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99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994년은 북송 순화 5년, 요나라 통화 12년, 고려 성종 13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이 해에는 바이킹의 도버 공격, 불가리아 제1제국의 비잔틴 제국 반란, 파티마 칼리프조의 시리아 재집결, 부야 왕조의 셀주크 제국 격파 등의 사건이 일어났다. 또한 강력한 태양 폭풍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이븐 하즘, 알폰소 5세, 후지와라노 미치노부 등이 태어나거나 사망했다.

2. 연호

3. 기년

4. 사건

탄소-14 농도의 증가는 나이테에서 기록되었으며, 이는 강력한 태양 폭풍이 993년 또는 994년에 지구를 강타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해 부근에, 거대한 태양면 폭발(태양 플레어 등)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4]

4. 1. 동아시아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아,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4. 2. 유럽

4. 3. 중동 및 아프리카


  • 무슬림 레반트 지역을 통치하던 파티마 칼리프조는 993년 헤르노에서 카르마트에게 패배한 이후, 994년 시리아에서 군대를 재결집하여 다마스쿠스를 포위했다.
  • 9월 15일 - 오론테스 전투: 파티마 칼리프조의 튀르크족 출신 장군이자 다마스쿠스 총독인 만주타킨이 시리아의 아파메아를 포위했다. 이에 비잔틴 제국의 황제 바실 2세는 미하일 부르체스가 지휘하는 원정군을 파견하여 함단 왕조와 동맹을 맺고 도시를 구원하려 했다. 그러나 만주타킨은 먼저 함단 왕조 군대를 격파한 뒤, 비잔틴 원정군의 후방을 공격했다. 갑작스러운 공격에 비잔틴군은 혼란에 빠져 도주했고, 이 과정에서 약 5,000명의 사상자를 내며 파티마 군대가 승리했다.
  • 페르시아의 부야 왕조는 바그다드에서 셀주크 제국에게 패배했다.

4. 4. 기타 지역

5. 탄생


  • 6월 20일 - 아츠아키 친왕, 헤이안 시대의 황족 (1051년 사망)
  • 11월 7일 - 이븐 하즘, 안달루시아 출신 역사학자, 신학자, 법학자, 시인 (1064년 사망)
  • 로타르 우도 1세, 노르트마르크 변경백 (1057년 사망)
  • 산초 3세 ('''대왕'''), 팜플로나의 왕 (추정)
  • 시메온, 노르만 출신 수도원장이자 일리 수도원의 수도원장 (추정)
  • 아흐마드 알-바이하키, 페르시아 출신 수니 하디스 학자 (1066년 사망)
  • 알폰소 5세 ('''고귀왕'''), 레온 (스페인)의 왕 (1028년 사망)
  • 왈라다, 안달루시아 후 우마이야 왕조의 공주, 시인 (1091년 사망)
  • 후지와라 아키노부, 헤이안 시대공가 (1027년 사망)
  • 후지와라 겐시, 산조 천황의 중궁 (1027년 사망)

6. 사망

참조

[1] 서적 Germany in the Early Middle Ages, 800-1036 London and New York 1992
[2]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III 1999
[3] 서적 The Historical Atlas of the Vikings 1995
[4] 뉴스 太陽面爆発、今後も起こる可能性 杉の年輪に痕跡、山形大など http://www.msn.com/j[...] 共同通信社 2020-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