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33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39년은 원나라, 쩐 왕조, 일본의 남북조 등 여러 국가에서 연호를 사용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이슬람교도들의 카슈미르 정복, 영국과 프랑스 간 백년 전쟁 발발, 일본 겐코의 난 종결 및 무로마치 막부 성립 등이 있다. 또한 고려 충숙왕이 사망하고 충혜왕이 복위되었으며, 유럽에서 피렌체 시의 거리 포장이 시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339년
1339년
로마 숫자MCCCXXXIX
연대
14세기1330년대
주요 사건
사건고려 충숙왕 복위 (음력 3월)
백년 전쟁 발발
잉글랜드프랑스에 선전포고
플랑드르의 헨트에서 야코프 판 아르테벨더가 이끄는 반란 발생
무로마치 막부가 남북조 시대 (일본)의 시작을 알림
델리 술탄국의 자말 웃딘이 마바르 술탄국을 세움
탄생
인물앙주 공작 루이 1세 (1384년 사망)
포르투갈 왕 페르디난두 1세 (1383년 사망)
마조프셰 공작 얀 1세 (1429년 사망)
사보이아 백작 아메데오 6세 (1383년 사망)
오스트리아 공작 알브레히트 3세 (1395년 사망)
사망
인물트베리 공작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오시토 모치토키
고곤 천황
아자노 미츠모치
구사노 요시타카

2. 연호

3. 기년


남조북조황기
엔겐 4년랴쿠오 2년1999년


  • 중국

왕조연호
지위안 5년


  • 조선

왕조연호단기
고려충숙왕 (중조) 8년3672년


  • 베트남

왕조연호
쩐 왕조카이유 11년


  • 불멸기원 : 1881년 - 1882년
  • 이슬람력 : 739년 - 740년
  • 유대력 : 5099년 - 5100년

4. 사건

4. 1. 고려


  • 충숙왕이 세상을 떠났다. 그의 나이는 44세였다.[1]
  • 왕고를 왕으로 세우려 한 조적 등의 반란이 일어났으나 진압되었다. 왕고, 조적과 그 일당들은 참살당했다.[2]
  • 충혜왕이 왕위에 복귀했다.[3]

4. 2. 국제 관계

4. 3. 기타

5. 탄생


  • 7월 23일 - 앙주 공작 루이 1세
  • 11월 1일 - 오스트리아 공작 루돌프 4세
  • ''날짜 미상:''
  • * 대립 교황 알렉산데르 5세
  • * 에릭 마그누손
  • * 바이에른-란츠후트 공작 프리드리히
  • * 교황 인노첸시오 7세
  • * 브르타뉴 공작 장 4세
  • * 카스티야 여왕 후아나 마누엘
  • * 알리 이븐 무함마드 알-주르자니

5. 1. 고려

1339년의 고려에 대한 내용은 원본 문서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5. 2. 그 외


  • 7월 23일 - 앙주 공작 루이 1세 (1384년 사망)
  • 11월 1일 - 오스트리아 공작 루돌프 4세 (1365년 사망)
  • 5월 30일 (연원 4년/력응 2년 4월 21일) - 닛신,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승려, 호케슈 진몬류의 종조(문조) (+ 1414년)
  • 6월 21일 - 라우펜 전투가 일어나 도시 국가 베른이 귀족에게 승리.
  • 아사쿠라 우지카게,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아사쿠라 씨의 제3대 당주 (+ 1405년)
  • 알렉산데르 5세, 대립교황 (+ 1410년)
  • 안나 시비드니츠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겸 보헤미아 왕 카를 4세의 3번째 왕비 (+ 1362년)
  • 에리크 12세, 스웨덴 왕 (+ 1359년)
  • 난조 사다무네, 남북조 시대의 무장 (+ 1391년?)
  • 후아나 마누엘 데 카스티야, 카스티야 왕 엔리케 2세의 왕비 (+ 1381년)
  • 블랑카 데 보르본, 카스티야 왕 페드로 1세의 교회법상의 첫 번째 왕비 (+ 1361년)
  • 프리드리히, 바이에른 공작 (+ 1393년)
  • 라메수안, 아유타야 왕조의 국왕 (+ 1395년)
  • 이문충, 의 장군 (+ 1384년)
  • 고 시카, 남북조 시대의 무장.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가신. 고 모로나오의 적자 (+ 1351년)
  • 교황 인노첸시오 7세 (1406년 사망)
  • 브르타뉴 공작 장 4세 (1399년 사망)
  • 알리 이븐 무함마드 알-주르자니, 페르시아 아랍 백과사전 편집자 (1414년 사망)

6. 사망

6. 1. 고려

충숙왕이 사망하였다.

6. 2. 그 외


  • 고려 제27대 국왕 충숙왕이 사망하였다.

참조

[1] 서적 The European Magazine, and London Review https://books.google[...] Philological Society of London
[2] 서적 Studies from Genoese History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mpany
[3] 웹사이트 Alexander (V) antipope https://www.britanni[...] 2018-07-22
[4] 서적 Collier's Encyclopedia: With Bibliography and Index https://archive.org/[...] Collier
[5] 서적 Crown and nobility, 1272-1461 https://books.google[...] Blackwell
[6] 서적 Karoli IV Imperatoris Romanorum Vita Ab Eo Ipso Conscripta et Hystoria Nova De Sancto Wenceslao Martyre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1-02-01
[7] 서적 The encyclopedia of tarot https://books.google[...] U.S. Games Systems
[8] 서적 Britannica Concise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Britannica, Inc. 2008-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