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근 (192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종근은 1923년에 태어나 2003년에 사망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5·16 군사 정변에 가담했다. 이후 민주공화당, 신민주공화당, 자유민주연합 소속으로 국회의원을 6선 지냈으며, 지역 발전에 기여했다. 청렴한 삶으로 존경받았으며, 80세에 지병으로 사망하여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민주연합의 정치인 - 윤원중
윤원중은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김영삼 대통령 비서관, 국회사무총장 등을 역임하고 제15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자유민주연합의 정치인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전의 이씨 - 이종성 (1924년)
이종성은 충남방적을 설립하여 국내 최대 섬유류 제조업체로 성장시키고 1억불 수출탑을 수상하는 등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국회의원과 청운여고, 혜전대학, 청운대학교 등의 설립을 통해 교육 사업에도 헌신한 기업인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 전의 이씨 - 이광노
이광노는 대한민국 육군 중장 예편 후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조사에 참여하고 정계 은퇴 후 보수 성향 단체에서 활동했다.
이종근 (1923년)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종근 |
한자 표기 | 李鍾根 |
로마자 표기 | I Jong-geun |
출생 | 1923년 9월 13일 |
사망 | 2017년 7월 27일 (93세) |
직업 | 대한민국의 정치인 |
정당 | 민주공화당 |
학력 | |
최종 학력 | 고려대학교 법학과 졸업 |
경력 | |
주요 경력 | 제8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제9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제10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
기타 | |
가족 관계 | 슬하 3남 2녀 |
2. 학력
3. 생애
1923년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태어나 충주농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 8기로 졸업하였다. 이후 육군대학을 졸업하였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으며, 1961년 5·16 군사정변에 가담, 육군 준장으로 예편하였다. 민주공화당 공천으로 제6대 총선에 출마하여 당선된 후 6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한국국민당, 신민주공화당, 자유민주연합 등의 창당에도 참여했다. 국회의원 재임 중 건국대학교 충주 유치, 충주대학교 승격, 충주 여성회관, 충주 문화원, 충주 재향군인회관 건립 등 충주시 발전에 기여하였다. 청렴하고 검소한 생활로 시민과 함께하는 국회의원으로 평가받았으며, 딸의 집에 머물기도 하였다. 2003년 암으로 80세에 사망하여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충무 무공훈장, 화랑 무공훈장, 보국훈장 국선장 등을 수훈하였다.[2][3]
3. 1. 군인 시절
1923년 충주농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 8기, 육군대학을 졸업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한 육군 군인으로, 제1군사령부 작전과장을 거쳤다. 김종필의 권유로 5·16 군사 정변에 참여했으며, 육군 준장으로 예비역에 편입되었다.[2][3]3. 2. 5·16 군사정변 가담
1961년 5·16 군사정변 당시 김종필의 권유로 군사 반란에 가담하여 이한림 1군사령관을 불법 체포, 서울로 압송했다.[2][3]3. 3. 정치 활동
1961년 5·16 군사정변에 김종필의 권유로 참여했다. 육군 준장으로 예비역에 편입된 후, 제6대 총선에 민주공화당 공천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이후 5선 의원을 지냈다. 한국국민당, 신민주공화당, 자유민주연합 등의 창당에도 참여했다.[2][3]6선 국회의원을 지내면서 건국대학교를 충주에 유치하고, 충주산업대학교를 충주대학교로 승격시켰다. 충주 여성회관, 충주 문화원, 충주 재향군인회관 등을 지어 충주시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다른 국회의원들에 비해 청렴하고 검소하였으며, 시민과 더불어 사는 국회의원이었다. 딸이 사는 작은 아파트에 머물기도 하였다.[2][3]
3. 4. 지역 사회 기여
이종근은 국회의원 시절 건국대학교를 충주에 유치하고, 충주산업대학교를 충주대학교로 승격시켰다.[1] 또한 충주 여성회관, 충주 문화원, 충주 재향군인회관 등을 건립하여 충주시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1]3. 5. 청렴한 삶과 일화
이종근은 청렴하고 검소한 생활로 유명했으며, 일반 국민들로부터 '한국의 간디', '대꼬챙이' 등의 별명으로 불렸다. 서울에 집이 없어 상경할 때마다 딸의 집에 기거하며 사위의 눈치를 봐야 했다는 일화는 그의 청렴한 삶을 잘 보여준다.[5]7대 국회의원 시절, 충주에 재향군인회 회관 건립을 위해 노력하던 중 박정희 대통령이 그를 청와대로 불러 집을 사라고 300만원을 주었다. 그러나 이종근은 이 돈으로 충주에 어머니회관을 짓고 남은 30만원을 돌려주었다. 이에 박 대통령은 비서들에게 집 한 칸을 마련해 주라고 지시했고, 그렇게 생긴 집이 용두동의 한옥집이었다. 박 대통령은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살지 않는다"며 핀잔을 주기도 했지만, 이종근의 생활 태도는 변하지 않았다.[5]
1980년 5·17 내란 당시 신군부 세력이 김종필 등 구 정객과 측근 수백 명을 부정축재자로 몰아 피선거권을 박탈할 때도, 김종필의 최측근이었던 이종근은 숙청 대상에서 제외되어 11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할 수 있었다. 신군부 세력에서 조사했으나 비리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6]
이종근은 국회 폐회 중에는 직접 농사를 짓는 등 '청백리의 표본'으로 평가받았다.[4]
3. 6. 사망
李鍾根|이종근중국어은 2003년 10월 22일 지병으로 81세에 사망하여 대전현충원 장군묘역에 안장되었다.[3]4. 경력
연도 | 경력 |
---|---|
1948년 | 육군사관학교 8기 |
1955년 | 육군대학 졸업, 육군 교총 교육과장 |
1956년 | 육군본부 기획참모부 기획과장 |
1959년 | 육군 제1군 사령부 작전과장 |
1963년 | 육군 준장 예편, 민주공화당 상임위원, 충청북도 제3지구당위원장 |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제6대 민주공화당 국회의원(비례대표, 전국구)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 제7대 민주공화당 국회의원(충북 충주시, 중원군) |
1969년 | 제4차 APU 한국대표 |
1970년 | 국회 농림분과위원회 위원장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 제9대 민주공화당 국회의원(충북 충주시, 중원군) |
1973년 | 민주공화당 중앙위부의장 |
1976년 | 민주공화당 당무위원 |
1979년 | 제10대 민주공화당 국회의원(충북 충주시, 중원군), 국회 교체분과위원회 위원장, 민주공화당 충북 충주, 중원, 제천, 단양 지구당 위원장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제13대 신민주공화당 국회의원(충북 충주시, 중원군)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제14대 민주자유당 국회의원(충북 충주시, 중원군) |
1992년 | 국회윤리특위원장, 전의 예안이씨 회수회 본부회장 |
1995년 | 자유민주연합 상임고문 |
1996년 | 정계 은퇴 |
2003년 10월 22일 | 대전현충원 장군묘역 안장 |
- 충무 무공훈장
- 화랑 무공훈장
- 보국훈장 국선장
- 근무공로훈장
5. 상훈
6.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63년 | 총선 | 민주공화당 | 3,112,985표 (33.5%) | 전국구 12번 | 당선 | 초선 |
1967년 | 총선 | 민주공화당 | 56,242표 (67.72%) | 1위 | 당선 | 재선 |
1971년 | 총선 | 민주공화당 | 38,831표 (48.68%) | 2위 | 낙선 | |
1973년 | 총선 | 민주공화당 | 73,320표 (42.95%) | 1위 | 당선 | 3선 |
1978년 | 총선 | 민주공화당 | 76,693표 (38.71%) | 1위 | 당선 | 4선 |
1981년 | 총선 | 한국국민당 | 41,321표 (19.79%) | 3위 | 낙선 | |
1988년 | 총선 | 신민주공화당 | 50,370표 (49.76%) | 1위 | 당선 | 5선 |
1992년 | 총선 | 민주자유당 | 32,452표 (33.16%) | 1위 | 당선 | 6선 |
참조
[1]
웹사이트
스카이데일리, 팔방미인 이문세·이경실, 왕건 신임 ‘뱃사공 후예’
http://www2.skyedail[...]
2017-05-24
[2]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2-06-14
[3]
웹사이트
이종근(李鍾根)
https://encykorea.ak[...]
2023-08-14
[4]
웹사이트
‘한국의 잠롱’ 이종근 前의원 별세
https://www.khan.co.[...]
2003-10-22
[5]
뉴스
신군부도 털어 먼지없던 이종근(의원탐구:32)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94-04-04
[6]
웹인용
도덕성 1위 이종근 의원
http://www.sisajourn[...]
1994-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