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여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백제 시대에는 수도 사비(泗沘)였던 곳이다. 538년부터 660년까지 백제의 수도였으며, 신라,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는 임천군에 속한 지역이었다.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며, 1914년 주변 지역이 통합되어 현재의 부여군이 되었다. 주요 지형으로는 차령산맥의 구릉지와 금강 유역의 평야가 있으며, 백제문화제, 국립부여박물관, 부소산성 등 풍부한 문화 유적과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여군 - 정림사지박물관
정림사지박물관은 2006년 9월 29일에 개관했으며, 국보 제9호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보물 제108호인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등을 소장하고, 중앙홀, 백제 불교 문화관, 정림사지관, 기획전시실, 야외전시실 등으로 전시를 구성한다. - 부여군 - 규암면
규암면은 충청남도 부여군에 위치하며 백마강변의 교통 요지로서, 조선 후기에는 천을면으로 불렸고 현재는 19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인삼공사 고려인삼창, 백제문화단지, 자온대, 수북정 등의 주요 시설과 문화유산이 있다. - 충청남도의 군 - 청양군
충청남도 중앙에 위치한 청양군은 칠갑산을 중심으로 산지가 많고 백제 시대부터 역사를 지닌 1읍 9면의 농업 기반 지역으로, 충청남도에서 인구가 가장 적으며 칠갑산 도립공원 등의 관광자원과 충남도립청양대학교가 있다. - 충청남도의 군 - 예산군
예산군은 충청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유구한 역사의 군으로,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2읍 10면으로 구성되었으며, 농업과 축산업이 주요 산업이고 윤봉길 의사 등 유명 인물을 배출하며 내포신도시 개발로 발전하고 있다. - 한국의 옛 수도 - 한성부
한성부는 조선의 수도를 관할하며 행정, 사법, 재정 등의 업무를 담당했고, 정2품인 한성판윤이 최고 책임자였으며, 1895년 지방 행정 구역으로 개편되었다가 1910년 경성부로 개칭되었다. - 한국의 옛 수도 - 공주시
공주시는 충청남도 중앙 동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수도 웅진으로서 번영을 누렸고, 충청 지역의 중심지, 충청도 감영 위치 등 행정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도농복합시로서 백제 유적과 자연경관, 교육기관,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역사와 문화 관광 도시이다.
부여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한글 표기 | 부여군 |
한자 표기 | 扶餘郡 |
로마자 표기 | Buyeo-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Puyŏ-gun |
위치 | 대한민국 호서 지방 |
행정 구역 종류 | 군 |
면적 | 624.65km² |
인구 (2024년 9월) | 59,823명 |
인구 밀도 | 152.4명/km² |
방언 | 충청 |
행정 구역 | 1읍 15면 |
![]() | |
![]() | |
정치 | |
군수 | 박정현 (더불어민주당) |
기타 정보 | |
군목 | 은행나무 |
군화 | 연꽃 |
군조 | 비둘기 |
상징 동물 | 금동이 |
홈페이지 | 부여군청 공식 홈페이지 |
2. 역사
부여는 본래 백제의 대산현(大山縣)이었고, 538년부터 660년까지 백제의 수도였다. 백제 멸망 후 당나라는 웅진도독부를 설치하였으나, 남북국 시대에 신라가 이 지역에 군현을 설치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한산현(翰山縣)으로 고쳐 가림군(嘉林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년) 홍산(鴻山)으로 고치고, 1175년(고려 명종 5) 한산감무로 하여금 이를 겸하게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1413년(조선 태종 13년) 현감이 파견되었고, 1895년(고종 32) 군(郡)으로 승격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부여군, 임천군, 홍산군 및 석성군의 일부, 노성면 소사면 지역을 합쳐 새롭게 '''부여군'''이 발족하였다. (16면) 홍산(鴻山)이라는 지명은 그 모양이 나는 기러기처럼 생긴 비홍산(飛鴻山)에서 유래하였다.[14]
1914년 4월 1일 군면 폐합 당시 설치된 면은 다음과 같다.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부여군 현내면, 대방면, 몽도면 | 부여면 |
부여군 천을면, 송당면, 도성면 | 규암면 |
부여군 가사면, 공동면, 방생면 | 은산면 |
부여군 초촌면, 노성면 소사면 | 초촌면 |
석성군 현내면, 북면, 증산면, 비당면 | 석성면 |
홍산군 군내면, 대야면의 일부 | 홍산면 |
홍산군 하서면, 상서면 | 옥산면 |
홍산군 해안면, 상동면 | 구룡면 |
홍산군 내산면의 일부, 대야면의 일부 | 내산면 |
홍산군 내산면의 일부, 외산면 | 외산면 |
홍산군 남면, 상동면의 일부 | 남면 |
임천군 읍내면, 지서면 | 임천면 |
임천군 북박면, 내남면, 성백면 | 장암면 |
임천면 인세면, 초신면 | 세도면 |
임천면 대적면, 홍상면 | 양화면 |
임천면 팔가면 | 충화면 |
1917년 10월 1일 현내면이 부여면으로 개칭되었다.[12]
1960년 1월 1일 부여면이 부여읍으로 승격되었다.[13] (1읍 15면) 1973년 7월 1일 석성면 현북리가 부여읍에, 장암면 사산리가 세도면에 편입되었다.
2. 1. 백제 시대
538년(백제 성왕 16년) 백제는 수도를 웅진(현재의 공주시)에서 사비(현재의 부여)로 옮겼다.[14] 사비는 538년부터 660년까지 백제의 수도로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였다. 백제는 660년(백제 의자왕 20년) 나·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면서 사비성이 함락되었다.[14]2. 2. 통일신라 시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한산현(翰山縣)으로 고쳐 가림군(嘉林郡)의 영현으로 하였다.[14]2. 3. 고려 시대
고려 태조 23년(940년)에 홍산(鴻山)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감무가 설치되었으며, 부여, 가림, 석성, 흥산(홍산)의 4현을 관할하였다.[14]2. 4. 조선 시대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현감이 파견되었다.[14] 조선 시대 부여군은 임천군, 부여현, 홍산현, 석성현의 1군 3현으로 구성되었다.[15]
2. 5. 일제강점기
1895년 6월 23일(음력 윤 5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으로 공주부 부여군, 석성군, 홍주부 임천군, 홍산군이 되었다.[15] 1896년 8월 4일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군, 임천군, 홍산군으로 개편되었다.[16]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부여군, 임천군, 홍산군 각 일원, 석성군 일부를 통합하여 부여군이 되었다.[17] 당시 설치된 면은 다음과 같다. (16면)
- 현내면, 규암면, 은산면, 초촌면, 충화면, 양화면, 임천면, 장암면, 세도면, 외산면, 내산면, 구룡면, 홍산면, 옥산면, 남면, 석성면
1917년 10월 1일 현내면을 부여면으로 개칭하였다.[18]
2. 6. 대한민국
1960년 1월 1일 부여면이 부여읍으로 승격되었다.[19] (1읍 15면) 1973년 7월 1일 석성면 현북리가 부여읍에, 장암면 사산리가 세도면에 편입되었다.3. 지리
부여는 한국 한반도의 중심부에 위치한 충청남도의 남쪽 지역에 있다. 충청남도 서남부, 금강(백마강) 유역에 위치하며, 북쪽은 청양군, 공주시, 동쪽은 논산시, 남쪽은 금강을 사이에 두고 전라북도 익산시와 접한다. 서쪽은 바다에 가까운 보령시와 서천군이다.[2]
삼국시대 백제의 수도는 당시 사비라 불렸던 현재의 부여읍으로 옮겨졌다. 이는 당시 수도였던 (현재의 서울 근처) 인구 과밀 문제 때문이었다. 새로운 수도를 방어하기 위해 가림성이 건설되었다.
3. 1. 지형
차령산맥이 충청남도의 북동에서 남서부로 이어져 군의 북서쪽을 지나면서 구릉지를 이루고, 성태산(631m), 만수산(432m), 월명산(544m), 옥녀봉(368m), 원진산(271m) 등이 보령시, 서천군과 경계를 이룬다.금강 연안에 충적평야가 펼쳐지고, 은산천, 구룡천, 금천, 사동천, 여사천 등의 하천 유역에도 크고 작은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내산면에서 시작하는 구룡천은 금천과 합류하여 부여 딴펄마을에서 금강으로 흘러드는데, 이 두 하천 유역의 구룡평야는 3,000ha가 넘는 비옥한 토지로 부여군 내 제일의 곡창지대를 이룬다.[2]
3. 2. 기후
부여군의 기후는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아래 자료는 부여읍 가탑리에 위치한 부여기상관측소의 자료이며, 평년값은 1991년부터 2020년까지, 극값은 1972년부터 현재까지의 자료이다.[20][21]월 | 최고 기온(°C) | 평균 최고 기온(°C) | 평균 기온(°C) | 평균 최저 기온(°C) | 최저 기온(°C) | 강수량(mm) | 강수 일수 (0.1 mm 기준) | 습도(%) | 일조 시간 |
---|---|---|---|---|---|---|---|---|---|
1월 | 17°C | 4.4°C | -1.5°C | -22.1°C | 24.9mm | 6.9 | 70.9 | 164.4 | |
2월 | 20.6°C | 7.2°C | 0.7°C | -4.9°C | -16.6°C | 37.6mm | 5.8 | 65.6 | 173.6 |
3월 | 25.3°C | 12.7°C | 5.7°C | -0.6°C | -12.5°C | 50.9mm | 7.6 | 64.1 | 209.6 |
4월 | 30.7°C | 19.3°C | 11.8°C | 4.9°C | -5.5°C | 85.3mm | 7.9 | 63.0 | 222.5 |
5월 | 33.3°C | 24.5°C | 17.6°C | 11.4°C | 0.4°C | 97.5mm | 7.9 | 66.9 | 236.5 |
6월 | 34.7°C | 28°C | 22.1°C | 17.2°C | 6.8°C | 157.1mm | 9.3 | 72.1 | 199.3 |
7월 | 37.7°C | 29.8°C | 25.3°C | 21.8°C | 13°C | 295.7mm | 14.7 | 79.8 | 157.7 |
8월 | 39.3°C | 30.8°C | 25.7°C | 21.9°C | 11.2°C | 284.8mm | 13.5 | 78.5 | 184.5 |
9월 | 34.1°C | 26.9°C | 20.7°C | 15.9°C | 3.2°C | 146mm | 8.7 | 75.8 | 187.2 |
10월 | 30.5°C | 21.4°C | 13.8°C | 7.7°C | -3.6°C | 63.6mm | 5.9 | 74.0 | 198.8 |
11월 | 25.9°C | 13.8°C | 6.9°C | 1.4°C | -11.2°C | 51.8mm | 8.4 | 73.1 | 155.6 |
12월 | 19.8°C | 6.5°C | 0.4°C | -4.5°C | -17.6°C | 31.4mm | 8.9 | 73.2 | 153.3 |
연 | 39.3°C | 18.8°C | 12.4°C | 7.1°C | -22.1°C | 1326.6mm | 71.4 | 2243.0 |
4. 행정 구역
부여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5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91개의 법정리, 432개의 행정리, 1,686개의 반이 있다. 2017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인구는 69,086명이며, 이 중 32%가 부여읍에 거주한다. 면적은 624.6km2로, 충청남도 내에서 공주시, 서산시, 당진시, 천안시 다음으로 넓다.[25]
읍·면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km2) |
---|---|---|---|---|
부여읍 | 扶餘邑 | 9,901 | 22,648 | 58.86 |
규암면 | 窺岩面 | 4,882 | 10,741 | 46.58 |
은산면 | 恩山面 | 1,943 | 4,069 | 69.45 |
외산면 | 外山面 | 1,335 | 2,529 | 56.02 |
내산면 | 內山面 | 856 | 1,687 | 40.45 |
구룡면 | 九龍面 | 1,254 | 1,265 | 21.86 |
홍산면 | 鴻山面 | 1,558 | 3,118 | 23.9 |
옥산면 | 玉山面 | 806 | 1,515 | 25.39 |
남면 | 南面 | 1,041 | 2,008 | 20.99 |
충화면 | 忠化面 | 672 | 1,240 | 37.1 |
양화면 | 良花面 | 1,018 | 1,841 | 32.77 |
임천면 | 林川面 | 1,664 | 3,440 | 43.15 |
장암면 | 場岩面 | 1,646 | 3,074 | 47.69 |
세도면 | 世道面 | 1,777 | 3,448 | 41.92 |
석성면 | 石城面 | 1,558 | 3,254 | 30.58 |
초촌면 | 草村面 | 1,216 | 2,373 | 27.97 |
부여군 | 扶餘郡 | 32,999 | 69,086 | 624.67 |
각 읍·면의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읍·면 | 법정리 |
---|---|
부여읍 | 가증리, 가탑리, 관북리, 구교리, 구아리, 군수리, 릉산리, 동남리, 상금리, 석목리, 송간리, 송곡리, 신정리, 쌍북리, 염창리, 왕포리, 용정리, 자왕리, 저석리, 정동리, 중이리, 현북리 |
규암면 | 규암리, 금암리, 나복리, 내리, 노화리, 모리, 반산리, 부여두리, 석우리, 수목리, 신리, 신성리, 오수리, 외리, 진변리, 함양리, 합송리, 합정리, 호암리 |
은산면 | 가곡리, 가중리, 각대리, 거전리, 경둔리, 금공리, 나령리, 내지리, 대양리, 신대리, 오번리, 용두리, 은산리, 장벌리, 합수리, 홍산리, 회곡리 |
초촌면 | 산직리, 세탑리, 소사리, 송국리, 송정리, 신암리, 연화리, 응평리, 진호리, 초평리, 추양리 |
충화면 | 가화리, 만지리, 복금리, 오덕리, 지석리, 천당리, 청남리, 팔충리, 현미리 |
양화면 | 내성리, 벽룡리, 상촌리, 송정리, 수원리, 시음리, 암수리, 오량리, 원당리, 립포리, 축교리, 초왕리 |
임천면 | 가신리, 구교리, 군사리, 두곡리, 만사리, 발산리, 비정리, 옥곡리, 점리, 칠산리, 탑산리 |
장암면 | 북고리, 상황리, 석동리, 원문리, 장하리, 점상리, 정암리, 지토리, 하황리, 협곡리 |
세도면 | 가회리, 간대리, 귀덕리, 동사리, 반조원리, 사산리, 수고리, 장산리, 청송리, 정포리, 화수리 |
외산면 | 가덕리, 갈산리, 만수리, 문신리, 반교리, 복덕리, 비암리, 삼산리, 수신리, 장항리, 전장리, 지선리, 화성리 |
내산면 | 금지리, 마전리, 묘원리, 온해리, 운치리, 율암리, 저동리, 주암리, 지치리, 천보리 |
구룡면 | 구봉리, 금사리, 논치리, 동방리, 용당리, 주정리, 죽교리, 죽절리, 태양리, 현암리 |
홍산면 | 교원리, 남촌리, 무정리, 북촌리, 상천리, 정동리, 조현리, 좌홍리, 토정리, 홍량리 |
옥산면 | 가덕리, 상기리, 신안리, 수암리, 홍연리, 학산리, 중양리, 안서리, 봉산리, 내대리, 대덕리 |
남면 | 신홍리, 회동리, 삼룡리, 송암리, 대선리, 내곡리, 송학리, 금천리, 마정리 |
석성면 | 봉정리, 비당리, 석성리, 정각리, 증산리, 현내리 |
5. 인구
부여군의 인구는 2017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69,086명이며, 전체 인구의 32%가 부여읍에 거주하고 있다. 부여군의 면적은 624.6km2(2009)로 충청남도 내에서 공주시, 서산시, 당진시, 천안시에 이어 다섯 번째로 넓다. 1964년에 부여군의 인구가 195,843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하였다.[25]
읍·면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km2) |
---|---|---|---|---|
부여읍 | 扶餘邑 | 9,901 | 22,648 | 58.86 |
규암면 | 窺岩面 | 4,882 | 10,741 | 46.58 |
은산면 | 恩山面 | 1,943 | 4,069 | 69.45 |
외산면 | 外山面 | 1,335 | 2,529 | 56.02 |
내산면 | 內山面 | 856 | 1,687 | 40.45 |
구룡면 | 九龍面 | 1,254 | 2,165 | 21.86 |
홍산면 | 鴻山面 | 1,558 | 3,118 | 23.9 |
옥산면 | 玉山面 | 806 | 1,515 | 25.39 |
남면 | 南面 | 1,041 | 2,008 | 20.99 |
충화면 | 忠化面 | 672 | 1,240 | 37.1 |
양화면 | 良花面 | 1,018 | 1,841 | 32.77 |
임천면 | 林川面 | 1,664 | 3,440 | 43.15 |
장암면 | 場岩面 | 1,646 | 3,074 | 47.69 |
세도면 | 世道面 | 1,777 | 3,448 | 41.92 |
석성면 | 石城面 | 1,558 | 3,254 | 30.58 |
초촌면 | 草村面 | 1,216 | 2,373 | 27.97 |
부여군 | 扶餘郡 | 32,999 | 69,086 | 624.67 |
6. 산업
2000년대 초반까지 롯데리아가 진출하지 않았으나, 최근 몇 년간 다양한 프랜차이즈 매장들이 들어섰다. 전통 도시의 특성을 살려 많은 커피숍들이 한옥 스타일로 지어지거나 한옥 콘셉트를 적용하고 있다. 2013년 9월 8일에는 귀람면에 롯데 아울렛 부여점이 개점했다.
6. 1. 지역 경제
구분 | 2012년[22] | 2022년[23] |
---|---|---|
총생산 (억원) | 37.8조원 | - |
총종사자 수 (명) | - | 19,482 |
농림어업 (1차 산업) | 6.012조원 (16.20%) | 349명 (1.8%) |
광업 및 제조업 (2차 산업) | 15.511조원 (41.03%) | 3,342명 (17.2%) |
상업 및 서비스업 (3차 산업) | 161.71조원 (42.77%) | 15,779명 (81.0%) |
3차 산업 세부 부문 | 건설업(8.94%), 공공행정(7.28%), 교육 서비스업(4.05%), 도소매업(3.3%) | 숙박 및 음식점업(10.8%), 도소매업(16.7%), 교육서비스업(8.3%),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4%),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8.6%) |
2000년대 초반까지는 롯데리아가 이 지역에 진출하지 않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다양한 프랜차이즈 매장이 들어섰다. 전통 도시답게 많은 커피숍들이 한옥 스타일로 지어지거나 한옥 콘셉트를 적용하고 있다. 2013년 9월 8일, 귀람면에 새로운 롯데 아울렛 부여점이 문을 열었다.
7. 교통
서천공주고속도로가 2009년 5월에 개통되면서 부여 나들목과 서부여 나들목을 통해 부여읍과 남면 등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되었다.
부여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서울남부시외버스터미널까지 40분 간격으로 시외버스가 운행되며, 소요 시간은 2시간이다. 대전에서는 논산을 경유하여 15~4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소요 시간은 1시간 30분이다. 부여군에는 고속버스가 운행하지 않는다.
7. 1. 도로
2009년 5월에 서천공주고속도로가 개통되었으며, 부여읍으로 진입할 수 있는 부여 나들목과 남면 등으로 진입할 수 있는 서부여 나들목이 신설되었다.7. 2. 버스
부여군의 농어촌버스와 부여시외버스터미널에 대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부여군에는 고속버스는 운행하지 않는다. 시외버스는 서울남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4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소요 시간은 2시간이다. 대전에서는 논산을 경유하여 15~4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소요 시간은 1시간 30분이다.
8. 문화 · 관광
부여는 백제의 마지막 수도로서 백제와 관련한 역사 탐방이 문화관광의 주된 자원이다. 백제문화단지는 백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테마파크로 2006년에 개장하였다. 백마강은 금강 상류로 백강 전투가 벌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곳 중 하나이다.
8. 1. 문화 유적
부여는 백제의 마지막 수도로서, 백제와 관련된 역사 탐방이 문화관광의 주된 자원이다. 주요 사적으로는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과 능산리고분군, 궁남지, 부소산성, 낙화암, 고란사, 무량사 등이 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국보로 지정된 백제금동대향로,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 등이 있다. 국가지정문화재에는 국보 4점, 보물 16점, 사적 21곳, 무형문화재 1점, 민속자료 4점, 천연기념물 1점, 사적 및 명승 1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도지정문화재로 유형문화재 25점, 기념물 25점, 무형문화재 5점이 있다. 그 외에도 도문화재자료 40점, 군향토유족77점으로 많은 문화재가 있다. 매해 공주시와 합동으로 10월에 종합예술제인 백제문화제를 개최한다.[2]- 부여 관북리 유적(사적 제428호)
- 부소산성(사적 제5호)
- 부여 왕릉원(사적 제14호)
- 정림사지(사적 제301호)
- 부여 나성(사적 제58호)
-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 부여정림사지박물관
- 부소산성, 낙화암, 고란사
- 궁남지
- 무량사
- 부여 가림성
- 부여동헌
- 구드래
- 국립부여박물관
- 정림사지박물관
- 국립부여박물관 - 1945년 국립박물관 부여분관 설치, 1971년 신관 개관, 1975년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승격, 1993년 금성산으로 이전.
- 부소산 - 해발 94미터, 백제 시대 부소산성이 있었다.
- 왕궁지 - 부소산 남쪽 일대라 추정된다.
- 정림사지 - 왕도 시대의 중심 사찰. 국보인 5층석탑이 현재까지 남아 있다. 중국 남조 량(梁)은 541년 불전과 화가 등을 백제에 보냈다는 기록이 있으며, 량 출신 기술자가 새로운 도성에 걸맞은 시설로 지었다고 여겨진다. 부지 안에는 정림사지박물관이 설치되어 정림사의 역사, 건축 양식, 유물 등을 전시하고 있다.
- 낙화암 - 백제 멸망 시, 궁녀들이 투신했다는 전설이 있다.
- 백제문화제 - 백제의 옛 도읍지인 부여와 공주가 번갈아 매년 10월 6일부터 9일까지 개최한다.
- 백마강 - 금강 상류로 백강 전투가 벌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곳 중 하나이다.
- 백제문화단지:백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테마파크. 2006년 개장.
8. 2. 축제
백제문화제는 매년 10월 초·중순에 부여군과 공주시에서 번갈아 열리는 종합예술제이다. 1955년 부여군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기념하기 위해 처음 개최하였고, 1965년부터 충청남도에서 공식적으로 개최하기 시작했다.[6] 이 축제는 사비 시대 여섯 왕의 업적과 세 충신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백제 시대의 전통 의상과 행렬을 선보이며, 2007년 전국 최고 축제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7]은산별신제는 매년 3월에 열리는 축제이다.
이 외에도 유왕산 추모제 (매년 음력 8월 16일~17일), 팔충제 (매년 10월 초), 임천 충혼제 (매년 4월 말) 등이 있다.
9. 교육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교 |
---|---|---|---|
10. 자매 도시
부여군은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국외 자매 도시로는 일본 나라현 아스카촌, 후쿠오카현 다자이후시, 중국 허난성 뤄양시가 있다.[27]
10. 1. 국내
국내 자매결연 현황은 다음과 같다.[26]
10. 2. 국외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9-01
[2]
뉴스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4) 부여 성흥산 대조사 석불입상
http://www.seoul.co.[...]
2008-01-23
[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4]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8
[6]
웹사이트
백제문화재단
http://news.naver.co[...]
[7]
뉴스
Baekje Festival nominated national festival
Daejeon Ilbo
2008-01-26
[8]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9]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부여(236)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10]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부여(236)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11]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2]
법령
道令第8号
1917-09-25
[13]
법률
읍설치에관한법률
1960-01-01
[14]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5]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6-18
[16]
법령
칙령 제36호
1896-08-04
[17]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8]
법령
도령 제8호
1917-09-25
[19]
법률
읍설치에관한법률
1960-01-01
[20]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부여(236)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21]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부여(236)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22]
웹사이트
충청남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23]
웹사이트
충청남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24]
웹사이트
충청남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25]
웹사이트
부여군 통계
http://www.buyeo.go.[...]
2011-07-12
[26]
웹인용
자매결연(국내)
https://www.buyeo.go[...]
2023-01-08
[27]
웹인용
자매결연(국외)
https://www.buyeo.go[...]
2023-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