가 거의 보급되지 않았고, 명나라 원황의 《역사망감보》를 통해 일본 에도 시대에 보급되었다.

에도 시대 말기, 서양어 사전과 번역서에서 'history'의 번역어로 '역사'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호리 다쓰노스케의 《영화대역사전》(1862년)에서 history에 '역사(歴史), 기록(記録)'을 대응시켰고, J.C. 헵번의 《화영어림집성》(1867년)에서도 rekishi(역사)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이후 일본에서의 번역어 '역사'는 과 현대 중국에도 받아들여졌다.[192]

3. 역사 서술

역사가는 역사의 관찰자이자 참여자로서, 자신이 살았던 시대의 관점과 미래에 대한 교훈을 염두에 두고 역사를 쓴다. 베네데토 크로체는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이다"라고 말했다.[203] 역사 연구는 인문학사회과학의 방법론을 통합하며, 현대 학계에서는 점차 사회과학으로 분류되는 추세이다.[204] 역사가는 기록, 구전, 유물 등 다양한 사료를 참고하며,[205] 고고학은 역사 연구에 유용한 분야이지만, 이야기 자료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4. 역사 기술의 방법론

역사적 방법론은 역사가들이 과거를 연구하고 해석하는 데 사용하는 기법들의 집합으로, 증거를 수집, 평가 및 종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117] 이는 역사적 증거가 선택, 분석 및 해석되는 방식에 있어 학문적 엄격성, 정확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고자 한다.[118] 역사 연구는 종종 연구 범위를 정의하기 위한 연구 질문으로 시작된다. 어떤 연구 질문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한 간단한 묘사에 초점을 맞춘다. 다른 질문들은 특정 사건이 발생한 이유를 설명하거나, 기존 이론을 반박하거나, 새로운 가설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19]

역사 연구 분야는 조사 대상 지역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57] 지리학은 식량 생산, 천연 자원, 경제 활동, 정치적 경계, 문화적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58] 일부 역사 연구는 마을이나 정착지와 같은 작은 지역에 범위를 국한하는 반면, 다른 연구는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오세아니아와 같이 대륙 전체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에 초점을 맞춘다.[60]

역사가들은 종종 정치사, 경제사, 사회사 등 특정 분야에 속하는 주제를 연구한다.[92] 이러한 분야들 사이의 경계는 모호하며, 지성사와 같은 다른 주제적 분야와의 관계는 항상 명확하지 않다.[93]

역사의 여러 분야는 방법에 따라 특징지어지는데, 계량적 역사와 디지털 역사는 계량적 방법과 디지털 미디어에 의존한다.[107] 비교 역사는 서로 다른 시대, 지역 또는 문화의 역사적 현상을 비교한다.[108] 구술 역사는 서면 문서가 아닌 구술 보고서에 의존한다.[109] 반실제 역사는 반실제적 사고를 사용하여 역사의 대안적인 과정을 조사한다.[110] 마르크스주의와 페미니즘 역사와 같이 이론적 관점에 따라 구별되는 분야도 있다.[111]

거대사는 빅뱅에서 현재까지, 세계사는 전체 인류 역사를 다룬다.[112][113] ''거대사'', ''중간사'', ''미시사''는 분석 규모를 나타낸다.[114] 역사적 전기는 개인의 삶을 역사적 맥락과 함께 서술한다.[115]

대중 역사는 역사를 일반 대중에게 제시하는 활동으로, 박물관, 역사 유적지 및 대중 매체와 같은 곳에서 이루어진다.[116]

4. 1. 자료 비판

역사 연구는 연구 질문에서 시작하여 1차 자료와 2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거친다. 자료 비판은 자료의 진정성을 평가하는 외부 비판과 내용의 정확성을 평가하는 내부 비판으로 나뉜다. 외부 비판은 자료의 작성 시기, 장소, 저자, 작성 이유, 수정 여부 등을 확인한다. 내부 비판은 자료의 내용, 의미의 명확성, 신뢰성, 포괄성 등을 평가하고, 저자의 의도와 편견의 영향을 고려한다.[117][118][119]

4. 2. 역사적 종합

인류 역사 기록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문명, 지배자, 종교, 정치, 경제 등의 관점이 복합적으로 얽혀 오늘날의 역사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안에는 당시 지배자가 자신의 정권과 문화를 정당화하기 위해 사실과 다르거나 각색된 기록도 있다.[119] 또한, 역사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료가 현대까지 남아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119]

이 때문에 다양한 자료를 역사학, 과학적으로 다각적으로 분석하면서 가설과 검증을 거듭하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119]

5. 역사의 시대적 구분

역사는 일반적으로 문자의 사용을 기준으로 선사 시대와 역사 시대로 구분된다. 서양 역사관에 따른 시대 구분은 다음과 같다.[44]

시대내용
선사 시대인류와 유사한 종의 진화 (수백만 년 전) ~ 해부학적으로 현생 인류의 출현 (약 20만 년 전).[49] 인류는 아프리카에서 이주하여 지구 대부분을 채웠다. 초기 형태의 농업으로 정착 생활 방식 선호.[50] 고고학, 인류학 등 학제 간 연구.[51]
고대사기원전 3500년경 최초의 주요 문명 출현.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인더스 문명, 중국, 페루 등. 문자 체계 발전.[52] 힌두교, 불교, 유교, 유대교, 그리스 철학 등 종교 및 철학 사상 형성.[52]
후고대사서기 500년경 시작. 기독교, 이슬람교선교 종교 확산.[53] 몽골 제국은 13세기와 14세기에 지배적인 세력이 됨.[53]
근세서기 1500년경 시작. 유럽 국가들의 세계적 강국 부상. 식민지화.[54] 과학 혁명으로 기술 진보 가속화.[55] 세속화 초래.[55]
근대18세기 말 시작. 산업 혁명으로 경제 변화.[56] 광대한 식민 제국 건설.[56] 세계화 시작.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발발.[56]



위의 시대 구분은 지역과 주제에 따라 다를 수 있다.[46] 예를 들어, 중국 역사는 주요 왕조를 따르며,[47] 아메리카 역사는 콜럼버스 이전 시대, 식민 시대, 포스트 콜로니얼 시대로 구분된다.[48]

6. 고대 문명

현대 문명의 뿌리가 되는 4대 문명 (메소포타미아 문명, 이집트 문명, 인더스 문명, 황하 문명)과 기타 고대 문명은 인류 역사 이해에 중요한 분야이다.



기원전 3500년경 최초의 주요 문명이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인더스 문명, 중국, 페루에서 출현하면서 고대사가 시작되었다. 새로운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복잡성은 문자 체계의 발전을 필요로 했다. 농업의 발전으로 잉여 식량이 발생하여 더 큰 인구를 부양할 수 있게 되었으며, 도시화, 무역망 확립, 지역 제국 출현이 뒤따랐다. 한편, 힌두교, 불교, 유교, 유대교, 그리스 철학과 같은 영향력 있는 종교 체계와 철학적 사상이 처음으로 형성되었다.[52]

초기 역사 서술은 행정상의 목적으로 세금, 전리품, 봉급 등 재정 수지(收支)를 쐐기문자가 새겨진 점토판에 기록한 단순한 목록 형태였다. 점차 인구 조사, 지명, 인명 등이 추가되었고, 고대 이집트에서는 적대하는 부족과 족장의 이름, 거주 지명 등을 기록한 저주 문서도 나타났다.

이처럼 초기 역사 서술은 특정 목적의 목록에서 시작되었으나, 통치자의 업적 등이 추가되면서 점차 '역사'를 상정하지 않았더라도 중요한 '역사 서술'로 발전하였다. 문명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사건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사건의 이름으로 연도를 표시하는 방법이 채택되었으며, 고대 이집트와 우르 제3왕조 시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일반적인 역사 기록 방법이 되었다. 예를 들어, 함무라비 통치 37년은 "(함무라비가) 마르두크의 위광을 얻어 투르크, 카쿰, 스파르투의 나라들을 타도한 (해)"라고 기록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도 해마다 사건을 기록한 상아목재 패를 만들어 파피루스에 옮겨 적는 방식으로 기록을 남겼다. 아메리카 원주민 라코타족의 "겨울 계산"(Winter count)처럼 들소 가죽 등에 그림 문자로 매년 사건을 기록한 사례도 있다.

이처럼 초기에는 1년 단위의 독립된 역사 기록이 주를 이루었으나, 왕의 이름과 재위 연도, 전 왕과의 계보를 기록한 "왕명표"가 만들어지면서 연속적인 역사 기록으로 변화했다. 바빌로니아에서는 카시트 시대부터, 이집트에서는 "팔레르모 스톤"이 만들어진 고왕국 제5왕조 시대(기원전 2350년경)부터 왕명표를 기준으로 한 역사 기록이 시작되었다.

7. 역사와 기억

프랑스의 사회학자 모리스 알박스(Maurice Halbwachs, 1877‒1945)는 기억이 개인뿐 아니라 각 집단(가족, 친구, 학교, 종교 집단, 국민 등)에도 존재한다고 생각했다.[190] 알박스는 이러한 집단 기억을 역사 기술과 대립되는 것으로 보았고, 역사가 관심을 갖는 것은 과거인 반면, 집단 기억은 "현재 집단의 요구와 이익"에 따라 선택적이고 재구성적이라고 했다.[190]

알박스는 집단 기억은 집단의 정체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종교적 전설처럼 허구가 섞일 수도 있는 반면, 역사는 역사가들이 끊임없이 쌓아 올린 과거 정보의 총체로 중립적이라고 했다.[190] 그러나 알레이다 아스만(Aleida Assmann) 등은 알박스처럼 역사를 중립적이라고 보는 견해에 의문을 제기했다. "모든 역사 기술은 동시에 기억의 작업이며, 의미 부여, 당파성, 정체성 확립이라는 여러 조건과 불가피하게 얽혀 있다"고 지적했다.[190] 알레이다 아스만은 알박스의 집단 기억론을 응용하여 "기능적 기억"과 "축적적 기억"으로 나누어 서로 보완하는 것으로 재구성했다.[190]

8. 역사와 시간

역사와 시간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역사적 시간은 자연 시간과 구분된다. 미키 키요시(三木清)는 역사적 시간에 방향성이 있다고 보았으며, “과거”에서 “미래”로 향하는 인과론적 관점과 “미래”에서 “과거”로 향하는 목적론적 관점이라는 두 가지 방향성을 제시했다.[189]

9. 역사 인식

역사 기술은 모든 것을 빠짐없이 기록할 수 없으며, 집필자의 지식, 가치관, 시대적 배경, 능력 등의 제약으로 인해 진실이 왜곡될 수 있다. E. H. 카는 저서 『역사란 무엇인가』에서 이러한 점을 지적했다.[193] 진순신은 "역사는 승자에 의해 쓰여진다"라고 말했다.[194]

역사 인식은 형성에 시간이 걸리므로, 외교 문서 등을 적극적으로 정보 공개하는 국가는 자국에 유리한 정보를 후세에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장기적으로 "역사 기록에 의한 패권"을 얻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195]

10. 역사와 지리학의 관계

역사학자들은 왜 역사적 사건들이 일어났는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 역사학자들은 종종 지리학의 도움을 받는다. 날씨의 패턴, 물의 공급, 그리고 지표면의 생태 등은 모두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끼친다.[206] 예를 들어, 고대 이집트인들이 어떻게 그렇게 성공적인 문명을 이룩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집트의 지리학을 참고해야 한다. 이집트 문명은 나일강변에 세워졌다. 강물은 매년 범람하였고, 그 강둑에 흙이 쌓였다. 비옥한 토양은 농부들이 도시 사람들이 먹기에 충분한 곡식을 기를 수 있게 하였고,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문명화를 돕는 다른 직업을 선택할 수 있게 하였다. 이처럼 역사적 사건들 중에는 지리적 요인에 영향을 받은 일들이 많다.[206]

11. 대륙별 역사

12. 역사 연구의 분야

역사는 특정 시대, 지역, 주제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뉜다. 역사를 배열하는 방법에는 연대기, 문화, 지역, 주제 등 다양한 기준이 있으며, 이들은 서로 겹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1800~1945년 과도기 시대의 국제 여성 운동"과 같이 시간, 지역, 주제가 겹치는 경우가 있다.

역사 연구는 실용적인 목적이나 이론적인 목적을 갖기도 하고, 단지 지적 호기심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한다.[206] 역사 연구 분야는 조사 대상 지역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데,[57] 마을이나 정착지와 같은 작은 지역에 범위를 국한하기도 하고,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오세아니아와 같이 대륙 전체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에 초점을 맞추기도 한다.[60]

역사는 광범위한 연구 분야로 많은 분과를 포함한다. 특정 시대에 초점을 맞추는 분과, 특정 지리적 지역이나 독특한 주제에 집중하는 분과 등 다양한 유형의 전문 분야가 있으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대 이집트의 경제사에 대한 연구는 시간적, 지역적, 주제적 관점을 통합한다. 범위가 넓은 주제의 경우, 1차 자료의 양이 너무 방대하여 개별 역사가가 검토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역사가들은 주제의 범위를 좁히거나 2차 자료에 의존하여 광범위한 개요에 도달해야 한다.[42]

13. 역사학의 다른 분야

역사학의 여러 분야는 방법론, 이론적 관점, 연구 대상의 범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방법론에 따른 구분에는 계량적 역사와 디지털 역사가 있는데, 이들은 각각 계량적 방법과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다.[107] 비교 역사는 서로 다른 시대, 지역, 문화의 역사적 현상을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는다.[108] 구술 역사는 서면 기록이 아닌 구술 자료에 의존하며, 개인적인 경험과 해석을 반영한다.[109] 반실제 역사는 반실제적 사고를 통해 역사의 대안적인 과정을 탐구한다.[110] 이론적 관점에 따라 마르크스주의 역사, 페미니즘 역사 등으로 구분된다.[111]

우주의 진화를 묘사한 그림으로, 왼쪽의 빅뱅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시간 순서대로 우주의 여러 단계를 보여줍니다
다양한 역사 분야 중에서 거대사는 빅뱅에서 현재까지의 시간 틀을 조사함으로써 가장 넓은 관점을 취한다.


연구 대상의 범위에 따라서는, 거대사가 빅뱅부터 현재까지 모든 것을 다루며 가장 넓은 범위를 가진다.[112] 세계사는 인류와 유사한 종의 진화부터 시작하여 전체 인류 역사를 다룬다.[113] ''거대사'', ''중간사'', ''미시사''라는 용어는 전 세계적 패턴부터 작은 공동체나 특정 개인, 사건에 대한 연구까지 분석 규모를 나타낸다.[114] 역사적 전기는 미시사와 관련이 깊으며, 개인의 삶을 역사적 맥락 속에서 서술한다.[115]

대중 역사는 일반 대중에게 역사를 제시하는 활동으로, 주로 박물관, 역사 유적지, 대중 매체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116]

14. 역사학 관련 분야

'''이탈리아 역사'''의 표제지


역사서술론(Historiography)은 역사 연구의 방법과 발전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역사서술가들은 역사가들이 하는 일을 검토하여 역사의 역사라는 형태의 메타이론을 만들어낸다.[147]

메타이론으로서의 역사서술론에서 중심적인 주제는 역사적 탐구에서 증거와 추론의 기준에 초점을 맞춘다. 역사서술가들은 역사가들이 과거에 대한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어떻게 자료를 사용하는지, 그들이 진행하는 해석적 가정의 분석을 포함하여 검토하고 체계화한다. 밀접하게 관련된 문제에는 역사 작품의 서술 방식과 수사적 제시가 포함된다.[148]

다른 역사가들의 작품을 비교함으로써, 역사서술가들은 공유된 연구 방법, 가정 및 스타일을 기반으로 하는 사상 학파를 확인한다.[149] 예를 들어, 그들은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정량적 데이터 사용과 장기간에 걸쳐 일어나는 경제적 및 사회적 발전에 대한 관심과 같은 아날 학파(Annales school)의 특징을 조사한다.[150] 비교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체 시대에 걸쳐 확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역사서술론은 학문 분야로서 역사의 발전을 추적하여 지배적인 방법, 주제 및 연구 목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 강조한다.[151]

대부분의 국가에서 역사는 학교 교육과정의 일부이다.[162] 초기 역사 교육은 학생들이 과거에 대한 흥미를 갖고 역사적 사고의 기본 개념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본적인 역사적 인식을 함양함으로써, 그들의 문화적 뿌리를 이해하도록 도와 정체감을 심어주려 한다.[163] 종종 단순한 이야기를 제시하는 서사적 형태를 취하며, 역사적 인물이나 지역 축제, 명절, 음식의 기원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164] 중등학교에서 접하는 더 심화된 역사 교육은 지역 및 세계적 차원에서 고대사부터 현대사까지 더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다. 또한 역사적 주장을 해석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능력을 포함한 역사 연구 방법론을 학생들에게 알려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165]

역사 교사들은 다양한 교수법을 사용한다. 여기에는 역사적 발전에 대한 서술적 발표, 학생들을 참여시키고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는 질문, 역사적 주제에 대한 토론이 포함된다. 학생들은 역사적 자료를 직접 활용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 활동을 통해 증거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배운다. 그들은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고 설득력 있게 표현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역사적 글쓰기에 참여한다. 구술 또는 필기 시험을 통한 평가는 학습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166] 역사 교육의 전통적인 방법론은 종종 중요한 사건의 날짜와 역사적 인물의 이름과 같이 학생들이 암기해야 하는 수많은 사실들을 제시한다. 대안적 접근 방식은 더 적극적인 참여와 일반적인 패턴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촉진하려고 하며, 무엇이 일어났는지뿐만 아니라 왜 일어났는지 그리고 그 지속적인 역사적 중요성에도 초점을 맞춘다.[167]

국립학교의 역사 교육은 다양한 목적을 수행한다. 핵심 기술은 역사적 소양, 즉 역사적 주장을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반응하는 능력이다. 학생들에게 과거의 중요한 발전을 알려줌으로써, 그들은 다양한 인간 삶의 맥락에 익숙해지고 현재와 그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동시에 문화적 정체성을 함양하고 학생들이 적극적인 시민 의식을 갖도록 준비시킨다.[168] 공유된 과거와 문화 유산에 대한 지식은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한다. 역사 교육의 이러한 정치적 측면은 학교 교과서가 어떤 주제를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여러 지역에서 교육 과정을 둘러싼 이른바 '역사 전쟁'으로 이어졌다.[169] 이는 국가 유산을 호의적으로 제시하려는 시도에서 논란이 되는 주제를 편향적으로 다루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170]

서점의 역사책들


공립학교에서 제공하는 정규 교육 외에도 역사는 교실 밖 비정규 환경에서도 가르친다. 대중 역사는 박물관과 기념관과 같은 장소에서 일어나며, 선택된 유물을 사용하여 특정 이야기를 들려주는 경우가 많다.[171] 여기에는 책, 텔레비전 프로그램 및 온라인 콘텐츠와 같은 매체를 통해 과거를 대중에게 접근 가능하고 매력적으로 만들고자 하는 대중 역사가 포함된다.[172] 비정규 역사 교육은 과거에 대한 이야기가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지는 구전 전통에서도 일어난다.[173]

역사는 방법론에서 여러 학문 분야의 연구 결과를 활용하는 학제 간 연구를 사용하며, 고고학, 지질학, 유전학, 인류학, 그리고 언어학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174] 고고학자들은 인공 유물과 기타 물질적 증거를 연구한다. 그들의 연구 결과는 과거 인류 활동과 문화 발전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175] 지질학 및 기타 지구과학은 역사가들이 과거 사회에 영향을 미친 환경적 맥락과 물리적 과정(예: 기후 조건, 지형, 자연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176] 유전학은 인류의 진화적 기원, 인류 이동, 혈통, 그리고 인구 변화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177] 인류학자들은 인류 문화와 행동(예: 사회 구조, 신앙 체계, 의례적 관행)을 연구한다. 이러한 지식은 역사적 사건 해석의 맥락을 제공한다.[178] 역사 언어학은 시간에 따른 언어의 발전을 연구하는데, 이는 고대 문서 해석에 중요할 수 있으며, 이동 경로와 문화 교류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179] 역사가들은 물리, 생물, 그리고 사회 과학뿐만 아니라 인문학에 속하는 다른 다양한 분야의 증거에도 의존한다.[180]

참조

[1] 서적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History Definition http://archaeology.a[...] 2014-01-21
[3] 웹사이트 What is History & Why Study It? https://web.archive.[...] 2014-01-21
[4] 웹사이트 The Two Faces of E.H. Carr http://www.history.a[...] University of London 2008-11-10
[5] 웹사이트 What History Is http://www.history.a[...] University of London 2008-11-10
[6] 서적 The Pursuit of History Pearson Education Limited
[7] 서적 Knowing,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 natio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0
[8] 서적 Knowing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Natio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9] 백과사전 Prehistory Definition & Meaning https://www.dictiona[...] 2022-12-06
[10] 서적 Knowing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Natio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11] 서적 Knowing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Natio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Ancient History Sourcebook: 11th Brittanica: Herodotus https://sourcebooks.[...] Fordham University 2020-12-03
[13] 서적 Vives, on education : a translation of the De tradendis disciplinis of Juan Luis Vives http://archive.org/d[...] Cambridge : The University Press 1913
[14] 서적 Ioannis Ludouici Viuis Valentini, De disciplinis libri 20. in tres tomos distincti, quorum ordinem versa pagella iudicabit. Cum indice copiosissimo http://archive.org/d[...] apud Ioannem Frellonium 1551
[15] 서적 All About Me: The Individual https://books.google[...] FriesenPress 2022-05-10
[16] 웹사이트 Ibn Khaldun: One of the Founding Fathers of Modern Historiography https://themuslimtim[...] The Muslim Times 2013-05-19
[1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Others: Foreign Peoples in Early Chinese Historiography https://www.ias.edu/[...]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2018
[18] 간행물 Kenneth Dike: The Father of Modern African Historiography https://link.springe[...] Palgrave Macmillan US 2013
[19] 서적 https://books.google[...]
[20] 서적
[21] 서적 https://books.google[...]
[22] 서적 https://books.google[...]
[23] 서적 https://books.google[...]
[24] 서적 https://books.google[...]
[25] 서적 https://books.google[...]
[26] 서적 https://books.google[...]
[27] 서적 https://books.google[...]
[28] 서적 https://books.google[...]
[29] 서적
[30] 서적 https://books.google[...]
[31] 서적 https://books.google[...]
[32] 서적 https://books.google[...]
[33] 서적 https://books.google[...]
[34] 서적 https://books.google[...]
[35] 서적 https://books.google[...]
[36] 서적 https://books.google[...]
[37] 서적 https://books.google[...]
[38] 서적 https://books.google[...]
[39] 서적 https://books.google[...]
[40] 서적
[41] 서적 https://books.google[...]
[42] 서적
[43] 서적 https://books.google[...]
[44] 서적 https://books.google[...]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https://books.google[...]
[48] 서적
[49] 서적 https://books.google[...]
[50] 서적
[51] 서적 https://books.google[...]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https://books.google[...]
[58] 서적 https://books.google[...]
[59] 서적
[60] 서적 https://books.google[...]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https://books.google[...]
[64] 서적 https://books.google[...]
[65] 서적
[66] 서적 https://books.google[...]
[67] 서적 https://books.google[...]
[68] 서적 https://books.google[...]
[69] 서적 https://books.google[...]
[71] 서적 https://books.google[...]
[72] 서적 https://books.google[...]
[73] 서적 https://books.google[...]
[74] 서적 https://books.google[...]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https://books.google[...]
[82] 서적 https://books.google[...]
[83] 서적 https://books.google[...]
[84] 서적 https://books.google[...]
[85] 서적 https://books.google[...]
[86] 서적 https://books.google[...]
[87] 서적
[88] 서적 https://books.google[...]
[89] 서적 https://books.google[...]
[90] 서적 https://books.google[...]
[91] 서적 https://books.google[...]
[92] 서적 https://books.google[...]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https://books.google[...]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https://books.google[...]
[101] 서적
[102] 서적 https://books.google[...]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https://books.google[...]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109] 논문
[110] 논문
[111] 논문
[112] 논문
[113] 논문
[114] 논문
[115] 논문
[116] 논문
[117] 논문
[118] 논문
[119] 논문
[120] 논문
[121] 논문
[122] 논문
[123] 논문
[124] 논문
[125] 논문
[126] 논문
[127] 논문
[128] 논문
[129] 논문
[130] 논문
[131] 논문
[132] 논문
[133] 논문
[134] 논문
[135] 논문
[136] 논문
[137] 논문
[138] 논문
[139] 논문
[140] 논문
[141] 논문 null null 2001
[142] 논문 null null 2001
[143] 논문 null null 2002
[144] 논문 null null 2001
[145] 논문 null null 2001
[146] 논문 null null 2001
[147]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2019
[148] 논문 null null 2020
[149] 논문 null null 2020
[150] 논문 null null 2001
[151] 논문 null null 2020
[152] 논문 null null 2015
[153] 논문 null null 2006
[154] 논문 null null 2020
[155]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1998
[156] 논문 null null 2006
[157] 논문 null null 2020
[158] 논문 null null 2003
[159] 논문 null null 2020
[160] 논문 null null 2020
[161] 논문 null null 2003
[162] 논문 null null 2018
[163]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2013
[164] 논문 null null 2018
[165]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2021
[166] 논문 null null 2018
[167] 논문 null null 2018
[168] 논문 null null 2018
[169]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2021
[170] 논문 null null 2018
[171] 논문 null null 2018
[172] 논문 null null 2018
[173]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2011
[174]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2016
[175] 논문 null https://books.google[...] 2016
[176] 서적 https://books.google[...]
[177] 서적 https://books.google[...]
[178] 서적 https://books.google[...]
[179] 서적
[180] 서적 https://books.google[...]
[181] 서적 https://books.google[...]
[182] 서적 https://books.google[...]
[183] 서적 https://books.google[...]
[184] 서적 日本語大辞典 講談社
[185] 사전 広辞苑
[186] 사전 大辞林
[187]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188]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189] 학술지 歴史的時間の固有性について https://www.r-gscefs[...] 立命館大学大学院 先端総合学術研究科
[190] 학술지 伝説と集合的記憶 https://www.kansai-u[...] 関西大学
[191] 서적 歴史認識の時空 知泉書館
[192] 서적 歴史認識の時空 知泉書館
[193] 웹사이트 E・H・カー『歴史とは何か』 https://web.archive.[...] 塩川伸明 2009-06-05
[194] 서적 中国五千年(下) 講談社
[195] 뉴스 イースターが日本領土に? 外交“公”文書が歴史を作る https://www.nhk.or.j[...] NHK
[196] 서적 世界史とヨーロッパ 講談社
[197] 웹인용 The Two Faces of E.H. Carr http://www.history.a[...] University of London 2001-11-10
[198] 웹인용 What History Is http://www.history.a[...] University of London 2001-11-10
[199] 서적 The Pageant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Allyn & Bacon
[200] 서적 The Handbook of Historical Linguistics Blackwell Publishing 2004-12-30
[201] 서적 The Artful Universe: An Introduction to the Vedic Religious Imagination https://archive.or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8-02-28
[202]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3] 서적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ocial Science Routledge
[204] 서적 Dictionary of concepts in history Greenwood Press
[205] 서적 The Discipline of History and the History of Thought Routledge
[206] 서적 The Shape of the Past Oxford Univers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