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원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원좌는 대한민국의 화가로, 1939년 청송군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에서 동양화를 전공했다. 12년간 미술교사로 재직하며 수묵산수화에 매달렸으며, 1989년 화실을 개설하고 전업 작가의 길을 걸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서울 천도 60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된 '청량대운도'가 있으며, 고향인 청송군에 야송미술관이 건립되어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이원좌는 개인전 10회, 다수의 단체전 및 초대전 참여, 그리고 여러 미술 관련 기관에서 활동했다.

2. 생애

이원좌는 1939년 청송군 파천면에서 6남매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한국 전쟁 이후 대구로 이사하여 칠성동 북문수용소 판자촌에서 어려운 유년 시절을 보냈다. 어머니는 대구역 뒤편에서 국수 장사를 하였고, 여동생은 방직공장에서 일했으며, 이원좌 자신도 우산공장에서 일하며 야간학교를 다녀야 했다.

1955년 대구 오성중학교에 진학하였고, 이후 오성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에 입학하여 여러 상을 받았으며, 이 시기 작품 일부는 군립청송야송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 대학 시절에는 이태원 미군 사격장 옆 판자촌에서 살면서 차비가 없어 서울역을 지나 학교까지 걸어서 통학했다고 한다. 2학년 2학기부터 졸업 때까지 충일장학재단의 장학금 지원을 받았다.

1967년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졸업 후 서울 시내에서만 근무하는 공립학교 시험에 합격해 12년간 미술교사로 재직했다. 서울 광희중학교, 연서중학교, 관악고등학교에서 미술교사로 재직하며 휴일이나 방학때면 전국 각지의 강산으로 여행하며 수묵산수화를 그렸다. 이후 그림에 집중하기 위해 교사직을 그만두게 되며 본격적으로 산수화에 매달리게 된다.

1989년 서울 은평구 신사동 2층집에 화실을 개설하고 이후 산수화에 전념하였다. 야송(野松)이란 호와 다르지 않게 유명세를 이용하자는 주변과 타협하지 않았으며, 미술 매체들을 배척하며 오로지 자신의 그림만으로 높은 수준에 올라섰다.

대표작으로 서울 정도 600년을 기념해 제작된 '청량대운도(청송군립야송미술관 소장)'가 있다. 2005년 청송군 신촌리에 개관한 군립 야송미술관은 지역출신 한국 화가인 야송 이원좌 화백의 작품 수백점을 기증받아 미술관에 전시하고 지역주민 및 미술학도들을 위한 체험·교육의 장소로 활용함으로써 문화적으로 소외된 지역의 문화향유공간으로 기능하며, 관광객들에게도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2. 1.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이원좌는 1939년 청송군 파천면에서 6남매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한국 전쟁 이후 대구로 이사하여 칠성동 북문수용소 판자촌에서 어려운 유년 시절을 보냈다. 어머니는 대구역 뒤편에서 국수 장사를 하였고, 여동생은 방직공장에서 일했으며, 이원좌 자신도 우산공장에서 일하며 야간학교를 다녀야 했다.

1955년 대구 오성중학교에 진학하였고, 이후 오성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에 입학하여 여러 상을 받았으며, 이 시기 작품 일부는 군립청송야송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 대학 시절에는 이태원 미군 사격장 옆 판자촌에서 살면서 차비가 없어 서울역을 지나 학교까지 걸어서 통학했다고 한다. 2학년 2학기부터 졸업 때까지 충일장학재단의 장학금 지원을 받았다.

2. 2. 교직 생활과 작품 활동

1939년 청송군 파천면에서 태어났다.(6남매 중 5째) 1955년 오성 중학교 진학을 위해 대구로 이사하였다. 홍익대학교 미대에 입학해 여러 입상을 하였다. 대학 졸업 후에는 집세가 싼 곳을 찾아 이태원 미군 사격장 옆 판자촌으로 이사 후 차비가 없어 서울역을 지나 홍대까지 걸어서 통학했다고 한다. 2학년 2학기 이후로 졸업 때까지 충일장학재단의 장학금 지원을 받았다.

1967년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졸업 후 서울 시내에서만 근무하는 공립학교 시험에 합격해 12년간 미술교사로 재직했다. 서울 광희중학교, 연서중학교, 관악고등학교에서 미술교사로 재직하며 휴일이나 방학때면 전국 각지의 강산으로 여행하며 수묵산수화를 그렸다. 이후 그림에 집중하기 위해 교사직을 그만두게 되며 본격적으로 산수화에 매달리게 된다.

2. 3. 전업 작가의 길

1967년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졸업 후 서울시내에서만 근무하는 공립학교 시험에 합격해 12년간 미술교사로 재직(광희, 연서, 관악고등학교 미술교사)하며 휴일이나 방학때면 전국 각지의 강산으로 여행하며 수묵산수화를 그렸다. 그림에 집중하기 위해 교사직을 그만두게 되며 본격적으로 산수화에 매달리게 된다.

1989년 서울 은평구 신사동 2층집에 화실을 개설하고 이후 산수화에 전념하였다. 야송(野松)이란 호와 다르지 않게 유명세를 이용하자는 주변과 타협하지 않았으며, 미술 매체들을 배척하며 오로지 자신의 그림만으로 높은 수준에 올라섰다.

대표작으로 서울 정도 600년을 기념해 제작된 '청량대운도(청송군립야송미술관 소장)'가 있다.

3. 작품 세계

3. 1. 주요 작품 경향

3. 2. 대표작 소개

4. 기관 경력

1969년부터 1975년까지 관악고등학교, 광희중학교, 연서중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였다. 1979년부터 1989년까지는 숭전대학교, 강남대학교, 경원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 2005년부터 2019년까지 군립청송야송미술관 초대관장을 역임하였다.

4. 1. 교육 기관 경력

1969년부터 1975년까지 관악고등학교, 광희중학교, 연서중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였다. 1979년부터 1989년까지는 숭전대학교, 강남대학교, 경원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

4. 2. 미술관 경력

2005년부터 2019년까지 군립청송야송미술관 초대관장을 역임하였다.

5. 전시

'''개인전'''

이원좌는 1975년부터 1993년까지 총 10회의 개인전을 개최했다. 1979년 제3회 개인전은 세종문화회관 외 5개 화랑에서 야송연대산수화전으로 열렸고, 1980년에는 대구 대백화랑에서 제4회 개인전을 개최했다. 1987년에는 서울갤러리에서 제5회 야수산수화전을 개최하였다.

'''단체전 및 초대전'''

이원좌는 1965년부터 1978년까지 제14, 15, 27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 입선하였고, 1966년에는 신인예술상전에 참여하였다. 1974년부터 1978년까지 연소회전(신문회관), 1974년부터 1989년까지 창조회전(경복궁미술관)에 참여했다. 1974년에는 덕수궁미술관에서 열린 백양회공모전에 참여하였다.

1977년에는 61 동문전(견지화랑), 제5회 서울시교원미술전(출판문화회관), 한·일작가교류전(미도파화랑)에 참여하였다. 1978년부터 1979년까지는 미술단체초대연립전(국립현대미술관)과 제1회 중앙미술대전(특선 1회, 입선 1회, 국립현대미술관)에 참여했다.

1982년 제2회 한국화협회전(동덕미술관), 1983년 개관기념전(경인미술관) 및 대만문화대상 초대전(대만 화강박물관)에 참여했다. 1984년에는 창조회 초청전(대만 국립역사박물관)에 참여하였다. 1987년부터 1988년까지 제4회 신묵회전(서울갤러리)에 참여했고, 1987년에는 한국화100인전(세종문화회관)에 참여했다.

1988년에는 88 서울회화제(롯데백화점), 88 한국화신구상대전(전북예술회관), 서양화소품초대전(롯데미술관), 한국화 중견3인 초대전(박종기, 이왈종, 이원좌, 신세계미술관)에 참여했다. 1989년에는 89 한국화신구상대전(미술회관), 대북원묵회, 한국신묵회연합전(대만 대북국립역사박물관), 정묵회 창립전(아랍미술관), 현대미술초대전(국립현대미술관)에 참여했다.

1991년 현대미술초대전(국립현대미술관), 1992년 91 신소장품전(국립현대미술관)에 참여했고, 1992년 국립현대미술관에 그의 작품 '산성계곡도'가 영구소장되었다. 1994년에는 서울정도600년 야송화전(예술의 전당)과 서울국제현대미술제(국립현대미술관)에 참여했다. 1995년 한국전통산수화전(국립현대미술관), 1996년 오늘의한국화-그 맥락과 전개전(덕원미술관)에 참여했다.

1998년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을 역임했고, 1999년 야송 회갑전(갤러리 상)을 열었다. 2001년 한국원로화가100인전(세종문화회관)에 참여했다. 2004년 부산시립 미술관 초대전, 미술세계창간20주년 초대전(인사아트 갤러리)에 참여했다.

2005년 한국의해 초청 뉴넨시 초대전(뉴넨시테크노폴리스), 아트코리아 10주년 기념 초대전(세종문화회관)에 참여했다. 2005년 제26회 신라미술대전 심사위원장(경주문화원), 의제 허백년 미술대전 심사위원(광주시청)을 역임했다. 2008년 겸재진경산수화미술대전 심사위원(세종문화회관)을 역임했다.

2015년 제36회 신라미술대전 심사위원장 (경주 예술의전당)을 역임했다. 2016년 현대한국화, 시대의동감전(대구문화예술회관), 야송희수 주왕산특별전(군립청송야송미술관), 한국 근현대 산수화전(전북도립미술관), 청량산실경산수화 특별초대전(봉화청량산박물관)에 참여했다. 2018년 야송팔순전(인사동 미술세계 전관), 한중교류26주년기념 우수작가초대전(귀주성 귀양시 영보제)에 참여했다. 2019년 원로작가100인초대전(인사동 미술세계)에 참여했다.

5. 1. 개인전

이원좌는 1975년부터 1993년까지 총 10회의 개인전을 개최했다. 1979년 제3회 개인전은 세종문화회관 외 5개 화랑에서 야송연대산수화전으로 열렸고, 1980년에는 대구 대백화랑에서 제4회 개인전을 개최했다. 1987년에는 서울갤러리에서 제5회 야수산수화전을 개최하였다.

5. 2. 단체전 및 초대전

이원좌는 1965년부터 1978년까지 제14, 15, 27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 입선하였고, 1966년에는 신인예술상전에 참여하였다. 1974년부터 1978년까지 연소회전(신문회관), 1974년부터 1989년까지 창조회전(경복궁미술관)에 참여했다. 1974년에는 덕수궁미술관에서 열린 백양회공모전에 참여하였다.

1977년에는 61 동문전(견지화랑), 제5회 서울시교원미술전(출판문화회관), 한·일작가교류전(미도파화랑)에 참여하였다. 1978년부터 1979년까지는 미술단체초대연립전(국립현대미술관)과 제1회 중앙미술대전(특선 1회, 입선 1회, 국립현대미술관)에 참여했다.

1982년 제2회 한국화협회전(동덕미술관), 1983년 개관기념전(경인미술관) 및 대만문화대상 초대전(대만 화강박물관)에 참여했다. 1984년에는 창조회 초청전(대만 국립역사박물관)에 참여하였다. 1987년부터 1988년까지 제4회 신묵회전(서울갤러리)에 참여했고, 1987년에는 한국화100인전(세종문화회관)에 참여했다.

1988년에는 88 서울회화제(롯데백화점), 88 한국화신구상대전(전북예술회관), 서양화소품초대전(롯데미술관), 한국화 중견3인 초대전(박종기, 이왈종, 이원좌, 신세계미술관)에 참여했다. 1989년에는 89 한국화신구상대전(미술회관), 대북원묵회, 한국신묵회연합전(대만 대북국립역사박물관), 정묵회 창립전(아랍미술관), 현대미술초대전(국립현대미술관)에 참여했다.

1991년 현대미술초대전(국립현대미술관), 1992년 91 신소장품전(국립현대미술관)에 참여했고, 1992년 국립현대미술관에 그의 작품 '산성계곡도'가 영구소장되었다. 1994년에는 서울정도600년 야송화전(예술의 전당)과 서울국제현대미술제(국립현대미술관)에 참여했다. 1995년 한국전통산수화전(국립현대미술관), 1996년 오늘의한국화-그 맥락과 전개전(덕원미술관)에 참여했다.

1998년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을 역임했고, 1999년 야송 회갑전(갤러리 상)을 열었다. 2001년 한국원로화가100인전(세종문화회관)에 참여했다. 2004년 부산시립 미술관 초대전, 미술세계창간20주년 초대전(인사아트 갤러리)에 참여했다.

2005년 한국의해 초청 뉴넨시 초대전(뉴넨시테크노폴리스), 아트코리아 10주년 기념 초대전(세종문화회관)에 참여했다. 2005년 제26회 신라미술대전 심사위원장(경주문화원), 의제 허백년 미술대전 심사위원(광주시청)을 역임했다. 2008년 겸재진경산수화미술대전 심사위원(세종문화회관)을 역임했다.

2015년 제36회 신라미술대전 심사위원장 (경주 예술의전당)을 역임했다. 2016년 현대한국화, 시대의동감전(대구문화예술회관), 야송희수 주왕산특별전(군립청송야송미술관), 한국 근현대 산수화전(전북도립미술관), 청량산실경산수화 특별초대전(봉화청량산박물관)에 참여했다. 2018년 야송팔순전(인사동 미술세계 전관), 한중교류26주년기념 우수작가초대전(귀주성 귀양시 영보제)에 참여했다. 2019년 원로작가100인초대전(인사동 미술세계)에 참여했다.

5. 3. 주요 수상 경력


  • 1966년 신인예술상전,
  • 1965년부터 1978년까지 14, 15, 27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입선
  • 1977년 제5회 서울교원미전 교육감상
  • 1978년 제1회 동아미술제 입선
  • 1978년 제1회 중앙미술대전 특선
  • 1979년 제2회 중앙미술대전 입선
  • 경북학술예술제 일등상
  • 2019년 한국미술국제대전 국회의장상

6. 청송야송미술관

청송야송미술관은 크게 미술관 건물과 청량대운도 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 출신 한국화가로 야송(野松) 이원좌(李元佐) 화백의 소장품인 한국화와 도예작품 등 350점, 국내외 유명 화가와 조각가들의 작품 50여 점, 미술관련 서적 1만여 점을 기증받아 폐교가 된 경상북도 청송군 신촌리의 신촌초등학교를 리모델링하여 현대식 미술관으로 단장하고 2005년 4월 29일 개관하여 청송군은 물론, 경북의 대표 문화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

6. 1. 설립 배경 및 과정

청송야송미술관은 지역 출신 한국화가인 야송(野松) 이원좌(李元佐) 화백으로부터 한국화와 도예작품 등 350점, 국내외 유명 화가와 조각가들의 작품 50여 점, 미술 관련 서적 1만여 점을 기증받았다. 폐교된 신촌초등학교를 리모델링하여 현대식 미술관으로 단장하고 2005년 4월 29일 개관하였다. 미술관은 청송군은 물론, 경북의 대표 문화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

6. 2. 시설 현황

청송야송미술관은 크게 미술관 건물과 청량대운도 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 출신 한국화가 야송(野松) 이원좌 화백의 소장품인 한국화와 도예 작품 등 350점, 국내외 유명 화가와 조각가들의 작품 50여 점, 미술 관련 서적 1만여 점을 기증받아 폐교된 신촌초등학교를 리모델링하여 2005년 4월 29일 개관하였다. 경북의 대표 문화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

6. 3. 주요 소장품

청송야송미술관은 지역 출신 한국화가 야송(野松) 이원좌 화백의 한국화 및 도예 작품 350점, 국내외 유명 화가와 조각가들의 작품 50여 점, 미술 관련 서적 1만여 점을 기증받아 설립되었다. 경상북도 청송군 신촌리의 신촌초등학교(폐교)를 현대식 미술관으로 재단장하여 2005년 4월 29일 개관하였으며, 청송군은 물론 경북의 대표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7. 청량대운도

이원좌 화백의 대표작으로 봉화군에 있는 청량산을 배경으로 한 실경산수화이다. 가로 4,560cm, 세로 650cm이다. 1992년 4월부터 같은 해 10월까지 약 180일에 걸쳐 완성한 작품으로, 1994년 서울 천도 6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한국 역사상 유례가 없는 초대형 작품으로 평가되었지만, 작품 크기가 너무 커서 전시가 어려워 20년 넘게 수장고에 보관되었다. 2013년 작가의 고향인 청송군에 위치한 야송미술관에 '청량대운도'만을 위한 전시관이 건립되어 상시 관람이 가능하게 되었다.

7. 1. 작품 배경 및 제작 과정

이원좌 화백의 대표작으로 봉화군에 있는 청량산을 배경으로 한 실경산수화이다. 가로 4,560cm, 세로 650cm이다. 1992년 4월부터 같은 해 10월까지 약 180일에 걸쳐 완성한 작품으로, 1994년 서울 천도 6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한국 역사상 유례가 없는 초대형 작품으로 평가되었지만, 작품 크기가 너무 커서 전시가 어려워 20년 넘게 수장고에 보관되었다. 2013년 작가의 고향인 청송군에 위치한 야송미술관에 '청량대운도'만을 위한 전시관이 건립되어 상시 관람이 가능하게 되었다.

7. 2. 작품의 의미와 가치

이원좌 화백의 대표작 '청량대운도'는 가로 46m, 세로 6.5m의 실경산수화로, 봉화군에 있는 청량산을 배경으로 한다. 1992년 4월부터 10월까지 약 180일에 걸쳐 완성된 이 작품은 서울 천도 600주년(1994년)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국 역사상 유례없는 초대형 작품으로 평가받지만, 그 크기 때문에 20년 넘게 수장고에 보관되어야 했다. 2013년 청송군의 청송야송미술관에 전용 전시관이 마련되면서, 일반인도 상시 관람할 수 있게 되었다.

참조

[1] 인터뷰 이원좌 화백 인터뷰 - 소나무 그림에 대한 설명
[2] 그림설명 청량산을 배경으로 한 실경산수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