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의 마카리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의 마카리오스는 4세기에 활동한 기독교 수도사로,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의 성인이다. 그는 300년경 이집트에서 태어나 젊은 시절 사막에서 은둔 생활을 시작했으며, 대 안토니우스를 만나 수도원주의를 배웠다. 니케아 신경 논쟁으로 추방되기도 했지만, 기적을 행하여 이교도들을 개종시키고 귀환했다. 마카리우스는 스케티스 사막에서 사제로 서품되었으며, 그의 가르침은 후대 기독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저술로는 편지와 영성의 설교들이 있으며, 오늘날에도 존경받는 영적 지도자로 기억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91년 사망 - 적료
적료는 오호십육국시대 정령족 출신 군벌로, 후연에 복속했으나 반란을 일으켜 위를 건국하고 위천왕을 칭하며 황하 유역에서 세력을 확장, 동진과 후연에 대항했다. - 391년 사망 - 고국양왕
고국양왕은 고구려 제18대 국왕으로, 후연을 공격하여 요동과 현도를 점령했으나 백제와의 전쟁에서 열세에 놓였고, 신라와 우호 조약을 맺었으며 불교를 장려했다. - 300년 출생 - 서진 민제
서진 민제는 313년 유총에 의해 즉위하여 장안에 임시 정부를 세웠지만, 한나라의 침공에 대응하지 못하고 유요에게 항복하여 살해당함으로써 서진을 멸망시킨 인물이다. - 300년 출생 - 이수 (성한)
이수는 성한의 황족이자 제3대 황제로, 이기를 폐위시키고 황제가 되어 초기에는 관대한 정치를 펼쳤으나 후조의 문화를 모방하며 백성들의 원망을 사 성한 멸망의 요인이 되었다. - 무누피아주 출신 - 호스니 무바라크
호스니 무바라크는 이집트 군사 경력과 부통령을 거쳐 1981년 대통령에 취임하여 30년간 집권하며 친미 노선을 유지했고, 2011년 이집트 혁명으로 사임 후 재판을 받았으며 2020년 사망했다. - 무누피아주 출신 - 압델 가니 엘가마시
압델 가니 엘가마시는 이집트 군인으로, 여러 중동 전쟁에 참전하여 욤 키푸르 전쟁에서 지상군을 지휘하며 이집트군의 승리에 기여했고, 종전 후에는 이스라엘과의 분리 협상에 참여했으며, 군 복무 중 훈장을 받았고 저서를 출판하기도 했다.
이집트의 마카리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경 받는 교파 | 정교회 비칼케돈파 가톨릭 교회 |
기념일 | 정교회: 1월 19일 (2월 1일) 비칼케돈파: 4월 4일 가톨릭 교회: 1월 15일 |
호칭 | 극소자 |
다른 언어 표기 | 그리스어: 라틴어: Macarius Magnus 러시아어: Макарий Великий 영어: Macarius of Egypt |
출생지 | 현재의 미누피아 주, 이집트 |
출생 연도 | 300년경 |
사망지 | 현재의 부하이 라주, 이집트 |
사망 연도 | 391년경 |
상세 정보 | |
직함 | 존경하는 수도사이자 장로 |
주요 성지 | 스케테스, 이집트, 대 마카리우스 수도원 |
2. 생애
마카리우스는 상 이집트 출신으로, 300년경 이집트 알 무누피아 주 샵셰에르(샨스호우르)에서 태어났다는 설이 있다.[13] 그는 니트리아 부근에서 질산칼륨을 밀수하며 생계를 유지하다가,[2] 부모의 강요로 결혼했으나 곧 아내와 사별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부모도 세상을 떠났다.[5]
이후 전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고, 마을 근처 사막의 장로에게서 영적 가르침을 받았다.[5] 한 여성의 고발로 누명을 썼으나 묵묵히 견뎠고, 여성의 고백으로 결백이 밝혀지자 니트리아 사막으로 피신했다.[4]
사막에서 대 안토니우스를 만나 수도원주의를 배우고,[14] 40세에 스케티스 사막에서 사제가 되었다.[7] 니케아 신경 논쟁으로 알렉산드리아의 마카리우스와 함께 나일강의 섬으로 추방되기도 했으나,[14] 파렘하트월 13일에 귀환하여 니트리아 사막 수사들의 환영을 받았다.[14]
2. 1. 초기 생애
마카리우스는 상 이집트에서 태어났다. 300년경 이집트 알 무누피아 주 샵셰에르(샨스호우르) 마을에서 태어났다는 설이 있다.[13] 그는 젊었을 때 지혜로워 "어른의 지혜를 가진 젊은이"라는 뜻의 "파이다리온 게론"이라고 불렸다.[4]마카리우스는 금욕 생활을 하기 전에는 니트리아 부근에서 질산칼륨을 밀수하며 생계를 유지했는데, 이 경험을 통해 사막에서 생존하는 법을 배웠다.[2]
젊은 시절, 마카리우스는 부모의 강요로 결혼했지만, 곧 아내와 사별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부모도 세상을 떠나자, 마카리우스는 전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그는 마을에서 멀지 않은 사막에 살던 경험 많은 장로에게서 깨어있음, 금식, 기도에 대한 가르침을 받고 바구니 짜는 기술을 배웠다.[5]
얼마 후, 한 임신한 여성이 마카리우스를 고발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마카리우스는 자신을 변호하지 않고 침묵으로 일관했다. 그러나 출산이 임박했을 때, 여성은 심한 고통을 겪었고, 마카리우스의 결백을 고백하고 나서야 아이를 낳을 수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마카리우스에게 용서를 구했지만, 그는 세속의 영예를 피해 니트리아 사막으로 피신했다.[14]
2. 2. 결혼과 수도 생활
마카리우스는 부모의 뜻에 따라 결혼했으나 곧 아내와 사별했다.[5] 부모가 돌아가신 후, 전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고 사막에서 은둔 생활을 시작했다.[5] 마을에서 멀지 않은 곳에 살던 장로에게서 영적 훈련과 바구니 짜는 기술을 배웠다.[5]2. 3. 누명과 은둔
어느 날, 한 임신한 여성이 마카리오스가 자신을 더럽혔다고 고발했다. 마카리오스는 자신을 변호하지 않고 묵묵히 그 비난을 받아들였다.[11] 그러나 그 여성의 출산이 가까워졌을 때, 출산이 극도로 어려워졌다. 결국 그 여성은 마카리오스의 무죄를 고백하고 나서야 아이를 낳을 수 있었다.[4] 진실이 밝혀지자 많은 사람들이 마카리오스에게 용서를 구하러 왔지만, 그는 세속의 영광을 피하기 위해 니트리아 사막으로 피신했다.[4]마카리오스는 은둔 생활 초기 7년 동안은 콩과 날 허브만 먹었다.[6] 그 후 3년 동안은 하루에 4~5온스의 빵과 1년에 기름 한 그릇만을 섭취하며 극도의 금욕 생활을 이어갔다.[6]
2. 4. 성 안토니우스와의 만남과 사제 서품
마카리우스는 사막에서 대 안토니우스를 방문하여 그에게서 수도원주의의 법과 규칙을 배웠다.[14] 40세에 스케티스 사막으로 돌아와 사제가 되었다.[7] 그의 성덕으로 인해 많은 추종자들이 모여들었고, 사막에 정착한 공동체는 반(半) 은둔자 유형이었다. 수도사들은 어떤 고정된 규칙에도 얽매이지 않았고, 그들의 수도실은 서로 가까이 있었으며, 토요일이나 일요일에만 신성한 예배를 위해 만났다.[7] 그는 남은 생애 동안 이 수도 공동체를 이끌었다.2. 5. 추방과 귀환
마카리우스는 니케아 신경을 둘러싼 논쟁으로 인해 황제 발렌스에 의해 알렉산드리아의 마카리우스와 함께 나일강의 한 섬으로 추방되었다.[14] 이들은 당시 알렉산드리아의 루키우스 주교의 추종자들에 의한 종교적 박해의 희생자였다. 섬에 있는 동안, 이교도 사제의 딸이 병에 걸렸는데, 섬 사람들은 그녀가 악령에 사로잡혔다고 믿었다. 두 성자는 딸을 위해 기도했고, 그녀는 치유되었다. 섬의 이교도들은 이에 감명받아 이교 신에 대한 숭배를 중단하고 교회를 세웠다.[7] 이 소식이 황제 발렌스와 알렉산드리아의 루키우스 주교에게 전해지자, 그들은 두 사람의 귀향을 허락했다. 파렘하트월 13일에 그들이 돌아왔을 때, 니트리아 사막의 성 피스호이와 난쟁이 성 요한을 포함하여 약 5만 명의 수많은 수사들이 그들을 환영했다.[14]3. 죽음과 유물
마카리오스는 391년에 사망했다. 그가 죽은 후, 샵셰에르 마을 주민들이 그의 시신을 훔쳐가 그들의 마을에 그를 위한 큰 교회를 건축했다. 교황 알렉산드리아의 미카엘 5세의 임기 동안, 메소리월 19일에 성 마카리오스의 유물들이 니트리아 사막으로 반환되었다. 오늘날, 성 마카리우스의 시신은 이집트 스케테스에 있는 그의 수도원인 성 대 마카리우스 수도원에 안치되어 있다.
4. 유산과 수도원
마카리우스는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앙받는다.[4] 감리교회에서는 온전한 성화에 관한 그의 저술로 높이 평가받는다.[8]
그는 4세기에 성 대 마카리우스 수도원을 설립했는데, 이 수도원은 창립 이후 현재까지 수도사들이 계속 거주하고 있으며, 오늘날 콥트 정교회 소속이다.[4] 그의 얼굴은 은총으로 빛나 많은 교부들이 그의 얼굴이 어둠 속에서 빛났다고 증언했으며, 이로 인해 "빛나는 등불"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묘사는 그의 수도원으로 옮겨져 "광야의 빛나는 등불" 또는 "빛나는 수도원"이라고 불렸으며, 이는 높은 지혜와 끊임없는 기도의 장소를 의미했다.[4]
니트리아 사막 전체는 그가 그 사막의 선구적인 수사였기 때문에 때때로 '마카리우스의 사막'이라고도 불린다.
피사의 죽음의 승리 프레스코화에는 이집트 사막의 은둔자이자 안토니우스 대제의 제자인 대(大) 마카리오스가 묘사되어 있다. 부유한 젊은 남녀들이 즐거운 여행 중 숲 속에서 시신이 있는 세 개의 열린 석관을 마주하고 경악하는 장면에서, 마카리오스는 두루마리를 읽음으로써 삶과 죽음에 대한 교훈을 가르친다. 피렌체 조각가 벤베누토 첼리니는 이 마카리오스의 묘사에서 영감을 받아 자신의 초상화를 그렸다.
5. 저서
겐나디우스는 마카리우스의 편지를 유일한 진품으로 인정했다.[15] 50회 분량의 "영성의 설교들"은 마카리우스 사후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진위 여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16] "중대한 편지"는 니사의 그레고리우스의 저술을 인용하고 있어, "영성의 설교들"과 동일한 저자의 작품으로 추정된다.[17] 피에르 푸새니스가 편집한 "고행의 논고"는 번역자 시메온에 의한 설교 편집본으로 추정된다.
마카리우스의 가르침은 성령의 은사와 체험을 강조하는 영성주의적 특징을 지니며, 반펠라기우스주의적 경향을 보인다. 그의 설교는 경건주의 운동과 카리스마 운동 등 후대의 여러 기독교 교파에 영향을 미쳤다.
5. 1. 관련 서적
참조
[1]
웹사이트
St. Macarius
https://faith.nd.edu[...]
[2]
서적
Desert Christians: An Introduction to the Literature of Early Monastic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
웹사이트
Μνήμη τοῦ ὁσίου πατρός ἠμῶν Μακαρίου τοῦ Αἰγυπτίου τοῦ ἀναχωρητοῦ
http://www.apostolik[...]
Apostoliki Diakonia (Apostolic Auxiliary) of the Holy Synod of the Church of Greece
2017-04-28
[4]
웹사이트
دير القديس أنبا مقار الكبير
https://web.archive.[...]
2018-03-17
[5]
웹사이트
Venerable Macarius the Great of Egypt
http://oca.org/saint[...]
2018-03-17
[6]
서적
The Lives of the Fathers, Martyrs, and Other Principal Saints
https://archive.org/[...]
Dublin
1866
[7]
문서
Macarius
[8]
간행물
Did Holiness Begin with John Wesley?
Allegheny Wesleyan Methodist Connection
2018-06
[9]
웹사이트
Όσιος Μακάριος ο Αιγύπτιος – 19 Ιανουαρίου
http://vatopaidi.wor[...]
[10]
서적
ギリシャ正教
講談社学術文庫
1980
[11]
웹사이트
The Monk Makarios the Great of Egypt
http://www.holytrini[...]
[12]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1913)/Macarius
http://en.wikisource[...]
[13]
서적
Desert Christians: An Introduction to the Literature of Early Monastic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4]
백과사전
Macarius
http://en.wikisource[...]
Robert Appleton Company
1913
[15]
서적
Patrology
Utrecht
1966
[16]
서적
Patrology
[17]
서적
Patrolog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