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43년은 원나라, 일본, 쩐 왕조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된 연호와 관련된 해이다. 이 해에는 고려는 원나라의 간섭을 받았고, 일본에서는 남북조 시대가 심화되었으며, 원나라는 쇠퇴의 기미를 보였다. 주요 사건으로는 프라하 대주교 임명, 교황령 발표, 에스토니아에서 봉기, 노르웨이 왕위 양위, 해상 동맹 결성, 지진과 쓰나미 발생 등이 있었다. 또한, 두샨 황제가 알바니아를 정복했다. 최유경, 빌헬름 1세, 장경 천황 등이 탄생했으며, 무나시리, 방신우, 유키 도시토모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43년 | |
---|---|
연도 정보 | |
기원전 | 기원전 1343년 |
종류 | 평년 |
간지 | 계미년 |
서력 기원 | 1343년 |
주요 사건 | |
사건 | 조선에서 《상정고금예문》 간행 교황 클레멘스 6세가 프라하에 프라하 대학교를 설립함. |
탄생 | 고려의 문신 이숭인 |
사망 | 상나라의 가상인물 나타 알제리의 장군 아부 야흐야 이븐 아부 바크르 |
2. 연호
- 元|원중국어 지정(至正) 3년
- 日本|일본일본어 南朝|남조일본어 고코쿠(興国|흥국일본어) 4년
- 日本|일본일본어 北朝|북조일본어 고에이(康永|강영일본어) 2년
- 쩐 왕조 티에우퐁(紹豊) 3년
3. 기년
4. 사건
고려는 원나라의 간섭으로 정치적 혼란이 계속되었다.[1] 일본에서는 남조와 북조의 대립이 심화되었다.[1] 원나라는 혜종의 통치 아래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1]
유럽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건들이 있었다.[1]
- 1월 14일 - 아르노슈트 파르두비체가 프라하의 마지막 주교이자 최초의 대주교가 되었다.
- 1월 27일 - 교황 클레멘스 6세가 교황령 "유니게니투스(Unigenitus)"를 발표하여 가톨릭 교회의 면죄부 발행 근거로 "공로의 보물" 또는 "교회의 보물" 교리를 정의했다.
- 4월 23일 - 에스토니아에서 성 게오르기우스의 밤 봉기가 시작되었다.
- 5월 4일 - 성 게오르기우스의 밤 봉기에서 리보니아 기사단과의 협상 도중 "에스토니아의 네 왕"이 살해되었다.
- 8월 15일 - 마그누스 4세가 아들 하콩 6세에게 노르웨이 왕위를 양위하였다. 그러나 하콩이 미성년자였기 때문에 마그누스가 사실상 통치자로 남았다.
- 8월 31일 - 스미르나 원정을 준비하기 위해 교황, 베네치아 공화국, 성 요한 기사단, 키프로스 왕국 사이에 해상 동맹이 맺어졌다.
- 11월 25일 -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가 아말피 해양 공화국 등 여러 곳을 황폐화시켰다.
두샨 황제가 알바니아를 정복하였다.[1]
4. 1. 한국
元|원중국어나라의 간섭 하에 고려는 정치적 혼란이 지속되었다.4. 2. 일본
남북조 시대: 남조와 북조의 대립이 심화되었다.4. 3. 중국
元惠宗至元九年|원 혜종 지정 9년중국어원나라 혜종(순제)의 통치 기간 동안, 점차 쇠퇴의 기미를 보이기 시작했다.
4. 4. 유럽
- 1월 14일 – 아르노슈트 파르두비체가 프라하의 마지막 주교이자 최초의 프라하 대주교가 되었다.
- 1월 27일 – 클레멘스 6세가 교황령 "유니게니투스(Unigenitus)"를 발표하여, 가톨릭교회의 면죄부 발행의 근거로 "공로의 보물" 또는 "교회의 보물" 교리를 정의하였다.
- 4월 23일 – 에스토니아에서 성 게오르기우스의 밤 봉기가 시작되었다.
- 5월 4일 – 성 게오르기우스의 밤 봉기: 리보니아 기사단과의 협상에서 "에스토니아의 네 왕"이 살해되었다.
- 8월 15일 – 마그누스 4세가 아들 하콩 6세에게 노르웨이 왕위를 양위하였다. 그러나 하콩이 아직 미성년자이기 때문에 마그누스가 사실상 통치자로 남았다.
- 8월 31일 – 스미르나 원정을 준비하기 위해 교황, 베네치아 공화국, 성 요한 기사단, 그리고 키프로스 왕국 사이에 해상 동맹이 형성되었다.[1]
- 11월 25일 –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가 아말피 해양 공화국 등 여러 곳을 황폐화시켰다.
4. 5. 기타 지역
두샨 황제가 알바니아를 정복하였다.5. 탄생
- 4월 29일 - 최유경: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 12월 19일 - 빌헬름 1세: 마이센 변경백.[2]
- 날짜 불명
- * 조계 천황: 일본 남북조 시대 남조 제3대 천황.
- * 콘스탄사 데 아라곤: 시칠리아 왕 프리드리히 3세의 첫 번째 왕비.
- * 토마스 퍼시: 잉글랜드 반란군 지도자.
- * 낭 케오 핌파: 란쌍의 여왕.
- * 토마소 모체니고: 베네치아 총독.
- * 파올로 알보이노 델라 스칼라: 베로나 영주.
- * 알렉산더 스튜어트: 스코틀랜드 통치자.[2]
- * 다이쿠몬 무네자네: 일본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 * 호소카와 요리모토: 일본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 막부 관령.
- 추정
- * 제프리 초서: 잉글랜드의 시인.
5. 1. 한국
4월 29일 -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최유경이 사망하였다.5. 2. 일본
- 장경 천황 - 남북조 시대 남조 제3대 천황 (+ 1394년)
- 다이쿠몬 무네자네 -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 1404년)
- 호소카와 요리모토 -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 막부 관령 (+ 1397년)
5. 3. 기타 지역
6. 사망
- 1월 20일 - 로베르토 (1276년 출생)
- 4월 26일 - 유키 도시토모 (1325년 출생)
- 5월 29일 - 프란체스코 1세 만프레디, 파엔차 영주
- 6월 22일 - 아이모네 (1291년 출생)
- 6월 23일 - 자코모 가에타니 스테파네스키, 이탈리아 추기경 (약 1270년 출생)
- 9월 1일 - 타다 요리사다 (생년 미상)
- 9월 16일 - 필리프 3세 (1306년 출생)
- 12월 15일 - 하산 쿠체크, 초바니드 왕자 (약 1319년 출생)
- 날짜 미상
- * 안도 엔케이 (1285년 출생)
- * 기라 사다요시 (생년 미상)
- * 율릭 경, 아일랜드 귀족
- * 안나 (1318년 출생)
- * 베라 발랄라 3세, 호이살라 제국의 통치자 (1291년 출생)
- * 무나시리 - 토곤 테무르의 3황후
- * 방신우 - 고려와 원나라의 환관
6. 1. 한국
- 무나시리 - 토곤 테무르의 3황후[1]
- 방신우 - 고려와 원나라의 환관[2]
6. 2. 기타 지역
참조
[1]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
논문
Alexander Stewar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