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재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재무는 1958년 충청남도 부여군 출생의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한남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1983년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민족문학작가회의 시 분과 부회장,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대표를 역임했으며, 난고문학상, 편운문학상, 윤동주문학상, 소월시문학상, 풀꽃문학상, 송수권 시문학상, 유심작품상, 이육사 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그의 시는 서정적이며, 소외된 이들에 대한 연민, 자연과 어머니에 대한 회상 등을 표현하며, 시집으로 《섣달그믐》, 《온다던 사람 오지 않고》, 《벌초》, 《위대한 식사》, 《슬픔에게 무릎을 꿇다》등을 출간했다. 현재 계간지 《시작》의 편집인이며, 서울디지털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월시문학상 수상자 - 김정란
    김정란은 1953년생으로, 상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문학평론가, 시인, 번역가, 사회 운동가로 활동했고, 문학의 상업주의와 언론과의 유착 관계를 비판하며 사회적 발언과 저술 활동을 해왔다.
  • 소월시문학상 수상자 - 정호승
    정호승은 1950년 경상남도 하동에서 태어나 시 〈첨성대〉로 시인, 단편소설 〈위령제〉로 소설가로 등단했으며, 민중적 서정성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활동을 해온 대한민국의 시인, 소설가, 동화 작가이다.
  • 대한민국의 시인 - 한승헌
    한승헌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인권 변호사, 사회운동가, 수필가로, 군사정권 시절 시국 사건 변론을 맡아 인권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감사원장과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시인 - 유시민
    유시민은 경주 출신의 작가이자 정치인, 유튜버로, 민주화 운동 참여,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 방송인, 유튜버로 활동하며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 1958년 출생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1958년 출생 - 이재갑 (공무원)
    이재갑은 행정고시 합격 후 노동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고용노동부 장관을 역임하고 최저임금 인상 등 노동 정책을 추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이재무 - [인물]에 관한 문서
작가 정보
이름이재무
출생일1958년
출생지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직업시인
대학 교수
천년의 시작 대표이사
학력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수료
경력서울디지털대학교 교수
現 천년의시작 대표이사
2014~15 월간 [현대시학] 주간 엮임.
2010~15 [실천문학] 시집 간행위원회 활동
2001~09 계간 [내일을 여는 작가] 주간
2000~15 [한국 작가회의] 이사
1994.~ 민족예술인총연합 대의원
1993.~1994. 민족문학작가회의 시분과위원회 부위원장
1985 민족문학작가회의 상임 간사
자녀이준행(벤치위레오)
장르시문학
활동 기간1983년 ~ 현재

2. 생애

1958년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태어났다. 한남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국문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83년 《삶의문학》, 《문학과사회》 등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3]

그는 한남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으로 졸업했으며, 동국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 문예지 《삶의 문학》에 「귀를 후빈다」를 포함한 5편의 시를 발표하며 문학 활동을 시작하였다. 1993년부터 1994년까지 민족문학작가회의 시 분과 부회장을, 1994년에는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의 대표를 역임했다.

수상 경력으로는 2002년 제2회 난고문학상, 2005년 제15회 편운문학상, 2006년 제1회 윤동주문학상이 있다.

출간한 시집으로는 《섣달그믐》(1987), 《온다던 사람 오지 않고》(1990), 《벌초》(1992), 《몸에 피는 꽃》(1996), 《시간의 그물》(1997), 《위대한 식사》(2002), 《푸른 고집》(2004), 《누군가 나를 울고 있다면》(2007), 《저녁 6 시》(2007), 《경쾌한 유랑》(2011), 《슬픔에게 무릎을 꿇다》(2014)가 있다. 시선집 《오래된 농담》(2008), 자필 시집 《주름 속에 나를 다린다》(2013), 시 비평집 《사람들 사이에 꽃이 핀다면》(2005)도 출간하였다. 수필집으로는 《생의 변방에서》(2003),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밥》(2010)이 있다. 또한 《민족시인 신경림 시인을 찾아서》를 공저했으며, 《대표시, 대표평론 I, II》를 엮었다.[3]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신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충청대학교, 한남대학교에서 시 창작을 가르쳤으며, 현재 계간지 《시작》의 편집인이자 서울디지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4]

3. 작품 세계

이재무의 시는 서정적이며, 소외된 이들에 대한 연민, 소수자에 대한 사랑, 자연과 어머니에 대한 회상, 삶과 문학에 대한 진솔한 성찰을 진솔한 목소리로 표현해 왔다.[5] 이재무의 시는 시기에 따라 변화를 겪었는데,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시기는 등단하여 첫 시집 《섣달그믐》을 출간한 시기부터 세 번째 시집 《벌초》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고향 출신의 시인이 차분한 어조로 가족사, 주변의 이야기를 회상했다.

두 번째 시기는 네 번째 시집 《몸에 피는 꽃》을 낸 시기부터이다. 이 시기에는 고향을 떠나 도시에서 고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과 갈등,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후회를 주로 묘사했다. 첫 번째 시기에는 과거의 기억을 그대로 보여주는 작품이 많았다면, 두 번째 시기에는 도시에서 삶을 이어가야 하는 현대인의 좌절감,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은 욕망을 표현했다.

세 번째 시기는 다섯 번째 시집 《위대한 식사》를 낸 이후이다. 이 시기에는 도시의 삶을 살아가는 혹독한 현실을 인지하면서도, 문명과 함께 자연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시인의 모습을 보여주었다.[6]

이재무의 시는 시인의 고향에서의 청소년 시절의 경험을 솔직하게 보여주며, 순수함을 잃어버린 현대 문명 사회에 대한 질타를 자주 표현한다. 건강한 시골 생활의 모습과 현대인의 차갑고 건조한 삶을 비교한다. 그는 ‘진보’라는 근대주의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며, 환경 복원을 주장하는 작품을 자주 쓰고 있다. 정치적인 비판을 할 때도 서정적인 감수성을 보여주며,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글을 쓴다. 그의 작품은 생태적 상상력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근대 이후 자본주의에 의해 상실된 삶의 미덕과 가치를 되살린다. 그렇기에 그는 문명을 비판하는 한국의 주요 서정 시인 중 한 명으로 칭송받고 있다.[7]

4. 작품 목록

이재무 시인은 시집, 시선집, 시평집, 산문집 등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발표했다. 다른 작가와 함께 책을 쓰거나(공저), 다른 작가의 작품을 모아 책을 엮기도 했다(편저).

4. 1. 시집

제목출판사출판 연도
섣달그믐청사1987년
온다던 사람 오지 않고문학과지성사1990년
벌초실천문학사1992년
몸에 피는 꽃창작과비평사1996년
시간의 그물문학동네1997년
위대한 식사세계사2002년
푸른 고집천년의시작2004년
저녁 6시창작과비평사2007년
누군가 나를 울고 있다면화남2007년
경쾌한 유랑문학과지성사2011년
주름 속의 나를 다린다지식을만드는지식2013년
슬픔에게 무릎을 꿇다실천문학사2014년
슬픔은 어깨로 운다천년의시작2017년
데스밸리에서 죽다천년의시작2020년
즐거운 소란천년의시작2022년
한 사람이 있었다열림원2022년


4. 2. 시선집

제목출판사출판년도
오래된 농담북인2008년
길 위의 식사문학사상2012년
얼굴천년의시작2018년


4. 3. 시평집


  • 사람들 사이에 꽃이 핀다면한국어 (2005년, 화남)

4. 4. 산문집

제목출판사출판 연도
생의 변방에서화남2003년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밥화남2010년
집착으로부터의 도피천년의시작2016년
쉼표처럼 살고 싶다천년의시작2019년
괜히 열심히 살았다천년의시작2022년


4. 5. 공저

4. 6. 편저


  • 《대표시, 대표평론Ⅰ·Ⅱ》

5. 수상 내역

연도수상 내역
2002년제2회 난고문학상[1] (제2회 남고문학상)
2005년제15회 편운문학상 우수상[2]
2006년제1회 윤동주 시상(제1회 윤동주문학상)[3]
2012년제27회 소월시문학상 대상[4]
2015년제2회 풀꽃문학상 본상[5]
2017년제3회 송수권 시문학상 본상[6]
2019년제17회 유심작품상 시부문[7]
2020년제17회 이육사 문학상[8]
2021년자랑스러운 한남인상


참조

[1] 웹사이트 이재무 {{!}}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LTI Korea) http://library.ltiko[...] 2018-01-03
[2] 웹사이트 Si-in Plus http://cafe.naver.co[...]
[3] 웹사이트 Gmarket http://book.gmarket.[...]
[4] 웹사이트 Si-in Plus http://cafe.naver.co[...]
[5] 서적 Bipyeongui godok Somyung Books 2016
[6] 웹사이트 Naver Cafe http://cafe.naver.co[...]
[7] 웹사이트 Naver Books http://book.naver.co[...]
[8] 뉴스 수원 서아책방, 도시 문화 발전 위해 작가들 함께하는 인문학 프로그램 진행한다 http://www.news-pape[...] 뉴스페이퍼 2019-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