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근 (191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종근은 1919년 11월 1일 출생하여 1993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으로, 종근당의 창업주이다. 1941년 궁본약방을 시작으로, 종근당약방을 거쳐 종근당제약사를 설립하여 제약 회사로 발전시켰다. 국내 최초로 클로람페니콜의 미국 FDA 공인을 획득하고, 중앙연구소 설립, 리팜피신 발효 성공 등 제약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종근당장학재단(현 고촌재단)을 설립하여 육영 사업에 힘썼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고촌상 제정, 기념관 개관 등 다양한 추모 사업이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진시 출신 - 인명진
인명진은 대한민국의 목사, 시민운동가, 정치인으로, 노동운동과 민주화운동에 참여하고 한나라당 윤리위원장, 새누리당 및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 당진시 출신 - 김원기 (1924년)
김원기는 1924년 충남 당진 출생으로 고려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재무부 장관과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 1993년 사망 - 황인철 (1940년)
황인철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변호사, 사회운동가로서, 판사 출신으로 인권변호사로 활동하며 민청학련 사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등 시국사건 변론을 맡아 민주화 운동에 기여하고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창립,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연합 대표 등 사회운동에도 참여했다. - 1993년 사망 - 백두진
백두진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정치인, 금융인으로, 조선은행 이사장, 한국은행 이사장, 재무부 장관, 국무총리를 역임하고 국회의장, 유신정우회 의장 등을 지냈다.
이종근 (1919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종근(李鍾根) |
별명 | 고촌 |
![]() | |
출생일 | 1919년 11월 1일 |
출생지 | 충청남도 당진군 고대면 성산리 (現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성산리) |
사망일 | 1993년 2월 7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국적 | 대한민국 |
종교 | 개신교 |
가계 | |
조상 | 양녕대군 이제 |
아버지 | 이택기 |
어머니 | 신택순 |
자녀 | 이장한 |
친척 | 동생 이종문 |
학력 | |
학력 | 화광보통학교 |
경력 | |
직업 | 기업인 |
기타 | |
웹사이트 | 고촌홀 공식사이트 |
2. 출생과 유년 시절
1919년 조선 충청남도 당진군 고대면 성산리(현재의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성산리) 작동마을에서 태어났다. 1931년 가족과 함께 가난한 농촌을 떠나 서울로 이사하여 종로구 송월동의 어렁바위라고 불리는 토막촌에 정착했다.[1] 1932년 거주지에 화재가 발생하여 마포구 아현동 산7번지 굴레방다리 일대로 이사하였다. 같은 해 4월 화광보통학교 3학년에 편입하여 1934년 2월 졸업하였다.[1]
이종근은 약방을 세우기 전 철공소 견습공과 정미소 쌀 배달원을 거쳐 약품 외판원으로 일했다. 그는 자전거를 타고 서울특별시, 황해도, 충청도 지역의 약방을 돌며 영업을 하던 중 1941년 5월 7일 아현동 282-3번지(현재의 아현초등학교 옆)에 네 평의 가게를 얻어 궁본약방(宮本藥房)을 창업했는데, 이 궁본약방의 개업일이 곧 종근당의 창업일로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궁본약방은 1943년 조선총독부의 기업정비령(企業整備令)에 의해 강제로 폐업되었다.[1]
1946년 4월 1일, 서대문구 아현동 85-149 (현재의 마포구 아현동 서서울삼성아파트 옆)에 위치한 대지 12평, 건평 24평인 2층 점포 아래층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종근당약방을 다시 개업했다.[1] 상호에 자신의 이름을 내건 것은 약업에 대한 그의 굳은 의지와 책임감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종근은 회고록에서 "내 전 인격과 전 생활을 약업에 바치기로 결심한 만큼 내 이름을 감출 이유가 없으므로 버젓하게 이름을 내거는 것이다. 종근당약방이 흥하면 나 이종근이 흥하는 것이고, 망하면 나도 망하는 것이다"라고 밝혔다.[1]
해방 후 혼란기에 이종근은 가짜 약품 유통 사건을 겪으며 직접 의약품 제조를 결심했다. 1949년 종근당약방 2층에 대광화학연구소를 설립하고, 국내 최초 튜브형 연고인 '다이아졸'을 출시했다.[1] 1955년 종근당제약사를 설립하고 제약 허가를 취득했으며, 그해 가을 서대문구 충정로3가 357에 목조 2층 건물을 건립하고 본사로 사용하였다.[1] 1956년 1월 10일 자본금 500만원으로 '주식회사 종근당제약사'로 법인 등록했다.[1]
1968년 국내 제약사 최초로 클로람페니콜의 미국 FDA 공인을 획득하였다. 1972년 국내 제약사 중 최초로 중앙연구소를 설립하고 1974년 발효공장을 완공함으로써 종근당은 원료의 발효에서부터 합성, 완제품에 이르기까지 의약품을 일괄 생산하는 최초의 제약사가 됐다. 1976년에는 대한약품공업협회(현 한국제약협회) 회장에 취임하였고, 1980년 세계 네 번째로 항결핵제 리팜피신 발효에 성공하였다. 1973년 국내 최초 자체 기준인 CKD-GMP를 완비하고 1986년 전 제품 대상 GMP(우수의약품제조관리기준) 시설을 완료하였다.
이종근은 1950년대 부산 피난 시절부터 종업원에게 야간 학교를 다니게 지원하는 등 일찍부터 장학 사업을 통한 사회 환원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1960년대에는 사원 대상 지원 사업을 확대했다. 이종근은 '기업에서 얻은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는 것은 좋은 일이고 마땅한 일이다. 나는 내가 번 돈을 사회에 환원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육영사업이라고 생각한다.'라고 하였다.[1]
3. 궁본약방 시절 (1941~1943)
4. 종근당약방 시절 (1946~1955)
5. 제약사로의 도약 (1955~1968)
6. 국내 대표 제약 기업으로의 발전 (1968~1980)
7. 사회 공헌 및 재산 환원
7. 1. 고촌재단 설립과 활동
高村|고촌중국어재단은 1972년 말 종근당장학재단으로 설립되었으며, 전 종업원의 자녀에게 중학교 이상의 학자금을 지원하는 장학 사업을 시작하였다.[1] 이종근은 기업 이윤의 사회 환원은 당연한 일이며, 육영사업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했다.[1] 1979년 경영 일선에서 은퇴한 후 장학 사업에 더욱 매진하였다.[1]
8. 수상 내역
연도 | 상훈명 |
---|---|
1971년 | 동탑산업훈장 |
1975년 | 은탑산업훈장 |
1979년 | 한국의 경영자상 (한국능률협회 선정) |
1986년 | 국민훈장 목련장 |
9. 사후
1993년 타계 후,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다양한 추모 사업이 이루어졌다. 2006년 WHO 산하 결핵퇴치 국제협력사업단과 고촌재단은 결핵 퇴치를 위해 헌신한 이종근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대한민국 제약사상 최초로 고촌상(Kochon Prize)을 제정하였다.[1] 2010년 한국조폐공사는 '한국의 인물 100인 메달'의 52번째 인물로 이종근을 선정하였다.[1] 2013년 서거 20주년을 맞아 종근당 충정로 본사에 창업주기념관 '고촌홀'을 개관하였다.[2]
10. 연보
- 1919년 3남 2녀 중 차남으로 출생
- 1934년 사립화광보통학교 졸업
- 1941년 아현동 282-3에 궁본약방(현 종근당) 개업
- 1943년 서부약우회(서울 서부지역의 약업인 모임) 결성, 궁본약방 강제 폐업
- 1946년 아현동 85-149에 자신의 이름을 딴 종근당약방 개업
- 1949년 대광화학연구소 설립. 국내 최초 튜브 제품 항생 연고 ‘다이아졸연고’ 출시
- 1955년 종근당제약사 설립 (대광화학연구소 소멸)
- 1956년 주식회사 종근당제약사 법인 등록
- 1960년 종근당 심볼마크 현상 공모 및 ‘종’마크 도입
- 1967년 대한약품공업협회 부회장
- 1968년 국내 제약업계 최초 FDA 공인 획득 (항생제 클로람페니콜)
- 1969년 상호를 주식회사 종근당으로 개명. 우리나라 총 의약품 수출의 56.5% 기록
- 1972년 국내 제약업계 최초 중앙연구소 설립
- 1973년 종근당장학재단(현 종근당고촌재단) 문교부 등록
- 1974년 항생물질 발효공장 준공. 기초 원료에서 국제 수준의 완제품까지 생산하는 능력 보유
- 1976년 대한약품공업협회 회장
- 1979년 후계자 양성을 위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 종근당 대표이사 회장에 취임. 장학 사업에 매진.
- 1980년 세계 4번째로 항결핵제 리팜피신 발효 성공
- 1987년 학교법인 고촌학원 설립하고 대동상업고등학교 이사장 취임
- 1993년 충정로 자택에서 영면
참조
[1]
뉴스
종근당 창업주 故 이종근회장… ‘한국의 인물 시리즈 메달’에
http://www.segye.com[...]
[2]
웹인용
종근당, 故 이종근 회장 기념관 '고촌홀' 개관
http://www.edaily.co[...]
2014-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