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호연은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자이자 드라마 제작자이다. 태권도 선수 출신으로, 1981년 연예계에 입문하여 태진아의 매니저를 시작으로 소방차, 유열, 심신 등을 매니지먼트했다. 1991년 대성기획(DSP 미디어)을 설립하여 잼, 젝스키스, 핑클, 클릭비, 이효리, SS501, 카라 등을 제작하며 SM엔터테인먼트와 함께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중반 아이돌 업계의 양대 산맥을 이루었다. 2006년에는 호신섬유를 인수하여 코스닥 시장에 우회상장했고, 드라마 제작에도 참여하여 《마이걸》, 《연개소문》 등을 제작했다. 2010년 뇌출혈로 쓰러진 후, 2015년 대중문화예술상 대통령 표창을 받았으며, 2018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DSP 미디어 - 박정민 (가수)
박정민은 2005년 그룹 SS501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로, 솔로 활동과 일본 활동명 '로미오'로도 알려져 있으며, 음악, 뮤지컬,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작사, 작곡,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DSP 미디어 - 김현중
김현중은 2005년 그룹 SS501의 리더로 데뷔하여 드라마 《꽃보다 남자》를 통해 아시아 한류스타로 발돋움한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로, 솔로 활동과 연기 활동을 이어가며 인기를 얻었으나 전 여자친구와의 법적 분쟁으로 논란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듀서 - 김재형 (연출가)
김재형은 1961년 《국토만리》를 시작으로 《용의 눈물》, 《여인천하》 등 다수의 인기 사극을 연출하여 '사극의 거장'으로 불리는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연출가이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듀서 - 김종학
김종학은 1970년대 후반 MBC 입사 후 《수사반장》, 《여명의 눈동자》, 《모래시계》 등 1980-90년대 대표 드라마들을 연출하고 김종학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태왕사신기》, 《베토벤 바이러스》 등 여러 작품을 제작한 대한민국의 드라마 연출가이자 제작자이다. - 뇌출혈로 죽은 사람 - 한경선
1983년 KBS 공채 탤런트로 데뷔한 배우 한경선은 드라마 《모래시계》, 《자이언트》, 영화 《전국구》 등에 출연하며 활발한 연기 활동을 펼쳤으나 2015년 뇌경색으로 사망했다. - 뇌출혈로 죽은 사람 - 천경자
천경자는 전라남도 고흥 출신의 대한민국 화가이자 수필가로, 독자적인 화풍을 개척하여 '길례언니',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 등 다수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미인도' 위작 사건 이후 절필 후 미국으로 떠났다가 서울시립미술관에 작품을 기증했다.
이호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호연 |
출생일 | 1954년 1월 18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
사망일 | 2018년 2월 14일 |
학력 | 성균관대학교 체육학부 |
배우자 | 최미경 |
자녀 | 의붓딸 강나현 |
경력 | |
주요 경력 | 2008년 ~ 2010년 DSP미디어 대표이사 1991년 ~ 2008년 DSP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
수상 | |
수상 내역 | 대중문화예술상 대통령 표창 |
2. 경력
연도 | 직함 |
---|---|
2008 ~ 2010 | DSP 미디어 대표이사 |
1991 ~ 2008 | DSP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
2. 1. 연예 기획자 (1981-2010)
성균관대학교 체육학부 출신으로 태권도 선수 은퇴 후 대전에서 학교 체육교사를 하던 중, 1981년 양승국 한밭기획 사장의 권유로 연예계에 뛰어들었다. 태진아의 매니저로 연예계 일을 시작하여, 소방차, 유열, 심신 등을 매니지먼트하였다. 심신의 대표곡인 <오직 하나뿐인 그대>는 원래 소방차가 부를 뻔 했다.[2] 이 중 소방차는 대한민국 최초의 아이돌 댄스 그룹이라 불리는데, 기획 및 홍보 등에 있어 이호연 사장의 첫 작품으로 인정되고 있다.[3][4] 당시 소방차의 매니저였던 김태송(1966 ~ 2018)은 훗날 TS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였다.1991년에 독립하여 대성기획(후에 DSP 미디어로 명칭 변경)을 설립하였다. 혼성그룹 ZAM을 제작하여 큰 인기를 끌었으며, 이본, 오현경, 이승연, 박소현 등 당대 인기 탤런트들이 소속되어 있었다.[5][6][7][8][9]
1990년대 중후반 및 2000년대 초중반에는 젝스키스, 핑클, 클릭비, 솔로 이효리 등 스타 아이돌들을 배출하여 SM 엔터테인먼트와 라이벌 구도를 형성해 아이돌 업계의 양대산맥을 이루었다.[10] 서울가요대상 실적을 보면, 젝스키스는 1998년도 대상을, 핑클은 1999년도 대상을, 이효리는 2003년도 대상을 수상하였다. 당시의 DSP에 대해 '가수 매니지먼트에 관한 사례연구'라는 논문에서는, "대표자가 전 가수들을 총괄 기획하고 제작이나 각종 결정권에 큰 영향력을 행사" "모든 체계가 중앙집중적으로 편중되어 있어 전형적인 개인형 매니지먼트 구조"라고 분석하고 있다.[11]
2000년대 중반에는 회사 사업분야를 확장하였고, 2006년 3월 섬유원단 제조 업체인 호신섬유주식회사와의 인수합병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회사를 우회상장하였다. 문정수 PD, 소현경 작가 등 전문인력을 영입하였으며, 마이걸, 외과의사 봉달희, 연개소문 등 인기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12]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SS501과 카라를 제작하여 큰 인기를 끌었다. 2009년 11월에는 레인보우를 기획하여 데뷔시켰으며[13], 2010년 들어서는 추진해왔던 카라의 일본 정식 진출을 눈 앞에 두고 있었다.[14]
그러나 2010년 3월, 지인과 술자리를 갖고 돌아가는 길에 뇌출혈로 쓰러져 병상에 누웠다. 이후 대표이사가 교체된 DSP 미디어는 예전만큼의 위상을 보여주지 못하였다.[15] 업계 관계자들은 과거 DSP 미디어가 성공한 데에는 설립자인 이호연 대표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이 대표가 DSP 설립 초부터 줄곧 기업의 경영·기획 등을 비롯해 가수의 앨범 제작까지 손수 돌보며 기업의 성장을 도모했기 때문이다. 실력 있는 제작자로 유명세를 치른 후 데뷔시키는 가수마다 정상에 올려 ‘스타제조기’라는 수식어를 얻기도 하였다. 큰 부침 없이 기업의 덩치를 키워내 경영 능력 또한 높이 평가받았다.[16] 추진력과 스태프 관리에서 가요계 최고 수준이었던 이호연 대표가 일선에서 활발히 활동하던 시절, 대성기획 및 DSP는 이수만 사장의 SM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사실상 국내 양대 가요 기획사로 군림했다.[17]
이처럼 성공시킨 가수들 숫자는 많으나, 그것이 시스템이 아닌 사장의 개인적인 감과 인맥에 의존했던 점은 한계였다. 이에 급작스런 뇌출혈로 사장 자리에서 물러나자 회사에 큰 문제를 야기하였다.
2. 2. 드라마 제작자 (2006-2010)
2000년대 중반, 이호연은 회사 사업 분야를 확장하였다. 2006년 3월 섬유원단 제조 업체인 호신섬유주식회사와 인수합병하여 코스닥시장에 회사를 우회상장시켰다.[12] 문정수 PD, 소현경 작가 등 전문 인력을 영입했고, 마이걸, 외과의사 봉달희, 연개소문 등 인기 드라마를 제작했다.[12]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SS501과 카라를 제작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2009년 11월에는 레인보우를 기획하여 데뷔시켰고[13], 2010년에는 카라의 일본 진출을 추진하고 있었다.[14]
2. 3. 투병 및 별세 (2010-2018)
2010년 3월, 이호연은 지인과 술자리를 갖고 돌아가는 길에 뇌출혈로 쓰러져 병상에 눕게 되었다.[15] 이후 DSP 미디어는 대표이사가 교체되었고, 예전만큼의 위상을 보여주지 못하였다.[15] 업계 관계자들은 과거 DSP 미디어가 성공한 데에는 설립자인 이호연 대표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이호연은 DSP 설립 초부터 기업의 경영·기획, 가수의 앨범 제작까지 직접 챙기며 기업의 성장을 이끌었다. 실력 있는 제작자로 이름을 알리며 데뷔시키는 가수마다 정상에 올려 ‘스타제조기’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였다. 큰 어려움 없이 기업의 규모를 키워 경영 능력 또한 높이 평가받았다.[16] 이수만 사장의 SM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국내 양대 가요 기획사로 군림했던 것은 추진력과 스태프 관리에서 가요계 최고 수준이었던 이호연 대표가 활발히 활동하던 시절의 대성기획 및 DSP 였다.[17]이처럼 많은 가수들을 성공시켰지만, 시스템이 아닌 사장의 개인적인 감각과 인맥에 의존했던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이호연이 갑작스러운 뇌출혈로 사장 자리에서 물러나자 회사는 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2015년 10월, 이호연은 대중문화예술상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카라 멤버 박규리와 한승연이 대리 수상하였다.[18] 국내 매니지먼트 1세대 출신으로서 대중들에게 오랜 시간 큰 사랑을 받은 음악가들을 기획하고 제작한 점, 카라 등을 통해 한류 열풍을 이끄는데 앞장섰던 점, 그리고 TV 드라마 “마이걸”, “연개소문”, “외과의사 봉달희” 등을 제작하여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미디어 사업 분야에도 기여한 점이 수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19]
2018년 2월 14일, 오랜 투병 생활 끝에 별세했다.[20] 오종혁이 상주를 자청했으며, 여러 연예인들과 관계자들이 조의를 표했다. 옥주현은 장문의 글로 이호연 사장과의 인연에 고마움을 표현했다. 소방차 시절부터 이호연을 알고 지냈다는 홍성규 가요평론가는 이호연의 심미안을 인정하며 그가 건재했으면 DSP가 3대 대형 기획사에 속했을 것이라는 말을 남겼다.
3. 학력
성균관대학교 체육학과 졸업[16]
4. 제작
이호연은 태권도 선수 출신으로, 은퇴 후 학교 체육교사로 재직 중 1981년 연예계에 입문했다. 태진아의 매니저를 시작으로 소방차, 유열, 심신 등을 매니지먼트했다. 1991년에는 대성기획(DSP 미디어)을 설립하여 ZAM을 제작했고, 이본, 오현경, 이승연, 박소현 등 인기 탤런트들을 영입했다.[5][6][7][8][9]
2006년에는 섬유원단 제조 업체인 호신섬유주식회사와의 인수합병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회사를 우회상장시켰다.[12]
2010년 뇌출혈로 쓰러진 후, 2018년 2월 14일 별세할 때까지 오랜 투병 생활을 했다.[15][20] 2015년에는 대중문화예술상 대통령 표창을 받았는데, 박규리와 한승연이 대리 수상했다.[18][19]
4. 1. 음반
이호연은 음반 제작 및 매니지먼트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 태진아의 매니저로 연예계 경력을 시작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아이돌 댄스 그룹으로 불리는 소방차를 기획하고 성공시켰다.[3][4] 심신의 대표곡인 <오직 하나뿐인 그대>는 원래 소방차가 부를 뻔했다.[2]1991년 독립하여 대성기획(DSP 미디어)을 설립하고, 혼성그룹 ZAM을 제작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5] 1990년대 중후반 및 2000년대 초중반에는 젝스키스, 핑클, 클릭비, 솔로 이효리 등 스타 아이돌들을 배출하여 SM 엔터테인먼트와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며 아이돌 업계의 양대산맥을 이루었다.[10] 서울가요대상에서 젝스키스(1998년), 핑클(1999년), 이효리(2003년)가 대상을 수상한 것이 대표적인 예시이다.[11]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SS501과 카라를 제작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2009년에는 레인보우를 데뷔시켰다.[13] 2010년에는 카라의 일본 진출을 추진하기도 했다.[14]
이호연 대표는 실력 있는 제작자로 인정받아 '스타 제조기'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그가 배출한 가수들은 오랜 시간 대중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16]
4. 2. 드라마
2006년 문정수 PD, 소현경 작가 등 전문인력을 영입하여 제작한 드라마는 다음과 같다.[12]5. 수상 경력
6. 기타
50세가 넘은 늦은 나이에 최미경과 결혼하였는데, 최미경은 재혼이었다.[16] 얼마 후 이호연이 뇌출혈로 쓰러졌고, 그의 아내가 DSP 미디어 대표이사로 취임하였다.[16] 이 과정에서 최미경이 전 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이 이사로 등기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16]
슬하에 친자식은 없다.
전직 태권도 선수였다.
참조
[1]
문서
최미경의 친딸
[2]
뉴스
"'살림남2' 정원관, 심신 팬 장모님에 "소방차가 더 잘나가""
https://entertain.na[...]
텐아시아
2020-07-24
[3]
뉴스
"[스포츠월드]이효리를 만든 ’감’의 승부사 DSP대표 이호연"
http://entertain.nav[...]
세계일보(네이버)
2018-07-23
[4]
뉴스
90년대 ‘아이돌 시스템’의 예고편
http://www.hani.co.k[...]
한겨레
2018-07-23
[5]
뉴스
"스타제조 비법 이 책속에 있소이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네이버)
2018-07-23
[6]
뉴스
대작드라마 앞세워 高성장 줄달음
https://news.naver.c[...]
헤럴드경제(네이버)
2018-07-23
[7]
뉴스
이아현 “혼성그룹 뮤로 데뷔할뻔, 탈퇴후 김준희 투입”
http://www.newsen.co[...]
뉴스엔
2018-07-23
[8]
뉴스
"[오현경] LA서 턱수술…유동근 전액지원"
http://entertain.nav[...]
한국일보(네이버)
2018-07-23
[9]
뉴스
"'러브게임' 박소현 성유리와 같은 기획사 출신..애정갖는 배우"
http://osen.mt.co.kr[...]
OSEN
2018-07-23
[10]
뉴스
가요시장에도 정권교체 바람분다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8-07-23
[11]
저널
가수 매니지먼트에 관한 사례연구
http://www.riss.kr/s[...]
2019-01-05
[12]
뉴스
황금알 낳는 드라마 시장 판도 바꾸겠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9-01-05
[13]
뉴스
걸그룹 판도바꿀가? 레인보우, 기대되는 이유
http://star.mt.co.kr[...]
스타뉴스
2018-07-23
[14]
뉴스
"아이돌 그룹 진화는 계속될 것"
http://weekly.hankoo[...]
주간한국
2018-07-23
[15]
뉴스
오종혁의 친정 DSP는 전성기를 되찾을 수 있을까?
http://tvdaily.asiae[...]
티브이데일리
2018-07-23
[16]
뉴스
빅스타 산실 남편 쓰러진 후 ‘아내의 경영은’
http://www.hankyung.[...]
2018-07-23
[17]
뉴스
카라, 시급해결과제 '멤버추가건' 아닌 '韓활동 확정+多'
http://star.mt.co.kr[...]
스타뉴스
2018-07-23
[18]
뉴스
DSP미디어 이호연 대표, 대중문화예술상 대통령표창 수상
http://osen.mt.co.kr[...]
OSEN
2018-07-23
[19]
뉴스
DSP 이호연 대표, 대중문화예술상 대통령표창 수상. 카라의 박규리-한승연 대리 수상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8-07-23
[20]
뉴스
이호연 DSP 대표 오늘 별세…젝키·핑클·카라 낳은 제작자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8-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