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카는 기원전 206년, 제2차 포에니 전쟁 참전 이탈리아족 퇴역 군인들을 정착시키기 위해 건설된 고대 로마 도시이다.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대에 번성하여 로마 식민지로 승격되었으며, 트라야누스 황제를 기리는 트라야네움과 같은 건축물들이 세워졌다. 이탈리카는 원형극장과 엘리트들의 저택 등 주요 유적을 포함하며, 특히 원형극장은 당시 로마 제국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옛 취락 - 누만티아
누만티아는 두에로 강 길목을 통제하는 철기 시대 언덕 요새이자 켈트이베리아인 아레바키족의 도시로서, 로마 공화정에 격렬히 저항한 누만티아 전쟁으로 유명하며, 파괴 후 로마 제국과 서고트 왕국 시대를 거쳐 현재 스페인에서 자유와 저항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세비야도의 역사 - 일리파 전투
기원전 206년 일리파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아프리카누스 스키피오가 이끄는 로마군이 하스드루발 기스코와 마고 바르카가 지휘하는 카르타고군을 격파하여 히스파니아에서 카르타고 세력을 몰아내고 스키피오는 로마의 영웅으로 부상하며 북아프리카 침공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탈리카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이탈리카 |
원어 명칭 | Itálica (에스파냐어) |
위치 | 산티폰세(세비야), 스페인 |
지역 | 히스파니아 바이티카 |
유형 | 정착지 |
문화 | 고대 로마 |
건립 연대 | 기원전 206년 |
현재 상태 | 유적 |
상세 정보 | |
지정 정보 | |
국가 | 스페인 |
지정 유형 | 비 이동식 |
지정 기준 | 고고학 유적지 |
지정 날짜 | 1912년 12월 13일 |
지정 번호 | RI-55-0000002 |
지리 정보 | |
이미지 | |
![]() |
2. 역사적 배경
이탈리카의 역사는 기원전 206년 제2차 포에니 전쟁 시기, 로마 공화국의 장군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훗날 '아프리카누스'라는 별칭을 얻음)가 이탈리아족 보조병 부대의 퇴역 병사들을 정착시키면서 시작되었다.[27][8] 도시 이름 '이탈리카'는 이들 병사들의 이탈리아 출신 배경을 나타내며,[8] 최소 기원전 4세기부터 존재했던 투르데타니 원주민들의 정착지 위에 세워졌다.[8] 이탈리카는 과달키비르강과 가까워 이 지역을 통제하기에 유리한 위치였다.[27][9][10] 인근의 히스팔리스(오늘날의 세비야)가 더 큰 도시였지만, 이탈리카는 건립 배경과 전략적 위치 덕분에 중요성을 가졌다.[9][10]
초기 도시, 즉 vetus urbs|베투스 우르브스la("구시가지")는 히포다모스식 격자형 도시 계획에 따라 건설되어 번영했으며, 중심부에는 공공 건물과 포룸이 있었고 강변 항구와 연결되었다.[28][29][11][12] 시간이 흘러 이탈리카는 훗날 로마 황제가 되는 트라야누스와 하드리아누스의 출생지가 되었다.[30][31]
특히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기에 이탈리카는 그의 고향으로서 특별한 후원을 받아 크게 발전했다. 하드리아누스는 도시를 북동쪽으로 확장하여 nova urbs|노바 우르브스la("신도시")를 건설했으며, 요청에 따라 이탈리카를 Colonia Aelia Augusta Italica|콜로니아 아일리아 아우구스타 이탈리카la라는 이름의 콜로니아 지위로 격상시켰다. 그는 이탈리카가 이미 무니키피움의 권리를 누리고 있었기에 이러한 요청에 놀라움을 표하기도 했다.[32][13] 또한 자신의 양아버지이자 전임 황제인 트라야누스를 기리기 위한 Traianeum|트라야네움la 신전을 비롯한 여러 공공 건물들을 세우거나 개축했다.
그러나 이탈리카는 3세기 초부터 쇠퇴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과달키비르강의 수로 변화와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항구 기능이 약화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반면 인근의 히스팔리스는 계속해서 성장했다.[27] 그럼에도 이탈리카는 고대 후기까지 어느 정도 중요성을 유지했으며, 서고트 왕국 시대에는 군사적 요충지로서 성벽이 보수되기도 했다.[35] 이탈리카는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33]와 그의 아들 아르카디우스[34]의 출생지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2. 1. 건립과 초기 발전

이탈리카는 스페인 최초의 고대 로마 정착지 중 하나이다. 기원전 206년, 제2차 포에니 전쟁 중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는 한니발과 카르타고 군대에 맞서 싸운 이탈리아족 출신 퇴역 병사들을 정착시키기 위해 이 도시를 세웠다.[27][8] 이 병사들은 로마 시민과 동맹 부족 출신인 sociila가 섞여 있었으며, 도시 이름 '이탈리카'는 이들의 출신지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8] 이탈리카는 과달키비르강 인근에 위치하여 이 지역을 전략적으로 통제하는 데 유리했으며,[27][9][10] 최소 기원전 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투르데타니 원주민들의 기존 정착지 위에 건설되었다.[8] 인근의 히스팔리스(오늘날의 세비야)는 이미 더 큰 도시였고 이후에도 계속 성장했지만, 이탈리카는 건립 배경과 전략적 위치 덕분에 중요성을 가졌다.[9][10] 고대 역사가 아피아노스는 스키피오가 병들거나 부상당한 병사들을 이곳에 정착시켰다고 기록했다.
초기 도시, 즉 vetus urbsla("구시가지")는 번영하는 도시로 발전했다. 히포다모스식 격자형 도시 계획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중심부에는 공공 건물과 포룸이 자리 잡고 있었고, 활기찬 강변 항구와 연결되어 있었다.[28][29][11][12]
시간이 흘러 움브리아의 투데르 출신인 울피아 씨족(트라야누스 황제 가문)[30]과 피케눔의 아트리 출신인 아일리아 씨족(하드리아누스 황제 가문)[31]의 일부가 이탈리카로 이주해 왔다. 이탈리카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와 하드리아누스의 출생지이기도 하다.
특히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기에 이탈리카는 큰 혜택을 입었다. 하드리아누스는 제국 내 여러 도시에 후원을 베풀었지만, 자신의 출생지인 이탈리카에 더욱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도시를 북동쪽으로 확장하여 nova urbsla("신도시")를 건설했다. 또한, 도시 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이탈리카를 콜로니아 지위로 격상시켜 Colonia Aelia Augusta Italicala라는 공식 명칭을 부여했다. 하드리아누스 자신은 이탈리카가 이미 무니키피움의 권리를 누리고 있었기에 이러한 승격 요청에 놀라움을 표하기도 했다.[32][13] 그는 또한 도시 중심부에 자신의 양아버지이자 전임 황제인 트라야누스를 기리기 위한 거대하고 독특한 신전인 Traianeumla을 비롯한 여러 신전들을 세우고 공공 건물들을 개축했다.
그러나 이탈리카는 3세기 초부터 쇠퇴하기 시작했다. 과달키비르강의 강바닥이 퇴적 작용과 삼림 벌채로 인해 점차 변하면서, 이탈리카의 항구가 강과 멀어지게 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된다. 이는 고대 사회에서 흔히 발생했던 문제였다. 반면, 인근의 히스팔리스는 계속해서 성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카는 고대 후기까지 어느 정도 중요성을 유지했다.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14]와 그의 아들 아르카디우스[15]가 이곳 출신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한, 자체적인 주교를 둘 정도로 중요한 도시였으며, 서고트 왕국 시대에는 군사적 요충지로 성채가 존재했다. 583년에는 레오비길도 왕이 헤르메네길도와의 내전 중에 이탈리카의 성벽을 보수하기도 했다.[16][35]
2. 2. 쇠퇴와 후기 로마 시대
이탈리카는 이르면 3세기 시기부터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과달키비르강 바닥에 토사가 쌓여 수로가 변하고,[27] 벌채로 인한 지피식물 제거와 같은 고대 사회의 환경 문제[28][29]가 겹쳐 이탈리카의 강 항구가 제 기능을 잃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반면, 인근의 히스팔리스는 계속해서 성장하였다.[27]후기 로마 시대에도 이탈리카는 자체적인 주교를 둘 만큼 중요한 도시로 여겨졌다.[35] 서고트 왕국 시대에는 성채가 들어섰으며, 레오비길도 왕은 서기 583년에 아들 헤르메네길도와의 분쟁 중에 도시의 성벽을 보수하기도 했다.[16]
또한 이탈리카는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14]와 그의 장남 아르카디우스[15]의 출생지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아르카디우스는 아버지가 추방되었던 시기인 서기 377년경 히스파니아에서 태어났다.[15]
3. 재발견과 발굴
수 세기 동안 이탈리카 유적지는 많은 외국 여행객들의 방문 대상이었으며, 이들은 이곳에 대한 기록을 남기거나 때로는 삽화로 자신들의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카는 지속적인 약탈의 대상이었고,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건축 자재를 위한 채석장으로 이용되었다. 1740년에는 세비야 시가 과달키비르강에 댐을 건설하기 위해 원형극장의 벽면 철거를 명령했으며, 1796년에는 구도심(''vetus urbs'') 지역이 엑스트레마두라로 향하는 새로운 도로 건설에 사용되었다.
이탈리카에 대한 최초의 보호법은 나폴레옹 점령 시기인 1810년에 처음 실시되었다. 이 법을 통해 이탈리카라는 옛 지명을 회복하고, 정기적인 발굴을 위한 예산이 할당되었다. 초기 발굴자 중 한 명은 영국인 직물 상인이자 세비야 거주민이었던 네이선 웨더렐(Nathan Wetherell)이다. 그는 1820년대에 이탈리카 인근에서 로마 시대 비문 약 10점을 발굴하여 이후 대영 박물관에 기증했다.[17][18] 그럼에도 정기적인 발굴은 1839년부터 1840년 사이에 시작되었다.[19]
19세기 말 발굴이 강화되면서 일부 모자이크 바닥은 레브리하 백작 부인의 소유가 되었다. 이 유물들은 백작 부인이 이 목적으로 지은 레브리하 백작 부인 궁전에 보존되어 있다. 당시 발굴 책임자였던 고고학자 로드리고 아마도르 데 로스 리오스는 백작 부인의 행위를 보존보다는 강탈에 가깝다고 여겨 반발했으나, 그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12년, 이탈리카는 왕립 칙령에 따라 국가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고고학 유적지와 그 보호 구역이 명확하게 정의된 것은 2001년에 이르러서였다.
4. 주요 유적
현대 도시 산티폰체가 이탈리카의 `''nova urbs''`(신도시) 지역 대부분을 덮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갈이 깔린 로마 시대 거리와 모자이크 바닥 등이 잘 보존된 상태로 남아 있다. 이곳에서 발굴된 풍부한 유물 중 상당수는 유명한 트라야누스 황제의 대리석상과 함께 세비야 고고학 박물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39][20]
이탈리카 고고학 유적지는 주로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기에 건설된 뛰어난 건물들이 많은 `''nova urbs''` 지역을 포함한다. 반면, 본래의 `''vetus urbs''`(구도심) 지역은 현재의 산티폰체 도심 아래에 자리 잡고 있다. 유적지에 대한 광범위한 발굴과 복원 작업이 최근에 이루어졌으며 계속 진행 중이다.
유적 중에서는 하드리아누스 황제 이전에 지어진 소규모 목욕탕과 로마 극장 등이 비교적 오래된 건축물에 속한다. 이 외에도 웅장한 원형극장과 화려한 모자이크로 장식된 여러 주요 저택들이 이탈리카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남아있다.
4. 1. 이탈리카 원형극장

이탈리카 원형극장은 건설 당시 로마 제국에서 세 번째로 큰 원형극장이었으며, 프랑스 투르에 있는 투르 원형극장보다 약간 더 컸다. 약 25,000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었는데, 이는 로마의 콜로세움 수용 인원의 절반 정도에 해당한다. 당시 이탈리카의 인구가 약 8,000명으로 추정되는 것을 고려하면 이는 매우 놀라운 규모이다. 이는 이 지역 엘리트들이 행정관 및 공무원으로서 경기와 연극 공연에 투자함으로써 이탈리카 자체의 수준을 훨씬 넘어서는 지위를 과시했음을 보여준다.
4. 2. 주요 저택
하드리아누스 시대에는 정교한 모자이크로 장식된 아름답고 값비싼 저택들이 모여 있는 엘리트 지구가 있었다. 오늘날에도 이곳에서 화려한 모자이크를 볼 수 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은 저택들이 잘 알려져 있다.- 엑세드라의 집 (House of the Exedra)
- 넵튠 모자이크의 집 (House of the Neptune Mosaic)
- 새 모자이크의 집 (House of the Birds Mosaic)
- 플라네타리움 모자이크의 집 (House of the Planetarium Mosaic)
- 힐라스의 집 (House of Hylas)
- 로디안 파티오의 집 (House of the Rhodian Patio)
4. 3. 트라야네움
트라야네움(Traianeum)은 트라야누스 황제를 기리기 위해 그의 양자이자 후계자인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건설한 거대하고 위엄 있는 신전이다.[40] 이 신전은 '노바 우르스'(nova urbs, 신도시)에서 가장 높은 지대에 위치하며, 중심부의 이중 인술라를 차지하고 있다. 크기는 108m x 80m에 달하며, 외부에는 조각상을 배치하기 위해 정사각형과 반원형의 엑세드라가 번갈아 배치된 넓은 주랑 현관 광장으로 둘러싸여 있다. 신전 구역은 에우보이아에서 가져온 값비싼 키폴리노 대리석으로 만든 100개가 넘는 기둥과 다양한 분수들로 화려하게 장식되었다.[40]4. 4. 송수로

이탈리카의 송수로는 총 길이 37km에 달한다.[41] 서기 1세기경 처음 건설되었으며, 도시가 커진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대에 늘어난 물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더 먼 수원까지 연결하며 확장되었다.[42] 이 송수로는 도시 외곽에 있는 큰 물탱크(저수조)로 물을 공급했으며, 이 물탱크는 오늘날까지도 남아있다.[43] 송수로를 지탱하던 아치형 교각의 일부는 지금도 이탈리카 근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Iberian Wars
[2]
서적
Aspects of the Roman Experience in Iberia, 206-100 B.C.
https://books.google[...]
Universidad, D.L.
2022-11-26
[3]
서적
Trajan. Optimus Princep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4]
웹사이트
Las raíces béticas de Trajano: los 'Traii' de la Itálica turdetana, y otras novedades sobre su familia
https://www.academia[...]
[5]
문서
Theodosius' Birthplace
[6]
서적
El Disco de Teodosio
2000
[7]
학술지
Sobre el origen bético de Teodosio I el Grande, y su improbable nacimiento en Cauca de Gallaecia
https://www.academia[...]
2006
[8]
서적
Roman-Italic migration in Spain
[9]
서적
Iberian Wars
[10]
서적
Hannibal's War: Books 21-3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6-25
[11]
학술지
Die 'vetus urbs' von Italica: Probleme ihrer Gründung und ihrer Anlage
https://www.academia[...]
1985
[12]
웹사이트
City of Italica Roman architecture
https://web.archive.[...]
2022-11-26
[13]
서적
Noct. Attic
[14]
문서
Chronicon Marcellini comitis
379
[15]
문서
Reference to A.M. Canto's work (2006)
2006
[16]
서적
Chronicles
[17]
웹사이트
Collection
https://www.britishm[...]
2022-11-26
[18]
서적
Epigrafía romana de Itálica
https://www.academia[...]
Complutense University
1985
[19]
학술지
Ivo de la Cortina y su obra "Antigüedades de Itálica" (1840): Una revista arqueológica malograda
https://www.academia[...]
2001
[20]
웹사이트
Inicio - Museo arqueológico de Sevilla
https://www.museosde[...]
2022-11-26
[21]
서적
Traianeum de Itálica
Seville
1988
[22]
웹사이트
Roman aqueducts: Italica (country)
http://www.romanaque[...]
2022-11-26
[23]
학술지
El acueducto romano de Itálica
https://www.academia[...]
1979
[24]
학술지
Excavaciones en Italica (1978-79). Muralla, cloacas y cisterna
http://www.traianvs.[...]
E.A.E.
205-224
[25]
학술지
Itálica, sedes natalis de Adriano. 31 textos históricos y argumentos para una secular polémica
https://www.academia[...]
2004
[26]
학술지
Sobre el origen bético de Teodosio I el Grande, y su improbable nacimiento en Cauca de Gallaecia
https://www.academia[...]
2006
[27]
서적
Iberian Wars
[28]
학술지
Die 'vetus urbs' von Italica: Probleme ihrer Gründung und ihrer Anlage
https://www.academia[...]
1985
[29]
웹사이트
City of Italica; Roman architecture
http://www.spanishar[...]
[30]
웹사이트
Las raíces béticas de Trajano: los 'Traii' de la Itálica turdetana, y otras novedades sobre su familia
https://www.academia[...]
2003
[31]
서적
Trajan. Optimus Princep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32]
서적
Noct. Attic
[33]
문서
Chronicon Marcellini comitis
379
[34]
문서
Reference to A.M. Canto's work (2006)
2006
[35]
서적
Chronicles
[36]
웹사이트
British Museum Collection
https://www.britishm[...]
[37]
논문
Epigrafía romana de Itálica
https://www.academia[...]
Complutense University
[38]
논문
Ivo de la Cortina y su obra "Antigüedades de Itálica" (1840): Una revista arqueológica malograda
https://www.academia[...]
[39]
웹사이트
Website
http://www.museosdea[...]
[40]
서적
Traianeum de Itálica
Sevilla
[41]
웹사이트
Roman Aqueducts
http://www.romanaque[...]
[42]
논문
El acueducto romano de Itálica
https://www.academia[...]
[43]
논문
Excavaciones en Italica (1978-79). Muralla, cloacas y cisterna
E.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