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양군은 현재의 화성시 일대에 있었던 옛 행정 구역이다. 백제 시대에는 당성으로 불렸으며, 신라를 거쳐 당은군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쌍부현으로 불리다가 수주, 인주에 편입되었고, 이후 남양부로 개칭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도호부와 현을 오가며 행정 구역 명칭이 변경되었고, 1895년 인천부 남양군으로 편제되었다가 1896년 경기도 남양군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에는 대부면과 영흥면이 부천군으로 편입되었고, 나머지 지역은 수원군에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역사 - 부천군
부천군은 1914년 여러 지역을 합쳐 경기도에 신설되었으나, 잦은 행정구역 개편으로 현재 서울, 부천, 인천 등 여러 지역으로 분할되었고, 1973년 소사읍의 부천시 승격 후 나머지 지역은 인근 시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역사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서남쪽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 천안함이 침몰하여 4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으로, 민군 합동조사단은 북한의 어뢰 공격을 원인으로 발표했으나, 여러 의혹과 논란이 지속되며 남북한 간 군사적 긴장 고조의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되고 정부 대응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안산시의 역사 - 부천군
부천군은 1914년 여러 지역을 합쳐 경기도에 신설되었으나, 잦은 행정구역 개편으로 현재 서울, 부천, 인천 등 여러 지역으로 분할되었고, 1973년 소사읍의 부천시 승격 후 나머지 지역은 인근 시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 안산시의 역사 - 안산군
안산군은 현재의 안산시,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일부를 포함하는 과거 경기도의 행정구역으로, 삼국시대 이전부터 존재하며 백제, 고구려, 신라를 거쳐 고려시대에 안산군으로 개칭되었고, 조선시대에는 인천부에 속했다가 경기도로 이관, 일제강점기에 폐지되었으나 안산시 승격으로 그 일부 지역이 안산시로 편입되어 역사적 흔적이 이어지고 있다. - 화성시의 역사 - 수원군
수원군은 현재의 화성시 일대에 있었던 옛 행정 구역으로, 삼국 시대에는 매홀군, 신라 시대에는 수성군으로 불렸으며, 조선 시대에 수원도호부가 설치되어 도시가 발전했으나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을 거치며 쇠퇴했다가 1949년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 화성시의 역사 - 반월면
반월면은 1914년부터 1994년까지 수원군에 존재했던 면으로, 과거 광주군 지역이었으나 안산군을 거쳐 수원군에 편입되면서 북방면, 성곶면, 월곡면이 합쳐져 개칭되었고, 이후 일부가 의왕읍과 안산시에 편입된 후 폐지되어 안산시, 수원시, 군포시로 분할 편입되었다. 
| 남양군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한자 표기 | 南陽郡 | 
| 로마자 표기 | Namyang-gun | 
| 한국어 표기 | 남양군 | 
| 다른 이름 | 나미ャンぐん, 남양군 | 
| 영어 표기 | Namyang County | 
| 일본어 표기 | 南陽郡 | 
| 위치 | |
| 위치 | 경기도 서남부 | 
| 역사 | |
| 시대 | 조선 시대 | 
| 폐지 시기 | 1914년 | 
| 주요 변천 | 1413년 태종 13년 남양도호부 설치 1895년 23부제 실시로 인천부 관할 남양군이 됨 1896년 13도제 실시로 경기도 소속 남양군이 됨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수원군, 부천군에 편입, 폐지됨  | 
| 속현 | 양성현 안성현 평택현 수원도호부  | 
| 행정 구역 | |
| 주요 읍면 | 남양읍 대부동 영흥면  | 
| 기타 | |
| 관련 지명 | 화성시 안산시 평택시  | 
| 현재 위치 | 화성시 남양읍 안산시 대부동 옹진군 영흥면  | 
| 같이 보기 | 남양군 (중국) 남양군 (북한) 남양읍 남양시  | 
| 기타 (역사적 인물) | |
| 관련 인물 | 寧堤 (영제) 戈浦 (과포)  | 
2. 유래
남양은 당은군(唐恩郡), 당성군(唐城郡)으로 불렸다. 백제, 신라가 중국을 오가던 당항성(黨項城, 현재의 화성 당성)이 이곳에 있었다. 당항성은 백제와 신라가 중국과의 교역(조공)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던 곳이었다. 우정읍과 장안면 일대는 삼귀(三歸) 또는 삼괴(三槐)로 불려왔고, 고려 때에는 쌍부현(雙阜縣)이라고 하였다. 
3. 역사
4. 행정 구역
1914년 이전 남양군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았다.
- 읍내면/음덕화면, 마도면/송산면/수산면, 서신면, 팔탄면/장안면/우정면, 대부면/영흥면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 둔지곶면(屯知串面): 장곶동, 덕방동, 안의동, 거석동, 무송동, 신정동, 활초동, 온석동
 - 분향리면(分鄕里面): 상동, 신동, 하동, 안길리, 구밀동, 문언동, 석천동
 - 쌍수리면(雙守里面): 송정동, 중리동, 석교동
 - 저팔리면(楮八里面): 자양동, 신안동, 청령동, 요곡동, 상기동, 하기동, 하저동
 - 초장면(草長面): 일동, 이동, 개원동, 삼동, 율전동, 사동, 오동, 육동, 칠동, 진학동
 - 압정면(鴨汀面): 일동, 이동, 삼동, 사동, 오동, 육동, 칠동, 팔동, 구동, 국화도
 
4. 1. 읍내면/음덕화면
陰德里面중국어은 상리, 중리, 하리, 북리, 고서미리, 서미리(瑞尾里), 서미리(鼠尾里), 석문리, 산양리, 신양리로 구성되었다.[1] 禾尺只面중국어은 외리, 중리, 내리, 장전리, 산화리, 수충리, 양철리, 분지리, 서호리, 문기리, 시리리, 송림리, 원막리, 천곡리로 구성되었다.[1]
4. 2. 마도면/송산면/수산면
마도면은 송치리, 쌍봉리, 상원리, 청산리, 해문리, 백곡리, 금당리, 고모리, 슬항리로 구성되었다.[1] 송산면은 고잔리, 포막리, 중송리, 천등리, 독지리, 마산리, 화량리, 거지리로 구성되었다.[1] 수산면은 삼존리, 봉가리, 사강리, 육교리, 북일리로 구성되었다.[1]4. 3. 서신면
서신면은 세곶면(細串面), 서여제면(西如堤面), 신리면(新里面), 며지곶면(旀知串面)을 합쳐 만든 면이다. 각 면에 속했던 리는 다음과 같다.| 면 이름 | 속했던 리 | 
|---|---|
| 세곶면(細串面) | 대각리, 원정리, 고잔리, 우음도리, 고포리, 용수리, 대정리, 복정리, 천등리, 신리 | 
| 서여제면(西如堤面) | 칠곡리, 전곡리, 상림리, 대안리, 광평리, 장외리, 송교리 | 
| 신리면(新里面) | 홍법리, 사곶리, 용두리, 궁평리, 백미리, 매화리, 제부리 | 
| 며지곶면(旀知串面) | 포촌리, 유지리, 대전리, 신남리, 존의리, 건로리, 백로리, 동학리, 백학리, 검다리, 일수리, 구포리, 연화리, 이화리, 도파리 | 
4. 4. 팔탄면/장안면/우정면
둔지곶면(屯知串面)은 장곶리, 덕방리, 안의리, 거석리, 무송리, 신정리, 활초리, 온석리를 관할했다. 분향리면(分鄕里面)은 상리, 신리, 하리, 안길리, 구밀리, 문언리, 석천리를, 쌍수리면(雙守里面)은 송정리, 중리리, 석교리를 관할했다. 저팔리면(楮八里面)은 자양리, 신안리, 청령리, 요곡리, 상기리, 하기리, 하저리를 관할했다.팔탄면은 안산리, 상사천리, 하사천리, 독곡리, 전대리, 언창리, 발안리, 가재리, 율리리, 노상리, 입암리, 노하리, 덕우리, 장지리, 진월리를 관할했다. 장안면은 일리, 이리, 삼리, 사리, 오리, 육리를 관할했다. 초장면(草長面)은 일리, 이리, 개원리, 삼리, 율전리, 사리, 오리, 육리, 칠리, 진학리를 관할했다.
우정면은 일리, 이리, 삼리, 사리, 오리, 육리, 칠리, 팔리를, 압정면(鴨汀面)은 일리, 이리, 삼리, 사리, 오리, 육리, 칠리, 팔리, 구리, 국화도리를 관할했다.
4. 5. 대부면/영흥면
대부면은 선감리, 풍도리, 영전리, 용곶리, 진현리, 상리, 하리로 구성되어 있었다.[1] 령흥면은 선재리, 내리, 외리, 자월리, 대이작리, 소이작리로 이루어져 있었다.[1]참조
[1] 
서적
 
삼국사기
 
[2] 
법률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3] 
법률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4] 
법률
 
대한제국 칙령 제49호
 
1906-09-24
 
[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6] 
웹사이트
 
화성시 서부 지역 전신
 
[7] 
서적
 
삼국사기
 
[8] 
법률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9] 
법률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10] 
법률
 
대한제국 칙령 제49호
 
1906-09-24
 
[1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