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주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주 왕국은 1304년 일 칸국의 지배 하에 샤라프 알딘이 파르스 지역을 하사받으면서 시작되었다. 기야스 알딘이 일 칸국으로부터 독립하여 1335년 건국되었으나, 왕족 간의 내분으로 혼란을 겪었다. 1343년 자말 알딘 아부 이샤크가 통치했지만, 무자파르 왕조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1357년 멸망했다. 인주 왕조 시대의 시라즈는 학문과 예술이 번성했으며, 하페즈와 같은 시인들이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57년 폐지 - 추판 왕국
추판 왕국은 14세기 아제르바이잔 지역에서 존재했던 몽골계 왕조로, 아미르 추판의 후손들이 세력을 확장했으나 내부 갈등과 킵차크 칸국의 침략으로 멸망했다. - 1335년 설립 - 무자파르 왕조
무자파르 왕조는 14세기 중엽 페르시아 지역을 다스린 이슬람 왕조로, 몽골 제국 쇠퇴기에 야즈드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시라즈를 점령하고 술탄을 자칭하며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티무르 제국의 침략으로 멸망하고 건축물 외벽 타일 장식 기법 발달 등 문화 예술 분야에서 발전을 이루었다. - 1335년 설립 - 추판 왕국
추판 왕국은 14세기 아제르바이잔 지역에서 존재했던 몽골계 왕조로, 아미르 추판의 후손들이 세력을 확장했으나 내부 갈등과 킵차크 칸국의 침략으로 멸망했다.
인주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통용되는 긴 명칭 | 인주 왕국 |
일반 명칭 | 인주 왕조 |
지위 | 왕국 |
정부 형태 | 군주제 |
시작 연도 | 1335년 |
종료 연도 | 1357년 |
이전 국가 | 일 칸국 |
계승 국가 | 무자파르 왕조 |
수도 | 시라즈 이스파한 |
공용어 | 페르시아어 몽골어 |
역사 | |
건국 시기 | 1325년 |
멸망 시기 | 1357년 |
사건 | 시라즈의 상실 |
사건 날짜 | 1353년 |
통치자 | |
원수 칭호 | 샤라프 웃딘 마흐무드 샤 잘랄 웃딘 마스우드 샤 아부 이스하크 |
원수 재임 시작 | 1325년 1336년 1342년 |
원수 재임 종료 | 1336년 1342년 1353년 |
기타 | |
참고 문헌 |
2. 형성과 건국
1304년 일 칸국의 칸 올제이투가 샤라프 알딘에게 시라즈와 파르스 일대를 하사하면서 인주 왕조가 시작되었다.[1] 샤라프 알딘은 헤라트 출신의 수피이자 압둘라 안사리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가문은 파르스 지역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성장했다.[1] 그는 아들 기야스 알딘을 통해 무자파르 왕조를 지원하며 영향력을 확대했다.[1]
1338년 마수드 샤가 돌아와 기야스 알딘과 대립하면서 내분이 시작되었다. 1338년(혹은 1339년) 기야스 알딘이 사망하면서 분쟁은 마수드 샤의 승리로 끝났지만, 샴스 알딘이 추판 왕조의 피르 호사인과 연합하여 시라즈를 점령하면서 내분은 계속되었다.[1] 마수드 샤는 북쪽으로 피신했고 샴스 알딘이 인주 왕조의 지배자가 되었으나, 샴스 알딘은 피르 호사인에게 배신당해 살해되었다.[1]
1343년 아부 이샤크는 인주 왕조의 단독 지배자가 되어 자신의 이름으로 화폐를 만들고 후트바(금요 예배에서 칼리파나 통치자의 이름으로 행하는 설교)를 행했다.[1] 아부 이샤크는 케르만 정복을 목표로 무자파르 왕조의 지도자 무바리즈 알딘 무함마드와 전쟁을 벌였다. 1350년과 1351년 두 차례에 걸쳐 무자파르 왕조의 도시 야즈드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1]
역사가 이븐 자르쿠브, 시인 하페즈 등 인주 왕조 시대 시라즈의 지식인들은 아부 이스하크의 인격을 칭찬하고 학예 보호자로서의 측면을 기록했다.[1]
[1]
웹사이트
INJU DYNASTY
https://www.iranicao[...]
2024-02-01
1325년 아부 사이드 칸은 샤라프 알딘의 영향력을 견제하여 그를 수감하고 샤이흐 후세인을 파견했으나, 기야스 알딘의 저항으로 실패했다. 1335년 아부 사이드 사후 아르파 케운이 칸에 즉위하고 샤라프 알딘을 처형하자,[1] 마수드 샤와 아부 이샤크는 각각 자라이르 왕조와 바그다드로 망명했다. 이후 기야스 알딘은 시라즈에서 독립하여 인주 왕조를 건국했다.
3. 왕족 간의 내분 (1338년 ~ 1343년)
피르 호사인은 다음 해에 다시 시라즈를 점령했지만, 아부 이샤크에게 쫓겨났다. 아부 이샤크 또한 추판 왕조의 야기 바스티와 연합한 마수드 샤에게 쫓겨났다. 그러나 야기 바스티가 마수드 샤를 살해했고, 야기 바스티는 1343년 아부 이샤크에게 축출되었다.[1] 야기 바스티는 마렉 아시라프와 연합하여 시라즈를 공격했으나, 1343년 12월 하산 쿠첵의 사망 소식을 듣고 추판 왕조로 회군하였다.[1]
4. 아부 이샤크의 통치와 왕조의 멸망 (1343년 ~ 1357년)
1352년 무바리즈 알딘은 파르스를 침공하여 인주 왕조를 격파하고, 1353년 시라즈를 포위했다. 아부 이샤크는 편집증적인 행동을 보이며 반역자를 색출한다는 명목으로 도시의 두 구역을 몰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1] 다른 구역의 지도자는 백성을 두려워하여 무바리즈 알딘의 아들 샤 슈자에게 성문을 열어주었다. 아부 이샤크는 항복했지만 탈출하여 자라이르 왕조의 지원을 받아 이스파한으로 도망쳤다.[1]
1357년 무바리즈 알딘은 이스파한마저 점령했다. 아부 이샤크는 다시 항복하여 시라즈로 압송되었고, 그곳에서 처형되었다.[1] 이로써 인주 왕조는 멸망하고, 그 영토는 무자파르 왕조에 넘어갔다. 이후 이 영토는 40년 뒤 티무르에게 공격받게 된다.
5. 문화
인주 왕조 시대 시라즈에는 많은 이슬람 성인의 영묘가 건립되었다. 아부 이스하크는 크테시폰의 크테시폰의 타크를 본뜬 건물을 시라즈에 건설할 계획을 세웠으나 미완으로 끝나 건축 흔적은 남아있지 않다.[1] 시라즈 금요 모스크 내 도서관은 인주 왕조 시대에 건설된 건물로, 제3대 정통 칼리파 우스만이 기록했다고 전해지는 쿠란이 소장되어 있다.[1]
6. 역대 지배자
이름 재위 기간 비고 샤라프 알딘 1304년 ~ 1325년 일 한국에 종속 기야스 알딘 1335년 ~ 1338년? 마수드 샤 1338년? ~ 1342년? 샴스 알딘 1339년? 아부 이샤크 1343년 ~ 1357년
참조
[2]
서적
西アジア史2 イラン・トルコ
山川出版社
2002-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