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천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천군 (1948년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60년대 초까지 존속했던 선거구이다. 제헌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1년 재보궐선거까지 국회의원을 선출했으며, 이후 광주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송창식, 이종성, 김병철, 이기붕, 최하영, 백두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천시의 정치 - 이천시 (2012년 선거구)
    이천시 선거구는 2012년 19대 총선에서 이천시·여주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이천시 전체를 관할하며 유승우, 송석준 의원이 당선되었고, 특히 송석준 의원은 20대, 21대, 22대 총선에서 3선 의원이 되었다.
  • 이천시의 정치 - 이천시장 선거
    이천시장 선거는 이천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며,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이천시장 선거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포시 (1996년 선거구)
    군포시 선거구는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인구 증가로 분구되기 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유선호, 김부겸, 이학영 의원을 배출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양시 덕양구 갑
    고양시 덕양구 갑은 제16대 총선을 위해 고양시 덕양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덕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다가 일산동구 식사동 편입 후 고양시 갑 선거구로 재편되어 폐지되었으며, 곽치영, 유시민, 손범규, 심상정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이천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이천군
의회국회
큰 지도경기도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광주군·이천군
의원 수1인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이천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광주군 선거구와 통합되면서 광주군·이천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1. 역대 국회의원


3.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부터 196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까지 이천군 지역구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송창식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보수 정당 후보가 강세를 보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송창식대한독립촉성국민회10,38332.46
박준호무소속5,69317.79
박성훈무소속5,05715.81
여동수무소속4,77714.93
장기인기독교청년회3,40510.64
권영식무소속2,6708.34
합계31,985100.00


3.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이종성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이종성무소속5,36719.47
안창식대한국민당5,16218.72
최하영무소속4,96518.01
최병희대한국민당4,36515.83
박준배무소속1,7006.16
주태도무소속1,6005.80
박업채무소속1,5005.44
신철회무소속1,1003.99
유태석무소속8032.91
강기봉무소속6002.17
유남수무소속4001.45
채용환무소속00


3.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자유당 김병철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 선거에서도 보수 정당의 강세가 이어졌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병철자유당10,05829.19
여동수무소속5,29515.36
조종호무소속4,66513.53
권영탁무소속4,59013.32
김원영무소속4,01211.64
최일무소속2,6467.67
이윤풍무소속1,7305.02
박경환무소속9542.76
고종훈무소속5071.47
합계34,457100


3.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기붕 후보가 자유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

3.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4.19 혁명 이후 치러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최하영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다양한 정치 성향의 후보들이 경쟁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최하영무소속7,04316.94
백두현민주당4,95311.91
백두진무소속4,78011.49
박병은무소속3,4568.31
전명호민주당3,1997.69
김남수무소속3,0937.44
조종호무소속3,0837.41
전원영무소속2,9407.07
서준호무소속2,9167.01
장한정무소속1,4763.55
유연성무소속1,4103.39
나은용무소속1,2943.11
엄유섭무소속1,2192.93
최익환무소속7091.70
합계41,571100


3. 6. [[196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최하영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인해 치러진 196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 백두진 후보가 당선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