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은 아시아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며, 종이, 실, 대나무 등을 이용하여 하늘에 날리는 장치이다. 중국에서 처음 발명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인도, 유럽, 일본 등지로 전파되었다. 연은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과학적 실험이나 기상 관측, 무선 통신,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한국에서는 정월 대보름에 액운을 쫓는 풍습과 관련되어 있으며, 연싸움과 같은 전통 놀이로도 즐겨왔다. 그러나 연날리기는 감전 사고, 안전 사고, 항공기 운행 방해 등의 위험을 동반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 - 받음각
받음각은 항공공학에서 날개 시위선과 공기의 상대적인 운동 방향 사이의 각도로, 고정익기의 양력 계수에 영향을 주며 임계 받음각을 넘어서면 실속이 발생한다. - 연 - 카이툰
카이툰은 연의 원리를 활용하여 공중에 떠 있는 기구로, 1893년 프로이센에서 개발되었으며, 통신, 광고, 항공 사진 촬영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중국의 발명품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중국의 발명품 - 마작
마작은 4명이 144개의 패, 칩, 주사위 등을 사용하여 4개의 조와 1개의 머리로 14개의 패를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게임이며, 19세기 중국에서 시작되어 현재 다양한 국가에서 즐기는 보드 게임이다.
연 |
---|
2. 역사
연은 아시아에서 발명되었으나 그 정확한 기원은 분명하지 않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남동부 무나섬의 중석기 시대 동굴 벽화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9500~9000년 전으로 추정된다.[93]
중국에서는 기원전 5세기경 묵자와 노반이 연을 발명했다고 전해진다. 초기 중국 연은 평평하고 직사각형 모양이었으며, 신화적 동기나 전설적인 인물로 장식되었다.[17][18][19] 인도로 전해진 연은 파이터 카이트인 파탕으로 발전하여 축제에 널리 사용되었고,[20] 폴리네시아를 거쳐 뉴질랜드에서는 종교 의식에 사용되기도 했다.[21]
유럽에는 13세기 말 마르코 폴로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고,[23] 16세기와 17세기에는 일본과 말레이시아에서 온 선원들에 의해 다시 전해졌다.[24] 18세기와 19세기에는 과학 연구에 활용되었으며, 벤자민 프랭클린은 연 실험을 통해 번개가 전기임을 증명했다.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 중기 사전인 『와묘류쥬쇼』에 연에 관한 기술이 등장한다.[77] 에도 시대에는 큰 연을 날리는 것이 유행하여 금지령이 내려지기도 했다.[78]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전선 증가로 시내에서 연 날리기가 줄었지만, 정월이나 세시 풍속의 놀이, 축제, 오락 등으로 이어졌다.
1960년대에는 여러 개의 라인을 사용하여 자유자재로 조종할 수 있는 스포츠 카이트가 등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군에서 대공 사격 훈련용으로 사용된 2개 라인의 연이 스포츠 카이트의 원형이 되었다.
세계에는 마름모꼴, 새 모양, 용 모양 등 다양한 유형의 전통적인 연이 존재하며, 현대에는 공기를 넣어 부풀리는 연 등 더욱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2. 1. 기원
연은 아시아에서 발명되었으나 정확한 기원은 추정만 되고 있다. 연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술은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남동부에 위치한 무나섬 중석기 시대 동굴 그림으로, 기원전 9500~9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93]중국에서는 기원전 5세기경 묵자와 노반이 연을 발명했다고 알려져 있다.[17] 549년에는 종이 연이 구조 작전을 위한 메시지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고대 및 중세 중국에서 연은 거리 측정, 바람 테스트, 사람 들어올리기, 신호 보내기, 군사 작전 통신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17][18][19]
인도로 전해진 연은 파이터 카이트인 파탕으로 발전하여, 마카르 산크란티와 같은 축제에서 널리 사용되었다.[20] 연은 폴리네시아 전역에 알려졌으며, 뉴질랜드에서는 종교 의식에 사용되기도 하였다.[21]
유럽에는 13세기 말 마르코 폴로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고, 16세기와 17세기에는 일본과 말레이시아에서 온 선원들에 의해 다시 전해졌다.[23][24] 18세기와 19세기에는 과학 연구의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하였으며, 벤자민 프랭클린의 연 실험은 번개가 전기임을 증명하는데 활용되었다.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 중기에 만들어진 사전 『와묘류쥬쇼』에 연에 관한 기술이 "지연(紙鳶), 지로시(紙老鳶)"으로 등장한다.[77] 에도 시대에는 큰 연을 날리는 것이 유행하여 연싸움으로 인한 사고 때문에 금지령이 내려지기도 하였다.[78]
2. 2. 한국의 연
연은 정월 초하루부터 대보름까지 날리는데, 대보름에는 연을 띄운 후 실을 끊어 하늘 저 멀리로 보내는 전통이 있다. 그 이유는 나쁜 것을 내보내고 복을 맞아들인다는 것으로 풀이되며, 이것은 아마 토속 신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8]삼국사기에 따르면, 647년 신라의 장군 김유신은 불타는 연을 사용하여 반란군을 물리쳤으며, 이는 적을 공포에 떨게 했다.[30]
조선 이순신 제독은 임진왜란 동안 연을 사용하여 해군을 지휘했다. 그의 연에는 함대가 다양한 명령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특정 표식이 있었다.[33]
2. 3. 세계 각국의 연
아시아에서 연이 발명되었으나, 정확한 기원은 추정만 되고 있다. 연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남동부에 위치한 무나섬의 중석기 시대 동굴 그림으로, 기원전 9500~9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93]중국에서는 약 2800년 전에 연이 처음 발명되어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실과 대나무와 같이 "연에 필요한 물질"을 쉽게 얻을 수 있었다.

연에 관련한 수많은 세계 기록이 있다.[94] 예를 들어, 세계 최대의 연은 싱글-라인 연이다. 최대 연의 세계 기록은 최소 20분 간 비행한 쿠웨이트기이다.[95] 단일 연 고도 기록은 삼각형 상자 델타 연(triangular-box delta kite)이 차지했다. 2014년 9월 23일 로버트 무어가 이끄는 한 팀은 129m2의 연을 지상 약 4879.54m까지 날렸다.[96]

인도로 도입된 후, 연은 파이터 카이트로 더 발전했는데, 인도의 마카르 산크란티와 같은 축제에서 매년 수천 개가 날아다니는 파탕으로 알려져 있다.[20]
연은 뉴질랜드까지 폴리네시아 전역에 알려졌으며, 그 지식이 중국에서 사람들과 함께 전파되었다고 추정된다. 천과 나무로 만든 인형 연은 신에게 기도를 보내는 종교 의식에 사용되었다.[21] 폴리네시아 연 전통은 인류학자들이 한때 아시아에 존재했다고 믿어지는 초기의 "원시적인" 아시아 전통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사용한다.[22]
연은 유럽에 늦게 도착했지만, 풍선 모양의 배너는 로마인들에게 알려지고 사용되었다. 연에 대한 이야기는 13세기 말에 마르코 폴로에 의해 처음 유럽에 전해졌고, 16세기와 17세기에 일본과 말레이시아에서 온 선원들에 의해 연이 다시 전해졌다.[23][24] 콘라트 키제르는 1400년경 ''벨리포르티스''에서 용 연에 대해 설명했다.[25] 연은 처음에는 단순한 호기심으로 여겨졌지만, 18세기와 19세기에는 과학 연구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23]


그리스와 키프로스에서는 연 날리기가 사순절 첫날인 깨끗한 월요일의 전통이다. 영국 해외 영토인 버뮤다에서는 전통적인 버뮤다 연을 만들어 부활절에 날리는데, 이는 그리스도의 승천을 상징한다. 푸에르테벤투라에서는 보통 11월 8일에 가장 가까운 주말에 연 축제가 열리며 3일 동안 진행된다.
브라질에서 연을 날리는 것은 어린이, 십대, 심지어 젊은 성인에게 매우 인기 있는 여가 활동이다. 대부분 남자아이들이며, 압도적으로 연 싸움이 주를 이루는데, 이는 자신의 연을 조종하여 비행 중 다른 사람의 연 줄을 끊는 게임이며, 그 다음에는 자유롭게 떠다니는 연을 잡기 위해 참가자들이 거리를 질주하는 연 달리기가 이어진다. 비슷한 전통을 가진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부상이 흔하며, 특히 오토바이 운전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64]
칠레에서는 특히 독립 기념일 축제(9월 18일) 기간에 연이 매우 인기가 많다.
페루에서도 연이 매우 인기 있다. 대부분 8월에 공원과 해변에서 연 축제가 열린다.
콜롬비아에서는 바람이 많이 부는 8월에 공원과 휴양지에서 연을 날리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젊은이들이 연을 날리는 시기이다.
가이아나에서는 부활절에 연을 날리는데, 이는 모든 민족 및 종교 그룹이 참여하는 활동이다. 일반적으로 연은 일 년 중 다른 시기에는 날리지 않는다. 연은 부활절을 앞둔 몇 주 동안 하늘에 나타나기 시작하며, 학교 아이들은 이 활동을 위해 공원으로 데려간다. 이 모든 것은 특히 수도인 조지타운과 다른 해안 지역에서 부활절 월요일에 대규모 공중 축제로 절정에 달한다. 이 관행의 역사는 완전히 명확하지 않지만, 부활절이 기독교 축제임을 감안할 때, 연 날리기는 부활한 주님을 상징한다고 한다.

연과 관련된 많은 세계 기록들이 있다.[68] 세계에서 가장 큰 연은 팽창식 단선 연이다. 최소 20분 이상 비행한 가장 큰 연에 대한 세계 기록은 "쿠웨이트 국기"이다.[69]
가장 많은 연을 동시에 날린 세계 기록은 2011년 가자 지구 알 와하 해변에서 어린이들이 12,350개의 연을 날리면서 달성되었다.[70]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 중기에 만들어진 사전 『와묘류쥬쇼』에 연에 관한 기술이 "지연(紙鳶), 지로시(紙老鳶)"으로 등장하며[77], 그 무렵까지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78] 일본의 전통적인 화연은 대나무 골조에 일본 종이를 붙인 연이다. 직사각형의 각연 외에, 육각형의 육각연, 노예(얏코)가 손을 펼친 듯한 모양을 한 얏코 연 등, 각 지방 특유의 다양한 화연이 있다. 연에 활 모양의 "울림"을 달아 붕붕 소리를 내며 날리기도 한다.
1960년대에는, 2개나 4개 등 여러 개의 라인을 사용하여 자유자재로 조종할 수 있는 스포츠 카이트가 등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군에서는 대공 사격 훈련용으로 2개 라인의 연이 사용되었고, 이것이 스포츠 카이트의 원형이 되었다. 정해진 도형을 연으로 따라가는 규정 경기나, 음악에 맞춰 다양한 기술을 선보이는 발레 등, 조종 기술을 겨루는 경기 대회가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다.
마름모꼴, 새 모양 연이나 용을 본뜬 연 등, 세계에는 다양한 유형의 전통적인 연이 존재한다. 또한, 현대의 연에는 공기를 넣어 부풀리는 것과 같은 것도 있으며, 더욱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3. 종류
연은 사람과 차량을 바람을 따라 끌어당기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효율적인 포일형 연과 같은 파워 연은 기존의 다른 항해선이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원칙에 따라 역풍으로 항해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어, 카이트 버기, 카이트 랜드 보딩, 카이트 보트, 카이트 서핑과 같은 여러 카이트 항해 스포츠가 지난 20년 동안 인기를 얻었다. 스노우 카이팅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인기를 얻고 있다.
카이트 항해는 기존 항해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몇 가지 가능성을 열어준다.
- 고도가 높을수록 풍속이 더 크다.
- 연은 역동적으로 조작할 수 있어 사용 가능한 힘을 극적으로 증가시킨다.
- 굽힘력을 견디기 위한 기계적 구조가 필요하지 않으며, 차량이나 선체는 매우 가볍거나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한, 일본에서는 일본 연(和凧)과 해외에서 수입되어 비닐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된 서양 연(카이트)으로 크게 분류된다.
세계 각국에서는 하늘을 나는 동물 등의 이름이 붙여지는 경우가 많으며, 영어에서는 솔개, 프랑스어에서는 사슴벌레, 스페인어에서는 혜성을 의미하는 단어로 불린다. 일본처럼 수생동물의 이름으로 부르는 것은 드물다.[87]
3. 1. 형태에 따른 분류

연의 디자인은 실제 또는 신화 속의 나는 곤충, 새, 기타 짐승을 본뜬 것이 많다. 훌륭한 중국 연은 쪼개진 대나무(주로 황금 대나무)로 만들어 비단으로 덮고 손으로 칠한다. 더 큰 연은 정교한 경첩과 래치를 사용하여 분해하여 보관하거나 운송하기 위해 작게 접을 수 있다. 대량 생산되는 저렴한 연은 비단 대신 인쇄된 폴리에스터를 사용하기도 한다.
꼬리는 일부 단선 연에 사용되어 연의 앞부분이 바람을 향하도록 한다. 회전판과 스핀삭스는 시각적 효과를 위해 비행선에 부착될 수 있다. 터빈처럼 회전하는 회전식 윈드삭스도 있다. 대형 전시 연의 경우 이러한 꼬리, 회전판 및 스핀삭스는 약 15.24m 이상이 될 수 있다.
현대 곡예 연은 두 줄 또는 네 줄을 사용하여 바람에 대한 연의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한다. 견인 연에는 연의 동력을 낮추는 추가 선과 비상시 비행사와 연을 분리하는 빠른 해제 장치가 있을 수 있다.
- 버뮤다 연
- 활 연, 예: 로카쿠
- 셀룰러 또는 상자 연
- 차피차피
- 델타 연
- 포일 연, 패러포일 또는 보우 연
- 전방 기류 주입 연
- 말레이 연, 와우 불란(달 연) 참조
- 사면체 연
- 썰매 연
에도 시대 후반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일본에서는 수많은 연(和凧)이 만들어졌다. 종이와 대나무가 풍부했던 일본에서는 지역마다 특징 있는 "고향 연"이 만들어져 전통이 계승되어 왔다. "일본 연"이라고는 하지만 모양도 이름도 다양하다. 고향 연은 지역의 자연과 생활에 얽힌 소중한 전통 문화이다.[83]
주요한 일본 연은 다음과 같다.[83]
연 종류 | 설명 | 주요 지역 |
---|---|---|
각 연 | 가장 일반적인 일본 연의 기본 형태. 장방형이 많지만 정사각형도 있다. 대나무를 깎아 종이를 붙여서 만들 수도 있다. | 아오모리현, 이바라키현 히타치시, 사이타마현, 도쿄도,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가가와현, 시마네현, 오이타현, 나가사키현, 가고시마현, 오키나와현 |
굼실굼실 연 | 두 개의 막대 사이에 비닐을 붙여서 만드는 연. 제작이 간단하면서도 잘 난다. | |
게일라 카이트(Gayla Kite) | 미국에서 발명된 삼각 형태의 서양 연. "게일라"는 발매한 회사의 이름으로 등록 상표이지만, 일본에서는 "삼각형 연"의 대명사가 되었다. 1974년에 일본에 수입되어 텔레비전 광고로 붐을 일으켰다. 플라스틱 뼈대에 비닐이 덮여 있어 매우 간단하게 연날리기가 가능하다. | |
입체 연 | 입체적인 연. "등롱 연" 등. | |
![]() | 베트남에서 볼 수 있는 피리를 붙인 연. 단푸엉현 바즈온노이 마을에서 열리는 연날리기 축제에서 경쟁한다.[84] | 베트남 |
연 연 | 소형 연을 여러 개 연결한 것. | |
새 연 | 새의 모습을 한 것. | |
매미 연 | 곤충 중, 매미의 모습을 한 것. | |
육각 감기 연 | 육각형을 한 것. 니가타현산조시 (육각 감기 연 발상지)의 것이 알려져 있다. | 니가타현산조시 |
-- | 둥근 모양을 한 것. 시즈오카현후쿠로이시에서 보존·전승되고 있다. | 시즈오카현후쿠로이시 |
바이오 카이트 | 2001년에 이토 토시로가 개발. 산들바람 정도의 풍력으로 날며, 기후·천후에 관계없이, 형상의 가능성이 무한히 있다. 유체 역학이나 항공기 역학을 응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스듬히가 아니라 바로 위로 높이 나는 것이 특징. | |
장치 연 | 나비 모양을 본뜬 풍탄(風彈)이 잘 알려져 있다. 날아가는 연에 장착한다. 상공의 스토퍼에 닿으면 날개가 접혀 떨어진다. 오키나와현의 야에야마 열도에서는 샤쿠시메라고 불린다. | 오키나와현 야에야마 열도 |
시코플렉스 | 짧은 원통형 연. | |
![]() | 오토자이로에서 동력을 제거한 것에 해당하는, 회전 날개로 양력을 얻는 연. 고가이고 무게도 무겁지만, 오토로테이션의 효과로 인해 실속에서 추락할 위험이 낮고, 재공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유인기로 군사 이용이 시도되었다. | |
에너지 연 |
다음은 일본 연의 예이다.
- --
- --
- --
- --
- --
- --
마름모꼴, 새 모양 연이나 용을 본뜬 연 등, 세계에는 다양한 유형의 전통적인 연이 존재한다. 또한 현대의 연에는 공기를 넣어 부풀리는 것과 같은 것도 있으며, 더욱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연을 "타코"라고 부르는 것은 관동의 방언으로, 간사이에서는 "이카노보리" 또는 줄여서 "이카", 나가사키 등에서는 "하타"라고 불렀다. "카미와시(종이 수리)"라는 호칭도 있다. "타코"나 "이카"라는 명칭은 연이 종이 꼬리를 늘어뜨리고 하늘에 떠오르는 모습이 타코나 이카를 닮은 데에서 유래한다.
세계 각국에서는 하늘을 나는 동물 등의 이름이 붙여지는 경우가 많으며, 영어에서는 솔개, 프랑스어에서는 사슴벌레, 스페인어에서는 혜성을 의미하는 단어로 불린다. 일본처럼 수생동물의 이름으로 부르는 것은 드물다.[87]
3. 2. 용도에 따른 분류
연은 인공 비행, 군사, 과학, 기상학, 사진 촬영, 무선 안테나 게양, 발전, 공기역학 실험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어 왔다.
- 군사적 목적: 과거 신호, 탄약 전달, 관측 등의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 김유신은 불타는 연을 사용하여 반란군을 물리쳤다.[30]
- 906년 노브고로드의 올레그 공은 콘스탄티노폴리스 포위 공격에 연을 사용했다.[31]
- 조선 이순신 제독은 임진왜란 동안 연을 사용하여 해군을 지휘했다.[33]
- 새뮤얼 프랭클린 코디가 개발한 연은 영국 육군에서 관측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방어 연이 선박 보호에 사용되었고, 대공 표적 훈련에도 사용되었다.[34][35][36]
- 잠수함은 회전 연으로 관측병을 띄웠다.[38]
-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인들은 화염 연을 이스라엘-가자 장벽 너머로 날려 이스라엘 측에 불을 질렀다.[39][40][41][42]
-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제1차 세계 대전부터 연은 기뢰 제거 작전에 사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해군은 잠수함(U보트)에서 운용할 수 있는 로터 카이트인 포케 아게리스 Fa 330을 개발했다.
- 영국은 하프너 로터슈트 및 로터버기를 개발했다.
-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인이 이스라엘에 대항하는 수단 중 하나로 불을 붙인 연(Incendiary kite영어)을 날리는 경우가 있다. 2018년 이후에는 저항 운동의 상징적인 아이템이 되었다.[85]
- 무선 통신: 중파, 저주파 또는 초저주파 송신기의 안테나를 매달아 무선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 조명 효과: 발광 막대나 배터리 전원 조명과 같은 조명 효과를 내는 장치를 운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카이트 항해 스포츠: 사람과 차량을 바람을 따라 끌어당기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카이트 버기, 카이트 랜드 보딩, 카이트 보트, 카이트 서핑, 스노우 카이팅 등이 있다.
- 전력 생산: 풍력 발전기가 실용적이지 않을 때 전력 생산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수중 연: 물의 흐름에서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수확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50][51]
- '''기타''':
- 싸움 연
- 실내 연
- 공기 주입식 단선 연
- 카이툰
- 인력 연
- 로갈로 패러윙 연
- 스턴트 (스포츠) 연
- 수상 연
- 기상 관측
- 이동 통신용 안테나
- 카이트 포토
- 카이트 서핑 (카이트보드)

4. 활용
연은 인공 비행, 군사적 용도, 과학 및 기상학, 사진 촬영, 무선 안테나 게양, 발전, 공기역학 실험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어 왔다.
- 기상 관측: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에 걸쳐 상자형 박스 연에 측정 장비를 부착하여 풍속, 기온, 기압, 습도 등 고층의 기상 관측을 실시했다.
- 이동 통신용 안테나: 위성 통신이나 휴대 전화 중계국이 보급되기 전까지, 장거리 무선 통신을 파장이 긴 중파나 단파로 행할 때, 계류선을 도체로 한 연을 임시 안테나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 카이트 포토: 연 및 카이트로 경량 카메라를 상공에 띄워 촬영을 즐긴다. 지상에서 약 300미터 이하의 저공에서 공중 촬영이 가능하며, 각종 학술 조사에도 이용되고 있다.
- 카이트 서핑 (카이트보드): 카이트보드는 전용 카이트(연)를 사용하여, 보드 위에 올라탄 상태에서 수상 활주를 하는 수상 스포츠이다.
- 군사 이용: 연은 일종의 글라이더이며, 사람을 공중에 띄울 수도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해군은 잠수함(U보트)에서 운용할 수 있는 간편한 항공 정찰 관측 수단으로 로터 카이트인 포케 아게리스 Fa 330을 개발했다. 영국도 낙하산 및 예인 글라이더의 대체로 하는 컨셉으로 개인용 하프너 로터슈트 및 차량 형태의 로터버기를 개발했다. 어느 정도 조종 가능하고 저비용의 비행체로서 테러 공격에 이용되기도 하며, 가자 지구에 거주하는 팔레스타인인이 이스라엘에 대항하는 수단 중 하나로 불을 붙인 연(Incendiary kite영어)을 날리는 경우가 있다. 2018년 이후에는 저항 운동의 상징적인 아이템이 되었다. 이스라엘 점령지에 떨어진 연은 화재의 발생원이 되어 농지나 산림 등에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85]
단순히 사람들이 모여 연을 날리는 것뿐만 아니라, 외관의 아름다움이나 체공 시간 등을 겨루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연끼리 부딪히거나, 상대방의 연의 실을 끊어 승부를 겨루는 연 싸움이라는 문화도 있다. 일본 국내에서는 정월 외에 5월의 단오의 절구 행사의 일환으로 아이들의 성장을 기원하며 전국 각지에서 연날리기 대회 등 연날리기에 관한 행사가 많이 열린다.
시가현히가시오미시에서는 면적 100첩(세로 13미터, 가로 12미터), 무게 약 700킬로그램의 대형 연(오다코)을 날리는 "요카이치 대연 축제"가 열려온 역사가 있으며(2015년에 일어난 낙하된 연에 의한 사망 사고로 중단), "세계 연 박물관 히가시오미 대연 회관"이 개설되어 있다. 이 '''요카이치 대연'''은 에도 시대 중기부터 시작되었다. 1882년에는 240첩의 대형 연이 날려졌다는 기록이 있다.[88] 현재는 "오미 요카이치의 대연 날리기 습속"은 국가의 선택 무형 민속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그 외에도 대형 연을 날리는 대회로는 니가타시의 "시로네 대연 싸움", 하마마츠시의 "하마마츠 마츠리", 에히메현우치코정의 "이카자키의 대연 싸움", 사이타마현카스카베시 니시호슈카 "대연 날리기 축제"(국가의 선택 무형 민속 문화재), 그 외에는 사가미하라시, 가나가와현자마시 등의 연날리기 대회가 알려져 있다.
인도에서는 구자라트 주나 마하라슈트라 주 등 각지에서 활발하게 연날리기 축제가 열리지만, 연실에 유리 등을 붙여 가까운 연의 실을 끊는, 이른바 싸움 축제 스타일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연실은 만자라고 불리지만 위험성 때문에 뉴델리 등 인구 밀집 지역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89]
고치현의 "도사 연"은 전국 시대, 조소카베 씨가 농성전(공성전)에서 실의 바람 소리로 적을 위압하거나, 전장을 측량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 시작이라고 전해진다.[91]
큰 연을 타고 나고야 성의 금빛 샤치호코를 훔치려 했던 도둑 이야기가 알려져 있다. 이 이야기는 에도 시대에 실존했던 카키키 킨스케라는 도둑이 모델이 되었다. 실제로는 카키키 킨스케는 나고야 성의 토장에 침입했을 뿐이지만, 1783년에 상연된 연극 『경성 황금 샤치호코』(게이세이 코가네노 샤치호코)에 의해 금빛 샤치호코 도둑으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닌술서 『코우가 은술 극비』(아쿠타가와 가문 문서)에는, 미나모토노 요시이에에 의한 오슈 전투 (후3년의 역) 가나자와 책 공격 시, 핫토리 겐조라는 아쿠타가와류의 작은 인물이 있어, 큰 연을 만들게 하고, 강풍이 부는 가운데, 태워, 공중에서 불을 내려, 불태웠다는 기술이 남아 있다(그림을 볼 수 있으며, 연에 복수의 히노마루 모양의 장치에서 불을 낸다)[92] 창작이지만, 병기로서의 아이디어가 근세부터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코야마 미츠테루의 만화 및 그것을 원작으로 한 특수 촬영 텔레비전 드라마 『가면 닌자 아카카게』등에서는, 닌자가 큰 연을 타고 정찰이나 전투를 하는 묘사가 보인다.
전간기 시대의 독일에서는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담배 1갑이 수억 마르크나 하는 상태가 되어, 지폐는 가치를 거의 잃어버렸다. 이러한 배경에서, 당시 아이들은 지폐를 붙여 만든 연으로 놀기도 했으며, 관련 사진도 남아 있다.
1752년, 벤자민 프랭클린은 뇌우 속에서 연을 날려 번개가 전기임을 증명했다. 이것은 감전의 위험이 있다. 프랭클린이 성공한 것은 우연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당시에도 추시로 몇몇 사람이 감전사했다.
4. 1. 전통적 활용
연은 정월 초하루부터 대보름까지 날리는 것이 일반적이며, 대보름에는 연을 띄운 후 실을 끊어 하늘로 멀리 보내는 풍습이 있다. 이는 액운을 쫓고 복을 기원하는 의미로 해석되며, 토속 신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연싸움은 많은 아시아 국가에서 인기 있는 놀이로, 참가자들이 서로의 연을 끊거나 잡으려고 경쟁하는 형태를 띤다.[53] 각 나라별 연싸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아프가니스탄: 연싸움을 ''구디파란 바지''라고 부르며, 유리 가루를 묻힌 연줄을 사용하기도 한다.[53]
- 파키스탄: ''구디-바지'' 또는 ''파탕-바지''라고 불리는 연싸움이 봄 축제 기간에 특히 인기가 높다.[54]
- 인도: 연싸움이 성행하며, 마카르 상크란티 축제 기간 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연을 날린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스포츠와 오락으로 연을 날리며, 발리에서는 새, 나비, 용 등 다양한 디자인의 연이 사용된다. 베트남에서는 꼬리 없이 연을 날리며, 작은 피리를 부착하여 소리를 내기도 한다. 말레이시아에는 말라카에 연 박물관이 있다.[55] 네팔에서는 8월에서 9월 사이에 연을 날리는 것이 일반적이며, 다샤인 기간에 특히 인기가 높다.[56]
일본에서는 연날리기가 전통적으로 신년 연휴와 5월의 남자아이 축제 때 행해진다. 새로운 남자 아기가 태어나면 이를 축하하기 위해 연을 날리는 풍습도 있다. 히가시오미 시, 시가에서는 "요카이치 거대 연 축제"가 유명하며, 시즈오카 현 하마마츠 시의 하마마츠 연 축제에서는 100개 이상의 연이 나카타지마 모래 언덕 위를 날아다닌다.[62] 고치현의 도사 연은 전국 시대에 조소카베 씨가 농성전에서 실의 바람 소리로 적을 위협하거나, 전장을 측량하기 위해 사용한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91]
조선시대 도둑 카키키 킨스케는 큰 연을 타고 나고야 성의 금 샤치호코를 훔치려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는 1783년에 상연된 연극을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닌자들은 큰 연을 타고 정찰이나 전투를 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는 창작물에서도 묘사되고 있다.
그리스와 키프로스에서는 사순절 첫날인 깨끗한 월요일에 연을 날리는 전통이 있다. 영국 해외 영토인 버뮤다에서는 부활절에 버뮤다 연을 만들어 날리며, 이는 그리스도의 승천을 상징한다.
브라질에서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연싸움을 즐기며, 칠레에서는 독립 기념일 축제 기간에 연날리기가 성행한다. 페루와 콜롬비아에서도 8월에 연을 날리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가이아나에서는 부활절에 연을 날리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부활한 주님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관습은 19세기 중국인 계약 이주자들에 의해 도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70년대 대한민국에서는 겨울 방학 시기에 연날리기가 성행했으며, 전력 회사는 연날리기 안전 광고를 방송하기도 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비디오 게임 등의 등장과 저출산으로 인해 연날리기 풍경은 점차 줄어들었다.
4. 2. 현대적 활용
연은 인공 비행, 군사적 용도, 과학 및 기상학, 사진 촬영, 무선 안테나 게양, 발전, 공기역학 실험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어 왔다.벤자민 프랭클린이 번개가 전기임을 증명하는 실험[44]에서처럼 과학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1752년 벤자민 프랭클린은 뇌우 속에서 연을 날려 번개가 전기임을 증명했다. 하지만 이는 감전의 위험이 있었고, 실제로 몇몇 사람이 감전사하기도 했다.
연은 전통적인 항공기의 전신이었으며, 초기 비행기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은 매우 큰 사람 탑승 연을 실험했고, 라이트 형제와 로렌스 하그레이브도 마찬가지였다.
효율적인 포일형 연과 같은 파워 연은 사람과 차량을 바람을 따라 끌어당기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카이트 버기, 카이트 랜드 보딩, 카이트 보트, 카이트 서핑과 같은 여러 카이트 항해 스포츠가 인기를 얻었으며, 스노우 카이팅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인기를 얻었다.
컴퓨터 제어 연은 풍력 발전기가 실용적이지 않을 때 전력 생산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러 회사에서 원격지에 가스 발전기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자체 컨테이너와 운송 컨테이너를 출시했다. 이러한 시스템은 자율적으로 자체 발사되는 연을 발전용으로 사용하고, 바람이 약하거나 전력 소비량이 공급량을 초과할 때를 대비하여 배터리에 잉여 전력을 저장하는 방식을 결합한다.[45][46][47][48][49] 수중 연은 이제 물의 흐름에서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수확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50][51]
연은 다음과 같은 용도로도 활용된다.
; 기상 관측
: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에 걸쳐 상자형 박스 연에 측정 장비를 부착하여 풍속, 기온, 기압, 습도 등 고층의 기상 관측을 실시했다. 프랜시스 로널즈와 윌리엄 래드클리프 버트는 1847년 큐 천문대에서 높이 자가 기록 기상 장비를 지원하기 위해 시험된 매우 안정적인 연을 설명했다.[44]
; 이동 통신용 안테나
: 위성 통신이나 휴대 전화 중계국이 보급되기 전까지, 장거리 무선 통신을 파장이 긴 중파나 단파로 행할 때, 계류선을 도체로 한 연을 임시 안테나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 카이트 포토
: 연 및 카이트로 경량 카메라를 상공에 띄워 촬영을 한다. 지상에서 약 300미터 이하의 저공에서 공중 촬영이 가능하며, 각종 학술 조사에도 이용되고 있다.
; 카이트 서핑 (카이트보드)
: 카이트보드는 전용 카이트(연)를 사용하여, 보드 위에 올라탄 상태에서 수상 활주를 하는 수상 스포츠이다.
; 군사 이용
: 연은 일종의 글라이더이며, 사람을 공중에 띄울 수도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해군은 잠수함(U보트)에서 운용할 수 있는 간편한 항공 정찰 관측 수단으로 로터 카이트인 포케 아게리스 Fa 330을 개발했다. 영국도 낙하산 및 예인 글라이더를 대체하기 위해 개인용 하프너 로터슈트 및 차량 형태의 로터버기를 개발했다.
: 어느 정도 조종 가능하고 저비용의 비행체로서 테러 공격에 이용되기도 하며, 가자 지구에 거주하는 팔레스타인인이 이스라엘에 대항하는 수단 중 하나로 불을 붙인 연(Incendiary kite영어)을 날리는 경우가 있다. 2018년 이후에는 저항 운동의 상징적인 아이템이 되었다. 이스라엘 점령지에 떨어진 연은 화재의 발생원이 되어 농지나 산림 등에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85]。
전간기 시대의 독일에서는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담배 1갑이 수억 마르크나 하는 상태가 되어, 지폐는 가치를 거의 잃어버렸다. 이러한 배경에서, 당시 아이들은 지폐를 붙여 만든 연으로 놀기도 했으며, 관련 사진도 남아 있다.
5. 한국의 연 문화
연 축제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엔터테인먼트 형식이다. 대규모 지역 행사, 수백 년 동안 열려온 전통 축제, 다른 국가에서 연 날리기 선수들을 초청하여 독특한 예술 연을 전시하고 최신 기술 연을 시연하는 주요 국제 축제 등이 있다.
많은 국가에 연 박물관이 있어 각국의 연 문화를 보존하고 역사적인 연을 전시한다.[52]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는 연싸움 형태로 연날리기가 이루어지기도 한다.[53]
인도네시아 발리에서는 독특한 디자인의 연이 스포츠와 오락으로 사용된다. 베트남에서는 꼬리 없이 연을 날리며, 피리를 부착하여 소리를 내기도 한다. 말레이시아 말라카에는 연 박물관이 있다.[55]
중국 웨이팡에는 세계 최대의 연 박물관이 있으며,[57][58] 매년 국제 연 축제가 열린다. 싱가포르의 말레이인은 과거에 연을 낚시에 사용했다.[59]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신년 연휴와 5월 남자 축제 때 연을 날린다. 시가현 히가시오미시의 "요카이치 거대 연 축제"가 유명하며,[60] 시즈오카 현 하마마츠시의 하마마츠 연 축제에서는 나카타지마 모래 언덕 위에서 100개 이상의 연이 날아다닌다.[62]
5. 1. 전통 문화
연은 정월 초하루부터 대보름까지 날리는데, 대보름에는 연을 띄운 후 실을 끊어 하늘 저 멀리로 보내는 전통이 있다. 그 이유는 나쁜 것을 내보내고 복을 맞아들인다는 것으로 풀이되며, 이것은 아마 토속 신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8]5. 2. 연싸움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연날리기는 인기 있는 활동이며, 서로의 연을 끊거나 잡는 연싸움 형태로 이루어지기도 한다.[53] 연싸움 연은 보통 종이와 대나무로 만든 작고 납작한 다이아몬드 모양이며, 민첩성을 위해 꼬리는 사용하지 않는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연날리기가 인기 있으며, 다리어로 '구디파란 바지'라고 불린다. 일부는 유리 가루와 접착제를 섞어 줄을 만들어 경쟁자의 줄을 끊기 쉽게 한다. 탈레반 통치 기간에는 연날리기가 금지되기도 했다.
파키스탄에서는 연날리기가 구디-바지 또는 파탕-바지로 알려져 있으며, 봄 축제인 자스네-바하라안(Jashn-e-Baharaan) 또는 바산트 기간에 특히 인기가 많다. 연싸움은 라호르를 중심으로 파키스탄 전역에서 인기 있는 오락이며, 봄 축제 기간에 절정에 달한다. "파에차"라고 불리는 연싸움에서 이기면 '우 카타'라는 함성을 지른다. 끊어진 연을 쫓아가 잡는 것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의식이며, 영화 ''연을 쫓는 아이''에도 묘사되었다. 유리 코팅, 금속 등으로 만든 다양한 종류의 줄이 사용되며, 연날리기는 인도 펀자브에서 오토바이 운전자 사망 사고로 인해 금지되기도 했다.[54] 쿠프, 파탕, 구다, 나클라오는 인기 있는 연 브랜드이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발리에서 유래한 독특한 디자인의 연이 스포츠와 오락으로 사용된다. 베트남에서는 꼬리 없이 연을 날리며, 피리를 부착하여 소리를 내기도 한다. 말레이시아에는 말라카에 연 박물관이 있다.[55]
네팔에서는 8월~9월 다샤인 기간에 연날리기가 인기가 많다.[56] 인도에서는 마카르 상크란티 등 여러 축제 기간에 연싸움이 벌어진다. 우타라얀 전에는 바도다라, 수라트, 아흐메다바드에서 국제 연 축제가 열린다.
중국 웨이팡에는 세계 최대의 연 박물관이 있으며,[57][58] 매년 국제 연 축제가 열린다. 싱가포르의 말레이인은 과거에 연을 낚시에 사용했다.[59]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신년 연휴와 5월 남자 축제 때 연을 날린다. 시가현 히가시오미시의 "요카이치 거대 연 축제"가 유명하며,[60] 시즈오카 현 하마마츠 시의 하마마츠 연 축제에서는 나카타지마 모래 언덕 위에서 100개 이상의 연이 날아다닌다.[62]
브라질에서는 연싸움과 연 달리기가 인기 있는 여가 활동이다.[64] 칠레에서는 독립 기념일 축제 기간에 연이 인기가 많다. 페루에서는 8월에 연 축제가 열린다. 콜롬비아에서는 8월에 연을 날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가이아나에서는 부활절에 연을 날리는 것이 모든 민족과 종교 그룹이 참여하는 활동이다. 이 관행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상징한다고 여겨지며, 19세기에 중국인 계약 이주자들이 도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65][66][67]
연싸움은 단순히 연을 날리는 것 외에 연끼리 부딪히거나 상대방 연의 실을 끊어 승부를 겨루는 것을 의미한다. 일본에서는 정월 외에 5월 단오의 절구 행사 때 연날리기 대회가 열린다.
시가현히가시오미시의 "요카이치 대연 축제"는 에도 시대 중기부터 시작되었다.[88] "오미 요카이치의 대연 날리기 습속"은 국가 선택 무형 민속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니가타시의 "시로네 대연 싸움", 하마마츠시의 "하마마츠 마츠리" 등도 대형 연을 날리는 대회로 알려져 있다.
인도에서는 연실에 유리 등을 붙여 연싸움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위험성 때문에 뉴델리 등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89]
5. 3. 지역별 연 축제
인도에서는 구자라트 주나 마하라슈트라 주 등 각지에서 활발하게 연날리기 축제가 열리지만, 연실에 유리 등을 붙여 가까운 연의 실을 끊는, 이른바 연싸움 스타일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연실은 만자라고 불리지만 위험성 때문에 뉴델리 등 인구 밀집 지역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89]일본 국내에서는 정월 외에 5월의 단오의 절구 행사의 일환으로 아이들의 성장을 기원하며 전국 각지에서 연날리기 대회 등 연날리기에 관한 행사가 많이 열린다. 단순히 사람들이 모여 연을 날리는 것뿐만 아니라, 외관의 아름다움이나 체공 시간 등을 겨루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연끼리 부딪히거나, 상대방의 연의 실을 끊어 승부를 겨루는 연 싸움이라는 문화도 있다.
시가현히가시오미시에서는 면적 100첩(세로 13미터, 가로 12미터), 무게 약 700킬로그램의 대형 연(오다코)을 날리는 "요카이치 대연 축제"가 열려온 역사가 있으나, 2015년에 일어난 낙하된 연에 의한 사망 사고로 중단되었다. "세계 연 박물관 히가시오미 대연 회관"이 개설되어 있으며, '''요카이치 대연'''은 에도 시대 중기부터 시작되었다. 1882년에는 240첩의 대형 연이 날려졌다는 기록이 있다.[88] "오미 요카이치의 대연 날리기 습속"은 국가의 선택 무형 민속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그 외에도 대형 연을 날리는 대회로는 니가타시의 "시로네 대연 싸움", 하마마츠시의 "하마마츠 마츠리", 에히메현우치코정의 "이카자키의 대연 싸움", 사이타마현카스카베시 니시호슈카 "대연 날리기 축제"(국가의 선택 무형 민속 문화재), 사가미하라시, 가나가와현자마시 등의 연날리기 대회가 알려져 있다.
6. 문제점 및 안전 수칙
연날리기에는 여러 문제점이 존재하며, 안전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2016년 8월 인도 독립 기념일에 전투 연으로 인해 세 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특정 유형의 강화된 연줄이 금지되기도 하였다.[85] 2020년 7월, 이집트 정부는 안전 및 국가 안보를 이유로 연날리기를 금지하고 카이로와 알렉산드리아에서 연을 압수했다.
일본에서는 항공법에 따라 연을 띄우는 공역에 따라 비행이 금지되거나, 사전에 국토교통대신에게 신고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재해 발생 시 긴급용무공역이 지정되면, 연을 날릴 때 일시적으로 허가나 통보가 필요하다.
6. 1. 문제점
연날리기는 여러 가지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연줄이 전력선에 부딪히거나 엉키면 정전이 발생하고, 연을 날리는 사람이 감전될 위험이 있다. 젖은 연줄이나 철사는 악천후 시 정전기나 번개의 전도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표면적이 크거나 양력이 강한 연은 사람을 땅에서 들어 올리거나 다른 물체로 끌고 갈 수 있다.[85]도시 지역에서는 연과 줄이 헬리콥터 및 경비행기의 비행 공간을 침해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연을 날릴 수 있는 높이에 제한을 두기도 한다.
긴 연줄은 높은 곳이나 낙하 지점에 있는 물건에 걸리거나 얽히기 쉽다. 특히 송전선, 배전선, 전차의 가선 등에 얽히면 급전 장애를 일으키거나, 일반인이 직접 회수하려다 감전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관리 전력 회사 등에 연락하여 제거해야 한다. 실제로 연을 날리거나 운반하는 중, 또는 제거하려다 감전 사고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다.
연 자체가 갑자기 떨어지거나 강한 양력으로 인해 지상의 사람을 끌어당겨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그 밖에도 비행기, 도로, 철도 교통에 영향을 미칠 위험도 존재한다.
6. 2. 안전 수칙
연날리기는 여러 안전 문제를 수반한다. 연줄이 전력선에 부딪히거나 엉키면 정전이 발생하고, 연을 날리는 사람이 감전될 위험이 있다. 젖은 연줄이나 철사는 악천후 시 정전기나 번개의 전도체 역할을 할 수 있다.[85] 표면적이 크거나 양력이 강한 연은 사람을 땅에서 들어 올리거나 다른 물체로 끌고 갈 수 있다. 도시 지역에서는 연과 줄이 헬리콥터 및 경비행기의 비행 공간을 침해하지 않도록 연을 날리는 높이에 제한을 두기도 한다.긴 연줄은 높은 곳이나 낙하 지점에 있는 물건에 걸리거나 얽히기 쉽다. 특히 송전선, 배전선, 전차의 가선 등에 걸리면 급전 장애를 유발하거나, 일반인이 직접 회수하려다 감전 사고를 당할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관리 전력 회사 등에 연락하여 제거해야 한다.
또한, 연이 갑자기 떨어지거나 강한 양력으로 인해 사람이 끌려가면서 사상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 밖에도 비행기나 도로, 철도 교통에 영향을 줄 위험이 있다. 일본에서는 항공법에 따라 연을 띄우는 공역에 따라 비행이 금지되거나, 사전에 국토교통대신에게 신고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재해 발생 시 긴급용무공역이 지정되면, 연을 날릴 때 일시적으로 허가나 통보가 필요하다.
참조
[1]
비디오
Giant Kite Festival in Higashiomi
http://cgi2.nhk.or.j[...]
[2]
문서
Kytoon
[3]
서적
The Magnificent Book of Kites: Explorations in Design, Construction, Enjoyment & Flight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4]
웹사이트
kite |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kite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1-12-14
[5]
웹사이트
Beginner's Guide to Aeronautics
http://www.grc.nasa.[...]
NASA
2012-10-03
[6]
웹사이트
Flying High, Down Under
http://www.kitelife.[...]
2021-12-14
[7]
서적
Parakites: A treatise on the making and flying of tailless kites for scientific purposes and for recreation
Putnam
[8]
웹사이트
'Science in the Field': Ben Balsley, CIRES Scientist in the Field Gathering atmospheric dynamics data using kites. Kites are anchored to boats on the Amazon River employed to sample levels of certain gases in the air.
http://cires.colorad[...]
2021-12-14
[9]
웹사이트
The Bachstelze Article describes the Fa-330 Rotary Wing Kite towed by its mooring to the submarine. The kite was a man-lifter modeled after the autogyro principle
http://uboat.net/tec[...]
2012-10-03
[10]
웹사이트
Kite Fashions: Above, Below, Sideways. Expert kite fliers sometimes tie a flying kite to a tree to have the kite fly for days on end.
http://www.drachen.o[...]
2021-12-14
[11]
웹사이트
Underwater kiting
http://2lo.de/kitedi[...]
2lo.de
2012-10-03
[12]
웹사이트
Hydro kite angling device Jason C. Hubbart
https://patents.goog[...]
2012-10-03
[13]
뉴스
A tale of prehistoric horses in South Sulawesi
https://www.thejakar[...]
[14]
웹사이트
"The First Kiteman" -Proof by a prehistoric cave-painting in Indonesia
http://wolfgangbieck[...]
2002-07-00
[15]
뉴스
Layang-layang Tertua di Dunia Berasal dari Indonesia, Sudah Ada Sejak 4 Ribu Tahn Lalu
https://www.tempo.co[...]
[16]
뉴스
The Top 10 Must-Know Facts About The World's First & Oldest Kite
https://seasia.co/20[...]
2018-06-02
[17]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18]
서적
Khmer Kites
Ministry of Culture and Fine Arts
[19]
뉴스
Kite Flying for Fun and Science
https://timesmachine[...]
The New York Times
1907-07-21
[20]
뉴스
Kite fights to turn skies colourful on Makar Sankranti - Professional flyers to showcase flying skills; food lovers can relish delicacies at snack huts
http://www.telegraph[...]
2012-01-07
[21]
웹사이트
Ancient Maori Kites
http://www.art-newze[...]
2011-10-19
[22]
학술지
The Kite: A Study in Polynesian Tradition
1931-07-00
[23]
웹사이트
Kite History: A Simple History of Kiting
http://www.gombergki[...]
2010-06-20
[24]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25]
잡지
Dragons and Hot-Air Balloons
https://archive.org/[...]
1962-12-00
[2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johndobso[...]
2018-06-12
[27]
웹사이트
History of Kites
http://kites.com/his[...]
2012-04-18
[28]
서적
Military Aircraft, Origins to 1918: An Illustrated History of Their Impact
https://books.google[...]
[29]
웹사이트
China Reconstructs
https://books.google[...]
China Reconstructs
1984-12-15
[30]
서적
History of Science in Korea
https://books.google[...]
[31]
웹사이트
Kites- The History Attached With It
https://sporteology.[...]
2017-12-03
[32]
서적
Taking Flight: Inventing the Aerial Age, from Antiquity Through the First World War
https://archive.org/[...]
[33]
웹사이트
신호연신호 개요 (Summary of sending a signal with a kite)
http://chosunpass.cu[...]
Korea Culture & Contents Agency
2009-07-30
[34]
웹사이트
Kites On The Winds of War
http://members.bella[...]
Members.bellatlantic.net
2012-10-03
[35]
웹사이트
Henry C Sauls Barrage Kite
http://www.sole.org.[...]
Soul Search
2004-08-00
[36]
잡지
Target Kite Imitates Plane's Flight
http://www.rexresear[...]
1945-05-01
[37]
웹사이트
World Kite Museum
http://www.worldkite[...]
World Kite Museum
2012-10-03
[38]
문서
Focke Achgelis Fa 330
[39]
뉴스
Gazans Fly Firebombs Tied to Kites Into Israel, Sparking Several Blazes
https://www.haaretz.[...]
Haaretz
2018-04-16
[40]
뉴스
Gazans use kites to set fire to fields, forests in Israel
https://www.jns.org/[...]
JNS
2018-04-17
[41]
뉴스
Flaming kite from Gaza sets Israeli warehouse ablaze
https://www.timesofi[...]
Times of Israel
2018-04-21
[42]
뉴스
Continuing kite threat puts Israeli farmers on edge
https://www.ynetnews[...]
YNET
2018-04-24
[43]
뉴스
Kite Terrorism: Compensation to Victims
http://reshet.tv/ite[...]
Hadashot
2018-05-02
[44]
서적
Sir Francis Ronalds: Father of the Electric Telegraph
Imperial College Press
[45]
잡지
Could High-Flying Kites Power Your Home?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Institution
2022-04-12
[46]
뉴스
Giant kites to tap power of the high wind
https://www.theguard[...]
2008-08-03
[47]
웹사이트
Kitepower Airborne Wind Energy
https://thekitepower[...]
[48]
웹사이트
Wind Power: Unleashing its Full Potential
https://skysails-pow[...]
[49]
웹사이트
The future of green energy is found high up in the skies
https://www.kitemill[...]
[50]
뉴스
Wales launches £25m underwater kite-turbine schem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11-17
[51]
뉴스
Underwater Kites Can Harness Ocean Currents to Create Clean Energy
http://www.smithsoni[...]
Smithsonian.com
2015-11-17
[52]
웹사이트
Kite Museums – Drachen Foundation
http://www.drachen.o[...]
[53]
백과사전
Kite.(2007)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https://www.britanni[...]
[54]
웹사이트
Basant: Colorless skies as ban on kite flying in Pakistan continues
https://www.aa.com.t[...]
[55]
간행물
Svetly Mesyatz-Zmei Kruzhitsa (My Lord Moon Kite) - "Vostochnaya Kollektsia" (Oriental Collection)
Russian State Library
[56]
웹사이트
Kite fight over Kathmandu
https://www.nepaliti[...]
2020-10-08
[57]
뉴스
Story of a Kite
https://www.newindia[...]
[58]
웹사이트
Weifang World Kite Museum in Weifang,Shandong Province - China.org.cn
http://www.china.org[...]
[59]
서적
Malay Magic: An Introduction to the Folklore and Popular Religion of the Malay Peninsula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60]
비디오
八日市大凧まつり
http://cgi2.nhk.or.j[...]
NHK
[61]
웹사이트
GIANT KITE FESTIVALS IN JAPAN
http://www.asahi-net[...]
Japanese Kite Collection
[62]
웹사이트
A spectacular festival of some 100 large kites flying over sand dunes.
http://www.jnto.go.j[...]
Japan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63]
비디오
Hamamatsu Matsuri
http://cgi2.nhk.or.j[...]
NHK
[64]
웹사이트
mirantesmt.com
http://www.mirantesm[...]
[65]
서적
Cultural Power, Resistance, and Pluralism: Colonial Guyana 1838-1900
McGill-Queen's Press - MQUP
[66]
서적
The Colonial Caribbean in Transition
University Press of Florida
[67]
웹사이트
Welcome to guyanachronicle.com
http://www.guyanachr[...]
[68]
웹사이트
Search Results
http://www.guinnessw[...]
Guinness World Records
[69]
웹사이트
Largest kite flown
http://www.guinnessw[...]
2005-02-15
[70]
웹사이트
Most Kites Flown Simultaneously
https://www.guinness[...]
[71]
웹사이트
Highest altitude by a single kite
https://www.guinness[...]
2014-09-23
[72]
웹사이트
Untitled Page
http://www.kitesite.[...]
[73]
웹사이트
Egypt grounds kites for 'safety', 'national security'
https://news.yahoo.c[...]
2020-07-12
[74]
서적
『世界の凧』
https://books.google[...]
保育社
1990
[75]
뉴스
黒川哲夫:凧はもともと「いか」だった◇鳥取・倉吉に伝わる製法と揚げる喜びを次代へ継承◇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3-30
[76]
서적
中国の科学と文明
河出書房新社
2008
[77]
웹사이트
アジアの凧
http://museum.city.f[...]
福岡市博物館
2018-04-05
[78]
서적
タコ
{{NDLDC|1246316/50}}
平凡社
1939
[79]
잡지
長崎凧
https://books.google[...]
枻出版社
2010-02
[80]
논문
長崎地域における凧揚げと長崎凧の力学的な運動体験の簡便法
https://hdl.handle.n[...]
長崎大学
2004
[81]
웹사이트
ハタ揚げ大会
http://nitca.at-naga[...]
一般社団法人長崎国際観光コンベンション協会
[82]
뉴스
中外商業新報
1910-03-09
[83]
웹사이트
凧の博物館
『凧の博物館』東京中央区日本橋
凧の博物館
2020-03-06
[84]
웹사이트
ハノイ郊外の凧揚げ祭り
https://vovworld.vn/[...]
2019-04-28
[85]
웹사이트
燃えるたこで農地狙う パレスチナ抗議デモで新たな作戦
https://www.afpbb.co[...]
AFP
2018-06-11
[86]
웹사이트
『日本言語地図』第3集第143図
https://mmsrv.ninjal[...]
国立国語研究所
[87]
뉴스
明治初期まで「イカ」揚げ 東近江の伝統「大凧」
https://web.archive.[...]
2013-05-22
[88]
뉴스
【わがまち お宝館】世界凧博物館(滋賀・東近江市)琵琶湖の風 大だこ育む
2019-01-16
[89]
웹사이트
たこ糸で鳥150羽超死ぬ、インドの祭りのたこ合戦で 数百羽けが
https://www.afpbb.co[...]
AFP
2020-01-18
[90]
웹사이트
m-style マレーシア航空のシンボル ワウって何?
http://www.tourismma[...]
[91]
뉴스
吉川毅「土佐凧 心の空まで揚がれ◇迫力の絵柄 1軒だけ残った工房守る◇」
https://www.nikkei.c[...]
2020-02-11
[92]
서적
忍者の歴史
角川選書
2016
[93]
웹사이트
Kaghati, World's First Kite
http://en.gocelebes.[...]
2019-07-24
[94]
웹사이트
http://www.guinnessw[...]
[95]
웹사이트
http://www.guinnessw[...]
[96]
웹인용
Highest altitude by a single kite
http://www.guinness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