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아트플랫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아트플랫폼은 8개의 근현대 건축물로 구성된 복합 문화 공간이다. A동은 1902년 건축된 구 군회조점 사무실 건물이며, B동과 C동은 대한통운 창고를 개조한 것이다. D동은 1888년에 지어진 구 일본우선주식회사 인천지점 건물로, 인천광역시의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E, F, G동은 1933년에 지어진 창고 건물이며, H동은 1943년에 건축된 일본식 점포 건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중구 - 인천항
인천항은 조일수호조약 이후 개항되어 일본의 경제적 침탈과 함께 성장했으며, 갑문 설치와 항만 확장을 거쳐 현재 다양한 화물을 처리하는 항만으로 기능하고 있지만, 수심과 갑문 통과 시간으로 인해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인천신항이 개발되었다. - 인천 중구 - 중구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광역시)는 백제 시대부터 어촌을 이루고 근대 문물이 유입된 곳으로, 인천항 개항 이후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무대가 되었으며, 현재는 인천국제공항과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6년 행정 구역 개편을 통해 영종구와 제물포구로 분리될 예정이다. - 인천광역시의 박물관 - 수도국산 달동네 박물관
수도국산 달동네 박물관은 재개발 예정 지역이었던 달동네의 모습을 보존하고 과거 생활상을 전시하기 위해 2005년 개관하여 상설전시실, 교육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동인천역에서 도보로 접근 가능하다. - 인천광역시의 박물관 - 짜장면박물관
짜장면박물관은 짜장면의 역사와 문화를 기리기 위해 2012년 개관하여 짜장면 발상지인 옛 공화춘 건물에서 화교 이주와 함께 한국 사회에 정착한 짜장면의 변천 과정과 의미를 6개의 전시관으로 보여주며, 1930년대 공화춘 객실과 1960년대 주방 재현을 통해 당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한 박물관이다. - 인천광역시의 역사 - 남양군
남양군은 삼국시대 백제와 신라의 요충지인 당항성을 포함한 경기도 지역으로, 고려시대 쌍부현을 거쳐 조선시대 남양도호부로 승격되기도 했으나 1914년 수원군과 부천군에 편입되며 소멸된, 역사적 사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역이다. - 인천광역시의 역사 - 부천군
부천군은 1914년 여러 지역을 합쳐 경기도에 신설되었으나, 잦은 행정구역 개편으로 현재 서울, 부천, 인천 등 여러 지역으로 분할되었고, 1973년 소사읍의 부천시 승격 후 나머지 지역은 인근 시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인천아트플랫폼 | |
---|---|
기본 정보 | |
![]() | |
개관 | 2009년 |
위치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제물량로218번길 3 (해안동1가) |
좌표 | 37°28′35.2″N 126°37′06.9″E |
면적 | 8,867㎡ |
조성 목적 | 문화예술 창작 공간 |
웹사이트 | 인천아트플랫폼 |
운영 주체 | 인천문화재단 |
역사 | |
연혁 | 1883년 개항 이후, 개항장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곳 1930~40년대 지어진 건축물들을 리모델링하여 2009년 개관 |
시설 | |
주요 시설 | 창작 스튜디오 전시 공간 공연장 교육 공간 |
건축물 | G1: 사무동 G2, G3: 창작 스튜디오 G4: 윈도우 갤러리, 프로젝트 스페이스 G5: 다목적 공연장 G6: 레지던시 숙소 G7: 교육관 G8: 전시 공간 G9: 게스트하우스 |
특징 | |
특징 | 개항장 시기의 건축 양식을 보존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지역 문화 활성화에 기여 |
2. 건축물
인천아트플랫폼은 A동에서 H동까지 8개 동의 근현대 건축물로 이루어져 있다.[3] 각 동은 과거 해운 회사 사무실, 창고, 상점 등으로 사용되었던 건물들을 리모델링한 것이다.
- A동: 1902년 건축된 구 군회조점 사무실 건물로, 벽돌로 지어진 2층 건물이다. 트러스 구조로 지붕을 받치고 창문에는 장식 아치를 사용했다. 한국 전쟁 당시의 총탄 흔적이 남아있다.[8]
- B동·C동: 1948년 지어진 구 대한통운 창고 건물이다. B동은 박공 지붕에 함석 슬레이트를 올린 전형적인 창고 형태이며, C동은 목조 슬레이트 지붕을 한 창고이다.
- D동: 1888년 지어진 구 일본우선주식회사 인천지점 건물로, 벽돌조 건물이다. 1883년 우편기선 미쓰비시회사 부산지점 인천출장소로 개설되었으며, 1885년 일본우선주식회사 설립 후 1886년 인천지점으로 승격되었다.[13] 대한민국의 근대건축물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에 지어진 건물 중 하나이다.[13]
- E동·F동·G동: 1933년에 지어진 창고 건물들이다. 과거 인천 지역 예술가들의 “피카소 작업실”로 사용되기도 했다.[15]
- H동: 1943년에 건축된 일본식 점포 건물로, 리모델링 당시 금마차 다방이 있어 금마차 다방 건물로 불렸다. 목조 2층 건물에 유리를 덮어 씌운 형태이다.[16]
2. 1. A동: 구 군회조점
A동은 옛 군회조점의 사무실로 1902년 벽돌로 건축한 2층 건물이다.[4] 조점이란 운조점(運漕店)을 줄인말로 배로 물건을 나르는 조운업(漕運業)을 하는 가게란 뜻이다.[5] 군회조점은 쓰시마 출신의 코오리킨 자부로(郡金三郞)가 세운 해운회사이다. 코오리킨은 1877년 부산으로 건너와 삼점을 열었으며 울릉도를 비롯한 여러 곳에서 이권을 얻기 위해 앞장섰다. 인천의 일본 조계 내에 군회조점을 창업하고 이 건물을 세웠다.[6] 해방 이후 건물은 이러 저러한 용도로 바뀌어 사용되면서 애초의 용도가 잊혀졌으며 2000년대 초에는 당시까지 운영되었던 인쇄소의 이름을 따 삼우인쇄소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었다. 근현대 건축물의 리모델링 계획을 시작할 때에는 1940년대 쯤의 건물로 인식되었으나 2003년 아트플랫폼 사업을 시작하면서 상량문[7]이 발견되어 1902년 세워졌음을 알게 되었다.[8] 상량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6]明治三十五年十一月十一日郡金三郞|메이지 35년(1902년) 11월 11일 코오리킨 자부로일본어
벽돌로 올린 건물은 트러스 구조로 지붕을 받쳤고, 창문에는 장식 아치를 써 고급스런 느낌을 주었다. 천정의 마감에도 흰 회반죽을 써서 20세기 초 사무 공간 인테리어의 특징을 알 수 있게 한다. 벽면에 한국 전쟁 당시의 총탄 흔적이 남아 있다.[8]
2. 2. B동·C동: 구 대한통운 창고
B동은 대한통운이 사용하던 창고를 개조한 것이다. 제물포 조약에 따라 개항을 맞은 제물포는 일제강점기 시기 인천항으로 이름을 바꾸고 조선의 가장 중요한 무역항이 되었다. 특히 1911년 공사를 시작하여 1923년 완공한 갑문의 운용으로 인천항은 조석 간만의 차가 심한 인천 앞바다에서 상시적으로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곳이 되었다. 이후 해방을 거쳐 1970년대까지도 이 갑문은 연안부두의 역할을 하였고 부둣가를 따라 창고가 즐비하였다.[9] 차츰 인천항이 포화되자 옛 도크 지역의 어시장과 연안부두가 이전하면서 물동량이 급감하였고 창고도 새 항만지역으로 이전하여 비워지게 되었다.[10]인천아트플랫폼 B동을 이루는 대한통운 창고는 1948년 지어진 것으로 인천아트플랫폼이 착공되던 때까지 계속하여 창고로 사용되었다. 전형적인 창고로 박공 지붕에 함석 슬레이트를 올렸다. 지금은 입주 작가의 전시 공간으로 쓰이고 있다.[11]
C동 역시 대한통운 창고로 목조 슬레이트 지붕을 한 창고이다.
2. 3. D동: 구 일본우선주식회사 인천지점
D동은 구 일본우선주식회사 인천지점이었던 건물이다. 일본우선주식회사는 개항 이후 일본과 조선 사이의 해운을 독과점하였던 기업이었다. 1888년 지어졌으며 벽돌조의 비교적 큰 건물이다. 해방 이후로도 해운 회사의 사무실로 쓰였다. 현재는 인천아트플랫폼의 운영 사무실로 쓰이고 있다.[12] 2006년 인천광역시의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1883년 4월 우편기선 미쓰비시회사 부산지점의 인천출장소로 개설되었으며,[13] 1885년 10월 우편기선 미쓰비시회사와 공동운수회사가 합병되어 일본우선주식회사가 설립되자[14] 1886년 7월 16일 인천지점으로 승격되었다. 건물의 준공 시기는 1888년 말에서 1889년 초로 추정되며 현존하는 대한민국의 근대건축물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속한다.[13]
2. 4. E동·F동·G동: 구 창고 건물
E동, F동, G동은 1933년에 지어진 창고 건물이다. 한때 인천 지역 예술가들의 “피카소 작업실”로 사용되었다.[15] 현재는 입주 작가의 작업실과 게스트하우스로 쓰인다.[15] 피카소 작업실은 인천 지역 문화 예술인들이 모여 공동으로 작업하던 공간이었으며, 리모델링 후 현재의 인천아트플랫폼 운영 방식에 영감을 주었다.[2]2. 5. H동: 구 금마차 다방 건물
H동은 1943년에 건축된 일본식 점포 건물이다. 리모델링 당시 금마차 다방이 있었기 때문에 금마차 다방 건물로 불렸다. 현재는 커뮤니티관과 인천생활문화센터로 사용되고 있다. 원래는 양쪽 벽을 벽돌로 쌓은 목조 2층 건물이었는데, 지금은 그 위로 유리를 덮어 씌웠다.[16]3. 갤러리
인천아트플랫폼의 갤러리에는 북서입구, 중앙길, 남동입구가 있다.
3. 1. 북서입구
3. 2. 중앙길
3. 3. 남동입구
참조
[1]
웹사이트
인천아트플랫폼
https://www.ifac.or.[...]
인천문화재단
2019-12-03
[2]
뉴스
창고에서 문화 아지트로…도시 숨길이 열리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4-03-06
[3]
웹사이트
건축(공간) 히스토리
http://www.inartplat[...]
인천아트플랫폼
2019-12-13
[4]
웹사이트
A동
http://www.inartplat[...]
인천아트플랫폼
2019-12-12
[5]
문서
운조점
[6]
뉴스
1900년대 초의 사무소건축 ‘군회조점(郡廻漕店)’
http://enews.incheon[...]
i-View
2007-12-10
[7]
문서
[8]
간행물
인천문화재단 5주년 백서
http://www.cultureli[...]
인천문화재단
[9]
뉴스
일본에 의한 강제 개항, 인천은 국제도시로
http://www.incheonto[...]
인천투데이
2018-06-25
[10]
뉴스
골목 살아(사라)지다
http://www.incheon.g[...]
인천광역시
2014-01-08
[11]
웹사이트
B동
http://www.inartplat[...]
인천아트플랫폼
2019-12-12
[12]
웹사이트
D동
http://www.inartplat[...]
인천아트플랫폼
2019-12-12
[13]
서적
구 일본우선주식회사 인천지점 기록화조사보고서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
[14]
웹인용
日本郵船 沿革
https://web.archive.[...]
2011-12-31
[15]
웹사이트
E동, F동, G동
http://www.inartplat[...]
인천아트플랫폼
2019-12-12
[16]
웹사이트
H동
http://www.inartplat[...]
인천아트플랫폼
2019-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