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유 없는 반항 (1955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유 없는 반항》은 1955년에 개봉한 니콜라스 레이 감독의 미국 영화이다. 1950년대 로스앤젤레스를 배경으로, 십 대 짐 스타크가 공공장소에서 술에 취해 체포된 후, 주디, 플라토를 만나 겪는 갈등과 방황을 그린다. 제임스 딘, 나탈리 우드, 샐 미네오 등이 출연했으며, 가족 문제로 고통받는 청소년들의 모습을 통해 당시 사회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영화는 개봉 당시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제임스 딘의 연기는 호평을 받았으며, 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미쳐 청바지와 빨간 재킷은 젊은이들의 패션 아이콘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컬러스 레이 감독 영화 - 북경의 55일
    1963년 제작된 미국의 서사 영화 북경의 55일은 1900년 의화단 운동 당시 베이징 외국 공사관들이 포위되었던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찰턴 헤스턴, 에바 가드너, 데이비드 니븐 등이 출연했고 니콜라스 레이와 앤드류 마턴이 감독을 맡았으며 역사 왜곡 논란에도 불구하고 아카데미상 2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 니컬러스 레이 감독 영화 - 왕중왕 (1961년 영화)
    1961년 제작된 미국의 서사 영화 왕중왕은 제프리 헌터가 예수를 연기하며 예수의 생애를 성경에 기반하여 묘사하고, 미클로스 로자의 음악과 오슨 웰스의 내레이션으로 완성도를 높여 흥행에 성공, 골든 글로브상 음악상 후보에 올랐다.
  • 1955년 영화 - 아카딘 씨
    오슨 웰스가 감독, 각본, 주연을 맡은 1955년 영화 아카딘 씨는 백만장자 그레고리 아카딘이 자신의 과거를 숨기기 위해 고용한 밀수업자를 통해 어두운 비밀을 감추려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등장인물과 여러 편집본 존재, 웰스의 창작 통제권 상실 등이 특징이다.
  • 1955년 영화 - 마티 (영화)
    1955년 델버트 맨 감독의 영화 《마티》는 브롱크스에 사는 34세 이탈리아계 미국인 정육점 주인 마티가 댄스홀에서 만난 평범한 여교사 클라라와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아카데미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각색상과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이유 없는 반항 (1955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극 개봉 포스터
연극 개봉 포스터
원제Rebel Without a Cause
감독니콜라스 레이
제작자데이비드 와이스바트
각본스튜어트 스턴
각색어빙 슐먼
원안니콜라스 레이
출연제임스 딘
나탈리 우드
샐 미네오
짐 바커스
앤 도란
코리 앨런
윌리엄 호퍼
음악레너드 로젠먼
촬영어니스트 할러
편집윌리엄 H. 지글러
제작사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배급사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개봉일1955년 10월 27일
상영 시간111분
제작 국가미국
언어영어
제작비150만 달러
흥행 수익450만 달러 (미국 내 대여)
개봉
미국 개봉일1955년 10월 26일
일본 개봉일1956년 4월 18일

2. 줄거리



1950년대 중반 로스앤젤레스, 17세 소년 짐 스타크는 술에 취해 길에서 잠들었다가 공공 취한 상태로 경찰서 소년과로 이송된다. (일부 자료에서는 집단 폭행 용의자로 오인되었다고도 한다.) 경찰서에서 그는 통행금지 위반으로 잡혀 온 주디, 그리고 권총으로 강아지들을 쏜 혐의로 체포된 존 "플라토" 크로포드를 만난다. 세 사람은 각자 소년 보호 담당 프레믹 경관(또는 경부)에게 가정 문제로 인한 좌절감을 털어놓는다. 짐은 끊임없이 다투는 부모, 특히 소심하여 어머니 캐롤에게 맞서지 못하는 아버지 프랭크 때문에 괴로워한다. 주디는 아버지가 자신을 더 이상 어린아이로 보지 않고 무시한다고 느껴 관심을 끌기 위해 야한 옷을 입지만, 오히려 아버지에게 "더러운 창녀"라는 말을 듣는다. 플라토는 아버지가 어릴 때 가족을 버렸고 어머니는 자주 집을 비워, 주로 가정부의 보살핌 속에서 지낸다. 이들은 모두 기능 부전 가족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프레믹은 이것이 그들의 비행 원인임을 간파한다. 각자의 보호자가 경찰서에 도착한 후 세 사람은 귀가한다.

가정 형편 때문에 전학을 반복하던 짐은 다음 날 도슨 고등학교에 처음 등교하여 주디, 플라토와 재회한다. 주디는 짐의 차에 타라는 제안을 거절하고, 대신 자신이 어울리는 버즈 건더슨이 이끄는 불량 학생 그룹의 차에 탄다. 짐은 다른 학생들에게 따돌림을 당하지만, 자신을 우상처럼 여기는 플라토와 친구가 된다. 포머런스와 크라우스에 따르면 "짐은 플라토에게 이상적인 아버지"와 같은 존재였다.[7][8]

그리피스 천문대로 현장 학습을 간 날, 버즈는 짐에게 싸움을 걸며 칼을 건네 대결을 요구한다. 짐은 버즈의 칼을 쳐내고 자신의 칼도 버려 싸움에서 이긴다. 그러나 버즈는 자신의 지위를 지키기 위해 그날 밤 해변 절벽에서 자동차를 이용한 배짱 테스트인 "치킨 런"을 하자고 제안한다.[9] 집에 돌아온 짐은 아버지에게 명예를 지키는 것에 대해 묻지만, 아버지는 어떤 종류의 대립도 피하라고 조언한다.

그날 밤, 절벽에서 열린 치킨 런 도중, 버즈는 차에서 뛰어내리려다 재킷 소매가 문 잠금 레버에 걸려 탈출하지 못하고 절벽 아래로 추락해 사망한다. 경찰이 다가오자 버즈의 갱단은 도망치고 주디만 남겨지지만, 짐은 그녀와 플라토를 데리고 함께 현장을 떠난다.

집으로 돌아온 짐은 부모에게 사고 연루 사실을 털어놓고 자수를 고민한다. 어머니 캐롤이 또다시 이사를 가자고 하자, 짐은 아버지 프랭크에게 자신을 변호해 달라고 애원하지만 거절당한다. 좌절한 짐은 아버지를 공격하고 경찰서로 달려가 자수하려 하지만, 담당 경관(프레믹)이 부재중이거나 당직 경관에게 거부당한다. 집으로 돌아온 짐은 자신을 기다리고 있던 주디를 만난다. 주디는 이전의 태도에 대해 사과하고, 두 사람은 서로에게 이끌려 사랑에 빠지기 시작한다. 그들은 각자의 집으로 돌아가지 않고, 플라토가 말했던 오래된 버려진 저택으로 숨기로 한다.

한편, 플라토는 버즈의 갱단원 세 명(크런치 포함)에게 붙잡힌다. 그들은 짐이 경찰에 자신들을 밀고했다고 믿고 플라토의 주소록을 빼앗아 짐을 찾아 나선다. 플라토는 어머니의 총을 가지고 저택으로 가서 짐과 주디에게 경고하고, 저택에서 세 사람은 잠시나마 가족처럼 지내며 서로에게 위안을 얻는다. 플라토가 잠든 사이, 짐과 주디는 저택을 둘러보며 첫 키스를 나눈다.

그러나 버즈의 갱단이 저택을 찾아내 플라토를 깨운다. 겁에 질린 플라토는 갱단원 중 한 명(크런치)에게 총을 쏜다. 짐이 돌아와 말리려 하지만, 플라토는 짐이 자신을 버렸다고 비난하며 천문대로 도망쳐 안에서 바리케이드를 친다. 짐의 부모 신고로 사건을 알게 된 경찰과 프레믹 경관(또는 경부), 그리고 부모들이 천문대를 포위한다. 짐과 주디는 천문대 안으로 들어가 플라토를 설득한다. 짐은 플라토에게 총을 자신의 붉은 재킷과 바꾸자고 제안하고, 총을 건네받기 전 몰래 탄약을 제거한다. 짐은 플라토를 데리고 밖으로 나오지만, 경찰은 플라토가 여전히 총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총알이 제거된 것을 모른 채) 그가 경찰을 향해 돌진하자(혹은 쏘려는 듯 보이자) 그를 사살한다.

플라토의 죽음에 짐은 오열하고, 그의 아버지가 다가와 아들을 위로하며 더 나은 아버지가 되겠다고 약속한다. 부모와 화해한 짐은 주디를 그들에게 소개한다. 플라토의 비극적인 죽음을 계기로 짐과 주디는 방황을 멈추고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하려 한다.

3. 등장인물

1950년대 중반 로스앤젤레스를 배경으로, 영화는 각기 다른 이유로 경찰서 보호실에 오게 된 세 명의 십대, 짐 스타크(제임스 딘), 주디(내털리 우드), 그리고 존 "플라토" 크로포드(살 미네오)의 만남으로 시작한다. 이들은 모두 불안정한 가정 환경 속에서 소외감과 좌절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공통된 아픔은 서로에게 이끌리는 계기가 된다. 영화는 이들 주요 인물들을 중심으로 당대 미국 청소년들이 겪었던 기성세대에 대한 반항과 정체성의 혼란을 그려낸다. 각 인물들의 구체적인 사연과 관계는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영화의 오리지널 예고편

3. 1. 주요 인물

영화의 주요 인물들은 각자 가정 문제로 인한 좌절과 소외감을 겪는 십대들이다. 주인공 짐 스타크는 끊임없이 다투는 부모, 특히 소심한 아버지 프랭크에게 불만을 느끼며 방황한다. 주디는 아버지에게 여성으로서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껴 반항적인 행동을 하며, 플라토는 부모의 부재 속에서 외로움을 느끼고 짐에게서 아버지의 모습을 찾으려 한다.[7][8] 이들의 불안정한 심리와 관계는 영화의 핵심 갈등을 이룬다.

배역배우설명
제임스 "짐" 스타크제임스 딘새로운 동네로 이사 온 전학생. 부모와의 갈등, 특히 아버지의 나약함에 불만을 품고 있다. 주디와 사랑에 빠지고 플라토에게는 보호자 같은 존재가 된다.
주디내털리 우드짐의 옆집 소녀. 아버지에게 인정받고 싶어 하지만 거부당하며 반항적인 모습을 보인다. 처음에는 버즈의 여자친구였으나 점차 짐에게 이끌린다.
존 "플라토" 크로포드살 미네오부모의 부재로 불안정한 환경에서 자란 소년. 짐을 아버지처럼 따르며 우상화한다.
프랭크 스타크짐 배커스짐의 아버지. 아내에게 주도권을 빼앗기고 아들에게 나약한 모습만 보이는 소심한 인물.
캐롤 스타크앤 도란짐의 어머니. 남편을 무시하고 가정의 주도권을 쥐려 하며, 문제가 생기면 이사로 해결하려 한다.
버즈 건더슨코리 앨런주디의 남자친구이자 불량 청소년 무리의 리더. 짐과 대립하며 위험한 치킨 게임을 벌이다 사망한다.
레이 프레믹 형사에드워드 플랫짐, 주디, 플라토를 경찰서에서 처음 만나는 소년과 형사. 짐의 고민을 들어주며 이해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주디의 아버지윌리엄 호퍼딸 주디가 성장하는 것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차갑게 대한다.
주디의 어머니로셸 허드슨
크로포드 가의 하녀마리에타 캔티부모 대신 플라토를 돌본다.
스타크 할머니버지니아 브리삭짐의 할머니. 아들 프랭크의 가정 문제에 간섭한다.
데니스 호퍼버즈의 갱단원 중 한 명.
무스잭 그리니지버즈의 갱단원 중 한 명.
크런치프랭크 마졸라버즈의 갱단원 중 한 명. 플라토를 위협하고 총에 맞는다.
민턴 박사이언 울프그리피스 천문대의 강사.
헬렌베벌리 롱주디의 친구.
로버트 폴크
쿠키잭 시몬스
해리톰 버나드
치크닉 아담스버즈의 갱단원 중 한 명.
스테피 시드니
클리프클리포드 모리스


3. 2. 조연

wikitext

배역배우
프랭크 스타크짐 배커스
캐롤 스타크앤 도란
버즈 건더슨코리 앨런
주디의 아버지윌리엄 호퍼
주디의 어머니로셸 허드슨
레이 프레믹 형사에드워드 플랫
크로포드 가의 하녀마리에타 캔티
스타크 할머니버지니아 브리삭
데니스 호퍼
무스잭 그리니지
크런치프랭크 마졸라
민턴 박사 (천문관 강사)이언 울프
헬렌베벌리 롱
로버트 폴크
쿠키잭 시몬스
해리톰 버나드
치크닉 아담스[35]
스테피 시드니
클리프클리포드 모리스


3. 3. 한국어 더빙 (KBS, 1997년)

3. 4. 일본어 더빙

일본에서는 총 두 가지 버전의 텔레비전 방송용 더빙판이 제작되었다.

  • NET TV: 1969년 8월 31일 『선데이 영화 극장』에서 처음 방송되었다. 이후 1977년 9월 25일 『선데이 히트 스크린』, 1980년 9월 26일 『위크엔드 극장』 등에서 재방송되었다.
  • TBS: 1984년 4월 28일 『명작 영화 논컷 10주』에서 처음 방송되었다. BD에는 재방송 시 사용된 단축판 음성이 수록되어 있다.


자막 번역은 타카세 시즈오가 담당했다.[36]

3. 4. 1. NET TV판 (1969년)

(짐의 아버지)짐 바커스시마 우시오캐럴 스타크
(짐의 어머니)앤 도란아라키 미치코버즈 건더슨코리 앨런우치우미 켄지주디의 아버지윌리엄 호퍼카요이 이에마사주디의 어머니로셸 허드슨시마 미야코군데니스 호퍼나카무라 히데오레이 플레믹 경부에드워드 프랫미야가와 요이치밀슈테피 시드니크로퍼드 가의 메이드마리에타 캔티짐의 할머니버지니아 브리삭나카무라 노리코헬렌비벌리 롱민턴 의사이언 울프크런치프랭크 마졸라진로버트 폴크쿠키잭 시몬스해리톰 버나드칙닉 아담스무즈잭 그리니지클리프클리포드 모리스불명
기타츠다 마리코
치카이시 신스케
토야마 케이
오오키 타미오
치바 준지
아사이 요시코
카츠다 히사시
테라시마 미키오
코바야시 카즈오



'''일본어 더빙판 스태프 (NET TV판)'''

3. 4. 2. TBS판 (1984년)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TBS판)
짐 스타크제임스 딘이케다 슈이치
주디나탈리 우드반 메구미
존 "플래토" 크로퍼드살 미네오타츠다 나오키
프랭크 스타크 (짐의 아버지)짐 바커스미야가와 요이치
캐럴 스타크 (짐의 어머니)앤 도란타니 이쿠코
버즈 건더슨코리 앨런겐다 텟쇼
주디의 아버지윌리엄 호퍼시마 슌스케
주디의 어머니로셸 허드슨
데니스 호퍼스즈오키 히로타카
레이 플레믹 경부에드워드 프랫사카이 오사무
슈테피 시드니
크로퍼드 가의 메이드마리에타 캔티
짐의 할머니버지니아 브리삭교다 나오코
헬렌비벌리 롱
민턴 의사이언 울프
크런치프랭크 마졸라노지마 아키오
로버트 폴크
쿠키잭 시몬스
해리톰 버나드
닉 아담스노지마 아키오[35]
무즈잭 그리니지
클리프클리포드 모리스
불명 / 기타오오키 타미오
타카하시 히로코
카타오카 토미에
무라마츠 야스오
히라바야시 나오조
이케다 마사루
센다 미츠오
호오 요시노
후루타 노부유키
오오타키 신야
오노 켄이치
아키야마 루나
고우리 다이스케
호리카와 료



'''일본어 더빙판 스태프 (TBS판)'''



'''방송 정보'''

4. 제작 과정

워너 브라더스는 로버트 M. 린드너의 책 《이유 없는 반항》의 판권을 구매하여 영화 제목으로 사용하고자 했다. 1940년대 후반에 영화화를 시도했지만, 완전한 각본이나 영화 제작에는 이르지 못하고 실패했다. 1947년 말론 브란도가 워너 브라더스에서 5분 분량의 스크린 테스트를 진행했을 때 부분적인 각본을 받았으나, 이는 《이유 없는 반항》과는 무관한 테스트였으며 브란도는 어떤 배역 제안도 받지 않았다. 현재의 영화는 1950년대에 완전히 새롭게 쓰인 각본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브란도의 테스트와는 관련이 없다. 해당 스크린 테스트 영상은 2006년 출시된 영화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의 스페셜 에디션 DVD에 수록되어 있다.

나탈리 우드는 주디 역을 맡지 못할 뻔했다. 감독 니콜라스 레이는 우드가 거친 10대 역할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드가 친구들과 외출했다가 교통사고를 당하자 레이는 병원으로 달려갔다. 우드는 의사가 자신을 "빌어먹을 비행 청소년"이라고 중얼거리는 것을 듣고 레이에게 "그가 나를 뭐라고 불렀는지 들었어요, 닉?! 그는 나를 빌어먹을 비행 청소년이라고 불렀어요! ''이제'' 제가 배역을 맡는 건가요?!"라고 외치며 배역을 얻어냈다.[10][11]

살 미네오가 연기한 플라토 크로포드 역은 초기 각본 단계부터 동성애자 설정이었다. 플라토가 짐에게 키스를 시도하는 장면도 있었으나 삭제되었다.[37] 미네오는 1972년 보즈 헤들리와의 인터뷰에서 "플라토가 죽는 것이 말이 된다. 그는 어떤 면에서는 영화 속 최초의 게이 십대였다. 지금 보면, 그가 제임스 딘에게 반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언급했다.[12] 딘이 미네오에게 연기 지도를 할 때 "내가 나탈리를 보는 시선으로 나를 봐"라고 조언했다는 일화도 있다.[37]

영화 속 도슨 고등학교는 실제 캘리포니아주 산타 모니카에 위치한 산타 모니카 고등학교에서 촬영되었다. 등장인물들이 숨는 장소로 나오는 버려진 저택의 외부 장면은 영화 《선셋 대로》(1950) 촬영에 사용되었던 윌리엄 O. 젠킨스 하우스에서 촬영되었다. 이 저택은 《이유 없는 반항》 촬영 2년 후 철거되었다.

초기 각본을 담당한 어빙 슐만은 제임스 딘이 연기한 짐 스타크의 이름을 허먼 드빌로 바꾸는 것을 고려하기도 했다. 또한 슐만이 작성한 장면 중 일부는 촬영되었으나 최종 편집 과정에서 삭제되었다. 그중 하나는 짐 스타크가 만취 상태로 주차장에서 차를 향해 "작은 지프 지프! 작은 지프, 지프!"라고 외치는 장면이었는데, 편집장 윌리엄 H. 지글러는 이 장면이 이야기 전개에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삭제했다. 2006년 링컨 센터 영화 협회 회원들은 이 장면의 필름을 찾아 역사적 보존을 위해 보관해달라고 청원하기도 했다.

영화 제작은 1955년 3월 28일부터 5월 26일까지 진행되었다. 처음 워너 브라더스는 이 영화를 B급 영화로 기획하여 흑백 필름으로 촬영을 시작했다. 그러나 잭 L. 워너가 제임스 딘의 스타성과 인기를 인지하면서 제작 방향을 바꾸어 컬러 필름으로 전환했고, 많은 장면을 컬러로 다시 촬영해야 했다. 또한 당시 최신 기술이었던 와이드스크린 시네마스코프 형식으로 촬영되었다. 이러한 시각적 표현 덕분에 영화는 "형식의 예술적 및 기술적 진화에서 획기적인 ... 비약적인 발전"이라는 평가를 받았다.[13]

영화에서 제임스 딘이 운전했던 1949년형 머큐리 2도어 세단은 네바다주 리노의 국립 자동차 박물관에 영구 소장되어 있다.

5. 평가 및 반응

로튼 토마토에서는 61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93%의 신선도 평점을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8.30/10이다. 사이트의 비평가 합의는 "''이유 없는 반항''은 50년대 청소년들의 태도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력과 제임스 딘의 차갑고 상징적인 연기를 담은 통렬한 멜로드라마이다."라고 요약한다.[14] 메타크리틱에서는 19명의 비평가를 기준으로 100점 만점에 89점을 부여하며 "보편적인 찬사"를 받았다.[15]

영화는 1955년 10월 27일 개봉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제임스 딘의 연기는 대부분의 평론가로부터 극찬을 받았지만, 그는 영화 개봉 한 달 전인 9월 30일에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뉴욕 헤럴드 트리뷴''의 윌리엄 진서는 영화를 혹평하며 "두 시간이 걸리지만 이틀처럼 느껴진다. 너무 서투르게 쓰이고 연기되었으며, 너무 느리게 연출되었다"고 평하면서도, "예외는 지난달에 사망한 재능 있는 젊은 배우 딘이다. 그의 드문 재능과 매력적인 개성은 이 딱딱한 멜로드라마를 통해서도 빛을 발한다"고 덧붙였다.[16]

반면 ''뉴욕 타임스''의 보슬리 크로더는 영화를 "폭력적이고, 잔혹하고, 불안하다"고 묘사하며, 10대들의 "기괴한 방식"을 과도하게 생생하게 그렸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칼싸움, 잔혹한 장면, 자동차 경주 장면을 지적하며, 제임스 딘의 연기에 대해서도 말론 브란도를 모방한 "서투른 과시"라고 평가했다.[17] ''뉴욕 데일리 뉴스''의 완다 헤일 역시 어른들을 평면적으로, 10대들을 깡패처럼 묘사한 점을 지적하며 신뢰성이 부족하다고 비판했지만, 제임스 딘의 연기에 대해서는 "캐릭터를 완전히 통제하며, 자신의 감정적 불안정을 알고 괴로워하는 불행하고 외로운 10대의 훌륭하고 섬세한 연기를 보여준다"고 칭찬했다.[20]

긍정적인 평가도 있었다. ''할리우드 리포터''의 잭 모핏은 제임스 딘, 나탈리 우드, 살 미네오의 연기와 니콜라스 레이의 연출을 높이 평가하며 영화의 흥행을 예측했다. 그는 경찰서 장면의 현실성과 10대 하위 문화의 허무주의를 매력적으로 포착했다고 칭찬했지만, 전문 관료가 가족보다 청소년을 더 잘 지도할 수 있다는 식의 이념적 함의에는 비판적이었다.[18] ''버라이어티''의 로버트 J. 랜드리는 "가끔 과장되기도 하지만, 불행한 젊은이들이 또 다른 비행을 저지르는 상당히 흥미진진하고 긴장감 넘치고 도발적인 멜로드라마"라고 평했다. 그는 제임스 딘이 니콜라스 레이 감독의 지도로 말론 브란도 스타일에서 벗어나 "매우 효과적인" 연기를 보여주었다고 평가하며, 캐릭터의 내면을 파고드는 능력이 뛰어나다고 칭찬했다.[19]

나탈리 우드, 살 미네오, 니콜라스 레이는 이 영화로 아카데미상 후보에 올랐다. 영화는 국내외 상영을 통해 719.7만달러의 수익을 올려, 그 해 워너 브라더스의 두 번째로 큰 흥행작이 되었다.[16]

''이유 없는 반항''은 일부 국가에서 검열을 받거나 상영이 금지되기도 했다. 영국에서는 영국 영화 등급 분류 위원회에 의해 장면이 삭제되고 X 등급으로 개봉되었으며,[21][22] 특히 칼싸움 장면 대부분은 1967년까지 영국에서 상영되지 못했다.[23] 뉴질랜드에서는 1955년 "10대 비행"을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로 상영이 금지되었다가, 이듬해 항소를 통해 일부 장면이 삭제되고 R16 등급으로 개봉되었다.[24][25] 스페인에서도 상영이 금지되어 밀반입되어야 했으며, 1964년에야 공식적으로 개봉될 수 있었다.[16]

5. 1. 수상 내역

부문후보결과
아카데미상[26]남우조연상샐 미네오후보
여우조연상나탈리 우드후보
각본상니콜라스 레이후보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27]최우수 작품상후보
외국 남자 배우상제임스 딘후보
카이에 뒤 시네마최우수 영화니콜라스 레이후보
골든 글로브상[28]가장 유망한 신인 여자배우나탈리 우드수상
국립 영화 보존 위원회[5]국립 영화 등록부수상 (등재됨)
온라인 영화 & 텔레비전 협회상명예의 전당 – 영화수상
새턴상최우수 DVD 또는 블루레이 컬렉션제임스 딘 얼티메이트 컬렉터스 컬렉션후보



'''미국 영화 연구소 선정'''


'''엠파이어 잡지 선정'''

6. 문화적 영향

이 영화는 1950년대 미국 청소년 문화를 상징하는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영화 속에서 제임스 딘이 착용한 리의 청바지와 빨간 재킷(정확히는 맥그리거 사의 "나일론 안티프리즈" 모델)은 당시 젊은이들 사이에서 큰 유행을 불러일으켰다. 이전까지 작업복으로만 여겨졌던 청바지가 이 영화와 엘비스 프레슬리 등의 영향으로 젊은이들의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 잡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영화의 주요 배경이 된 그리피스 천문대는 이 영화 덕분에 세계적으로 유명한 장소가 되었으며, 이를 기념하여 천문대 외부에는 제임스 딘의 흉상이 세워져 있다.

영화 속 명대사 "You're tearing me apart!"는 이후 여러 작품에서 인용되거나 패러디되었다. 대표적으로 토미 위소 감독의 컬트 영화 《더 룸》(2003)에서 이 대사가 그대로 사용되었다.[31] 위소의 초기 각본에는 "You're ''taking'' me apart, Lisa"로 쓰여 있었다고 한다.[32] 또한, 2016년 영화 라라랜드에서는 주인공들이 리알토 극장에서 《이유 없는 반항》을 관람하는 장면이 등장하며, 영화의 결말 부분 대사("내가 총알을 가졌어")가 언급되기도 한다.[33]

팝 아티스트 앤디 워홀은 일본 방문 당시 이 영화의 일본판 포스터에 영감을 받아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작품을 남기기도 했다.

음악 분야에서는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1980년 노래 "캐딜락 랜치" 가사에 캐딜락 랜치에서 만나는 인물 중 한 명으로 "1949년형 머큐리에서 제임스 딘"이라는 구절이 포함되어 있다.

연극 무대에서도 각색되었다. 2005년에는 일본에서 니노미야 카즈나리가 짐 스타크 역을 맡고 쓰쓰미 유키히코가 연출한 연극이 도쿄 글로브좌와 우메다 예술극장에서 공연되었다.[39] 같은 해 뉴욕의 오프 브로드웨이 아메리칸 시어터 오브 액터스에서도 앨리 멀홀랜드와 오브리 플라자 주연의 연극이 무대에 올랐다.[34]

참조

[1] 서적 Beatniks: A Guide to an American Subcultur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ABC-CLIO
[2] 간행물 The Top Box-Office Hits of 1956 Variety Weekly 1957-01-02
[3] 뉴스 Variety film review Variety Film Reviews 1955-10-26
[4] 뉴스 Harrison's Reports film review Harrison's Reports and Film Reviews 1955-10-22
[5] 웹사이트 Complete National Film Registry Listing https://www.loc.gov/[...] 2020-05-08
[6] 뉴스 Library of Congress Adds 25 Titles to National Film Registry https://www.nytimes.[...] 2020-08-06
[7] 서적 The Horse who Drank the Sky: Film Experience Beyond Narrative and Theory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8] 서적 Male Beauty: Postwar Masculinity in Theater, Film, and Physique Magazine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9] 서적 Rebel Without a Cause: Approaches to a Maverick Masterwork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5
[10] 서적 Natasha: The Biography of Natalie Wood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4-07-11
[11] 학술지 How Natalie Wood Seduced Her Way Into 'Rebel Without a Cause' http://www.hollywood[...] 2014-07-11
[12] 웹사이트 Boze Hadleigh interview with Sal Mineo, 1972 http://www.salmineo.[...] 2021-11-26
[13] 학술지 DVD Playback: Rebel Without a Cause (1955) 2005-10
[14] 웹사이트 Rebel Without a Cause 2022-03-30
[15] 웹사이트 Rebel Without a Cause 2024-05-13
[16] 서적 "Vanity Fair's Tales of Hollywood: Rebels, Reds, and Graduates and the Wild Stories Behind the Making of 13 Iconic Films"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7] 뉴스 The Screen: Delinquency; 'Rebel Without Cause' Has Debut at Astor https://www.nytimes.[...] 1955-10-27
[18] 뉴스 "'Rebel Without a Cause': THR's 1955 Review" https://www.hollywoo[...] 1955-10-21
[19] 잡지 Rebel Without a Cause https://variety.com/[...] Variety Inc. 1955-10-26
[20] 서적 The Making of Rebel Without a Cause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5-06-08
[21] 서적 The Making of Rebel Without a Cause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5
[22] 뉴스 To cut or not to cut – a censor's dilemma https://www.telegrap[...] 2009-06-21
[23] 서적 Nicholas Ray https://books.google[...] Twayne
[24] 서적 Contemporary New Zealand Cinema: From New Wave to Blockbuster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8-09-30
[25] 웹사이트 History of Censorship: 1955 – Rebel Without a Cause http://www.censor.or[...] NZ Office of Film & Literature Classification
[26] 웹사이트 The 28th Academy Awards https://www.oscars.o[...]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24-05-13
[27] 웹사이트 Film in 1957 https://awards.bafta[...] British Academy of Film and Television Arts 2024-05-13
[28] 웹사이트 Rebel Without a Cause https://goldenglobes[...] Hollywood Foreign Press Association 2024-05-03
[29] 웹사이트 Empire's 500 Greatest Movies Of All Time http://www.empireonl[...] 2012-08-13
[30] 서적 Hollywood Auction 74 Profiles in History
[31] 뉴스 The Room: how the worst movie ever became a Hollywood legend as bizarre as its creator https://www.vox.com/[...] 2017-12-19
[32] 서적 The Disaster Artist: My Life Inside The Room, the Greatest Bad Movie Ever Made Sphere
[33] 웹사이트 Your 'La La Land' cheat sheet https://www.usatoday[...] 2022-10-22
[34] 웹사이트 Rebel Without A Cause 2005 NYC https://rebelwithout[...]
[35] 문서 #or 영화 理由なき反抗
[36] 영화 【ワーナー公式】映画(ブルーレイ,DVD & 4K UHD/デジタル配信)|理由なき反抗 https://warnerbros.c[...]
[37] 뉴스 名画プレイバック 連載第5回 『理由なき反抗』(1955年) https://www.cinemato[...] 2015-03-27
[38] 간행물 大人なら知っておきたい。ジーンズの歴史【前編】〜なぜデニムはファッションになったのか?〜 https://www.leon.jp/[...] 2020-03-24
[39] 간행물 LOOK at STAR! 2005年 4月号(vol.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