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집트 제9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제9왕조는 고대 이집트 제1중간기에 헤라클레오폴리스를 수도로 삼아 상 이집트를 다스린 왕조이다. 케티 1세가 상하 이집트의 지배권을 장악하며 시작되었으나, 제9왕조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며, 19명의 왕이 있었다는 마네토의 기록과 토리노 왕명표의 내용이 상이하다. 제9왕조는 테베의 인테프 1세의 독립, 히에라콘폴리스의 분열 등으로 세력이 약화되었고, 30여 년 만에 제10왕조로 교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1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10왕조
    이집트 제10왕조는 헤라클레오폴리스를 중심으로 성립되었으며, 제11왕조와의 갈등 속에서 이집트 일부를 지배하다가 멘투호테프 2세에게 멸망했고, 케티 3세와 메리카레 외 파라오 존재가 불확실하며, 당시 문서는 왕조 이해에 중요한 사료이다.
  • 기원전 21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11왕조
    이집트 제11왕조는 기원전 21세기 초 테베를 중심으로 성장하여 이집트 제1중간기를 종식시키고 중왕국 시대를 열었으며, 멘투호테프 2세의 통치 하에 이집트를 재통일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며 활발한 대외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문화적 번영을 이룩했으나, 멘투호테프 4세 이후 아멘엠하트 1세에 의해 멸망하고 제12왕조로 이어졌다.
  • 기원전 22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6왕조
    이집트 제6왕조는 고왕국의 마지막 왕조로, 왕권 약화와 지방 귀족 성장이 두드러진 가운데 피라미드 텍스트 등장, 활발한 무역과 원정 활동 등의 특징을 보였으나, 쇠퇴 원인과 마지막 왕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 기원전 22세기 이집트 - 네페르카레 네비
  • 고대 이집트의 왕조 - 이집트 제10왕조
    이집트 제10왕조는 헤라클레오폴리스를 중심으로 성립되었으며, 제11왕조와의 갈등 속에서 이집트 일부를 지배하다가 멘투호테프 2세에게 멸망했고, 케티 3세와 메리카레 외 파라오 존재가 불확실하며, 당시 문서는 왕조 이해에 중요한 사료이다.
  • 고대 이집트의 왕조 - 이집트 제11왕조
    이집트 제11왕조는 기원전 21세기 초 테베를 중심으로 성장하여 이집트 제1중간기를 종식시키고 중왕국 시대를 열었으며, 멘투호테프 2세의 통치 하에 이집트를 재통일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며 활발한 대외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문화적 번영을 이룩했으나, 멘투호테프 4세 이후 아멘엠하트 1세에 의해 멸망하고 제12왕조로 이어졌다.
이집트 제9왕조
개요
국가고대 이집트
시대이집트 제1중간기
존속 기간기원전 2160년경 - 기원전 2130년경
이전이집트 제7왕조 또는 이집트 제8왕조
다음이집트 제10왕조
수도헤라클레오폴리스・마그나 (고대 이집트어: Hwt-nen-nesu)
통치
정치 체제절대 군주제
언어이집트어
종교고대 이집트 종교

2. 역사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에서 시작된 제9왕조는 이집트 제10왕조로 이어졌으나, 이 시기 이집트는 통일되지 못하고 여러 지역 왕조들이 난립하였다. 토리노 왕 목록에는 제9왕조의 왕 18명이 기록되어 있지만, 그 이름들은 대부분 손상되었거나 유실, 또는 식별하기 어렵다.[2]

2. 1. 제1중간기의 혼란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에서 시작된 제9왕조는 이집트 제10왕조로 이어졌지만, 이 시기 이집트는 통일되지 않아 다른 지역 왕조들과 겹치는 부분이 있었다. 토리노 왕 목록에는 이 왕조의 왕 18명이 기록되어 있으나, 이름이 손상, 식별 불가, 유실된 경우가 많다.[2]

이집트학자들은 왕위 계승 순서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어, 다음은 토리노 왕 목록을 기반으로 한 제9왕조 통치자들의 '가능한' 목록이다. 이 중 메리이브레 케티와 네브카우레 케티만이 고고학적 발견으로 확실하게 증명되었다.

'''제9왕조(헤이즈에 따르면)''' (기원전 2160년 - 기원전 2130년경)[3]
이름이미지비고
메리이브레 케티 I
마네토악토에스, 스스로 파라오를 칭한 노마르크
[이름 유실]-
네페르카레 VII노마르크 안크티피의 무덤에 언급된 카네페레일 수 있음
네브카우레 케티 II
말 잘하는 농부 이야기에도 언급됨
세투트-
[이름 유실]-
메리[...]-
셰드[...]-
H[...]-
[이름 3개 유실]-
사용자(?)[...]-
임호테프
제9왕조의 덧없는 통치자. 와디 하마마트의 두 개의 암석 비문에서만 알려짐.[4][5][6][7][8][9] 정확한 연대기적 위치는 알려지지 않음.



상 이집트 제20현(나르트 켄테트)의 수도였던 헤라클레오폴리스의 주후(州侯) 케티 1세(메리이브레 케티)는 통일 왕조의 약화를 틈타 자립하여 상하 이집트 전역의 지배권을 주장하며 왕을 칭했다. 상 이집트에서 발견되는 케티 1세의 유물은 그의 권위가 다른 주후들에게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11][12]

마네토[13]는 제9왕조에 19명의 왕이 있었다고 전하지만,[14] 이름을 기록한 왕은 아크토에스 1명뿐이다. 이는 제9왕조 시대의 왕명 케티, 혹은 아크토이에 해당한다고 생각된다.[15] 마네토에 따르면 아크토에스는 이전 왕들보다 잔혹하게 행동하여 모든 이집트인에게 재난을 가져왔고, 마지막에는 발광하여 악어에게 살해당했다고 한다. 이러한 전승은 제9왕조의 왕이 몇몇 주후를 쓰러뜨린 것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되었다는 견해도 있지만,[15] 사실성은 불명이다. 토리노 왕명표에서는 제9왕조에 13명의 왕을 할당하고 있다. 또한, 몇몇 사료로부터 네페르카라 7세(혹은 카네페르라 7세)라는 왕의 존재가 알려져 있다.

케티 1세의 치세 말기, 테베(고대 이집트어: 네우트, 현재의 룩소르[16]) 후 인테프 1세가 독자적으로 세력을 확대하여 아비도스(상 이집트 제8현) 근처보다 남쪽 지역 일부를 지배하면서 제9왕조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이를 이집트 제11왕조라고 부르며, 그 성립 시기는 기원전 22세기 후반경으로 추정된다. 네페르카라(케티 1세의 2대 후의 왕) 치세에는 히에라콘폴리스 주후 앙크티피가 테베의 지배자와 싸웠다는 기록이 있다.[12] 이러한 정권들의 성립으로 이집트 각지의 주후들이 분열되어 다투는 제1중간기의 기본적인 정세가 형성되었다.

헤라클레오폴리스의 왕조는 성립 이후 30여 년 후 제9왕조에서 제10왕조로 교체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구체적인 경위는 알려져 있지 않다. 현대 이집트학자들은 대부분 제9, 제10왕조를 한데 묶어 취급하며, 마네토가 두 왕조로 나눈 이유도 불명이다.[17]

2. 2. 헤라클레오폴리스와 테베의 대립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에서 시작된 제9왕조는 상 이집트 제20현의 수도였던 그곳을 거점으로 삼았다. 통일 왕조가 약화되면서 자립 세력이 된 헤라클레오폴리스의 통치자 케티 1세(메리이브레 케티)는 상하 이집트 전역의 지배권을 주장하며 왕을 칭했다. 상 이집트에서 발견되는 케티 1세의 유물은 그의 권위가 다른 지역 통치자들에게도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11][12]

마네토[13]는 제9왕조에 19명의 왕이 있었다고 전하지만, 그가 이름을 기록한 왕은 아크토에스(케티 또는 아크토이에 해당)뿐이다.[15] 마네토에 따르면 아크토에스는 이전 왕들보다 잔혹하게 행동하여 모든 이집트인에게 재난을 가져왔고, 결국 발광하여 악어에게 살해당했다고 한다. 이러한 전승은 제9왕조의 왕이 몇몇 지역 통치자를 쓰러뜨린 것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되었다는 견해도 있지만,[15] 사실성은 불분명하다. 한편 토리노 왕 목록에서는 제9왕조에 13명의 왕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몇몇 사료를 통해 네페르카라 7세(혹은 카네페르라 7세)라는 왕의 존재가 알려져 있다.

이처럼 제9왕조에 대해 알려진 것은 상당히 제한적이다. 케티 1세의 치세 말기, 테베(고대 이집트어: 네우트, 현재의 룩소르[16])의 통치자 인테프 1세가 독자적으로 세력을 확대하여 아비도스 남쪽 지역 일부를 지배하면서 제9왕조에서 벗어났다. 이 세력을 이집트 제11왕조라고 부르며, 기원전 22세기 후반경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네페르카라(케티 1세의 2대 후의 왕) 치세에는 히에라콘폴리스 통치자 앙크티피가 테베의 지배자와 싸웠다는 기록도 있다.[12] 이로써 이집트에서 각 지역 통치자들이 분열되어 다투는 제1중간기의 기본적인 정세가 형성되었다.

헤라클레오폴리스의 왕조는 성립 이후 30여 년 후 제9왕조에서 제10왕조로 교체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구체적인 경위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현대 이집트학자들은 대부분 제9, 제10왕조를 하나로 묶어 취급하며, 마네토가 두 왕조로 나눈 이유도 불분명하다.[17]

3. 역대 파라오

마네토를 비롯한 여러 고대 이집트 역사 기록들에는 제9왕조 파라오들에 대한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 정확한 왕통을 파악하기 어렵다. 아비도스 왕 목록과 사카라 석판에서는 이 시기를 부정적으로 여겨 의도적으로 기록을 삭제한 흔적까지 발견된다.[2]

토리노 파피루스에는 제9왕조의 왕 18명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만, 대부분 손상되거나 유실되어 판독이 불가능하다. 케티 1세, 네페르카레 7세, 케티 2세 등의 이름이 부분적으로 남아있지만, 이들 외의 파라오들은 이름조차 제대로 알 수 없다. 제9왕조는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에서 시작되었으며, 제10왕조도 그곳에서 이어졌다. 이 시기 이집트는 통일되지 않았고, 제9왕조와 다른 지역 왕조들이 공존했다.

다음 표는 토리노 왕 목록에 기록된 왕의 목록이다. 이 중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존재가 확정된 것은 케티 1세와 케티 2세뿐이다.[15]

'''제9왕조 파라오 목록'''
호루스 명즉위명탄생명비고
메리이부타위메리이부라케티 1세 (아크토이 1세)마네토의 기록에 등장하는 아크토에스 왕에 해당할 것이다.[15]
결손|
네페르카레 7세토리노 왕 목록 제4란 20행에 기재
네브카울라케티 2세 (아크토이 2세)문학 작품 "웅변하는 농부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왕으로 추정
세테토
결손|
메리...|
제드...|
푸...|
| 이름 불명의 3명의 왕
우세르l...|



와디 함마마트의 두 암석 비문에서만 알려진 임호테프는 제9왕조의 덧없는 통치자로, 정확한 연대기적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다.[4][5][6][7][8][9]

3. 1. 알려진 파라오 목록

마네토의 기록에 따르면, 케티 1세만이 언급되었고 나머지 파라오들은 언급되지 않았다.[2] 아비도스 왕 목록과 사카라 석판에는 이 시기를 고대 이집트의 좋지 않은 역사로 간주하여 의도적으로 존재를 지운 흔적이 있어, 파라오들의 존재를 확인하기 매우 어렵다.

이집트학자들은 제9왕조의 계승 순서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음은 토리노 왕 목록을 기반으로 한 '가능한' 목록이다. 고고학적 발견으로 확실하게 증명된 파라오는 메리이브레 케티와 네브카우레 케티뿐이다.[3]

'''제9왕조(헤이즈에 따르면)''' (기원전 2160년 - 기원전 2130년경)[3]
이름이미지비고
메리이브레 케티 I마네토의 악토에스, 스스로 파라오를 칭한 노마르크
[이름 유실]-
네페르카레 VII노마르크 안크티피의 무덤에 언급된 카네페레일 수 있음
네브카우레 케티 II말 잘하는 농부 이야기에도 언급됨
세투트-
[이름 유실]-
메리[...]-
셰드[...]-
H[...]-
[이름 3개 유실]-
사용자(?)[...]-



다음은 토리노 왕 목록에 기록된 왕의 목록이다. 이 중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존재가 확정된 것은 케티 1세와 케티 2세뿐이다.[15]

'''제9왕조 파라오 목록'''
호루스 명즉위명탄생명비고
메리이부타위메리이부라케티 1세 (아크토이 1세)마네토의 기록에 등장하는 아크토에스 왕에 해당할 것이다.[15]
결손|
네페르카라 7세토리노 왕 목록 제4란 20행에 기재
네브카울라케티 2세 (아크토이 2세)문학 작품 "웅변하는 농부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왕으로 추정
세테토
결손|
메리...|
제드...|
푸...|
| 이름 불명의 3명의 왕
우세르l...|


3. 2. 마네토의 기록

마네토의 기록에 따르면, 케티 1세만이 언급되었고 나머지 파라오들은 언급되지 않았다.[2] 아비도스 왕 목록과 사카라 석판에는 이 시기를 고대 이집트의 안 좋은 역사로 간주하여 의도적으로 존재를 지운 흔적이 있어, 제9왕조 파라오들의 존재를 확인하기는 매우 어렵다.

다음은 토리노 왕 목록을 기반으로 한 제9왕조 통치자들의 '가능한' 목록이다. 이집트학자들은 두 왕조 내의 계승 순서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제9왕조(헤이즈에 따르면)''' (기원전 2160년 - 기원전 2130년경)[3]
이름이미지비고
메리이브레 케티 I마네토의 악토에스, 스스로 파라오를 칭한 노마르크
[이름 유실]-
네페르카레 VII노마르크 안크티피의 무덤에 언급된 카네페레일 수 있음
네브카우레 케티 II말 잘하는 농부 이야기에도 언급됨
세투트-
[이름 유실]-
메리[...]-
셰드[...]-
H[...]-
[이름 3개 유실]-
사용자(?)[...]-
임호테프]]제9왕조의 덧없는 통치자. 와디 함마마트의 두 개의 암석 비문에서만 알려짐.[4][5][6][7][8][9] 정확한 연대기적 위치는 알려지지 않음.



다음 표는 토리노 왕 명단에 기록된 왕의 목록이다.

'''제9왕조 파라오 목록'''
호루스 명즉위명탄생명비고
메리이부타위메리이부라케티 1세 (아크토이 1세)마네토의 기록에 등장하는 아크토에스 왕에 해당할 것이다.[15]
결손
네페르카라 7세토리노 왕 명단 제4란 20행에 기재
네브카울라케티 2세 (아크토이 2세)문학 작품 "웅변하는 농부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왕으로 추정
세테토
결손
메리...
제드...
푸...
이름 불명의 3명의 왕
우세르l...


참조

[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Denkmaler aus Aegypten und Aethiopien https://archive.org/[...]
[5]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https://etana.org/si[...]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 서적 MIFAO 17 Le livre des rois d'Egypte Des origines à la fin de la XIIe dynastie https://archive.org/[...] The French Institute of Oriental Archeology
[7] 서적 MIFAO 34 Les inscriptions hieroglyphiques et hieratiques du Ouâdi Hammâmât https://ia801207.us.[...] The French Institute of Oriental Archeology
[8]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Pharaohs. Predynastic to the Twentieth Century: 3300-1069 BC Stacey International
[9] 서적 Memphis Herakleopolis Theben Die Epigraphischen Zeugnisse Der 7.-11. Dynastie Ägyptens https://digi.ub.uni-[...] Otto Harassowitz
[10] 문서 後のヘラクレオポリスという名は、この都市で祭られていた地方神ヘリシェフをギリシア人がヘリシェフ|ハルサフェスと呼び、名前の類似等からヘラクレスと同一視したことによって付けられたギリシア語名である。
[11] 문서 屋形ら 1998
[12] 문서 도드슨, 힐튼 2012
[13] 문서 紀元前3世紀のエジプトの歴史家。彼はエジプト人であったが、ギリシア系王朝プトレマイオス朝に仕えたためギリシア語で著作を行った。
[14] 문서 アフリカヌスの引用による数値。エウセビオス版は4人とするが、いずれにしても初代以外個別の王名は記録されていない。
[15] 문서 피네간 1983
[16] 문서 マネトの記録では'''ディオスポリスマグナ'''と呼ばれている。これはゼウスの大都市の意であり、この都市が'''ネウト・アメン'''(アメンの都市)と呼ばれたことに対応したものである。この都市は古くは'''ヌエ'''と呼ばれ、旧約聖書では'''ノ'''と呼ばれている。ヌエとは大都市の意である。エジプト新王国|新王国時代にはワス、ワセト、ウェセ(権杖)とも呼ばれた。
[17] 문서 스펜서 2012
[18] 문서 혼란기로 통일왕조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