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22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원전 22세기는 고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문명 등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사건들이 일어난 시기이다. 이집트에서는 제6왕조가 멸망하고 제7, 8, 9, 10, 11왕조가 차례로 건설되었으며, 메소포타미아에서는 라가시가 독립하여 구데아의 통치 하에 번영을 누렸다. 아카드 제국이 멸망하고, 우투-헤갈이 수메르를 통일하고 우르 제3왕조가 건국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길가메시 서사시'가 아카드어로 쓰여졌고, 4.2킬로년 사건으로 불리는 건조화 현상이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 인더스 문명은 통합기를 맞이했으며,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필리핀 군도에 도달하고, 고대 인도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호주에 도착하는 등 문화적 변화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제3천년기 - 삼황오제
삼황오제는 중국 문명의 기원과 관련된 신화적 존재로, 세 명의 황과 다섯 명의 제를 아울러 부르는 말이며 시대와 문헌에 따라 구성원에 차이가 있지만 인류 문명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과 지식을 전파했다고 전해진다. - 기원전 제3천년기 - 원시 엘람
원시 엘람은 기원전 3100년경부터 기원전 2900년경까지 이란 고원에서 발생한 문명과 문자를 지칭하며,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교류하며 발전했고, 농업 잉여물 관리를 위해 이란 최초의 문자 형태인 원시 엘람 문자를 사용했다. - 날짜 - 12세기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으로,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알턴 조약 체결,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북송과 남송의 교체, 가마쿠라 막부 성립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기원전 22세기 | |
---|---|
기원전 22세기 | |
시작 연도 | 기원전 2200년 |
종료 연도 | 기원전 2101년 |
시대 | 청동기 시대 |
주요 사건 및 동향 | |
기원전 2181년 | 이집트 제1중간기 시작 (이집트 제6왕조 붕괴) |
기원전 2130년 | 이집트 제10왕조 시작 (대략적인 날짜) |
기원전 2124년 ~ 기원전 2075년 | 구티움 왕조가 수메르를 침공 |
기원전 2119년 ~ 기원전 2113년 | 우루크의 왕 우투헤갈이 구티움을 격파하고 수메르를 해방시킴 |
기원전 2112년 ~ 기원전 2004년 | 우르 제3왕조 (수메르 르네상스) |
문화 및 기술 | |
건축 | 이집트에서 피라미드 건설 활발 |
문자 | 수메르에서 쐐기 문자 사용 확산 |
금속 | 청동기 기술 발전 |
2. 주요 사건
기원전 22세기에는 전 세계적으로 여러 문명권에서 중요한 사건들이 일어났다.
- 4.2킬로년 사건: 기원전 22세기 전체에 걸쳐 지속된 심각한 건조화 현상으로, 여러 구세계 문명의 붕괴를 야기했다.[2]
- 이집트: 이집트 제6왕조가 몰락하고 이집트 제7왕조가 건설되었으며, 이후 이집트 제8왕조, 이집트 제9왕조, 이집트 제10왕조가 차례로 흥망했다.
- 메소포타미아: 라가시와 같은 도시 국가가 번성했으며, 우르 제3왕조가 등장하여 수메르 지역을 통일하였다. 이 시기에 길가메시 서사시가 기록되었다.
- 기타 지역:
-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필리핀 군도에 도달하였다.[2]
- 고대 인도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호주 원주민과 섞였다.[2]
- 미노아 문명의 중기 미노아 시대가 시작되었다.
- 천문 현상: 기원전 2138년에 일식과 월식이 발생했는데, 이는 바빌론의 슐기 왕 즉위 23년 후에 일어나는 이중 일식으로 추정된다.
2. 1. 이집트
기원전 2181년 이집트 제6왕조가 몰락하고 이집트 제7왕조가 건설되었다.[1] 기원전 2160년에는 이집트 제8왕조가 몰락하고 이집트 제9왕조가 건설되었다.[1] 기원전 2134년에는 상이집트의 테베 지역에 이집트 제11왕조가 건설되었다.[1] 기원전 2130년에는 이집트 제9왕조가 몰락하고 이집트 제10왕조가 건설되었다.[1]기원전 2184년경에는 파라오 페피 2세 네페르카레가 94년이라는 최장 기간 통치를 마치고 사망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 같은 해 메렌레 넴티엠사프 2세가 잠시 이집트를 통치했다.[2] 기원전 2184년에서 기원전 2181년 사이에는 네트제르카레 십타가 통치했으며, 그는 이집트 제6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였다.[2]
기원전 2181년경 이집트 구왕국이 멸망하고 제1중간기가 시작되었으며, 이집트 제7왕조와 이집트 제8왕조가 이 시기에 해당한다.[2] 구왕국의 멸망은 심각한 가뭄, 국가의 분권화, 페피 2세의 장기 통치 이후의 혼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수 있다.[2]
기원전 2160년경 파라오 네페르이르카레의 통치가 종료되고 이집트 제8왕조가 막을 내렸다. 이후 이집트 제9왕조가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
2. 2. 메소포타미아
기원전 2150년경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 라가시가 설립되었다. 기원전 2144년경에는 라가시의 통치자(엔시) 구데아가 통치를 시작했다. 구데아는 기원전 2124년에 사망했다.[4] 기원전 2116년부터 기원전 2110년까지는 우루크와 구티족 사이에 전쟁이 있었다.[1] 이 전쟁에서 우루크 제5왕조의 우투-헤갈이 구티족의 수메르 지배를 타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기원전 2119년부터 기원전 2113년까지는 우르 제3왕조의 첫 번째 왕인 우투-헤갈의 재위 기간이었다. 우르남무는 기원전 2112년부터 기원전 2095년까지 수메르 원정을 펼쳤다. 길가메시 서사시는 기원전 2150년에서 기원전 2030년경에 아카드어로 메소포타미아에서 쓰여졌다.[1]
2. 3. 기타 지역
- 기원전 2200년경
-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오스트로네시아 확장의 일환으로 필리핀 군도의 바타네스 제도에 도달하였다.
- 인더스 문명 통합기 (하라파 III C기 (~ 기원전 1900년경)).
- 시리아 북동부의 텔 레이란 유적에서는 대규모 가뭄으로 인한 도시 생활의 포기가 보인다.
- 그리스 본토에서 초기 청동기 시대에서 중기 청동기 시대로의 이행 (초기 헬라딕 II 말부터 III 말).
- 이 시기, 어떠한 파괴 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 시대를 대표하는 유적인 Lerna영어의 House of the Tiles영어도 불탄 흔적이 보인다.
- 크레타 섬에서는 문화의 연속성이 보이지만, 그리스 본토에서는 단절이 보인다. 그리스계 민족이 처음으로 정착했는지 추정된다.
- 기원전 2218년경: 고대 인도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호주에 도달하여 원주민과 섞였다.[2]
- 4.2킬로년 사건: 기원전 22세기 전체에 걸쳐 지속되어 여러 구세계 문명의 붕괴를 야기한 심각한 건조화 사건.
- 기원전 2160년경: 미노아 문명의 중기 미노아 시대 시작, 크레타에서.
- 기원전 2150년경: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 라가시 설립.
- 기원전 2150년 ~ 기원전 2030년경: ''길가메시 서사시''가 아카드어로 메소포타미아에서 쓰여짐.
- 기원전 2138년: 5월 9일의 일식과 5월 24일의 월식이 발생, 이는 바빌론의 슐기 왕의 즉위 23년 후에 일어나는 이중 일식으로 여겨짐, 장기 연대기를 따르는 사람들에 의해.
- 기원전 2104년 ~ 기원전 2103년 - 구약성서에 따르면, 노아의 방주의 대홍수가 일어났다.
2. 4. 주요 문헌
Gilgameš|길가메시 서사시sux가 아카드어로 메소포타미아에서 쓰여졌다. (기원전 2150년~기원전 2030년경)[1]
3. 주요 인물
- 샤르칼리샤리(재위: 기원전 2218년경 - 기원전 2193년경) - 아카드(Akkad)의 왕이자 나람신 왕의 아들.
- 구데아(재위: 기원전 2144년경 - 기원전 2124년경) - 라가시(Lagash)의 전성기 왕.
- 우르남무(재위: 기원전 2112년경 - 기원전 2095년경) - 우르 제3왕조(Ur III) 초대 왕, 우르남무 법전 제정.
- 우투-헤갈(재위: 기원전 2119년 ~ 기원전 2113년) - 우르 제3왕조의 첫 번째 왕.
- 페피 2세 네페르카레 (재위: 기원전 2278년 ~ 기원전 2184년 ) - 이집트 제6왕조의 파라오, 최장기 재위(94년) 군주로 알려져 있다.
- 메렌레 넴티엠사프 2세 (재위: 기원전 2184년경) - 이집트 제6왕조의 파라오, 단기간 통치.
- 네트제르카레 십타 (재위: 기원전 2184년–기원전 2181년경) - 이집트 제6왕조의 마지막 파라오.
- 네페르이르카레 (재위 종료: 기원전 2160년경) - 이집트 제8왕조의 마지막 왕.
- נֹחַ|노아he (기원전 2704년- 기원전 1753년) - 구약성서의 등장인물, 방주를 제작.
- אַרְפַּכְשָׁד|아르팍사드he (기원전 2102년 ~ 기원전 1664년) - 노아의 손자이자 셈의 아들.
- מְתוּשֶׁלַח|므두셀라he (기원전 3073년 - 기원전 2104년) - 에녹의 아들이자 노아의 할아버지.
- לֶמֶךְ|라멕he (기원전 2886년 - 기원전 2109년) - 므두셀라의 아들.
4. 년대와 년도
- 기원전 2200년경: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오스트로네시아 확장의 일환으로 필리핀 군도의 바타네스 제도에 도달.
- 기원전 2200년경 ~ 기원전 2100년경: 4.2킬로년 사건은 기원전 22세기에 걸쳐 지속되어 여러 구세계 문명의 붕괴를 야기한 심각한 건조화 사건이다.
- 기원전 2184년경: 파라오 페피 2세 네페르카레가 이집트 제6왕조에서 94년 동안 통치한 최장기 재위 군주로서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는 연도.
- 기원전 2184년경: 메렌레 넴티엠사프 2세의 이집트 단기 통치.
- 기원전 2184년–기원전 2181년경: 네트제르카레 십타의 통치, 이집트 제6왕조의 마지막 파라오.
- 기원전 2181년경: 이집트 구왕국의 멸망과 제1중간기의 시작.
- 기원전 2180년경: 아카드 제국이 북동쪽의 산악 민족인 구티족 (메소포타미아)의 공격을 받음.
- 기원전 2160년경: 파라오 네페르이르카레의 통치 종료.
- 기원전 2160년경: 미노아 문명의 중기 미노아 시대 시작.
- 기원전 2150년경: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 라가시 설립.
- 기원전 2150년–기원전 2030년경: ''길가메시 서사시''가 아카드어로 메소포타미아에서 쓰여짐.
- 기원전 2144년경: 구데아, 라가시의 통치자 (엔시)가 통치를 시작.
- 기원전 2138년: 5월 9일의 일식과 5월 24일의 월식이 발생, 이는 바빌론의 슐기 왕의 즉위 23년 후에 일어나는 이중 일식으로 여겨짐.
- 기원전 2124년: 구데아, 라가시의 통치자 (엔시)가 사망.
- 기원전 2119년–기원전 2113년 (중기 연대기): 우투-헤갈, 우르 제3왕조의 첫 번째 왕.
- 기원전 2116년–기원전 2110년: 우루크–구티 전쟁.
- 기원전 2112년–기원전 2095년: 우르-남무의 수메르 원정.
- 아르팍사드(기원전 2102년 ~ 기원전 1664년) - 노아의 손자이자 셈의 아들.
- 므두셀라 (기원전 3073년 - 기원전 2104년) - 에녹의 아들이자 노아의 할아버지.
- 라멕 (기원전 2886년 - 기원전 2109년) - 므두셀라의 아들.
참조
[1]
서적
Ele que o abismo viu
Autêntica
[2]
웹사이트
DNA study sheds light on aboriginal Australians' heritage
https://www.latimes.[...]
2013-01-14
[3]
문서
Metropolitan Museum of Art
[4]
문서
Musée du Louv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